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전이와 부모, 교사 예측요인 검증

        장희선 ( Chang¸ Hees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초등학교 4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학교적응의 잠재집단프로파일과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교사변인의 예측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자료 2008년의 초등학교 1학년(8차)과 초등학교 4학년(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잠재프로파일, 잠재전이분석 및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결과,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은 ‘낮은 적응형’, ‘중간 적응형’, ‘높은 적응형’, ‘낮은 교사적응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4학년은 ‘낮은 적응형’, ‘중간 적응형’, ‘높은 적응형’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잠재전이분석에서 1학년의 학교적응은 4학년이 되면서 잠재집단을 유지하거나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전이되어 향상된 결과를 보이지만, 낮은 적응형과 높은 적응형의 수준 차이는 보다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높은 적응형으로 전이를 높이는 가장 큰 예측요인은 초1 초2, 초3, 초4 때의 ‘부모의 학업적 관심’이었으며, 초3, 초4 때의 ‘교사 갈등’은 부적인 예측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4학년으로 성장하는 학생들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해 잠재집단 유형별 부모의 학업적 관심과 감독 및 교사-아동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chool adaption profiles of transitional students from 1st to 4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PSKC(Pannel Study of Korea Children) data, as well as the transition process of student groups and the predicted effect of parent and teacher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latent profile, latent transi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4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in 2015 and 201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s for the school adaption of the 1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group types each with 'Low Adaptation', 'Middle Adaptation', 'High Adaptation', 'Low Teacher Adaptation' respectively. But, the latent groups of the 4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group types each with 'Low Adaptation', 'Middle Adaptation', 'High Adaptation'. Second, the gap between low and high adaptation type appears to be greater, although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1st elementary school is maintained or the quality level of the school adaptation is shifting to a higher level as it reaches the 4th grade. Third, parents' academic concerns for high adaptive type were the biggest predictor tha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autonomous motivation type. and teacher conflict in 3rd and 4th grade was the negative predi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arental academic concerns, and interaction with teacher for each latent group to enhance school adaption of transitional students a the grade of elementary school goes up.

      • KCI등재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리더십 역량 모형 개발 연구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학교조직에서 교장과 교사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하는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리더 십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리더십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초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 과 행위사건면접 조사(BEI)를 실시하여 잠정모형(30개 하위역량)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와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3분야 6역량군 27하위요소의 역량모형을 개발하였 다. 개발된 부장교사 리더십역량에 대해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차이(IPA)를 살펴보았 다. 연구결과, 첫째, 부장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개인적, 관계적, 업무적 분야의 3분야에 따른 6역량군 27개 하위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개인적 분야의 역량군은 개인내적특성 역량군과 자기관리 역량군으로, 관계적 분야는 대인관계 역량군과 전략적 관리 역량군으로, 업무적 분 야는 부장 업무수행 역량군, 교수 역량군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부장교사 리더십 역량 중 관 계적 분야 역량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IPA) 매트릭스분 석결과, 중요도보다 실행도가 낮아 개선이 시급한 역량군은 대인관계역량군(설득하기), 부장업 무수행 역량군(업무분배 능력), 효과적인 교수역량군(효율적 학습환경 조성)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결과는 부장교사의 리더십역량 개발과 연수 프로그램 구성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former chief who middle management of principal, vice-principal and ordinary teachers and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former chief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In this study, it was deducted the provisional model(30 sub-capacities) through FGI and BEI with former chie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chieved excellent performance. And the leadership competence were composed 3 fields 6 capacity groups 27 elements of sub-capacities with importance average score through importance survey and factor analysis. Then, it was examined the difference of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chiefs is composed of 3 parts, so called, personal characteristic, relative and professional. Personal characteristic competency group can be divided into inner characteristic and self-management group. Relational competency part can be divided into human relations and strategic management competency. Professional part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performance as a former chief and teaching competency as a teacher. Seco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internal personal factors of chief teachers. IPA results show that human relationship(persuasion), performance(task distribution) and effective teaching(efficient learning environment making) competency need improvement. These results suggest for improving leadership competency of chief teachers and composing training program for chief teachers.

      • KCI등재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의 종단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중학교 1학년 학생(4차)부터, 중2(5차, 2015년), 중3(6차, 2016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된 4,7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학습전략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와 학습전략이 매개하는 경로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 자기효능감 초기값이 학업성취 초기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조절동기는 부적영향을 주었다. 학업성취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변화율(정적 영향)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업성취 초기값의 관계,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초기값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초기값, 변화율과 학습전략의 변화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관계 궤적을 밝힘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ing GELS(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4, 5,374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exception of self-efficiency, intrinsic modulator, learning strategy and potential growth analysis for academic achievement, all variable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ver tim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path model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regulator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statical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internal motivation gave a negative effect. The most important that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performance was the rate of change in self-efficiency which had a positive effect.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of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the rate of change of self-effic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eaching methods by brightening the trajectory of self-efficien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반사회-친사회적 딜레마 갈등 상황에서 청소년의 행동선택과 정당화 방식 대응분석 연구

        장희선(Heesun Ch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정직과 전통적 가치의 딜레마 갈등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행동선택과 정당화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 224명,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3명 등 총 4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딜레마 갈등 상황 설문조사 후, 각 변인별로 분할표를 만들고 빈도분석, 카이스퀘어분석(χ2), 대응분석을 이용하여 변인별로 그 차이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륜관계에 따라 행동선택의 차이가 나타났다. 부자관계에서 적극적 부정직 행동, 부부관계에서 소극적 부정직 행동, 장유 및 친구관계에서 정직 행동을 선택했다. 둘째, 딜레마 상황에 따라서도 행동선택에 차이가 있었다. 반사회적 상황의 경우 가족관계에서 부정직 행동을, 친구관계에서는 정직 행동을 선택하였으나, 친사회적 상황의 경우에는 친구관계에서도 소극적 부정직 행동을 선택하였다. 셋째, 오륜관계에 따라 행동선택의 정당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즉, 부자관계에서는 전통적 가치, 장유관계에서 공리주의와 자율성, 친구관계에서는 사회일치성과 자기이익, 군신관계에서 자기이익으로 정당화하였다. 넷째, 딜레마 상황에 따라 행동선택 정당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반사회적 상황의 경우 부부와 친구관계에서 공리주의로, 군신관계에서 자기이익으로 정당화하는 한편, 친사회적 상황의 경우에는 부부관계에서 전통적 가치, 친구관계에서 자기이익, 군신관계에서 사회일치성으로 정당화하는 등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은 반사회 및 친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관계에 따른 사회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행동 선택과 정당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정직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n behavior selection and justification methods between honesty and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of adolesc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a total 427 adolescents, middle and high school(second grade) students was conducted.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Correspondence Analysis conducted. The findings are; First, the subjects selected dishonest acts family relationships more often when falling under the five cardinal relationships and selected honest act in all other relationship in the dilemma situations. Second, the subjects selected dishonest acts in family relationships of the anti-social situations while honest acts in friend relationship, But they selected passive-dishonest acts in friend relationship of the pro-social situations. Third, they justified dishonest behaviors with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They justified their behavior with traditional values in father-son relationships, self-interest in friendships, utilitarianism and autonomy in other relationships. Forth, Anti-and pro-social situations made a difference in the justification of behaviors. It can lead to a new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by providing empirical resources on conflict resolution mode in dilemma situations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무기력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 차이 분석

        장희선(Heesun Chang)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4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학습무기력의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테이터(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의 학습무기력 잠재집단은 ‘학습활력형’, ‘학습평균형’, ‘학습무기력형’의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학습무기력 잠재프로파일 집단별로 부모의 양육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활력형’에서는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같은 긍정적 양육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나, ‘학습무기력형’에서는 거부, 강요, 비일관성 같은 부정적 양육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교 학생의 학습무기력 프로파일별 부모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학습무기력 잠재집단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에 관한 시사점과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atent profiles of academic helplessn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aren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latent profile groups. For this purpose Correlation, Latent profile and multivariate, un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2,590 students who responded to a survey in the 1st Period data (2018)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groups for learned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 types each with ‘vigorous learning, moderate learning moderate and learned helplessnes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a group of latent profiles of academic helplessness. The ‘learned helplessness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 lowest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le the‘vigorous learning type’has the highest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academic helplessness by checking the discriminatory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 by latent profile types of academic helplessness.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연령, 경력에 따른 성격강점과 생애목표의 차이 및 관계 연구

        장희선(Chang, Hee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9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연령, 경력에 따른 성격강점과 생애목표의 차이를 확인하고, 생애목표에 각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일원분산분석(ANOVA)과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에 따른 성격강점과 생애목표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경력이 높아질수록 성격강점요인도 높아지는 차이를 보였다. 또 경력이 낮은 집단이 물질목표를 보였고, 높을수록 명예목표와 성장목표, 여가목표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취지향목표는 용기, 지혜 정적 상관을 지식과 삶지향목표는 인간애, 절제, 경력과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용기, 정의의 성격강점이 성취지향목표에, 인간애, 절제, 정의와 경력이 삶지향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 영유아교사의 생애목표는 경력이 높아질수록 발달과업과 생활경험의 차이로 성취지향에서 삶지향목표로 변화하며, 성격강점도 지혜와 지식, 용기 강점에서 인간애, 절제의 성격강점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성격강점과 생애목표의 관계와 발달적 차이를 토대로 생애목표설정을 위한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ife goals depending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ge and care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9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 surveyed them and conducte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ife goals based on age was not significant, but as one’s career lengthened, the character strengths factor became more significant, too. Also, it was shown that the lower career group had materialistic goals while the higher career group had goals related to honor, growth and leisure. Second, achievement-oriented goa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rage and knowledge, and life-oriented goa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anity, temperance and career. Third, the character strengths of courage and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oriented goals; and humanity, temperance and career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oriented go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life goal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 KCI등재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 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4차(2015년)~6차 자료(2017년)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업스트레스와 무동기는 점차 높아지지만, 부모의 합리적 설명은 시간에 따른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무동기 초기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의 합리적 설명 초기값이고, 무동기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스트레스 변화율이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에서 무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 부모의 합리적 설명 변화율과 초기값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학업스트레스가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가 증가하는 종단적 관계에서 이를 중재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모의 합리적 설명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임을 확인하여 실천적 적용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longitudinal changes of in academic stress and amotivation as they grow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tries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4th~6th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GELS) were analyzed using a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Results First, although academic stress and amotivation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s went up, the rational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Seco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itial value of amotivation was the initial value of rational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a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ate of change in amotivation was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tress. Third, the change rate and initial value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in the path from academic stress to a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mediating factor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as a method to mediate academic stress in a relationship that affects amotiv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생애목표(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생애목표(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가 미치는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05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초등학생의 인성, 생애목표, 행복감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인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생애목표(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23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인성 및 내재적 목표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재적 목표였으며, 외재적 목표와 행복감은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인성에서 내재적 목표,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 내재적 목표에서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 인성에서 외재적 목표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외재적 목표에서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인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내재적 목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인성교육, 행복증진교육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생애목표(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와 관련된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ife goals(intrinsic goal, extrinsic goal) mediate between character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5 elementary students on fifth grade in Seou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the intrinsic goal and the extrinsic goal between character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3 was con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character, life goals and happiness were correlated, especially was related with intrinsic goal strongly, but not correlated with extrinsic goal. Second, a path from character to intrinsic goal, a path from intrinsic goal to happiness, a path character to extrinsic go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a path from extrinsic goal to happiness was not.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goal between character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expect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useful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 regard with life goal for personality education, happiness promoting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활동, 자기효능감, 부모지지가 진로결정 여부에 미치는 영향관계 탐색

        장희선 ( Chang Hees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자기효능감, 부모의 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탐색하고, 자기효능감과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현재 8개 학교유형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총 10,557명이었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진로를 결정한 학생이 학교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자기효능감, 부모지지(부모대화, 부모활동)에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이스터고 학생은 다른 유형보다 진로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래 진로결정 여부와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자기효능감, 부모지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부모의 경제적 배경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진로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이었다. 진로교육과 활동 중 ‘동아리활동’, ‘멘토특강’, ‘학과 체험’ 그리고 부모지지중 ‘부모대화’는 진로결정을 향상시키지만, ‘진로와 직업’수업, ‘현장직업체험’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을 높이기 위해 학교에서 실시되는 진로교육과 활동의 내용구성과 운영방법 그리고 가정의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experience, career competence,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confirm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by using KEEP(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557 students in total who are enrolled in the 2nd grade of 8 types’ of high schools in 2016. To do th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booth trapping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make career decisions in order to maintain their life. The most highly experienced career education activities were 'Career and occupation' classes.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make the vast majority of career decisions than any other school types. Second, there were correlation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career decision and career education & activity,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economic responsibility and career decision.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areer decision, and ‘career club’, ‘mentor’ special lecture’, ‘curriculum experience activity’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 were factors increasing career decision but 'Career and occupation' classes and ‘field experience’ were factors in reducing career deci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areer education and how to direct parent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career decision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사효능감이 인공지능기술 활용 학습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희선(Chang, Heesun),안영진(An, You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사효능감이 인공지능기술활용 학습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지역 예비유아교사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중 자기조절은 높으나, 윤리 및 규범 인식이 낮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사효능감과 인공지능기술 활용 학습 인식의 관 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 중 특성이해, 자기표현, 윤리 및 규범과 교사효능감은 인공지능기술 활용 수업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기술 활용 학습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사효능감을 활용한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and teacher self-efficiency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rticipants consisted of 2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Based on this analysis, I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dia literacy, teacher self-efficiency and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re above averag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and teacher self-efficiency, media literacy and the perception of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eacher self-efficiency and the perception of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ird, understanding attributes, self-expression, ethics and norms of the sub-factors of media-literacy and self-efficienc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y have been show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lasses. This result suggests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literacy and self- efficacy as a way to rais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