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정아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The data from 40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 Korean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K-DAQ),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CERQ) are used for measur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and AMOS 18.0 programs. Furthermore,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for verifying consequence of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placed agg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It implies that internalized sham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contribute to the displaced aggression. Current results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inner-trait of displaced aggression. Findings are going to be useful for psychotherapists to assist clients who have problems of displaced aggression with internalized sham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Meteoric Beryllium-10 applications for reconstructing ice shelf history : a case study from Larsen ice shelf-B

        정아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blic and researchers focused their attention to northeastern coastal region of Antarctic Peninsula due to successive ice shelf-collapse events occurr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large-scale collapse of Larsen ice shelf-A in January, 1995 and Larsen ice shelf-B in March, 2002 increase necessity for research about ice shelf responses to climate change. Previous studies analyzed geomagnetic intensity and biological proxies for reconstructing ice shelf history but there are only three study using meteoric 10Be to discover advance, retreat and collapse of ice shelf in Antarctica, so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the application of meteoric 10Be in glacial marine sedi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meteoric 10Be concentration in sediment of Larsen ice shelf-B marine core, located open marine environment subsequent to 2002 collapse at regular intervals. After Last Glacial Maximum (LGM), under deglacial setting from climate change, the gradual increase tendency of meteoric 10Be concentration was observed and especially, the meteoric 10Be concentration rapidly increased after ice shelf collapse. The results indicate meteoric 10Be concentration fluctuated with the change of ice shelf history and thus suggest meteoric 10Be would be a tracer with other geochemical and geophysical indicators to infer paleo-environment of glacial marine sediment. The findings will be helpful to analyze ice shelf response pattern to climate change in still existent ice shelves located east coast region of Antarctic Peninsula such as Larsen ice shelf-C and predict probable collapse in future. 최근에 발생했던 남극 반도 북동쪽 해안 지대의 빙붕들의 연속적인 붕괴는 해당 지역에 대한 연구자들과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특히 1995년 1월의 라슨빙붕-A와 2002년 3월 라슨빙붕-B의 대규모 붕괴는 기후변화에 빙붕이 어떻게 반응하는 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증식시켰다. 기존 연구에서는 해양코어 퇴적물의 고지자기의 강도, 퇴적물 내 유공충과 규조류의 함량 등을 빙붕의 역사를 복원하는 데 사용하였으나 남극 빙붕의 후퇴와 전진역사의 추적자로 대기중에서 형성되는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베릴륨-10을 사용한 논문은 현재까지 세 편정도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슨빙붕-B의 전진, 후퇴 그리고 붕괴역사를 밝혀내기 위해 2002년 붕괴이후, 완전히 열린 해양환경에 처해진 지점의 해양퇴적물 코어의 퇴적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대기중에서 형성되는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베릴륨-10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지난 빙기 이후, 기후변동으로 인하여 빙붕이 후퇴하는 환경에서 대기중에서 형성되는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베릴륨-10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관측되었고, 특히 빙붕이 붕괴한 후에는 베릴륨-10의 농도가 급증한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빙붕이 후퇴하고 붕괴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양 퇴적물 내 베릴륨-10의 농도 또한 이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역으로 베릴륨-10의 농도를 가지고 다른 지구화학적, 지구물리적 지표들과 함께 빙붕 아래 퇴적층의 고환경을 유추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발견은 라슨빙붕-C와 같이 아직 붕괴되지 않은 남극반도 동쪽 해안지역 빙붕들이 기후변화에 반응하는 패턴을 분석하고,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빙붕의 붕괴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텔로머라제 음성인 ALT 세포주에서 염색질 구조가 텔로미어 길이 조절에 미치는 영향

        정아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텔로미어 (Telomere)는 진핵생물 염색체 끝부분의 DNA와 단백질 복합체로서 TTAGGG의 반복 서열을 가지며 염색체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 줌으로써 유전체의 안정성에 기여를 한다. 대부분의 불멸화된 세포는 텔로머라제 (Telomerase)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텔로미어 길이의 안정화를 유도하지만 소수의 세포에서는 텔로머라제와 무관하게 텔로미어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Alternative lengthening of telomere (ALT)라 불리는 기작에 의해 텔로미어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텔로미어 길이조절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텔로미어 염색질 구조와 텔로미어 길이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텔로미어 유지는 발암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중요한 항종양 표적이 될 수 있어 텔로미어 길이 조절에 관한 기작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ALT 세포에서 텔로미어 염색질의 구조 변이가 텔로미어 길이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ALT세포주에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인 Trichostatin A (TSA)를 처리하여 염색질의 구조 변이를 유도하고 그 변이에 따른 텔로미어 길이, APBs (ALT associated PML bodies) 형성, T-SCE (Telomere Sister Chromatid Exchange) 빈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APBs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ISH combined IF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Immunofluorescence staining, FISH-면역형광염색법)를 수행하였고, T-SCE 를 측정하기 위해 CO-FISH (Chromosome Orientation FISH)를 수행하였으며 텔로미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로미어 FISH를 수행하여 TSA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ALT 세포주의 염색질 구조가 텔로미어 길이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1. ALT 세포주인 GM 847과 WI38-VA13의 APBs를 측정하기 위하여 FISH-면역형광염색법을 수행하였다. GM 847 경우 TSA를 처리하였을 때 APBs 양성 세포수는 100개 중 63개로 TSA를 처리 하지 않았을 때의 100개중에 30개 보다 증가하였다 (p<0.001). 또 다른 ALT 세포인 WI38-VA13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WI38-VA13에 TSA를 처리 하였을 때 APBs 양성 세포수는 100개중 38로 TSA를 처리 하지 않았을 때의 100개중에 18개보다 증가하였다 (p<0.001). 2. GM 847의 T-SCE 빈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O-FISH를 수행하였다. TSA를 처리하였을 때 T-SCE 빈도는 1026개 염색체 중에 262개 (25.5%)로 TSA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1026개중에 215개 (20.9%) 보다 증가 하였다 (p<0.001). 3. GM 847의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로미어 FISH를 수행하였다. TSA를 처리하였을 때 텔로미어 평균 길이를 나타내는 형광 평균 세기는 25.11%로 TSA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29.8.% 보다 감소하였다 (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ALT세포에서 염색질 구조가 텔로미어 재조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텔로머라제 음성 세포주에서 텔로미어 길이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polymer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i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정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s)의 개발이 증가하는 추세의 연구동향에 따라 여러 개의 고분자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과 유기박막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한 센서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PART I에서는, DPP와 NDI 분자 구조를 바탕으로 한 PDPP2DT-T2, PDPP2DT-TT, PDPP2DT-DTT, PNDI2OD-T2, PNDI2OD-F2T2, PNDI2OD-Se2 고분자를 반도체 층으로써 blade-coaing 기법을 이용하여 (top-gate bottom-contact) TGBC 구조의 휘어지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높은 hole 이동도는 PDPP2DT-T2 고분자를 이용한 소자에서 1.51 cm2V-1s-1 가 나왔고, 가장 높은 전자 이동도는 PNDI2OD-Se2 고분자를 이용한 소자에서 0.85 cm2V-1s-1를 얻을 수 있었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고분자 구조가 미치는 영향은 결정의 모양, edge-on 방향성, 박막을 이루는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접합하는 정도 등을 통해 설명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컨쥬게이션을 이루는 고분자들이 휘어지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전자소자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PART II에서는 우리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하고 fluorinated difluorobenzothiadiazole-dithienosilole 고분자 (PDFDT)를 이용한 암모니아 가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분자 (PDFDT)의 주사슬과 암모니아 가스 분자의 수소결합, 정전기적 인력으로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생기면서 HOMO의 에너지레벨을 낮추게 되어 트렌지스터 센서 안에서의 hole trapping이 일어나게 된다. 순환 전압 전류법과 핵자기공명법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법을 통해 가스 센서의 메커니즘을 알아낼 수 있었다. 또한, DFT 계산을 통해 PDFDT 고분자 구조에 존재하는 플루오린 원자와 DTS 단위체가 암모니아 가스 분자와 결합을 이룬다는 것도 밝혀낼 수 있었다. 특정한 가스 분자들과 결합을 생성하는 고분자 구조 안의 작용기들을 도입하여 고성능의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센서를 만들 수 있었다. In the thesis, we demonstrate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TFTs) with various semiconducting polymers and the application as a gas sensors detecting ammonia gases. Those are explained divided into Part I and II. In Part I, We report high-performance top-gate bottom-contact flexible field-effect polymer transistors (FETs) fabricated by blade-coating of diketopyrrolopyrrole (DPP)-based and naphthalene diimide (NDI)-based polymers (P(DPP2DT-T2), P(DPP2DT-TT), P(DPP2DT-DTT), P(NDI2OD-T2), P(NDI2OD-F2T2), and P(NDI2OD-Se2)) as the semiconducting channel materials. The highest hole mobility of 1.51 cm2V-1s-1 and the highest electron mobility of 0.85 cm2V-1s-1 were obtained from P(DPP2DT-T2) and P(NDI2OD-Se2) polymer FETs, respectively. The impacts of polymer structures on the FET performance are well explained by the features of crystallinity, edge-on orientation tendency, and interconnectivity of polymer fibrils in the film state. Conclusively, we present high-performance flexible durable FETs, demonstrating high potentials of semiconducting conjugated polymers for use in the flexible electronic applications. And in Part II, we report a highly sensitive printed ammonia (NH3) gas sensor based o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TFTs) with fluorinated difluorobenzothiadiazole-dithienosilole polymer (PDFDT). These sensors detected NH3 down to 1 ppm with high sensitivity (up to 56%) without using any receptor additives. The sensing mechanism was confirmed by cyclic voltammetry, hydrogen/fluorine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UV/visible absorption spectroscopy. PDFDT-NH3 interactions comprise hydrogen bonds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s between the PDFDT polymer backbone and NH3 gas molecules, thus lowering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levels, leading to hole trapping in the OTFT sensors. Additionally,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show that gaseous NH3 molecules are captured via cooperation of fluorine atoms and dithienosilole units in PDFDT. We verified that incorporation of functional groups that interact with a specific gas molecule in a conjugated polymer is a promising strategy for producing high-performance printed OTFT gas sensors.

      • 대학교육과 기업실무의 연계를 위한 자동차 디자인 입체조형 교육모델 제안 :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을 기반한 클레이 모델링을 중심으로

        정아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 배경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자동차 디자인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차 디자인에 대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자동차 산업에 발맞춰 디자인 교육도 변화해야 한다. 특히, 자동차는 조형의 특수성으로 인해 디자인 과정에서 클레이모델을 구심점으로 작업이 진행되고, 디자인을 실제 제품으로 양산하기 위해서는 입체조형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이런 학습을 위한 자동차 입체조형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실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클레이모델링을 활용한 아이디어의 실체화에 대하여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 방법 이 교육모델은 선행연구와 문헌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현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자동차 입체조형 교육에 배경이 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수요자가 느끼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요소를 찾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디자이너를 위한 자동차 디자인 입체조형 교육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실무 감각을 갖춘 산업체의 일원으로 전문성을 겸비한 디자이너 로 현업에서, 아이디어 스케치(2D)를 효과적으로 실체화(3D)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자동차 입체조형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형적인 측면에서 자동차 입체조형 요소’ 분석을 바탕으로 스케치(2D)를 입체(3D)로 형상화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학습과 현업에서 전문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인 협업(팀워크)을 위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조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유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평가 및 피드백을 위한 ‘디자인 크리틱’ 유형을 분석하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동차 디자인 입체조형 교육모델’은 상세하고 실질적인 연구로 관련 연구자 및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사례된다. 특히 입체조형의 과정을 ‘1인 습득’ 이 아니라 ‘실무의 환경을 고려한 다 인간간의 역할 및 소통 연습과정’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계층을 위한 자동차 입체조형 교육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과제로는 교육 모델의 효용성에 대한 다양한 검증을 들 수 있다. Background As the paradigm of the automotive industry changes, the scope of automotive design is expanding more, and new design attempts are being developed to automotive design in various fields. Design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 response to this rapidly changing automotive industry. Particularly, due to the specificity of automobile molding, the design work is progressing with clay modeling as the center point of the design process, in order to distribute the design as a real product in ma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learning about three-dimensional (3D) sculpture. However, the current undergraduate curriculum lacks the expertise of 3D sculpture education, and this type of education is more in need for the students without basic knowledge in other fields. Methods This educational model was conducted via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design background field to reduce the gap with the business, I proposed an effective method for automobile design, ascribed by a 3D sculpture educational model. Results First, we proposed a more practical and systematic 3D sculpture educational model that can reduce the gap between practice and education to satisfy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Design in South Korea, which is to “train professional designers capable of mass production of automobiles.”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automotive 3D sculpture elements', in order to creatively solve various problems that occur, whereas embodying a 3D model from a two-dimensional (2D) sketch. Second, we proposed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s for a professional designer in the field to learn with the competence of teamwork based on the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Third, we further analyzed the design critic types for evaluation and feedback in class usage and suggested the most effective methods. Conclusions The 3D sculpture education model of automotive design'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and added to automobile 3D sculpture education for classes in various fields. Future challenges may incorpora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b-programs and various verifica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ducational model.

      •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추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아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경제적 효율성 중심의 성장과 공공관리의 패러다임 변화는 사회적 가치의 필요성을 대두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경제적 가치 중심의 성장의 한계와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수익성 중심의 공공기관 관리로 인한 공공성 미흡에 대한 보완으로 사회적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공익성 확보를 우선시하고 사회에 대한 책무성을 지닌 공공기관의 경우 ‘사회적 가치 추구’ 이행이 더 높은 수준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추구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공기업,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활동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활동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지표 중 5개 세부지표로 구성된 ‘사회적 가치 구현’ 지표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로 조직성과를 설정하였으며, 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ROA, 고객만족도를 대용변수로 활용하였다. 또한 통제변수는 평가연도, 기관유형, 기관규모, 기관연령, 산업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공공기관의 ‘일자리 창출 활동 수준(CSR1)’은 재무적 성과(ROA)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기관의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활동 수준(CSR2)’은 비재무적 성과(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분화된 사회적 가치 추구 지표를 기반으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어떤 세부활동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 추구를 통한 조직성과 향상 전략의 기반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8년부터 경영평가에서 사회적 가치 관련 지표의 세분화 및 가중치 강화 등을 통해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활동 권장을 유도한지 4년이 지난 시점에서, 평가연도 별 현황 및 지표의 도입 성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해보았다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valu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ublic data collected through the Ministry of Finance's ALIO for three years of 87 public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public corporation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two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levels of social value every activity of public institution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turn on Assets. Second, levels of social value every activity of public institution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o prove the research hypothesis, this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index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exes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as the dependent variables, ROA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used.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search model, evaluation year, institution type, institution age, institution size, and industry type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job creation activity level (CSR1) had a positive effect on ROA, and the level of equal opportunity and social integration activity (CSR2)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level of job creation activity(CSR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OA, and the level of activity for equal opportunity and social integration(CSR2)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ome social value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detailed social value activities.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out which detailed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based on this, the basis for strategie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ocial values.

      • (A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gene signature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Is it play a clin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role?

        정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암의 침범과 전이와 관련된 분자생물학 과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상피간엽이행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은 상피세포의 성질로부터 간엽세포의 성질로 전환하는 복잡하고 가역적인 생물학적 과정으로, 암세포는 세포 이동과 침범 가능성의 증가, 세포 골격의 재구성 및 세포 사멸에 대한 저항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이용하여 EMT의 발현과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예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군에서 EMT 유도 전사인자들 (CDH1, VIM, CDH2, FN1)과 관련된 82개의 유전자 지표를 발굴하였다. EMT유전자 지표의 발현에 따라 나누어진 Mesenchymal과 Epithelial group에서의 생존율과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4개의 독립된 환자군에서 Mesenchymal group이 Epithelial group 보다 예후가 유의하게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 Virus, HPV)-음성 환자에서도 Mesenchymal group이 Epithelial group보다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 지표로 분류된 방사선 치료 저항성 표현형과 EMT 유전자 지표가 관련이 있었다. EMT 유전자 지표는 세포 골격의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과정과 PI3K/AKT 신호과정, microRNA와 같은 세포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EMT 유전자 지표는 방사선 치료 저항성 표현형과 관련이 있었으며 HPV-음성 환자를 포함한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임상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 아산 노령인구의 환경적 유해인자 노출평가와 3-phenoxybenzoic acid를 활용한 자가보고 우울감 증세 유무와의 관련성 평가

        정아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초고령화 사회를 예측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노인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대응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문제 중 환경 보건적 관점에서 농촌 거주 노령인구의 우울감 증세 관련 잠재적 유해인자로서 사회경제적, 정서적 요인과 더불어 환경적 유해 요인 특히, 농약 노출 수준과 노인 우울감 증세 유무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농촌 거추 노령인구의 환경적 위해 저감 방안 마련을 위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7년 7월까지 농촌 지역인 충청남도 아산시에 거주 중인 60세 이상의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또한 생체지표(소변)를 채취한 후 살충제 대사산물인 3-PBA를 분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 연구대상 노인들은 교육 수준, 소득 수준, 결혼 형태의 특성에서 남녀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남녀 모두 단독주택 거주가 가장 많았으며 난방연료로 석유와 가스 사용이 많았고 석유 사용 빈도는 도시 거주 노인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 살충제 노출력은 타 계절에 비해 여름에 사용 빈도가 높았고 연간 7일 이하 사용, 평균 1∼2시간 살포, 등짐형 수동식 분무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남성의 경우 직접 살포, 여성은 다른 가족이 주로 살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구 착용 수준은 남녀 모두 보호 장갑, 모자, 장화, 마스크는 항상 착용하는 편으로 나타났으나 보안경, 방제복 상, 하의는 없음/착용 안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 살포 작업 시 준수사항에서는 남녀 모두 준수사항을 잘 지키는 편으로 나타났으나 농약을 희석할 때에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는 것은 타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보험형태에 따라 일반층(공·교, 직장, 지역), 저소득층(의료보호)으로 나누었고, 이에 따른 저소득층의 경우, 여름철 모기약 사용 빈도와 난방연료로 석유를 사용하는 빈도가 일반층에 비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살충제 노출력은 저소득층의 여성의 경우 살충제를 연간 1∼5시간 사용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일반층과 저소득층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0). 농약 살포 시 보호구 착용 수준은 저소득층 남녀 모두 보안경, 방제복 상, 하의는 착용 수준이 낮은 편이었고 보호 장갑, 모자, 장화, 마스크는 착용 수준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 일반층과 저소득층 그룹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01). ○ 혼란변수(보험형태, 자가 인식 건강 상태, 결혼 상태, 연령, 여름철 모기약 및 살충제 사용)를 보정한 후, 요 중 3-PBA 농도와 자가보고 우울감 증세 유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경우, 3-PBA의 단위 농도가 1㎍/g(크레아티닌 농도 보정) 증가할 때, 우울감 증세가 있다고 보고하는 정도가 약 13%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R=1.13, 95% CI 1.01-1.26). 하지만 남성의 경우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우울지수를 활용한 관련성 평가도 동시에 실시하여 결과를 함께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아산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중 특히 여성은 자가보고 우울감 증세 유무 및 우울 지수에 따른 3-PBA 농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자가보고 우울감 증세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여러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그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나, 우울 지수를 사용한 모델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추후 여성을 대상으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산 지역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농촌 관련 환경유해인자인 살충제 및 모기약 노출 수준이 여름철에 타 계절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살충제의 생체지표인 요 중 3-PBA 농도와의 관련성을 통해 건강 상태가 노인 우울감 증세에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기존 연구들은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낮은 소득, 결혼 상태, 농업 종사 경험), 기타(만성질환, 의료시설 부족 등) 요인들이 우울감 증세와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충제를 사용하는 농사 관련 활동 시에도 보호구 착용이 권장되는 바이다. 또한 우울감 증세가 있는 노인은 스스로 건강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농촌 지역 특성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이나 건강검진 등을 통하여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생활숙박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정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세계는 국제화 시대에 따라 점차 다변화,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고, 교통과 인터넷, 인공지능 등 기술의 발달과 가족구성원 등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사회·문화적 환경과 개인의 가치관 및 생활· 행동·사고양식 등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기술의 발달로 생활은 편리해지고, 여가 시간의 증대 및 삶의 질 향상, 자아실현의 욕구가 증대되어 물질적, 정신적 환경이 풍요해짐에 따라 개인에 대한 자아존중 및 독립성향이 강해져 비혼족이 늘고,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화되어 1~2인의 소규모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주거공간 및 주거형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전통적인 주거공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거공간과 주거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더이상 주거공간이 소유의 개념이 아닌 리스나 렌탈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으며, 가구와 가전 등이 주거 공간과 하나로 합쳐진 풀퍼니시드(Full- furnished) 인테리어가 성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거형태의 변화는 다양한 원룸형의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등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국내의 전문직 고소득층과 여행 및 비즈니스를 위해 중·장기간 체류하는 외국인들의 증가로 인해 주거의 안락함과 호텔의 질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주거공간인 생활숙박시설을 필요로 하였다. 생활숙박시설은 2000년대 초반 외국인 임대수요가 증가한 ‘서비스드 레지던스(Serviced residence)’란 이름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2010년 호텔업계의 반발과 숙박업과 임대업에 대한 불법적인 요소로 인해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2012년 공중위생관리법,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신설된 ‘생활숙박시설’이라는 법정 용어를 얻게 되었다. 생활숙박시설은 아파트와 오피스텔, 호텔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취사 및 세탁이 가능한 풀퍼니시드(Full-furnished) 인테리어 시설을 갖추고 있어 장·단기 숙박 및 임대,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하며, 호텔의 여러 가지 질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주거시설이다.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적 특성 및 연령층과 소득·경제여건 등에 따라 다르며, 가구 구성원이나 임대수익 등 여러 요소에 의해 각각의 선호하는 주거공간의 형태도 다르다. 1~2인의 소규모 가구는 프라이빗한 공간과 비교적 저렴한 원룸형의 공간을 선호 하는 반면, 여유있는 중년 및 노년층은 가족거주형 및 독립세대형의 안락한 주거환경과 휴양, 오락, 문화, 의료 등의 서비스를 제공 받길 원한다. 이와 같이,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문화적·환경적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와 수요가 늘고 있어 주거공간의 한 형태로서의 생활숙박시설의 개념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주거공간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객실공간 및 부대시설의 다양한 형태를 반영하고, 생활숙박시설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여 불법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형태에 대한 인지를 통해 숙박시설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의 범위는 수도권 및 역세권을 중심으로 위치한 건축연면적 10,000㎡ 이상의 시설로, 건축적 특징과 공간구성의 변화에 큰 발전을 보인 최근 사례를 통해 객실, 부대시설, 공용시설, 관리지원시설, 주차·설비시설, 상업시설에 대한 각 공간들을 분석하고 비율을 토대로 사용자들을 고려한 계획을 하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요구되어지는 시설을 기준으로 건축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리한 교통성을 고려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중심으로 주변 지하철역 5개소가 인접하고 있는 교통의 요지로 많은 유동인구와 밀집된 인프라를 갖춘 곳이며, 일반상업지역으로 주변에 상업시설, 숙박시설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숙박의 기능과 다양한 부대시설을 계획할 수 있는 대지를 선정하여 계획하였다. 둘째, 주거 및 임대가 가능한 숙박시설의 형태를 고려하여 저층부는 주변 공원과 연계한 가족단위 투숙객들을 위한 맘스&키즈카페, 레스토랑, 북카페, 비즈니스센터, 피트니스센터, 수영장의 부대시설을 구성하고, 중층부와 고층부는 일반적인 원룸, 투룸형 객실과 복층형, 룸메이트-Stay형, 중형평형 아파트에서 볼 수 있는 세대분리형 객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파티룸, 게스트룸의 객실을 계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보면 한 공간내에서 다양한 부대시설을 이용하고 싶은 올인빌(All in Vill), 원스톱 라이프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구성을 기준으로, 합법화된 생활숙박시설을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양적보다는 질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건축계획을 하고자 한다.

      • 한국어 부정문 교육 방안 연구

        정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of Korean Negative Sentence DING YA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Cultur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Major Advisor: Kim, Jung­Nam Negation is not only a study of language but also a study which is about the way of thinking. Studies about negation originate from ancient philosophy and most studies about Korean negative sentences are focus on the sentence structu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Korean negative sentence and aims to show teaching plans for Chinese learners. Chapter 2 begins from the concept of Korean negative sentence. The sentence includes ‘부정소’ called Negative sentence. Korean negative sentence can be divided into 3 kinds, '안', '못', ‘말다’ negative sentences. In this thesis I analyze these three kinds of negative sentence's structure and restrictions. As language is a kind of communication tool,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also important. So I also analyze the Korean textbooks of Korean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Sung Kyun Kwan University and so on. As supplementary, this study also uses the corpus(꼬꼬마 말뭉치) finding out those are not simple negation which are contained in the different speech acts. This study analyzed that we use negative sentences in request speech act, refusal speech act, imperative speech act and each of them have different sentence structures. At the end of chapter2,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may affect the learner's errors in Korean negative sentence, I analyzed the Chinese negative sentences and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 with Korean negative sentence. Chapter 3 is about the learner's errors of Korean negative sentence. 60 Chinese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 collect the errors and find out the reason of those errors.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that I analyzed in Chapter 3. I made two different teaching plans, one is for junior learners and the other one is for intermediate learners. Korean negative sentence is a basic and very important grammar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ope this thesis can be useful for the Chinese learners. 국문초록 한국어 부정문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한국어교육 전공 DING YA 부정은 고대 철학에서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다. 언어학자들은 부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많이 해 왔다. 부정문은 한국어 학습 초기부터 나타나는 문법이고 중급과 고급까지 계속 나타나는 것이다. 초급 단계에서 부정문은 주로 명제에 대한 화자의 긍정이나 부정을 판정하는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에서는 부정문의 다양한 양상과 의미가 나오므로 외국인 학습자들은 그 의미와 용법을 숙지하는 데 크나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한국어 부정문의 형식과 기능 등에 대해서 정리하고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부정문 교육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2장에는 부정문 연구의 기초가 되는 논의를 담았다. 먼저 여러 사전과 학설을 정리해서 부정문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통사론 관점에서 부정소가 들어가는 문장을 부정문으로 인정한다. 부정소에 따라서 한국어 ‘안’ 부정, ‘못’ 부정 그리고 ‘말다’ 부정문의 제약을 제시한다. 의미론 관점에서 부정문의 연구는 부정문의 중의성과 부정의문문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부정문의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세 가지 방법을 정리한다. 즉, 첫째는 문맥에 따라서 학습자가 스스로 판정하는 것이다. 둘째는 말할 때 화자의 강세에 따라서 부정하는 대상을 판정하는 것이다. 셋째는 조사를 통해서 문장의 중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부정의문문은 의문문의 형식으로 나타나지만 부정소가 들어가고 의미상 단순한 질문뿐만 아니라 다른 의미도 해석해 될 수 있는 문장이다. 주로 ‘안’ 부정문과 ‘못’ 부정문의 형식으로 나타나고 의미상 청유나 명령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담화론 차원에서 부정문의 분석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 대학교 등 교재와 꼬꼬마 말뭉치를 이용해서 의미상 부정 아닌 부정문을 정리하고 의미론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안’ 부정문은 단순 부정과 의지 부정의 배경으로 구어 담화에서 주로 요청, 제안, 명령, 거절 그리고 금지로 나눌 수 있다. ‘못’ 부정문은 능력 부정과 타의 부정의 배경으로 구어 담화에서 주로 거절과 명령으로 나눌 수 있다. 2장 마지막 부분은 대조언어학 관점에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부정문을 잘 가르치기 위해서 중국어 부정문의 양상과 한국어 부정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 중국어 부정문은 주로 ‘不’ 부정, ‘没有’ 부정, ‘别’ 부정으로 나눌 수 있다. 제3장은 중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부정문의 오류 분석이다. 총 60명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부정문 사용 양상 설문 조사를 통해서 학습자들의 오류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초급 학습자들은 주로 한국어 장형 부정과 단형 부정의 제약과 ‘안’ 부정과 ‘못’ 부정의 의미 차이가 파악을 못하는 것과 중급 학습자들은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하고 담화 차원에서 부정문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오류의 원인은 네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중국어에서 장형 부정이 없으므로 학습자들은 장형 부정문을 잘 사용하지 못한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서 문장 직역해서 오류가 나타난다. 셋째, 중국어에서 조사가 빈번하게 사용하지 않으므로 한국어 부정문의 범위를 조사를 통해서 표현해주는 것을 잘 파악하지 못한다. 넷째, 한국어 부정문의 구어담화 차원에서의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다. 제4장은 3장에서 분석한 조사 결과를 통해서 중국인 초급과 중급 단계 학습자들은 나눠서 과제 기반 교수법에 의한 부정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부정문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기본적인 중요한 문법 항목이다. 그런데 교육 현장에서 아직 많은 문제점이 있다. 향후에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맞는 효과적인 교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