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화적 그림책「바리공주」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 고찰

        전연우 ( Yeon Woo Jun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화그림책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을 고찰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민족의 전통적 설화인 바리공주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신화그림책『바리공주』를 선정하여 그 속에 내포된 샤머니즘적 양상들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신화그림책『바리공주』에서 발견되는 샤머니즘적 양상을 크게 ‘현세와 내세의 동시적 관장: 이승과 저승을 좌우하는 힘’, ‘현세와 내세 사이의 가교역할: 접속을 통한 융화’, ‘음양의 조화로운 질서회복: 균형을 통한 화합’, ‘고통의 치유와 영혼의 구원: 해원을 통한 이상실현’ 등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화그림책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들이 유아와 관련하여 지닐 수 있는 의미를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hamanistic aspects found in mythical picture books. For this study, the authors selected a mythical picture book, 『Princess Bari』that provides a story about Bari which is one of our traditional narratives/ Then the study analyzed shamanistic aspects depicted in that picture book.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lassify such aspects found in 『Princess Bari』into four, or ‘simultaneous control over this world and the next’, ‘bridging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restoring the harmony and order of Yin and Yang’and ‘healing the pain and relieving the soul’. Based on these finding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that those four aspects of shamanism can have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전연우 ( Yeon-woo Jun ),조희숙 ( Hea-soog J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유아들의 반응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고찰, 현장조사, 시안개발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고찰에서는 포스트모던 그림책과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검토하였고, 현장조사에서는 P시 소재 D유치원과 K유치원을 대상으로 포스트모던그림책의 활용실태 및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1차 시안을 개발하였다. 그런 다음, 수정 및 보완을 거쳐 2차 및 3차 시안을 개발하였다. 이 3차 시안을 D 사립유치원에 예비 적용하여 긍정적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3차 시안을 본 연구의 프로그램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확정된 프로그램을 2015년 3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A 공립유치원, B 사립유치원, C민간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크게 조우, 탐닉과 열정, 주체적인 독자, 확장과 창조, 변화와 성장의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변화를 가져올 효과적인 교수방식이 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따른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program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ltimately exploring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that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proceeded in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draft development. In the literature review, local and foreign studies and publications regarding postmodern picturebooks were examined. In the field survey, how those picturebooks were being currently used and perceived was investigated at D and K kindergartens located in P city. These moves made clear th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hen, this study developed the first draft of the program. That first draft was modified and supplied into a second and then a third which was in turn preliminary applied to D private kindergarten, and favorable responses were obtained. Accordingly, the third draft was finally determined as the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program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Second, this study applied the final program to A public kindergarten, B private kindergarten and C private nursery from March 1 to July 31, 2015. As a result, the study could largely categorize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the program into five, or encounter, indulgence and passion, subjective readers, expansion and creation, and changes and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program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is an effective method to change young children substantiall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provided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분석

        전연우 ( Yeon Woo Jun ),이현경 ( Hyun Kyung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P지역에 소재한 공립 및 사립 유치원 각 4곳씩 총 8곳의 만 5세반 담임교사 8명과 그들이 지명한 학급당 8-12명의 유아들을 연구 참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7월 18일부터 9월 14일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8곳의 유치원을 각 유치원당 1주에 3회씩 총 24회 방문하여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특성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크게 이항 대립적인 교사-유아 그림책 읽기, 교사와 유아의 공동 세계 창출하기, 유아가 주도하고 교사가 따라가는 그림책 읽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는 교사와 부모들에게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가지게 하며 문해력 지도, 문학 활동을 위한 교수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during the reading of the postmodern picturebook.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young children, 5 years of age, and their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Pusan, Korea. The study involved 24 sessions covering a period of 8 weeks from July to September,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achers and young children displayed incompatible interaction at times, alongside periods of mutual cooperation, and effective sessions of teacher-following young children-led readings when using the postmodern picturebook.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and a new understanding about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during the reading of the postmodern picturebook.

      • KCI등재

        시 그림책이 만 5세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

        전연우(Jun Yeon woo),조희숙(Jo Hea soo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시 그림책이 만 5세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시 소재 K 유치원과 B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2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그들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첫째 주부터 5월 넷째 주까지 2개월에 걸쳐 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에 대한 영향을 참여 관찰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 그림책이 만 5세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크게 ‘시공간의 선형적 전개를 따라 몰입하고 동화되기’, ‘운율과 리듬으로부터 재미와 흥겨움 만끽하기’, ‘시 그림책으로 모두가 하나 되기’, ‘일상적 경험과의 연결을 통해 긍정적으로 공감하기’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 그림책이 유아문학 활동, 더 나아가 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지닐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etic picture books on five-year-old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28 children as participants who were attending the five-year-old classes of K kindergarten and B nursery both of which were located in P city. And this study applied poetic picture books to those participants for 2 months from the lst week of April to the fourth week of May, 2016, and collected data about the effects of those picture books on the participant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then analyzed the data.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could largely classified the effects into four categories, being concentrated and assimilated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developments of time and space , indulging in rhymes and rhythms with great fun and delight , uniting into one by means of poetic picture books and positively empathizing through association with routine experiences in life . Based on this finding,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that poetic picture books may have for children s literature activities and, fur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Lauren Child의 『쉿! 책 속 늑대를 조심해!』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인식

        전연우(Jun Yeon-Woo),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P지역과 K지역의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Lauren Child의 『쉿! 책 속 늑대를 조심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처음 접해 보는 낯선 그림책, 재미있지만 어려운 그림책, 다양한 종류로 정의되는 그림책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포스트모던 그림책이 유아교사에게 다양한 영향력을 줄 것이므로 유아교사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셋째, 유아교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이 유아에게 웃음을 자아내고, 유아들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열린 사고를 하도록 도와주고 훌륭한 놀이로 승화시켜주어 다른 책에 관심을 갖도록 해 줄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논의를 통해, 유아교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통해 그림책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나,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이러한 그림책들이 유아의 내면을 이해하고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임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Lauren Child’s 『Beware of the Storybook Wolves』, a picturebook with notable postmodern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gions of P and K.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bed the postmodern picturebook as a strange picturebook to which they were exposed for the first time, as an intriguing yet difficult picture book and as a picturebook that could be defined in diverse ways. Second, they fel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know about postmodern picturebooks as those books might impact teachers differently.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 books like this as necessary for preschoolers. Underlying this point is their belief that postmodern picturebooks would enable preschoolers to laugh, to respond in diverse ways, to be open-minded, and to view reading as great play, thereby driving their interest in reading other book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ir way of looking at picturebooks when they read a postmodern picturebook. But these teachers still perceive a need for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postmodern picture books. The Postrnodern picturebooks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the inner world of preschoolers and improve their mutual communication.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전연우(Jun, Yeon-Woo),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유아들의 이해력, 사고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공립유치원의 만 5세 2개 학급과 B사립유치원의 만 5세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각 원별로 1학급은 실험집단, 나머지 1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분류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을 2015년 3월 1주부터 7월 4주까지 총 24회기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이해력, 사고력, 창의성 향상에 효과를 미친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교수방식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들의 이해력, 사고력,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결과가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과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Program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on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sampled two classes for 5-year-olds from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wo classes for 5-year-olds from B private kindergarten in the same city. Then the two classes of each kindergarten were respectively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each consisting of 25 young children. Next, this study applied the above mentioned program to that experimental group over 24 session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Program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improved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suggesting that the program could be a teaching method to have substantially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hat such effects may hav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나는 서발턴적 양상연구

        전연우 ( Yeon Woo Jun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서발턴적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서발턴은 계급, 연령, 성별, 지위 등을 이유로 사회적으로 억압, 차별, 소외 등의 상황에 처해있는 사람들을 총체적으로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래동화 그림책 작품 10편을 선정하여 그 속에 묘사된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서발턴적 요소를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대상의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서발턴적 양상을 크게 ‘억압과 종속 사이의 대립적 구도’, ‘주류와 비주류의 이분법적 구도’, ‘젠더 이데올로기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차별적 구도’, ‘현실에 대한 저항과 극복의 구도’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발턴적 양상의 의미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보면서 전래동화 그림책의 독자들 특히, 유아들과 관련해 지닐 수 있는 시사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서발턴적 양상들이 유아들을 비롯한 그림책 독자들에게 현실 세계의 상황들을 보다 정확하고 심도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기를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보다 올바른 자세와 전망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altern aspects that are found in picture book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Subaltern is a term that collectively means people who are socially suppressed, discriminated or alienated due to their class, age, gender, position and so on. For the above purpose, this researcher selected picture books that contain 10 representative traditional fair tales of this country. Then, the researcher explored and analyzed subaltern aspects implied in those tales, especially by focusing on characters appeared in the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largely classify those aspects into ``confrontation between suppression and subordination``, ``dichotomy between the major and the minor``, ``sexual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gender ideology`` and ``resistance to and overcoming from the reality``.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the subaltern aspects more deeply and discussed what implications those aspects may have for readers, especially young children, of picture book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hrough the discuss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subaltern aspects found in the picture book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could help their readers including young children raise their own view of situations of the real world, get accurate and deep insights to those situations and further have positive attitudes and prospects about the future.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을 통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공간 분석

        전연우(JUN, YEON WOO)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다채롭고 독특한 양상의 공간들을 기존 그림책에서 주로 발견되는 공간적 시각으로서의 유토피아적 관점이 아닌 공간에 관한 새로운 철학적 시각인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그림책과 뚜렷이 차별화된 공간 특성들을 내포하고 있는 포스트모던 그림책 12권을 선정하였으며 그런 다음, 헤테로피아적 관점을 적용하여 공간이 갖는 의미들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에서 갖는 의미를 크게 ‘일탈과 전복으로 해체된 공간 : 균열과 낯설음의 이질적 공간’, ‘타자성이 공존하는 탈영토화된 공간 : 변주된 공간’, ‘리좀적 공간 : 3차원의 환영을 담아놓은 예술적 공간’, ‘카니발적 공간 : 환상적인 쾌락의 공간’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이상의 결과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독자들, 그리고 다원성과 불확실성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와 관련해 지닐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verse, unique spaces shown in postmodern picture book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utopia that is a view of space usually found in non-postmodern or conventional picture book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which is a new philosophical view of space. For this study, the study selected 12 postmodern picture books in which spaces are depicted so much differently from those found in conventional picture books, and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postmodern spaces from the view of heterotopia.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largely categorized that meaning into four, ‘space destructed through deviation and turnover : heterogeneous space that is cracked and unfamiliar’, ‘space that is deterritorialized with otherness : space of variations’, ‘space that has the very character of rhizome : three-dimensional space that is illusive and artistic’ and ‘space that is carnivallike : space of fantasy and pleasure’. Considering these results,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that its finding may have in relation to the modern society where we exist now and which is best characterized as diversity and uncertainty as well as reader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 KCI등재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전연우 ( Yeon Woo Jun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그림책을 가지고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들이 그림책의 텍스트를 보고 도덕적 판단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1년 7월 12일부터 8월 31일까지 8주간 1주일에 1회씩 8주간 총 32회에 걸쳐 오전이나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연구 결과 만 3세 유아들은 그림 텍스트로만 판단하기, 결과만 보고 도덕성 읽기, 즉흥적으로 판단하기 등으로 나타나 ‘가시적인 것에 좌우되는 도덕적 판단’으로 유목화하였고, 만 4세 유아들은 생활세계의 경험과 연관짓기, 즉흥적으로 판단하기와 맥락에 따라 판단하기, 남들 생각 따라가기와 내 생각대로 말하기, 외형보고 판단하기와 내면보고 판단하기,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판단하기 등으로 나타나 ‘도덕적 판단의 혼재’로 유목화하였으며, 만 5세 유아들은 선악 판단에 있어서 강약 내리기, 전후 맥락을 바탕으로 유추하여 판단하기, 등장인물에 비유하여 자기 양심 읽기, 조망수용능력을 통해 도덕성 관념 확장하기, 인지능력 확대에 따라 다각적으로 사고하기 등으로 나타나 ‘도덕적 판단기준 확립’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들의 도덕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성이 담긴 그림책의 가치를 드러내주어, 교사와 부모들뿐만 아니라 그림책 종사자들에게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 aged 3 to 5 make moral judgments as they experience the texts of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those children during extracurricular session in the morning or afternoon over 32 times during 8 weeks from July 12-August 31, 2011 once a week for each kindergarten. The study found that how the three-year-olds perceive morality could be categorized into determining only with picture texts since they were judging only from results and judging impromptu: the four-year-olds into associating with life-world experiences since they were judging both impromptu and contextually, following others` thoughts and expressing self-thoughts, judging based on both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and judging on the interface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and the five-year-olds into determining the severity of the good or bad since they were inducing with contexts considered, identifying self-conscience against characters, expanding morality by using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thinking in multiple ways through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y can help better understand young children in terms of morality, clarify how much picture books in relation to morality are valuable and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to teachers, parents and even picture book publishers.

      • KCI등재

        아이의 죽음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시론 - 도아시(悼兒詩)를 중심으로

        전연우 ( Jun¸ Yeon-wo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6

        이 글은 한시에 나타난 아이의 죽음과 그 표현방식에 대하여 작품 감상론의 차원에서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여말선초, 특히 李奎報, 徐居正, 成俔, 姜希孟의 작품을 대상으로 검토했다. 이는 차후 한국 한시에 나타난 ‘悼兒詩’ 연구를 위한 방법적 모색에 해당한다. 본고는 주로 작품에 대한 성실한 감상을 통하여 ‘悼兒’의 시적 표현을 이해하고, 그 안에 내재된 작자의 마음과 그 표현방식을 차분하게 헤아려보았다. 도아시의 내용을 일별하면 크게 전기적 서술 속에 담긴 회고의 기억, 상심의 정조에 담긴 自悼的 위로, 요절의 운명 애상과 조물주 비판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규보의 <悼小女>는 조물주에 속은 듯한 허망함을 표현했고, 서거정의 <追悼小女>는 상심하는 나를 노래하였으며, 성현의 <悼女>는 노년의 自悼를 드러내었고, 강희맹의 <悼子篇>은 전기적 서술과 단계적 감정고양의 표현을 추구하였다. 특히 이규보와 성현은 개념적, 이상적 형상을 추구하였던 데 비하여 상대적으로 서거정, 강희맹은 감성적, 현실적 형상을 모색하였다. 이들의 주요한 표현내용 및 방식은 이후 한시에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듯하다. 차후 전통사회 문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하여, 전통사회 문인이 아이의 죽음을 표현하는 방식 사이의 차이와 반복을 구명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eath of a child and its expression method in the aspect of appreciation of works. This is a methodological search for the ‘research’ that appeared in the so-called Korean poetry. Before studying in earnest, I want to understand the poetic expression of ‘Doa’ through sincere appreciation of the work, and to calmly count the author’s mind and expression method inherent in it.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works of Lee Gyu-bo, Seo Geo-jeong, Sung-hyun, and Kang Hee-mang. Lee Gyu-bo’s < mourning for a young daughter > expressed a false sense of lamentation, Seo Geo-jeong’s < mourning for a daughter > sang me with heartbreak, Sung-hyun’s < mourning for a daughter > revealed the old age’s ‘heart of mourning for herself’, and Kang Hee-mang’s < poetry mourning for a son > pursued the expression of biographical narrative and step-by-step emotion. In particular, Lee Gyu-bo and Sung-hyun pursued conceptual and ideal shapes, while Seo Geo-jeong and Kang Hee-mang sought emotional and realistic shapes. Through the study on the whole of the city of Doa in the Joseon Dynasty, I would like to review the typical and individual aspects of the expression method of Doas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