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번영감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정원호 ( Wonho Jeung ) 한국생산성학회 2019 生産性論集 Vol.3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tial proces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ocial exchange theory. Second, it introduced thriving at work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and the broaden-and build theory. Finally, it introduced resili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a moderator on the effects of thriving at work on performance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erformance through thriving at work. Data was collected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military and business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positively related to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Members with hig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end to perform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erformance is positively mediated by thriving at work of organizational members. Members with hig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end to increase the level of thriving at work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in turn, they tend to perform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rd, the effects of thriving at work on performance is positively moderated by the level of resili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effects of thriving at work on performance i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level of resili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than those with lower level of resilience. Finally, the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erformance through thriving at work is also moderated by the level of resili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xpand the extant studies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y showing potential influential proces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erformance. Second, it als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previous studies on thriving at work by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efforts to make their employees positively perceive their supports since it facilitates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It is also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strive to increase the level of thriving at work and resili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order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원호(Jeung, Won Ho),윤인수(Yun, In So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More importantly,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prior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we developed competing hypotheses in predicting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A member with higher level of self-leadership are more likely to behave innovative manners. Seco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A member with higher level of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tend to behave in innovative ways. Finally,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has negative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is result implies that individual’s self leadership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has supplementary effects in explaining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현대 조직은 급속한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술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조직구성원은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무쌍한 조직 환경에서 조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 방향을 경쟁 조직보다 먼저 예측하고 변화를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조직은 조직 내 핵심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은 조직구성원이다. 지속적인 변화를 강요받는 시대에서 조직구성원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은 현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직무특성, 조직적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기반으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불러일으키는 두 가지 요인에 집중한다. 첫째,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켜 자기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조직이 자원을 할당하거나 조직구성원에게 분배하는 과정상의 의사결정이 얼마나 공정한가에 대한 구성원의 지각인 절차공정성에 의해 혁신행동이 유발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상호작용이 어떤 양상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개인적 특성과 공정성의 상호작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가 불일치하는 점을 고려하여, 경쟁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셀프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셀프리더십이 높은 조직구성원이 낮은 조직구성원보다 혁신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절차공정성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조직의 절차공정성이 높다고 지각한 구성원이그렇지 않은 조직구성원에 비해서 더 많은 혁신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은 혁신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셀프리더십과 절차공정성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 시너지의 효과를 내기보다는 서로간의 효과를 보완 및 대체하는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원호(Jeung Won Ho),김상훈(Kim Sang Hu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현대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사신뢰와 직무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사신뢰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직업적 안정성이 보장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검증함으로써 상사신뢰의 효과에 대한 외적타당도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보다 중요하게도,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가치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정치지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총 260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사신뢰는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를,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가치감은 상사신뢰와 정(+)의 관계가 있고, 직무만족과는 정(+)의 관계,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계가 있었으며, 상사신뢰와 직무태도와의 관계를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조직정치지각은 상사신뢰와 일가치감의 관계를 조절하였는데, 조직정치지각의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상사신뢰가 일가치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사신뢰가 일가치감을 매개로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서도 조직정치지각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value of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politics on the 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perceived value of work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of work.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local government officers.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rust in supervisor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rust in supervisor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mediated by perceived value of work. Finally, the 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perceived value of work were moderated by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lso moderat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This study extend the extant understanding of trust in supervisor by providing explanation of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rust in supervisor exert influence attitudes of organizational members.

      • Who Becomes a Leader in Teams: The Function of Motivation and Empowerment

        Wonho Jeung(정원호)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ence of leaders in newly-formed teams based on two motivational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motivation to lead (MTL) and leadership self-efficacy (LSE). Sampling from the soldiers in the Korean Army Training Center, it was found that MTL and LSE are positively related to leader emergence outcomes. In addition, LS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TL and leader emergence. Moreover, this study introduces the moderating role of external lead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and leader emergence in leaderless teams. It was found that the empowering leadership behavior of external leaders moderates the effects of MTL and MTL on leader emergence.

      • KCI등재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효능감과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상훈(Sang Hun Lee),정원호(Wonho, Jeung)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3

        최근 조직은 급격한 환경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조직이 능동적으 로 대응하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 연구에 주 목하고 있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자율성, 책임, 권한을 부여하고, 솔선수범과 코칭 등을 통해서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도록 하 는 행동 동기를 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팀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 치는 영향과 팀 효능감과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 치하는 것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유효한 효과가 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보다 중요하게도, 임파워링 리더심이 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팀 효능감 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임파워링 리더십 이 팀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팀 몰입은 다시 팀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 에 따라 팀 몰입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팀 조직에서 실증 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에 대한 외적 타당도를 강화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보다 중요하게도 팀 효능감과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력 발휘과정을 확인하여 선행연구의 폭을 확장하였다는데 시사점을 가진다. 그리고 팀 관리자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조직 차원에서는 팀 관리자들로 하여 금 임파워링 리더십을 교육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Empowering leadership is one of the widely researched topics in leader behaviors over last decade. Yet, there are some issues to be explored further with regards to this theory, particularly the processes of influence of empowering leader behaviors on outcomes. In order to fill the gap in the extant studie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s of team efficacy and team commitment. Sampling from 63 special force teams in the Korean Arm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More important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are mediated by both team efficacy and team commitment. That is, empowering behaviors of team leaders enhance the level of team efficacy, which indicates that team members tend to believe that their teams have higher abilities when their leaders behave empowering ways than those with low empowering behaviors. In a similar vein, empowering leadership enhance the level of team commitment since empowering leaders give mor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o team members for decision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is important to more effectively accomplish team performance. Therefore, team leaders should try do behave empowering way for their subordinates. Moreover, organizational managers should cultivate and facilitate environments to foster their team mangers to learn to empower their team members.

      • KCI등재

        상사의 핵심자기평가가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장두필(Jang, Doopil),정원호(Jeung, Wonho),손승연(Son, Seung Ye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2

        최근 잇따른 기업의 윤리적 이슈들로 인해 조직의 윤리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윤리경영이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실질적인 윤리경영의 핵심인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밝히는 연구들이 축적되고 있는데, 이런 선행연구의 기여에도 불구하고 무엇이 윤리적 리더십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 속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 일부를 확인함으로써 결과에 치중된 현 연구관점의 불균형을 보완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문헌연구를 토대로 개인특성인 리더의 핵심자기평가와 상황요인인 조직정치지각을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으로 보고, 군 간부 199쌍(장교-부사관)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상사가 자신을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적 리더십이 높아지는 반면, 조직정치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윤리적 리더십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핵심자기평가와 윤리적 리더십 간의 정적 관계는 조직정치지각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관심이 저조하였던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밝혔다는 것과, 이 과정에서 보다 광의의 개인특성인 핵심자기평가와 조직에 실존하는 정치에 대한 지각이 개별 및 복합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으로 하여금 윤리적 리더십의 독려를 위해 리더 선발, 교육훈련 측면에서 어떤 고민을 해야 하는지와 우호적인 업무환경 조성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ethical leadership and management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due to the ethical scandals in the business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ntecedents of ethical leadership.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plored the role of the leader's personality trait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 on ethical leadership.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leader's positive self-concept or core self-evaluation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ethical leadership. Moreover, we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From the sample of 199 leader-subordinates dyad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show that leader's core self-evaluation has a positive effect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ethical leadership. In addition,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ethical leadership, such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is stronger when the level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high than when the level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der's self-concept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re important antecedents to have impact on ethical 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설지수 ( Seol Ji Su ),정원호 ( Jeung Won Ho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를 통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하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성원의 특성적인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열의, 혁신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육군 중대급 이하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리더-부하 131쌍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부하의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의 혁신행동의 관계는 부하의 직무열의에 의해 매개되었다. 또한 부하의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은 부하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정(+)적으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하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의해서 조절됨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외적타당성을 확대하였으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군 조직에서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통해 일반사회에서 효과성을 가지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군 조직에도 적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하의 혁신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군 조직 관리자들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이 모든 부하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강화되거나, 혹은 중화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of followers. More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of follow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on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job engagement. Sampling from 131 leader-follower dyad in Korean Arm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s’ empowering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s of followers as well as job engagement of followers. Followers’ job eng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s an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of follow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followers’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s were moderated by general self-efficacy of followers such that the effects of job engagement on innovative behaviors were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general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lower general self-efficacy. Finally, the indirect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s through job engagement were moderated by followers’ general self-efficacy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general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lower general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the extant literature on empowering leadership,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s because it explains the potential influential mechanism of empowering leadership. This study also have some practical implication that organizations should train and educate their leaders to conduct empowering leadership in order to foster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