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 後期 生活文化와 美濃紙

        정광휘 동양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8 No.-

        美濃紙는 일본 岐阜縣에서 생산하는 전통적인 和紙이면서도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생활용품의 하나이다. 미농지가 언제 한반도에 들어왔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그에 대한 愛用은 문헌자료에서 종종 확인된다. 미농지의 産地인 岐阜縣은 과거 江戶시기의 美濃州와 飛彈州 등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미농주의 경우, 조선 후기 通信使 一行에 있어 자못 중요한 지역임을 기록물을 통해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통신사 일행이 미농주의 館舍에서 밤을 보내면서 수차례의 唱和가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미농주 또한 大阪으로 가는 길목에 놓여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여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 온 조선 후기 文臣들은 미농주의 지리와 특산품을 소개하면 항상 미농지를 언급하고 있다. 미농지는 미농주와 자주 함께 등장한다. 대체적으로 통신사 일행이 미농지를 선물로 받은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미농지 用途, 지어는 미농지를 淸나라 지식인에게 선물로 줬다고 한 것이 기록물의 주된 내용이다. 그만큼 미농지가 조선에서 어느 정도로 유행했는지를 가늠하게 할 수 있다. 총적으로 미농지는 통신사가 일본으로 왕래하면서 江戶시대의 관리들에게서 받은 문화적인 상징물에 불과할지 모르겠지만 이는 조선시대의 생활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당시 양국 간 생활문화의 한 면모를 살펴본다는 점에 있어 본고는 중요한 문화적인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Mi-nong paper traditional wa-shi product in Gi-fu Ken Japan, yet South Korea is one of the frequently used household goods. Came i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t Mi-nong paper know for sure about it, but the favorite is often confirmed by the literature. Mi-nong paper’s Origin of the Gi-fu Ken contained Mi-nong Ju and Hi-dann Syu in the Edo dynasty. Mi-nong Ju especially, the late Chosun’s Tongsinsa that party in a very important area which can be determined through a documentary that's why the news article Note Minonk companions spent the night in the communication has been made several times, as well as the Mi-nong Ju also going to Osaka because it was placed on a street corner. Japan went on a late Chosun’s Tongsinsa tattoos are mentioned in Minonk care specialties and geographical descriptions, and was among those were always contains Mi-nong paper. Mi-nong paper with the Mi-nong Ju and often appeared. Tongsinsa generally received as a gift Mi-nong paper companions in everyday life, the use of Mi-nong paper, built in the Qing intellectuals Mi-nong paper gave a gift to share the contents of the records of that. Mi-nong paper so to a certain extent in the Korean fashion, you have to be to estimate. Total of the Mi-nong paper is Tongsinsa of the Edo period in Japan, while the traffic received from the officials do not know whether this is just a cultural symbol of the life and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 considerable influence at the time, as well as the aspects of life and cul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Seeing that look there is a major cultural significance of this is I think it.

      • KCI등재

        산화구리가 피복된 Na<sub>0.5</sub>Bi<sub>4.5</sub>Ti<sub>4</sub>O<sub>15</sub> 틀입자를 이용한 BNKT 무연 압전 세라믹스의 저온소성 연구

        정광휘,이상섭,안창원,한형수,이재신,Jeong, Gwang-Hwi,Lee, Sang-Seop,Ahn, Chang Won,Han, Hyoung Su,Lee, Jae-Sh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0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w temperature sintering with various templates of Bi-based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The effects of using CuO-coated Na<sub>0.5</sub>Bi<sub>4.5</sub>Ti<sub>4</sub>O<sub>15</sub> templates on the sintering behavior as well as the dielectric, ferro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Bi<sub>1/2</sub>(Na<sub>0.78</sub>K<sub>0.22</sub>)<sub>1/2</sub>TiO<sub>3</sub> (BNKT) ceramics have been 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specimens sintered with the Na<sub>0.5</sub>Bi<sub>4.5</sub>Ti<sub>4</sub>O<sub>15</sub> templates without CuO coating, those sintered with the CuO-coated Na<sub>0.5</sub>Bi<sub>4.5</sub>Ti<sub>4</sub>O<sub>15</sub> templates showed larger template sizes as well as a larger electric field induced strain (S<sub>max</sub>/E<sub>max</sub>) of 422 pm/V after sintering at temperatures as low as 975℃. These results are promising for low-cost multilayer ceramic actuator applications.

      • KCI등재

        『霞谷集』 定本化를 위한 校勘 方案

        정광휘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4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work plan for the most urgent work of making the critical collection book “The works of Hagok(霞谷集)” for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Hagok Jeong Jedu’s academic ideology.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existing Jeong Jedu literature, to the study reviewed some new methods necessary for the emendation for practical sympathetic work. The present study looked at the emendation sympathetic work from three opinions. First, to enhance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Jeong Jedu’s writings, the references published in the writings were identified; and many previous histories were also explained.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academic thought of Hagok Jeong Jedu, it was necessary to reveal the academic importan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academic contents and names of people quoted or mentioned very briefly in one or two places in his writings.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ademic activities of Hagok Jeong Jedu’s life, it was necessary to refer not only to Chinese literature but also to other docu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and the claims of other scholars.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clarify which version of Wang Yangming’s literature referenced by Jeong Jedu. In other words, according to a recently revealed study, the literature referenced by Jeong Jedu was different from the literature referenced by current researcher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emendation work based on the literature referenced by Jeong JeDu. Currently, researchers generally refer to the modern Chinese version of 『The Collection of Wang Yangming(王陽明全集)』, which was published in sympathy with 『The Complete Collection of Wang Wenchenggong(王文成公全集)』 published in 1572. The 1572 edition version was based on the 『The collected works of the Wang Wenchenggong(王文成公全書)』, edited by Qian Dehong. However, if we look at the writings in Jeong Jedu’s 『The works of Hagok』, we can see that he did not refer to 『The collected works of the Wang Wenchenggong』, but rather to 『The Transcript of Master Yangming(阳明先生文錄)』 compiled by Huang Guan. Qian Dhong selected and edited the material left by Wang Yangming and compiled 『The Chronology of Master Yangming’s Life(陽明夫子年譜)』 according to his own opinion. It should be noted why Jeong Jedu referred only to 『The Transcript of Master Yangming』 at the time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letter and the text of appeals contained in Jeong Jedu’s 『The works of Hagok』, it was necessary to find out the correspondence of the other party to whom the letter was exchanged and clarify the relevant facts of the text of appeal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relations with the Joseon Dynasty’s academic community at that time. 이 글은 하곡 정제두 학술사상의 전반적인 이해와 평가를 위하여 가장 시급한 『하곡집』의 정본화 작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작성한 것이다. 정본화 작업은 현존하는 정제두 문헌 소개와 더불어 실무적인 교감작업에 필요한 새로운 방안을 검토하려고 한다. 정본화의 교감작업에 있어서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첫째는 정제두 저술에 관하여 학술적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저술에 실린 참고문헌의 출처를 밝히고 아울러 많은 전고(典故)를 설명하여야 한다. 둘째는 하곡 정제두의 학술사상 전반을 이해하기 위하여 저술의 한두 곳에서 아주 짧게 인용하거나 언급한 학술적 내용과 인명(人名)에도 주목하여 학술적 비중을 밝혀야 한다. 셋째는 하곡 정제두 일생의 학술 활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중국 문헌뿐만 아니라 당시 조선의 다른 문헌이나 다른 학자들의 주장들도 참고하여야 한다. 특히 정제두가 참고하였던 왕양명 문헌이 어떤 판본인지를 밝혀야 한다. 다시 말해 최근에 밝혀진 연구에 따르면 정제두가 참고한 왕양명 문헌은 현재 연구자들이 참고하는 문헌과 달랐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제두가 참고하였던 문헌에 근거하여 교감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연구자들은 대체로 1572년에 출간한 『왕문성공 전집(王文成公全集)』을 저본(底本)으로 하고 90년대 이전에 새롭게 발굴한 왕수인의 저술을 최대한 보완하고 교감하여 1992년에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에서 출판한 현대 중국어 판본 『왕양명 전집(王陽明全集)』을 참고하고 있다. 1572년 판본은 전덕홍이 주도하여 편집한 『왕문성공 전서(王文成公全書)』에 근거하였다. 그런데 정제두 『하곡집』에 실린 글을 보면 『왕문성공 전서』를 참고하지 않고 오히려 황관이 편찬한 『양명선생 문록(陽明先生文錄)』을 참고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덕홍은 왕양명이 남긴 자료를 선별하여 편집하고 자신의 견해에 따라 『양명부자 연보(陽明夫子年譜)』를 편찬하였으나 황관은 여기에 반대하고 객관적 관점에서 왕양명의 자료를 최대한 많이 게재하여 출판하였다. 아울러 정제두가 당시에 『양명선생 문록』만을 참고한 까닭과 학술환경도 필수적으로 주목해야 할 내용이다. 이밖에 정제두 『하곡집』에 수록된 편지와 상소문에 근거하여 편지를 주고받은 상대방의 편지들도 찾아내고 상소문의 관련 사실을 명확하게 밝혀서 당시 조선 학계과 관계(官界)의 상황을 이해하여야 한다.

      • KCI등재

        瀟灑園 初期 詩壇의 漢詩 一考

        정광휘(Kwang-hwe J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3 No.-

        私家園林이면서도 湖南詩壇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소쇄원은 한국의 전통적인 원림이다. 소쇄원은 ‘修學의 공간’이고 ‘遊戱의 공간’이며, ‘사색의 공간’이면서도 ‘迎客이나 送客의 공간’이다. 소쇄원은 호남의 격조높은 文士들이 세상물정을 잊어버리고 文雅한 마음의 즐거움을 만끽했던 별서명원(別墅名園)이기도 하다. 소쇄원에서는 수많은 문인들이 문학작품을 지었는데, 이러한 작품들은 조선 중기에서 후기까지의 소쇄원의 문화를 탐지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또한 이러한 작품들은 『瀟灑園事實』에 기록되어, 호남시단의 문화를 연구하는 기본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소쇄원에 대한 문학적 논의는 기존에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소쇄원의 초기 작품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소쇄원 초기 시단의 작품을 통해 초기 시단 문인들이 소쇄원에서 이룬 삶의 모습과 소쇄원은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The So swe won Garden is private garden and Korean classical garden. It have activity of square, as study, game, think, meet a visitor and see a visitor out. At that, classical scholar leaves one's troubled times and writers image of poetry. At the garden, many of writers leaved literary works, through the works, we can know the So swe won Garden's culture in the middle and late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the works recorded in the book of the 『So swe won Sa Seel (소쇄원사실)』. It is the basic reference of Ho nam poetical circles's culture. At before, It have no the So swe won Garden's first poetical circle's research, so writer want to research that the So swe won Garden's first poetical circle's member's mind of the first So swe won Garden and something of your.

      • KCI등재

        朝鮮 後期 生活文化와 美濃紙

        Kwang-hwe, Jeong(鄭光輝)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8 No.-

        美濃紙는 일본 岐阜縣에서 생산하는 전통적인 和紙이면서도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생활용품의 하나이다. 미농지가 언제 한반도에 들어왔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그에 대한 愛用은 문헌자료에서 종종 확인된다. 미농지의 産地인 岐阜縣은 과거 江戶시기의 美濃州와 飛彈州 등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미농주의 경우, 조선 후기 通信使 一行에 있어 자못 중요한 지역임을 기록물을 통해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통신사 일행이 미농주의 館舍에서 밤을 보내면서 수차례의 唱和가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미농주 또한 大阪으로 가는 길목에 놓여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여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 온 조선 후기 文臣들은 미농주의 지리와 특산품을 소개하면 항상 미농지를 언급하고 있다. 미농지는 미농주와 자주 함께 등장한다. 대체적으로 통신사 일행이 미농지를 선물로 받은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미농지 用途, 지어는 미농지를 淸나라 지식인에게 선물로 줬다고 한 것이 기록물의 주된 내용이다. 그만큼 미농지가 조선에서 어느 정도로 유행했는지를 가늠하게 할 수 있다. 총적으로 미농지는 통신사가 일본으로 왕래하면서 江戶시대의 관리들에게서 받은 문화적인 상징물에 불과할지 모르겠지만 이는 조선시대의 생활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당시 양국 간 생활문화의 한 면모를 살펴본다는 점에 있어 본고는 중요한 문화적인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Mi-nong paper traditional wa-shi product in Gi-fu Ken Japan, yet South Korea is one of the frequently used household goods. Came i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t Mi-nong paper know for sure about it, but the favorite is often confirmed by the literature. Mi-nong paper's Origin of the Gi-fu Ken contained Mi-nong Ju and Hi-dann Syu in the Edo dynasty. Mi-nong Ju especially, the late Chosun's Tongsinsa that party in a very important area which can be determined through a documentary that's why the news article Note Minonk companions spent the night in the communication has been made several times, as well as the Mi-nong Ju also going to Osaka because it was placed on a street corner. Japan went on a late Chosun's Tongsinsa tattoos are mentioned in Minonk care specialties and geographical descriptions, and was among those were always contains Mi-nong paper. Mi-nong paper with the Mi-nong Ju and often appeared. Tongsinsa generally received as a gift Mi-nong paper companions in everyday life, the use of Mi-nong paper, built in the Qing intellectuals Mi-nong paper gave a gift to share the contents of the records of that. Mi-nong paper so to a certain extent in the Korean fashion, you have to be to estimate. Total of the Mi-nong paper is Tongsinsa of the Edo period in Japan, while the traffic received from the officials do not know whether this is just a cultural symbol of the life and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 considerable influence at the time, as well as the aspects of life and cul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Seeing that look there is a major cultural significance of this is I think it.

      • KCI등재

        ZnO와 MnO<sub>2</sub>를 동시에 첨가한 (K<sub>0.5</sub>Na<sub>0.5</sub>)NbO<sub>3</sub> 세라믹스의 압전 특성에 대한 연구

        홍영환,박영석,정광휘,조성열,이재신,Hong, Young Hwan,Park, Young-Seok,Jeong, Gwang-Hwi,Cho, Sung Youl,Lee, Jae-Sh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9 No.4

        We investigated the sintering behavior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lead-free $(K_{0.5}Na_{0.5})NbO_3$ ceramics co-doped with excess 0.01 mol ZnO and x mol $MnO_2$, where x was varied from 0 to 0.03. Excess $MnO_2$ addition was found to retard the grain growth and densification during sintering. However, 0.005 mol $MnO_2$ addition improved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of 0.01 mol ZnO added $(K_{0.5}Na_{0.5})NbO_3$ ceramics. The planar mode piezoelectric coupling coefficient, electromechanical quality factor, and piezoelectric constant $d_{33}$ of 0.01 mol ZnO and 0.005 mol $MnO_2$ added specimen were 0.40, 304, and 214 pC/N, respectively.

      • KCI등재

        ZnO와 MnO2를 동시에 첨가한 (K0.5Na0.5)NbO3 세라믹스의 압전 특성에 대한 연구

        홍영환,박영석,정광휘,조성열,이재신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9 No.4

        We investigated the sintering behavior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lead-free (K0.5Na0.5)NbO3 ceramics co-doped with excess 0.01 mol ZnO and x mol MnO2, where x was varied from 0 to 0.03. Excess MnO2 addition was found to retard the grain growth and densification during sintering. However, 0.05 mol MnO2 addition improved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of 0.01 mol ZnO added (K0.5Na0.5)NbO3 ceramics. The planar mode piezoelectric coupling coefficient, electromechanical quality factor, and piezoelectric constant d33 of 0.01 mol ZnO and 0.005 mol MnO2 added specimen were 0.40, 304, and 214 pC/N,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ZnO와 MnO2가 동시에 과잉으로 첨가된 (K0.5Na0.5)NbO3 계 무연 압전 세라믹 소재의 소결거동과 압전특성을 살펴보았다. MnO2가 첨가되지 않고 0.01 mol ZnO가 첨가된 시료의 경우 1050oC에서 2 시간 소결 후 치밀화가 입자성장이 충분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MnO2를 추가로 과잉 첨가하면 입자성장과 치밀화가 억제되었으나, 소량인 0.005 mol MnO2를 첨가하면 압전특성이 개선되었다. 0.01 mol ZnO만 첨가한 시료의 전기기계결합계수, 기계적품질계수, 압전상수 d33는 각각 0.35, 187, 114 pC/N이었으나, 0.005 mol MnO2를 추가로 첨가하면 상기 압전상수들이 0.40, 304, 124 pC/N으로 상당히 개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