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의 책보기 영역과 책보기 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전유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1

        This study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book reading center, process of choosing books and types of reading activity of 5-year-old children through en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 to Dec. in 2007.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 note and interview.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book center for children was a place for reading books they wanted, for taking a rest and for making friends with ease. And children chose books that teacher had read or friends recommended to them, or they chose appealing and popular books. Reading activities were shown in three types; reading alone, reading together from the middle, reading together from the firs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치원의 책보기 영역이 주는 의미를 탐색하고, 책보기 활동에서 책을 선택한 이유는 어떠한 맥락에서 나타나는지 살펴보며, 책보기 활동 형태에 있어 유아들의 관계적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문화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참여관찰, 현장노트, 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책보기 영역은 유아들이 원하는 책을 볼 수 있는 도서관과 같은 공간이기도 하지만 심리적 불안, 신체적 불편함에 안정을 주는 안식처와 같은 역할을 하였으며 적극적으로 또래와 놀이에 참여하기 어려운 유아들이 점진적으로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장소로 기능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책보기 영역에서 책을 선택할 때 교사가 들려준 책, 친구가 소개한 책, 자신이 매력적으로 느낀 예술성과 문학성을 지닌 책들을 선택하고자 하였으며 친구들에게 인기 있는 책을 경쟁적으로 먼저 선택하여 친구들을 주도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책보기 활동에 있어 관계적 특징은 혼자 책보기, 혼자 책보다 친구 포함시키기, 처음부터 친구와 함께 책 보기의 형태로 나타났다.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초등학교 1학년의 적응 분석

        전유영,이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icture books describe first graders’ school adaptation,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For this purpose, 12 picture books about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djustment areas and sub-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contents related to 'expectation for school life' appeared in all picture books,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rules', 'physical environment', 'anxiety about school life' and 'self-help skills'. Second, in the area of adjustment of academic performance, picture books which deal with 'learning skill' and 'attitude of class' were a little over half, and some picture books did not show any related contents at all. Third, in the area of peer adjustment, there were only two picture books which include both 'new friendship formation'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and some picture books did not deal with these contents at all. Also, only a few books were addressing a content related to 'peer conflict resolution'. Fourth, about half of the picture books seemed to portray contents about teacher adjustment. Here, some of 'negative prejud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ositive relationship formation'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various adjustment factors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publication of picture book in order to help children’s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and adjustment.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적응을 다룬 그림책에서 학교생활 적응, 학업수행 적응, 또래 적응, 교사 적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적응을 다룬 그림책 12편을 선정하였고, 각 그림책을 적응의 영역 및 하위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생활 적응의 영역에서는 ‘학교생활에 대한 기대’ 관련 내용이 모든 그림책에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초등학교 규칙’, ‘물리적 환경’, ‘학교생활에 대한 걱정’, ‘자조기술’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학업수행 적응 영역을 살펴보면, ‘학습 기술’과 ‘수업 태도’를 다룬 그림책은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고, 일부 그림책에서는 관련 내용들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또래 적응의 영역에서 ‘새로운 친구 관계 형성’과 ‘또래 간 갈등 해결’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은 두 편에 불과하였으며, 일부 그림책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내용 중 ‘또래 간 갈등 해결’은 극히 소수의 책에서만 다루어졌다. 넷째, 교사 적응 영역을 다룬 그림책은 절반 정도로 나타났는데, 초등학교 교사의 ‘부정적 선입견’이 일부 묘사되었으나 ‘긍정적 관계 형성’의 내용도 함께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해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그림책이 나타내고 있는 다양한 적응 요소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림책 기획에 시사점을 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라인 양육참여 분석

        전유영,곽승주,김주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As explorator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mothers’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Beside, it was also pur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involvement in modern society by extending the traditional views on parenting involv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74 mothers, and their responses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appears ‘usually so.’ Among the five sub-constructs of mother’s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the highest and lowest mean scores were found in ‘communication with educational center’ and ‘children’s education’ respectively. Second, the level of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by mothers’ age, time of smartphone usage and smartphone usag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specific solutions supporting and expanding mo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by the usage of cutting-edge technolog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어머니들의 온라인 양육참여의 실태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통적 양육참여 관점에서 더 나아가 현대사회의 양육참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7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온라인 양육참여 수준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는데, 5개 하위영역에서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인 것은 ‘기관과의 의사소통’이었고, ‘자녀교육’이 가장 낮은 평균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연령, 스마트폰 사용 시간, 스마트폰 활용 수준에 따라서 온라인 양육참여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첨단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현대사회 어머니들의 양육참여를 지지하고 확장시켜주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 KCI등재

        TDI 저감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배합비에 따른 기계적 특성 분석

        전유영,전의식,김영신,이호준 대한기계학회 2024 기술과 교육 Vol.12 No.1

        연질 폴리우레탄 폼(FPUF)은 가볍고 강도,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FPUF는 polyol과 isocyanate를 주재료로 첨가제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생성물로, isocyanate 중 toluene di-isocyanate(TDI)는 유해·위험 물질이다. TDI는 흡입, 피부 독성이 강하고 다량 취급 시 천식을 유발하며 부작용이 많아 TDI를 저감한 FPUF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TDI 저감 FPUF 발포 시 유동성 및 성형성이 감소하고 발포체의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TDI 저감에 따른 polyol 배합비의 개발 및 기계적 강도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olyol 함량과 index 변화에 따른 TDI 저감 FPUF의 발포, 형태학적,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계적 특성 분석 결과, POP(polymer polyol) 함량이 높을수록 기계적 강도가 높고, 인열강도와 경도는 index 변화와 비례관계를 갖음을 확인하였다. Flexible Polyurethane Foam (FPUF)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due to its lightweight, high strength, and excellent durability. FPUF is produced by mixing additives with polyol and isocyanate, with Toluene Di-Isocyanate (TDI) being one of the hazardous components among isocyanates. TDI is harmful and can cause strong inhalation and skin toxicity, leading to adverse health effects, necessitating the development of TDI-reduced FPUF. However, reducing TDI in FPUF can result in decreased flowability, moldability, and a decline in foam properties. Thus,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the optimal polyol blend ratio and analyze the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according to changes in polyol content and index. Mechanical analysis shows that higher Polymer Polyol (POP) content leads to increased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resistance and hardness are proportional to changes in the index.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초등학교에 대한 인식

        전유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lementary schools through metaphor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2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he 5-year-old class. As a result of analyzing metaphors using open-ended questions, respons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s, institutional, educational, psychological, life, and physical. Overall, there were perceptions of the necessary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the burde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repare for elementary school, lack of information about elementary schools, and concerns about children’s adaptation. Also, the perception that an elementary school is a place where learning is emphasized and a standardized curriculum is operated was shown in the metaph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ul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cently chang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초등학교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의 바람직한 연계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학급을 담당한 경력이 있는 유아교사 132명이다. 유아교사가 개방형 질문지에 응답한 은유 표현을 분석한 결과, 유초연계 측면, 제도적 측면, 교육적 측면, 심리적 측면, 생활 측면, 물리적 측면 순으로 응답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초등학교의 당위적 기능에 대한 인식과 함께 초등학교 진학을 준비시켜야 하는 유아교사로서의 부담, 초등학교에 대한 정보 부족, 아동의 적응에 관한 염려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이 강조되고 정형화된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곳이라는 인식 등이 은유 표현에 나타났다. 본 결과는 최근 변화된 초등교육과정에 대해 유아교사의 이해를 높일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전유영,이은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storytelling activities in the 3, 4, and 5-year-old Teachers’ Guidebook of the Nuri Curriculum. For this study, 126 storytelling activities were chosen by checking an activity list in 32 guidebooks and 1,279 verbal interaction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riteria of the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ype during the reading of a picture book which was revised by researchers based on Nam(2009) and Lee(2011). Study procedures were done in the following order as follows: subject selection for the analysis, criteria setting in this study, reliability review and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ypes presented in the storytelling activities for 3 and 4 year olds are in the order of instructional interactions, diffusive interactions, and passive interactions. However, for the 5 year olds,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re diffusive, instructional, and passive interactions, in that order. The difference in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yp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before and after reading fairy tales were high in the order of instructional interaction, followed by diffusive interaction and passive interaction.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reading fairy ta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use higher quality interaction strategies while implementing storytelling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developing the storytelling activities of the Teachers’ Guidebook according to future curriculum revision. 본 연구는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활동 중에서 활동유형은 대․소집단으로, 활동영역은 동화로 표기된 126개 활동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기준은 남규(2009)와 이정아(2011)가 구성한 것을 참고하고 예비분석의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연구절차는 분석대상 선정, 분석기준 설정, 본 연구, 신뢰도 검토, 자료 분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 4세는 교수적 상호작용, 확산적 상호작용, 소극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5세는 확산적 상호작용, 교수적 상호작용, 소극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연령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동화 읽기 전과 후,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은 모두 교수적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고, 그 다음으로 확산적 상호작용, 소극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들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토대로 동화활동을 실시할 때 보다 질 높은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도록 이끌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