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가치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곽승주,강유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ildren values perceived by mothers have on parenting depression and to study moderate effects from social support. This study used the Sixth wave(2013) of Panel data from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and the 591 cases had been selected for investig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showed average level of parenting depression, and the perception of children value and social support surrounding them were comparatively high. Second, the resul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value perceived by mother and parenting depress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depression was also negative. Third, as result of the analysis on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 value on parenting depression, the more positive children value the mother had, the less parenting depression was observed. Fourth analyzing moderate effect from social support driven by mother’s children value affecting on parenting depression - family support such as father’s or mother’s family support moderates parenting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outside family support, such as friends' or neighbors' support does not moderates parenting depression. 본 연구는 영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가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6차 2013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591명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고, 자녀가치와 사회적 지지는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가치와 양육스트레스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또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가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어머니가 긍정적 자녀가치를 가질수록 양육스트레스가 경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어머니의 자녀가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정 내 사회적 지지인 친가, 외가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구, 이웃과 같은 가정 외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술지 논문 분석을 통한 영유아 놀이의 최근 연구동향 탐색

        곽승주,이승숙,김혜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irection-setting of the research on play, and a guidance plan at an educational field.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185 papers related to play among domestic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10 until 2015, and looked into research trends consequent on research themes and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research themes revealed that the research, which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play and development, showed the highest weight, and the papers, which investigated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held the majority among oth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apers which set infan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was the mos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by classifying them into an infant and an early childhood, the papers, which set a two-year-old baby as an infant while setting a five-year-old child as an early childhood, were found to appear the most frequentl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ypes, it was found that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ed the most while the research, which collected data through a test method, showed the highest ratio. Fourth, as for a data analysis method, quantitative analyses were found to be used the most, and within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 difference analysis method was found to be used the most. 본 연구는 영유아 놀이를 주제로 한 최근 선행연구들의 경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관련 연구의 방향설정 및 교육현장에서의 지도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중 놀이관련 논문 185편을 선정하고,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사회‧정서 발달을 조사한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를 단일대상으로 한 논문 수가 가장 많았으며, 영아대상과 유아대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아대상은 만 2세, 유아대상은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을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검사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양적 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양적 자료 분석 내에서는 차이분석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연구들에서는 다각적인 시각에서 영유아 관련 놀이의 주제를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놀이연구 동향에 대한 재분석 및 재검토를 통해 연구방법의 경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 및 사회정서 발달 지원을 위한 가정연계 전래놀이의 협력적 실행

        곽승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가정을 연계하는 전래놀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 및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 및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방법으로써, 연구자가 교육현장에서 교사와 함께 전래놀이 활동을 전개하는 실행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전래놀이의 실행과정은 단동십훈을 통해 우리 가락, 운율과 마주하기, 주고받는 노래로 전래놀이와 친숙해지기, 노래와 움직임이 어우러진 동작놀이로 경험하기, 전래놀이 속에서 심리적 안정감 취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영아들이 전래놀이에 참여함으로써 공감각적인 반복을 통한 언어표현의 기회가 증대되었고, 어린이집-가정 연계 속에서 언어경험이 확장되었으며, 영아와 교사 및 어머니 간 정서적 유대감이 강화되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난화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미술치료가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서표현 및 이야기 구성에 미치는 효과

        곽승주,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5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tory making art therapy using scribble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story construction of the immigrant youths who are in a bilingual environment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to provide them with help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e 2 participants(client A, B)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the immigrant youths with less 1 year residence in Korea who want to be treated by art therapy. The study was proceeded at ‘K Multi-cultural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S city from June 2012 to November 2012 to two participants under the same conditions composed of total 22 sessions of 60 minutes for each one once a week.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expression, the preliminary/post scale tests for emotional expression were performed, and the changes in action and language based on the emotional expressions on each sess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story construction, the finalized stories at the end of each session were evaluated with the rating scale based on story structure concept and components, converted into scores, and the degree of changes were constructed into graphs. This study is resulted as follows: Firstly, the story making art therapy using scribble was effective for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immigrant youths. The preliminary/post-evaluation results of emotional expression scale showed all of clients’ scores are improved, and sub-scale analysis results all are improved, excluding client B’s compulsion intensity, who had an equal preliminary/post-evaluation scores.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by sessions showed that both participants increased the use of vocabularies for emotional expressions with the process of sessions, and their actions and language were changed into positive and hopeful expressions from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econdly, the story making art therapy using scribble was effective for the story constructions of the immigrant youth. This result of evaluation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gradually improved the story structure concept and components with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rt therapy of story telling using scribble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herapy method for immigrant youths in adapting to the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모국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 환경에 처해 있는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한국 사회의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난화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정서표현 및 이야기 구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 거주 기간이 1년 미만의 미술치료를 희망하는 중도입국 청소년 2명(내담자 A와 B)을 선정하여 S시 소재한 K다문화상담센터에서 2012년 6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주 1회 60분씩 각각 22회기씩 난화를 통한 이야기 만들기 미술치료를 적용하였다. 내담자 한 명당 기초선, 치료, 유지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는 정서표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정서표현 척도검사와 회기별 정서표현에 따른 행동 및 언어화 변화과정을 질적 분석하였고, 이야기 구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완성된 그림과 이야기 결과물을 바탕으로 이야기 구조개념 및 구성요소를 평가척도에 근거한 평가를 진행하고 점수화하여 변화 정도를 그래프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화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미술치료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서표현에 효과적이었다. 정서표현 척도의 사전, 사후 평가결과는 내담자 B의 하위척도인 충동강도를 제외하고 모두 향상되었다. 회기별 질적 분석 결과는 회기가 진행될수록 이야기 결과물에 정서표현에 관련된 단어가 증가하였고, 부정적인 정서표현에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표현으로 행동 및 언어화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난화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미술치료가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야기 구성에 효과적이었다. 이야기 구조개념 및 구성요소 평가결과가 모두 점차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난화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미술치료가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 사회 적응에 있어 적절한 치료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의 존재와 운영의 의미에 대한 이해: 시설장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곽승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ed caring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researching the meaning, features, difficulties, etc. which appear in operating 24-hour multi-cultural child-care center. As the method of research, narrative approach was adopted which focused on daily life and story of principal who operated child-care center around the clock for infa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care centers were being operated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languages and cultures of diverse countries coexist, and with priority placed on fostering inmates to grow into future social members through physical care, learning support and other caring activities. As for the necessity to run child-care center, however, adverse realities faced by multi-cultural families were being reflected, such as conflict among family members, poverty and inferior labor conditions of parents. In addition, the cooperation and linkage with local community, enterprises and volunteers were dealt as important features in operating child-care center. As for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child-care center, the discord with parents due to different nurturing culture, and the necessity to involve a wide range of practical assistance for parents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research. 본 연구는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의 존재와 운영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질 높은 보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시설장의 어린이집 운영경험과 이야기를 토대로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에 대한 의미를 탐구해가는 내러티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은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미래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정하며 그들이 지닌 문화적 잠재성 및 유능감을 지지하는 곳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반면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의 존재의미에는 결혼이민자가정의 가족갈등 및 외국인근로자 부모의 열악한 노동조건 등 다문화가정이 처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이 반영되고 있다. 또한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은 영유아의 발달을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함으로써 다문화가정자녀의 전인적 성장에 기여하며, 외국인부모의 부모역할강화를 위한 노력과 부모를 위한 포괄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지역사회·기업·자원봉사자들의 긴밀한 협력 및 연계를 통해 보육공동체로서 사회적 네트워킹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운영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역할놀이영역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간 정서적 경험 탐구

        곽승주 ( Seung Ju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역할놀이영역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정서적 경험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부정적 정서맥락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할놀이영역에서의 놀이관찰과 유아, 교사와의 면담을 토대로한 질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역할놀이영역의 또래 간 긍정적 정서경험 맥락은 첫째, 유아들은 또래와 다양한 역할과 상황연출에 몰입하는 과정 속에서 극놀이가 주는 조건 없는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비논리성과 미숙함이 수용되는 역할놀이영역의 개방적 놀이맥락은 유아에게 자유로운 발상의 재미와 흥미를 제공하였다. 셋째, 유아가 역할에 대한 과장되고 비약된 표현 들을 통해 정서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유머와 익살을 경험할 수 있었다. 한편 부정적 정서경험 맥락은 첫째, 역할과 소품경쟁으로 인해 또래 간의 부정적 정서분출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정서조절을 위해 유아들이 새로운 상황을 연출하거나 역할변신을 시도하는등 다양한 역할전략들을 활용하였다. 셋째, 역할놀이 구성원들이 집단적 동료의식을 통해 또래의 정서맥락을 공유하면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n depth by observing how they emotionally experience in role playing with peer and what its meaning i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qualitative method based on children``s play observation shown in the role playing scope and interviews with them and teachers show was carried out. The research results of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shown in role playing with peer are as follow: First, the children could enjoy the pleasure as they are immersed in various roles and situation playing with peer. Second, they experienced play that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in every life and interests in expression through role playing which doesn``t restrict their expression and ban them from it and accepts illogic. Third, they experienced humor through making emotion maximize that imagination, gestures, voice and actions are in harmony. And the research result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shown in role playing are as follow: First, gushes of strong negative emotion were shown in the peer group due to competition of roles and props. Second, various strategies including setting situations and adjusting roles to adjust negative emotion were utilized. Third, Experiences which understand negative emotion were shown as the members of role playing shared emotional situations.

      • KCI등재

        2세 영아의 정서표현에 관한 문화기술저 탐구

        곽승주(Kwak Seung Ju) 한국육아지원학회 2006 육아지원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일상에서 빈번하게 표출되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심층적이고 맥락적인 이해를 통해 효율적인 영아보육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과 보육시설에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을 탐색하였다. 보육시설에서 영아의 부정적 정서는 놀이감이나 놀이영역, 교사의 관심과 애정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교사는 이때 보여지는 부정적 정서표현들을 영아의 언어적․사회적 능력과 기술의 부족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를 교육과 통제의 대상으로 여기고 이를 지속적으로 언어화 시키면서 조절 및 통제에 중점을 두고 상호작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가정에서의 부정적 정서는 매우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나타났으며 영아는 부정적 정서를 적극적인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을 의사소통의 한 방식으로 이해하였으며 언어적․신체적 상호작용을 통해 부정적 정서표현을 놀이의 단서로 활용하며 긍정적인 정서로 전환시키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understand expression of toddler's negative emotions with teachers, peers and mother in context.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teachers, peers and mother understand and respond to todd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ow do toddlers express their negative emotions to teachers and peers in a child-care center? 2. How do toddlers express their negative emotions to their mother in home?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study wit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Participants were a 29-months-old toddler(male) enrolled in a child-care center and two of his teachers, nine peers in his classroom and his mother. Data were collected for 9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5. Each observation lasted for two hours during greeting time, snack time, free play time and circle time at the child-care center. In addition, the toddler's emotional expression with mother was observed for two hours as he was eating, talking, playing etc. through the daily life in home. A total of 8 observations at the child-care center and 8 observations at home were mad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achers at the child-care center regarded the child's negative emotion as a sign of his immaturity in soci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So teachers thought todd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cluding crying, yelling, shouting and annoying had to be educated and controlled. They tried to teach ways to suppress and control his negative emotion through the daily life in child-care center. 2. The child us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o secure his position among peers in a child-care cent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his means of showing himself to occupy toys, playground and teacher's affection among peers. 3. The toddler was free to express his negative emotions to mother because it was regarded as representing what he thinks and feels. Since negative emotion was accepted as natural self-expression in home, the toddler indicated plentiful negative emotion such as anger, jealousy, fear, regret, depression and he communicated and interacted to mother with various negative emotions. Also the mother thought that the child's negative emotions often appeared when he intended to be independent. 4. Toddler's negative expression was often converted to positive emotion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fun plays physically with his moth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par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acting and educating by considering and understanding todd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 KCI등재

        사랑반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 및 정서적 지원을 위한 전래동요놀이의 협력적 실행

        곽승주 ( Kwak Seung-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놀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 및 정서적 지원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 및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방법으로써, 연구자가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영아들에게 전래동요놀이 활동을 전개하는 실행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전래동요놀이의 실행과정은 단동십훈을 통해 우리 가락, 운율과 마주하기, 주고받는 노래로 전래동요놀이와 친숙해지기, 노래와 움직임이 어우러진 동작놀이로 경험하기, 또래와 함께 하는 집단 놀이로 확장하기, 전래동요놀이 속에서 정서적 위안 및 안정감 찾기로 전개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영아들이 전래동요놀이에 참여함으로써 공감각적 반복을 통한 언어표현의 기회가 증대되었고,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 놀이공유를 통해 언어경험이 확장되었으며, 영아와 교사, 어머니의 정서공유 및 정서적 유대감이 강화되는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linguistic and emotional support of toddle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play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 For this, qualitative method was utilized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ction research was applied in which the researcher would perform the play using traditional songs for multi-cultural toddler in the site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action process of play using traditional song included acclimatization to Korean melody and rhythm through Dandongsiphoon, familiarization with traditional plays by exchanging songs, experiencing the movement plays mixed with songs and movements, and feel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play using traditional song. Second, the us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 provided the participating multi-cultural toddler with educational significances such as an increased opportunity of linguistic expression through the synesthetic repetition, an expanded linguistic experience in daycare center and home through the sharing of play, and strengthened emotional sharing and bond between toddler and teacher/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