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지평 확대: 인문학을 기반한 의료인문학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공혜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itled Medical Humanities.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s medical humanities program is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Korea. By drawing upon the specific 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a humanities-based medical humanities inter disciplinary program,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umanities-centered medical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interdisciplinary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a non-medical education setting. Chapter 2 covers the specific courses and curricula offered in the medical humanities program. 본 연구는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이 주체가 아닌 문과대학을 기반으로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 융합전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학원이 아닌 비(非)의과대학의 학부과정에서 문(文), 사(史), 철(哲) 등의 인문학을 포괄하는 의료인문학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곳은 없었다. 또 비의과대학에서의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의과대학의 경계 밖에서 국내 최초로 인문학 기반으로 의료인문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는 인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비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 의료인문학 융합전공을 개설하는 준비과정을, 그리고 2장에서는 의료인문학 융합전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소개 및 교과목 운영 현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정보"에 관한 다학제적 성찰과 인문학의 가능성 -한국인의 정보 공유 문화를 분석대상으로-

        용현미 ( Hyun Mee Yo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7

        디지털 기술은 생활 영역을 넘어서서 문화(文化).사고(思考)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고, 이러한 지적(知的) 변화는 학문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기존의 인문학적 영역으로 여겨지던 질적 분석 방법의 영역에서도 계량화된 분석 결과로 산출되며, 대부분의 학문 연구 영역에서는 다(多)학제 차원의 통합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 변화와 지적 변형을 통해 나타나는 학문적 변화에 주목하며, 한국에서 사용되는 ‘정보’ 특징과 그 가능성, 그리고 인문학 본연의 역할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 개념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객관적정보’와 ‘경험적 정보’에 해당하는 이론적 특징을 살핀다. 이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이라는 학문적 성격이 가지는 특징이 한국의 정보 공유 문화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성격과 비슷하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 정보공유 환경에서 나타나는 감정과 정서가 드러나는 한국적 의사 소통 문화의 특징과 경험적이며 직관적인 한국적 디지털 정보의 성격은 서구의 것과는 구별된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한국적 특유의 정보 생산 공유 방식과 정보의 성격, 그리고 이를 형성하게 되는 문화.역사적 요인이 서구의 것과는 상이(相異)하며, 따라서 정보화 정책 과정에서도 한국의 고유한 정보의 특성이 반영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방법론적으로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선행 연구의 결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인문학적인 텍스트 중심의 해석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보’ 개념을 찾아가며,, 현재의 한국 정보문화 정책의 문제점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대상에 대한 이해는 대상의 특징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작용되었고, 과학적 연구방법과 인문학적 연구방법의 상호 보완적역할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게 하였다. 또한 이는 서구의 관점에 의해 부여된 평가가 아닌, 한국 고유의 특징이 반영된 정보화 정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게 한다. Digital technology has drastically transformed human culture and thought over our daily lives, and these intellectual changes have modified the shape of our intellectual studies. It has quantified qualitative research fields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considered humanities territory, and driven them more towards synthetic research in th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technical and intellectual changes, and attempts to relate them back to the original role of Humanities. Therefore, this thesis documents and defines the flow of the multidisciplinary studies related information, and characterizes the theories regarding ‘objective information’ and ‘experiential information.’ The notable finding of this study through the described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escribed proces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formation is simil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theory. Moreover, the emotional Korean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and exchang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western collective intellectual information.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the current Korean Information policy requires to deliber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form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empirical preceding researches, and analyses cultural text as a methodology; thus, it pursues to find out the concept of information with insight for current Korean matters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The multi-persp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objectives can be used as an approach to figure out the nature of things, and it reconfirms the necessity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scientific research and the humanities methods which are introduced by this work. Furthermore, it will cause us to think critically and reevaluate current Korean information policies in the new digital technology age, apart from policies used in other parts of the world.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와 치유의 문제

        이봉원 ( Bong Won Y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의사소통의 문제가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의사소통 장애이다. 의사소통 장애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말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학문인 언어병리학은 인접 학문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의사소통장애의 여러 문제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제도의 개혁과 인력 양성, 학문적 성과의 측면에서 이 분야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의사소통 장애는 누구나 직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삶에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장애의 차원이 아니지만 의사소통의 문제가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여러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의사소통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차원에서도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인문학적 견지에서는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체적 통합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사소통 장애의 치유는 삶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언어병리학은 의사소통 장애인들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기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 의사소통이 사회에서 수용되고 확장되어 의사소통의 총량이 늘어나려면 다른 차원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장애가 당사자나 관련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의 문제임을 공유해야 하는 것이며, 인문학의 역할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mmunication disorders give a negative impact on the lives of individual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but usually can be divided into speech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and hearing disorder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communication disorders. Anyone can face communication disorders, which can be improved through proper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recent years, the dimensions of the communication problems that hinder the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appearing with according to society`s change. Communication disorders are matters of individual level but also areas of community to be resolved. It is important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share the experience of integration. Healing of communication disorder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i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provided the basic tools to approach the problems, but the solutions have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ocial issues are not the domain of specialists, but the challenge to be shared to all of our lives; the role of the humanities will be found here.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에 관한 고찰

        이희영 ( Hee Young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5

        이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는 전공 연계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이 지향할 방향에 맞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제반 상황을 살펴보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현재 중점을 두고 있는 학술적 글쓰기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학술적 글쓰기가 학문적 담화 공동체의 글쓰기 규약에 기반을 둔 글쓰기라고 할 때 전공과목과의 연계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문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도 연관을 맺는다. 글쓰기의 계열별 교육 시도는 유의미하나 계열 내의 세부 전공들의 담론을 모두 포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전공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 크게 세 가지의 전공 연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공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한 전공 연계 교육이다. MIT대학이나 하버드대학의 예를 참고하여 전공과 관련된 글쓰기 주제를 다루는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둘째는 특정 전공과목의 심화 글쓰기 교육 방안으로, 현실적 요구를 바탕으로 한 실용적 글쓰기 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융합 학문으로 관심을 돌린 대학의 교육 방향에 맞춘 통합적 전공 연계 글쓰기 수업의 시도이다. 이 세 가지 교육 방안은 각 대학의 학제별 전공 구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수자,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세 가지 방안은 대학별 학제 구성과 세부 전공에서 필요로 하는 글쓰기 유형에 대한 조사,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llege writing systems, and suggests the three alternatives for WAC based on the new trends of college education and knowledge convergence age. For this study, the overall writing systems and writing situations of college has been considered, and the feature of the ``academic writing`` has been examined. If academic writing is based on regulations and styles of its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t is also related with major course writing. The field writing education which is ongoing in colleges, has several problems including its ambiguities in terms of academic character. To solve those problems, three kinds of methods in writing classes are suggested. First, in WAC writing classes, various topics that relat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can be discussed instead of practicing just a couple of types of academic writings. Second, writing intensive classes for intrinsic writings can be carried on. Third, major convergence writing classes can be carried on for students who are asked to be multi-players in their work after graduations. For detailed class settings, collaborative work with professors in each majors is essential.

      • KCI등재

        박정만 시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 연구 - 대학주보에 실린 「돌」과 시집 『잠자는 돌』을 중심으로 -

        이수경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7

        Park, Jung-Man had won the First Prize of The 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Contest , hosted by Kyung-Hee Univ. in July 1965, with the poem , “ The Stone ”. The symbolic image of ‘ stone ’ was showed again in the first poetical work , “Spring Story in the Middle of Winter” , which made him start his literary career as a poet , mounted the platform as Shinchunmunyae(新春文 藝) of The Seoul Paper in 1968. The image of ‘ stone ’ made appearance again in the name of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 The Sleeping Stone (1979). Until now , there is no further study on the poem , The Stone , but the comment , Park, Jung-Man had won the First Prize of The 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Contest, hosted by Kyung-Hee Univ. in July 1965, with the poem , The Stone , was written on his chronological list. With this critical mind ,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ymbolic image of the stone and on tracing the change of it , according with relating with other words in the poems. Also this article makes a chance “ The Stone ” to be first appearance , was published at the weekly newspaper of Kyung-Hee Univ. on July 14th 1965(no. 265, p.4). The symbolic meaning of ‘ Stone ’ is one of the main stream of Park, JungMan. Stone is the x of divinity as the shrine of the world. According to the Rock of the Baby General Tale, the one of the common frenzied tale , stone (rock) is considered as a place for Baby General to prepare rebellion or resurrection. Repeated training and preparation as the symbol of the stone are the common part of the Baby General Tale and Park, Jung-Man. Also those are the unique part of Park, Jung-Man, which distinguishes him from other poets , using same poetic word ‘ stone ’. The ambivalence of stone , death-resurrection , leads the poetic persona to the retrogression like dream , connected with the past and death , and despair by the tragic perception of reality. Even though poetic persona feels despair , he keeps on treatment of poetry in order to overcome those tragedy. The ironical realization of the existence of the rebirth and life in the symbolic death is the another unique characteristic point in his first part of his poems. In his late part of his poems , the stone is changed to the mountain , which means ‘ absence of ego ’ . The extension of the stone a symbolic place as the desire of the divinity and mediated place from the world to the paradise , means poetic persona achieves ‘ Perennial Philosophy of the East ’ . At the same time , it is possible that the images of paradise (axis mundi) are moved to the world from the paradise , as the same principle of the temple or church in the world. It finally makes the persona find out the small beautiful things like flowers and plants near to him and the love among the world. Finally , the holy stone is the symbolic place for the dialectical development and the treatment of poetry , Desire for the divinity . 박정만은 1968년 1월 『서울신문』에 「겨울 속의 봄 이야기」로 등단하기 전인 1965년 7월 경희대학교 <전국 고교생 백일장 대회>에서 시「돌」로 장원에 입상한다. 시 쓰기 첫 발걸음이 되는 「돌」에서 발아된 ‘돌’의 심상은 그 이후 196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작인 「겨울 속의 봄 이야기」로 이어져 첫 시집 『잠자는 돌』(1979) 에서 다시 전면에 등장한다. 「돌」에서 시작된 자아와 세계가 조화로웠던 신화적 공간에 대한 소망이 박정만 시를흐르는 한 저류라는 문제의식에서 1965년 7월 14일 수요일 대학주보 256호 4면에 수록된 「돌」을 새롭게 발굴하여 살펴봄으로써, ‘신화적 공간 희구(希求)’라는 박정만 시 쓰기연속성을 관통하는 성소의 매개적 공간이 ‘돌’이 갖는 상징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개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진과 퇴행의 시 쓰기라는 수행성과 함께 역설적이고순환론인 깨달음이 「돌」에서부터 시작되어 첫 시집 『잠자는 돌』에 지속됨을 확인할 수있었다. ‘준비’와 ‘기다림’이라는 상징성을 기반으로 ‘수행의 성소(聖所)’라는 의미의 ‘돌’은 <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의 화소 ‘돌’과 박정만 ‘돌’의 공통분모인 동시에, 박정만 ‘돌’이 갖는 전통지향적 독자성이 확보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비극적 현실에 의해 ‘돌’이라는 퇴행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기다림의 정서적 동력이 시 쓰기라는 수행성을 통해 발현될 수있는 것은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의 ‘돌’에 내재한 양가성인 ‘죽음-부활’에 기인한다. 즉, 돌은 ‘시 쓰기의 수행공간’으로 비극적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성스러운 장소인 성물이 되기 때문이다. 연구를 통해 추적된 ‘돌’의 상징성은 ‘거룩한 돌’로서 신화적 공간을희구하는 시 쓰기의 수행공간이며, 동양적 순환론의 깨달음이 일어나는 역설적 공간이된다. 초기 박정만 시에 나타나는 ‘돌’이라는 상징적 공간은 후기 시에서는 ‘잠, 꿈’을 거쳐 ‘산’과 ‘선(禪)’으로 변주하게 되는데, 신화적 공간의 매개적 공간인 ‘돌’로 확장되는것은 원시 신앙의 한 이미지적 특성으로 세계 중심의 축이 속세, 화자의 일상적 삶 속으로 이동하여 ‘사랑’을 발견하게 되는 변증법적 발전과정과 그 흐름을 같이하는 것이다.

      • KCI등재

        요산 김정한 질병서사 연구

        장민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 No.55

        본고는 김정한의 질병서사가 주목받지 못한 이유를 해명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김정한의 질병서사는 지금껏 흩어져 연구된 탓에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어려웠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질병을 소재로 한 다섯 편의 소설 「옥심이」, 「묵은 자장가」, 「모래톱 이야기」, 「제3 병동」, 「인간단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중 세 편은 한센병을, 두 편은 장티푸스를 소재로 한다. 해당 연구를 통해 김정한이 오랜 시간 질병에 많은 관심을 가졌음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김정한의 질병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정한의 기존 연구는 김정한의 생애와 시대상에 기대어 민족, 지역, 저항, 농민의몇 가지 키워드로 반복 연구되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한정된 주제어가 반복되던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나아가, ‘질병’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김정한소설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리라 기대한다. 질병서사에 관한 김정한의 관심을 해명하는 작업은 김정한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는 차원에서도, 문학작품 속의료인문학의 적절한 사례를 발견한다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 KCI등재

        한국 현대 노인 자살 서사와 심리부검(1) - 이태준의 「복덕방」을 중심으로

        김도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0

        Currently, in our society, various social problems are occurr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mong them, the problem of elderly suicide has become an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in our society today.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this thesis tried to find concrete ways to activate the social discourse on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the elderly by targeting literary works. Among the various genres of literature, novels broadly embody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underlying the suicide phenomenon. Therefore, in this article, I tried a psychological autopsy, which is widely used in actual cases today, focusing on Lee Tae-jun’s old-age novel 「Bokdeokbang」, which has a strong inherent specificity in our society. As a result, the main character of 「Bokdeokbang」 is a ‘chronic risk factor’ of economic poverty caused by business failure, a ‘potential risk factor’ of a timid personality, greed for money and strong obsession with success, and an ‘acute risk factor’ of real estate speculation failure, it was analyzed to have reached the extreme due to the ‘triggering stimulus event’ of excessive drinking due to depression. In addition, enhancement of a sense of belonging by strengthening positive interactions with family members, provision of a social support system to alleviate psychological pain, establishment of a social safety net against various fraudulent cases targeting the elderly, and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system against depression It was identified as a ‘suicide protection factor’ that could have prevented death. As such, the suicide risk factors and suicide protective factors derived from「Bokdeokbang」 are expected to provide resilience to the self that is in conflict in reality by enabling emotional proxy experiences for the elderly in our society. Such a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specific ways to utilize literary works as content for the prevention and healing of suicide in the elderly. 현재 우리사회에서는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 생하고 있다. 그 가운데 노인 자살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할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 학작품을 대상으로 노인 자살 예방에 관한 사회적 담론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 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문학의 다양한 장르 가운데서도 소설은 자살 현상의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사회적 양상이 폭넓게 형상화되어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우리 사 회의 특수성이 강하게 드러나 있는 이태준의 단편소설 「복덕방」을 중심으로 오늘날 실*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 2018S1A5A2A010360008) ** 동의대학교 문학인문교양학부 부교수8 『인문학연구』 제50호제 사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심리부검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복덕방」의 주인공 은 경제적 빈곤이라는 ‘만성 위험 요인’, 소심한 성격, 돈에 대한 욕망과 성공에 대한 강 한 집착 등의 ‘잠재적 위험 요인’, 부동산 투기 실패라는 ‘급성 위험 요인’, 우울증이 불러 온 과도한 음주라는 ‘촉발 자극 사건’에 의하여 극단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 족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강화로 인한 소속감 증진, 심리적 고통을 완화할 수 있는 사회 적 지지 체계 마련,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사기사건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 우 울증에 대한 보호 체계 강화 등은 주인공의 죽음을 막을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 살 보호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복덕방」에서 도출해 낸 자살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은 우리 사회의 노년층에게 정서적 대리 체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실에서 갈등하고 있 는 자아에 회복 탄력성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소설이라는 서사 장르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 자살 예방과 치유를 위한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펠레그리노를 통해 본 의료인문학

        김현수 ( Kim Hyun-su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국내 미번역된 에드먼드 펠레그리노(2008)의『의철학의 재탄생』(The philosophy of medicine reborn: a Pellegrino reader)에 대한 종합적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이 책의 제 1 편집자 엥겔하르트의 평가처럼 20세기 후반 생명윤리와 의료인문학의 출현은 펠레그리노를 떼어놓고는 이해할 수 없다. 또한 펠레그리노의 작업은 생명윤리가 의료인문학의 맥락 밖에서 이해될 수 없고 의료인문학은 의철학의 맥락 밖에서 이해될 수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헌정된 것이기도 하다. 1979년 펠레그리노의 유명한 선언 “의학은 가장 인도적 과학이며 가장 경험적 기예이고 가장 과학적 인문학입니다(Medicine is the most humane of sciences, the most empiric of arts. and the most scientific of humanities)”는 그가 인문학을 통해 의학이 과학에 방점을 두는 ‘인간 과학’이 아닌 ‘인간에 대한 과학(science of the human)’으로 재탄생하도록 그 지평을 새롭게 열어젖히겠다는 공언이었으며 이 책에는 그것의 실현을 위한 그의 연구가 온전히 담겨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of Edmund D. Pellegrino(2008)’s The philosophy of medicine reborn: a Pellegrino reader , which is not translated into Korean. Like the evaluation of the first editor of the book Engelhardt, bioethics and the medical humanities, their emergence in the latter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cannot be understood apart from Edmund D. Pellegrino. Also, Pellegrino’s work has been dedicated to showing that bioethics cannot be understood out side of the context of the medical humanities, and that the medical humanities cannot be understood outside of the context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 1979, Pellegrino declared “Medicine is the most humane of sciences, the most empiric of arts. and the most scientific of humanities”. It was a profess that he would reopen the horizon by humanities so that medicine would be reborn as ‘science of the human’ rather than ‘human science’ which focuses on science. It is full of his work for its realization in this volume.

      • KCI등재

        기획논문: 정신과 육체의 유형학-통일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 사이버 공간의 정신과 육체의 유형학-인문학적 탐색-

        정복철 ( Bok Cheol Jeo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7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실존적 조건과 인간에 대한 이해에 큰 변화가 생겼다. 특히 오늘날 몸의 시각적 표현이 다양한 범주에서 드러나고 있는데, 사이버 환경이야말로 개별적인 몸의 환경을 뛰어넘는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형태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인문학적 차원에서 사이버 공간의 정신과 육체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는 것은 실체적인 육체는 망실되고 정신만 자유롭게 떠다니는 공간으로 인식된다는 점 때문이다. 여기에서 정신만이 부유하고 있다는 것은 육체가 필요 없다는 것이 아니라 인간-몸에 대한 기존의 의미가 변화되어야 함을 요청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사이버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색은 인간-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것으로 인간 존재 및 자아 정체성의 문제와 연관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몸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는 담론들의 특징을 탐구함으로써 몸의 의미를 재해석하면서 인문학적 성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no longer justify the simple understanding on communication as well as human by itself. The visual description of body in today is viewed in various categories, and the circumstance of computers is regarded as new type of communication beyond the circumstance of individual body. Why do we study mind and body on cyberspace?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cyberspace is a virtual or imaginary space; Perhaps it has often been recognized as a liberal space of mind forgetting about the body. Then the most distinguished problem in cyberspace is incarnation of information which derives the issues on social responsibility. But we are required to reinterpret the meanings of bodies which are concerned with the definition of human, self and identity as well as human beings through the advent of cyberbodies such as artificial life. I explored the meanings of bodies through several problems concerning bodies in cyberspace. We need to understand the views of extended bodies and their meanings from physical bodies to cyberbodies. This humanistic approach of mind and body on cyberspace is useful to the harmony between real self and virtual self, the harmony among virtual selves. It is to construct identity through telling multiple selves.

      • 딥러닝을 이용한 스테레오 비전의 변위 추정 시스템

        이성욱 한국교통대학교 2021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6 No.-

        Stereo vision technology mimics the image seen with human eyes and uses images taken from two cameras to capture motion and 3D rendering,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nomous driving, photos, sports, movies, games, and animation. We want to express three-dimensional depth by extracting disparity from stereo images through deep learning. We designed a disparity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disparity using ResNet50 as the encoder of the Pyramid Stereo Matching Network.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 depth information was expressed relatively well for objects and portrait,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depth of the landscape image was not well exp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