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rienzyme과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국내 수산 자원의 엽산 분석 및 유효성 검증

        정보미,남기호,김연계,천지연,Jeong, Bomi,Nam, Ki-Ho,Kim, Yeon-Kye,Chun, Jiyeon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6

        Fishery resources have been widely consumed as protein- and vitamin-rich food sources in the Korean diet. However, information regarding their vitamin levels is extremely limited. In this study, trienzyme-Lactobacillus casei method was validated and used to determine the folate contents in fishery foods. The trienzyme-L. casei method for folate analysis showed excellent accuracy (85.2 to 95.3% recovery) and precision (repeatability 1.4% RSD and reproducibility 2.4% RSD). Folate contents of 20 fish foods (4 fish, 3 crustaceans, 3 sea algae, 3 cephalopods, 4 shellfish, and 3 others) ranged from 1.75 to 97.98 ㎍/100 g.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folate content in seaweed fusiform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ulfweed (69.73 ㎍/100 g). Folate analysis using the trienzyme-L. casei method was determined excellent based on the z-score of -0.3 in the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test. Analytical and method validation data genera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update the national food composition table on vitamin B9 in Korean fishery resources. 본 연구에서는 trienzyme 추출 및 L. casei 분석법을 국내 다양한 수산 자원의 엽산 분석에 적용하기 위해 분석수행지표(직선성, 민감성, 정확성, 정밀성)를 분석 평가하여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법의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562 ㎍/100 g와 1.057 ㎍/100 g으로 엽산 함량이 낮은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법으로 나타났다. 시료 중 엽산 함량에 대한 L. casei 생육 관계는 다항식 모델(y=4-1.132/((1+X/0.0502)1.02)+1.26)로 분석한 결과 R2=1.0000을 나타내는 우수한 상관성을 얻었다. 또한, 분석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이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산 자원 6개 군별에 따른 엽산 회수율 분석에서도 약 87-108%의 신뢰도가 확보된 회수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수산자원 20종의 엽산 함량분석 및 검증 데이터는 국내 수산 자원에 대한 신뢰도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인접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일상 식단에서 다양한 수산 자원이 자주 이용되고 있는 바 trienzyme-L. casei 분석법을 향후 수산 자원의 엽산 함량 분석에 확대 적용하여 국가수준의 영양성분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치매 발병 여부 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 및 기계학습 기반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미(Bomi Jeong),김재훈(Jae Hoon Kim),허태영(Tae-Young H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건강검진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치매 발병 여부를 예측하고 가장 높은 예측 성능을 보이는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이며 성별, 연령, 4가지 대표적인 동반 질환(고혈압, 뇌졸중, 심장질환, 고지혈증) 발병 여부, 찰슨 동반 상병 지수, 당뇨병 약의 복용 여부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였으며 반응변수로 치매 발병 여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분석 모형으로는 생존분석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콕스 회귀모형과 기계학습 기반의 랜덤 생존 포레스트(random survival forest)와 딥서브(DeepSurv)를 적용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80%의 훈련 자료와 20%의 시험 자료로 구분하였으며 두 자료의 설명변수 및 반응변수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렐의 C지수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적용한 콕스 회귀모형과 랜덤 생존 포레스트, 딥서브 모형 간 당뇨병 환자의 치매 발생 여부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훈련 자료에서는 랜덤생존 포레스트, 시험 자료에서는 딥서브가 가장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또한,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는 변수를 추가하며 C지수의 증가 정도를 비교한 후 치매 발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중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the health examination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us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dementia in elderly diabetics and to derive a model that showed the highest predictive performance. The explanation variables are gender, age, the incidence of four major companion diseases (hypertension,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hyperlipidemia) and Charlson Comorbidity Index and the response variable is dementia. The models used for this study wer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at is the most commonly used linear models in survival analysis and Random Survival Forest and DeepSurv that are nonlinear models machine running techniques and deep running techniques. The analysis data were divided into 80% training data and 20% test dat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lanatory and response variables of the two data. Using Harrell s C index, the predicted performance of dementia in diabetics between Cox regression model, Random Survival Forest and DeepSurv model was compared. Among the 3 models, the Random Survival Forest showed the highest predicted performance, while the test data showed the highest predicted performance of the DeepSurv. In addition, an important factor was derived in predicting the incidence of dementia after comparing the increase in the C index by adding variables representing high risk.

      • SCOPUSKCI등재

        역상 HPLC-자외선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한 국내 수산자원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분석 및 검증

        정보미(Bomi Jeong),박수진(Su-Jin Park),박예은(Ye-Eun Park),곽유정(Yu-Jeong Gwak),김정(Jeong Kim),윤나영(Na-Young Yoon),김연계(Yeon-Kye Kim),천지연(Jiyeon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2

        본 연구는 국내 수산자원에 대하여 HPLC-PDA와 HPLCFLD 분석법을 이용한 수용성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활성을 나타내는 thiamin, FAD, FMN, riboflavin, nicotinic acid 및 nicotinamide 6종 분석에 대한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고, 검증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수산자원 20종에 대한 신뢰도가 확보된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산자원의 수용성 비타민 분석법 검증은 분석수행지표(특이성, 직선성, 민감성, 정확성 및 정밀성)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비타민 B₁과 B₃의 표준용액과 수산자원 시료를 분석 비교한 결과 PDA spectrum과 HPLC retention time이 모두 일치하여 분석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모든 성분에서 넓은 범위에서의 분석 직선성(R²=0.9989~1.0000)이 확인되었다. 비타민 B₁(thiamin)의 LOQ는 0.0010 ㎎/100 g을 보였으며, 비타민 B₂(FAD, FMN, riboflavin)의 LOQ는 각각 0.00014, 0.00006, 0.00001 ㎎/100 g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 B₃(nicotinic acid와 nicotinamide)의 LOQ는 각각 0.0008과 0.0021 ㎎/100 g을 나타내어 수산자원의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을 정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준참고물질 SRM을 이용한 회수율 측정 결과 98.5~105.8%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비타민 B₁의 반복성과 재현성은 각각 5.4%와 8.0%, 비타민 B₂는 각각 3.5%와 4.2%, 비타민 B₃는 각각 3.1%와 5.9%를 나타내어 분석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의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수산자원 20종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함량은 각각 0.00~0.84, 0.05~0.47 및 0.00~11.96 ㎎/100 g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수산자원 6군으로부터의 thiamin, nicotinic acid, nicotinamide, FAD, FMN 및 riboflavin 6종 분석 회수율은 79.9~120.1%의 범위를 나타냈는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용범위 수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 분석품질 관리도표와 외부 분석 숙련도 시험 결과를 통해 우수한 숙련도와 분석품질이 분석 전 기간 관리하에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어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수산자원 20종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분석 데이터는 국내 수산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HPLC/PDA를 이용한 비타민 B₁과 B₃ 동시분석법과 HPLC/FLD를 이용한 비타민 B₂ 분석법은 향후 국내 다양한 수산자원 분석에 확대 적용하여 국가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simultaneous analyses using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iode-array detection for vitamin B₁ (thiamin) and B₃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and HPLC-fluorescence detection for vitamin B₂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riboflavin 5′-monophosphate (FMN), and riboflavin) in seafood. The validated methods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B1~3 vitamers in 20 kinds of seafood (4 fish, 3 crustaceans, 3 sea algae, 3 cephalopods, 4 shellfish, and 3 others). The quantification limits (㎎/100 g) of the vitamin analyses were 0.0010 ㎎/100 g for thiamin, 0.0007∼0.0021 ㎎/100 g for FAD, FMN, and riboflavin, and 0.00001∼0.00014 ㎎/100 g for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with the lowest for riboflavin. Recovery of thiamin, riboflavin,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from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1849a and 3290 was 98.5∼105.8%, whereas it showed a wide range of 79.9∼120.1% for B1∼3 vitamers from seafood. Specifically, FMN was found to give the lowest (from mussel) and the highest (from Pacific herring) recoveries, which were acceptable as per official guidelines. Analyses of B1~3 vitamers showed coefficient variations of 3.1~5.4% for repeatability and 4.2∼8.0% for reproducibility, showing good precision. Total vitamin B₁, B₂, and B₃ content (㎎/100 g) of 20 types of seafood were 0.00∼0.84, 0.05∼0.47, and 0.00∼11.96, respectively. Nicotinic acid was detected in most types of seafood, whereas nicotinamide was found in only four. B₂ vitamers were observed in all seafood. The z-scores of proficiency tests for vitamin B1∼3 analyses were within ±2, indicating excellent proficiency.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analysis data on B₁, B₂, and B₃ vitamers of seafood, which would be used to update the national nutrient food composition table.

      • 스마트 앱을 이용한 밀 품종 판별 기초 연구

        정보미 ( Bomi Jeong ),서영욱 ( Youngwook Seo ),박종률 ( Jongryul Park ),김기영 ( Giyo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D.N.A. is an important keywor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stands for data, network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pplication of D.N.A. has rapidly increased to agricultural area. The Autonomous Greenhouse Challenge, for example, is the third international competition to find the optimal algorithm to continuously growing vegetables in greenhouses. In this study, MIT App Inventor (MAI) was used to develop an app for smart devices that allow to classifying wheat grain varieties. Conventionally, image aquisition, constru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background removal, and classification model development has been used for feature recognition process. Features obtained from the images acquired using several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longest length, shortest length, eccentricity, circularity, direction, and area. Using MAI to take single grain photos of all varieties and label the images, the feature recognition runs without any addi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In this study, 7 varieties (Geungang, GG; Goso, GS; Baikjung, BJ; Arijinheuk, AJH; Ariheuk, AH; Yeonbaik, YB; Hwanggeumal, HGA) were used. Among them, white varieties are YB, GG and BJ. AJH and AH are black and red are GS and HGA. AJH has the lowest L* value of 31.82±1.14, while YB is 57.88±2.14. AJH has a positive a* value of 8.31±1.29 and YB has a positive b* value of 29.57±0.11.

      • 매실 가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아찌의 품종 및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

        정보미 ( Bomi Jeong ),김기영 ( Giyoung Kim ),서영욱 ( Youngwook Seo ),김용훈 ( Yonghoon Kim ),박종률 ( Jongryul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매실은 유기산, 무기성분 및 항산화성분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 항균활성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매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매실은 주로 음료, 청, 주류 및 장아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하고 있다. 그 중 장아찌는 발효 숙성 과정 중 유익한 성분들이 생성되어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밑반찬으로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실 장아찌 제조 시 세척, 탈수 및 과육과 씨를 분리하는 시간과 비용 및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매실 가공 공정 기계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매실 절임가공 전과정 기계화에 앞서 매실 세척·탈수, 씨제거 및 과육절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매실 장아찌의 품종과 숙성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매실 장아찌를 30일, 90일 동안 숙성한 결과, 수분함량(36.29-39.41%, 36.59-38.36%)과 경도(1.78-7.23, 2.87-4.10 kgf/cm)는 옥영이 가장 높았으며, 당도(9.90-12.60, 9.90-11.30%Brix)의 경우 남고가 12.60%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90일 숙성 후 옥영이 11.30%로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다. pH(2.69-2.84, 2.78-2.83)는 남고가 2.84로 높게 나타났으나 90일 숙성 후 천매가 pH 2.83으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0.13-0.18 mg/g에서 0.15-0.21mg/g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는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유기산 함량은 숙성 기간이 30일에서 90일로 길어지는 동안 옥영(29.98, 28.79 mg/g)과 남고(30.62, 29.05 mg/g)에서 감소된 반면, 천매의 경우 29.55 mg/g에서 30.71 mg/g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80일 숙성한 매실 장아찌의 품질특성 연구로 이어갈 예정이며, 이후 과육과 부재료 계량 및 혼합 기계화 시스템의 품질측정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한국인 상용 수산물 식단의 비타민 B<SUB>9</SUB>과 B<SUB>12</SUB> 함량

        박은영(Eun-Young Park),정보미(Bomi Jeong),천지연(Jiyeon Chun)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이 주로 상용하는 수산물을 이용한 다소비 메뉴 39종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레시피로 조리한 후 이들에 대한 비타민 B9 (엽산)과 B12 (코발라민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비타민 B9 (trienzyme-L. casei법)과 B12 (immunoaffinity-HPLC/PDA)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각 성분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성, 특이성, 상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AOAC 가이드라인 수용 기준에 충족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분석품질관리도표를 전 분석 기간 동안 작성하여 확보된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상용 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1.83-523.08 μg/100 g과 0.11-38.30 μg/100g의 범위로 사용된 재료와 조리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타민 B9 함량은 구이류의 김구이 (523.08 μg/100 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볶음류에서 건새우볶음 (128.34μg/100 g)과 잔멸치볶음 (121.53 μg/100 g)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B12 함량은 찜 · 조림류의 꼬막찜 (38.30 μg/100 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구이류의 김구이 (29.79 μg/100 g)와 볶음류의 멸치마늘종볶음 (18.99 μ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사 재료의 조리법에 따른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비교하면 비타민 B9의 경우 물 사용량이 많은 국 · 탕 · 찌개류는 다른 시료군 (볶음, 찜, 조림, 구이, 튀김 및 무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수산물과 다양한 채소류를 함께 볶는 볶음 메뉴가 비타민 B9 섭취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B12의 경우 식물성 식품에는 발견되지 않고 주로 동물성 식품에만 존재하는데 본 연구 결과 김 및 미역과 같은 해조류 메뉴는 채식주의자들에게 비타민 B12의 좋은 급원메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와 함께 제공된 한국 상용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데이터는 한국인의 보건영양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 total of 39 seafood menu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recipe, and analyzed for vitamin B9 (folate) and B12 (cobalamins) contents, using validated applied analytical methods. The menus included Guk/Tang/Jjigae (boiled or stewed dishes, n = 10), Bokkeum (stir-fried dishes, n = 10), Jjim/Jorim (braised or steamed dishes, n = 7), Gui (baked or grilled dishes, n = 7), Twigim (deep-fried dishes, n = 2) and Muchim (dried or blanched-seasoned dishes, n = 3). Methods: The contents of vitamin B9 and B12 in all food samples were determined by the trienzyme extraction-Lactobacillus casei and immunoaffinity-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detection methods. Analytical quality control was performed in order to assur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ccuracy (97.4-100.6% recoveries) and precision (< 6%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for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vitamin B9 and B12 analyses were determined to be excellent. The vitamin B9 and B12 contents of the 39 seafood menus evaluated, varied in the range of 1.83-523.08 μg/100 g and 0.11-38.30 μg/100 g,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The vitamin B9 content was highest in Jomi-gim (523.08 μg/100 g), followed by Geonsaeu-bokkeum (128.34 μg/100 g) and Janmyeolchi-bokkeum (121.53μg/100 g). Vitamin B12 was detected in all seafood menus, with highest level obtained in Kkomack-jjim (41.58 μg/100 g). The seaweed dish was found to have high levels of both vitamin B9 and B12. All assays were performed under strict quality control. Conclusion: Guk and Tang menus, which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vitamin B9 and B12 contents than the other menus. Bokkeum menus containing various vegetables were high in the vitamin B9 content, but the vitamin B12 content was dependent on the type of seafood used in the menu.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다자녀가정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조현이(Cho Hyunee),정보미(Jeong Bomi),고선(Ko Sun),조성웅(Cho sungwo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저출산 위기의 해답이 될 수 있는 다자녀가정 아버지의 양육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사회⋅문화적 함의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다자녀가정 아버지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을 원형으로하는 개방코딩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다자녀가정 아버지의 양육경험은 첫째 어쩌다 다자녀가정의 아버지가 되어 의무감을 느끼는 아버지의 속마음, 둘째 작은 사회를 경험하며 성장하는 아이들과 행복감의 원천이 되는 다자녀가정의 장점, 셋째 돌봄과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염려 및 나누기 힘든 관심과 사랑 등 양육의 어려움, 넷째 사회적 개선방향으로 다자녀가정을 바라보는 시선과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책마련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결론 이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자녀가정 아버지의 양육경험과 인식을 통해 저출산 문제해결의 방안을 모색해보고 다자녀 가정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fathers from multi-child families, who can be the answer to the low birthrate crisis in an era when the low birthrate problem is seriously emerging. Methods To this end, 10 fathers from multi-child familie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Result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arenting experience of a multi-child family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First, how the father feels duty to become the father of a multi-child family. Second, the advantages of a multi-child family, which is a source of happiness with children growing up while experiencing a small society. Third, concerns about care and economic difficulties,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such as attention and love, which are difficult to share. Fourth, it can be divided into the perspective of multi-child families in the direction of social improvement and the preparation of policies that are actually helpful.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ways to solve the low birthrate problem through the parenting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athers of multi-child families with infant children and proposed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hild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