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 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4차(2015년)~6차 자료(2017년)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업스트레스와 무동기는 점차 높아지지만, 부모의 합리적 설명은 시간에 따른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무동기 초기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의 합리적 설명 초기값이고, 무동기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스트레스 변화율이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에서 무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 부모의 합리적 설명 변화율과 초기값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학업스트레스가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가 증가하는 종단적 관계에서 이를 중재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모의 합리적 설명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임을 확인하여 실천적 적용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longitudinal changes of in academic stress and amotivation as they grow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tries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4th~6th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GELS) were analyzed using a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Results First, although academic stress and amotivation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s went up, the rational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Seco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itial value of amotivation was the initial value of rational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a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ate of change in amotivation was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tress. Third, the change rate and initial value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in the path from academic stress to a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mediating factor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as a method to mediate academic stress in a relationship that affects amotivation.

      • KCI등재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동반된 가로선백색손발톱(Transverse Leukonychia)

        장희선 ( Hee Sun Chang ),한태영 ( Tae Young Han ),이현경 ( Hyun Kyung Lee ),손숙자 ( Sook Ja Son ) 대한피부과학회 201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9 No.5

        Transverse leukonychia, also termed leukonychia striata, usually occurs in association with trauma, nutritional deficiencies, exposure to toxin, and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y. It also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systemic diseases, including acute infection, myocardial infarction, lymphoma, hepatic failure, renal failure,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50-year-old woman with several months` history of nail changes presented with multiple discrete transverse white bands involving the entire width of the nail plates of her fingers. According to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she had experienced fatigue, constipation, and cold intolerance for 6 months, and antithyroid antibodies were detected before noticing these nail changes.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an autoimmune hypothyroidism. Repeated KOH microscopic examination did not demonstrate fungal infection. We diagnosed this case as transverse leukonychia associated with hypothyroidism. This case report underlines the possible association of transverse leukonychia with hypothyroidism. (Korean J Dermatol 2011;49(5):480∼482)

      • KCI등재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변화에 미치는 교사 성취압력의 영향력

        장희선 ( Heesun Chang ),이재덕 ( Jae-duck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1차~4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기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공동체 의식의 변화량에 성취압력의 변화량이 미치는 종단적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자료로 총 6,095명이었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기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교사의 성취압력에 대한 지각은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고, 초기치와 변화율은 모두 음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성취압력 초기값은 초기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초기값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성취압력의 초기값은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성취압력의 변화율은 공동체의식 변화율에 상당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성취압력과 초기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간에 인과관계를 시간적 변화에 따른 변화추이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교사의 교육적 처치와 교육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conducts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effect of change in achievement pressure on change in community spirit of early adolescents using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1st ~ 4th years)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6,095 students in the 5th grade participated in the 2013 KEL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first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at both community spirit of and recognition of achievement pressure from teachers by early adolescents show increases over time.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show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while the initial value of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doe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the initial value of early adolescents’ community spirit, the initial value of achievement pressure positively affects change in community spirit. And change in achievement pressure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change in community spiri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ime-series changes i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community spirit of early adolescents. And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eachers’educational treatment and method to cultivate community spirit of early adolescents.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 내·외재적 조절동기,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구조관계

        장희선(Chang, Hees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1 No.-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LS)의 중3(6차, 2016년), 고1(7차), 고2(8차) 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이 성장함에 따라 학습자중심교육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구조관계와 내·외재적 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중심교육, 외재적 조절동기는 시간에 따라 낮아지지만, 내재적 조절동기, 진로성숙도는 높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진로성숙도 초기값에 학습자중심교육 초기값은 정적(+), 외재적 조절동기 초기값은 부적(-) 영향을 주었다. 진로성숙도변화율에는 외재적 조절동기 변화율(-)이 부적인 영향을,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과학습자중심교육 변화율은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습자중심교육 초기값과변화율, 진로성숙도 초기값과 변화율의 관계에서 내·외재적 조절동기 초기값과 변화율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 내·외재적 조절동기,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구조관계와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위한 학습자중심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arner-centered education, intrinsic-ex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affect changes in career maturity from the 3rd grader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in GEPS (2016-2018), 6,314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learner-centered education, ex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gradually decreased as the grade goes up, from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but intrinsic motivation, career maturity showed a increasing trend over time. Second, The initial valu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but the initial value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had a negative effect. Factors influencing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have been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rate of change in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positively the rate of change in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career maturity show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order to enhance youth s career maturity with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by revealing the impact relationship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trinsic-ex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over time.

      • KCI우수등재

        학습자중심교수, 내·외재적 조절동기 및 학습전략의 종단적 구조관계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중심교수, 내재적 조절동기, 외재적 조절동기가 학습전략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4차∼6차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변화에 따른 학습자중심교수, 내재적 조절동기, 학습전략의 모든 변인은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 외재적 조절동기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잠재성장분석결과, 중학생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전략은 점차 높아지지만, 이를 제외하고, 모든 변인은 시간에 따른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셋째, 다변량잠재분석결과, 학습전략 초기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재적 조절동기 초기값이고, 학습자중심교수 초기값, 외재적 조절동기 초기값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습전략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이었으며, 학습자중심교수 초기값과 함께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학습자중심교수에서 학습전략에 이르는 경로에서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과 초기값이 가장 강력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학습자중심교수와 내․외재적 동기의 차별적 영향을 확인하여 학습자중심교수의 실천적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arner-centered teaching,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ffect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s middle school students grow. In 2014,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through third years, 4,710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extrinsic motiva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each other, but the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insic motiv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t was found that learning strategies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but other variables then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ange rate in learning strategies was the change rate in intrinsic motivation. Fourth, the inherent dynamic change rate and the initial value on the path from learner-centered teaching to a learning strategy were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mediating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to enhance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의 종단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중학교 1학년 학생(4차)부터, 중2(5차, 2015년), 중3(6차, 2016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된 4,7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학습전략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와 학습전략이 매개하는 경로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 자기효능감 초기값이 학업성취 초기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조절동기는 부적영향을 주었다. 학업성취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변화율(정적 영향)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업성취 초기값의 관계,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초기값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초기값, 변화율과 학습전략의 변화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관계 궤적을 밝힘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ing GELS(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4, 5,374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exception of self-efficiency, intrinsic modulator, learning strategy and potential growth analysis for academic achievement, all variable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ver tim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path model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regulator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statical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internal motivation gave a negative effect. The most important that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performance was the rate of change in self-efficiency which had a positive effect.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of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the rate of change of self-effic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eaching methods by brightening the trajectory of self-efficien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우수등재

        초등학생 집행기능곤란의 변화궤적 및 특성과 예측요인 : 성격유형, 미디어기기 중독 차이분석과 부모요인 예측요인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집행기능곤란의 시간적 변화궤적을 분석하고, 잠재계층 유형별 성격유형과 미디어기기 중독에서 특성 차이와 부모요인의 예측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자료 2015년 초등학교 1학년(8차)부터 4학년(11차)의 종단자료와 5학년(12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성장혼합모형(GMM), 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 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집행기능곤란 위험형’, ‘집행기능곤란 저수준형’, ‘집행기능곤란 악화형’ 3개의 이질적인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행기능곤란 저수준형’의 경우 친화성, 개방성 성격이 높게 나타났으나, ‘집행기능곤란 위험형’과 ‘집행기능곤란 악화형’의 경우 신경성 성격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집행기능곤란 악화형’은 미디어기기 중독도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집행기능곤란 변화궤적 잠재집단 유형구분에서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은 ‘잠재집단곤란 위험형’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예측요인이었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 변화궤적은 이질적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에 따른 특성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모의 부정적 심리적 상태에 대한 지원을 통해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 중재 방안에 시사하는 바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trajectorie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first- through fourth-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data, as well as characteristic differences by groups and predicted outcom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OVA, growth mixed model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al analysis were used with data from 1,4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s for the change trajectorie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first- through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risk of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low-level type of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and exacerbated type of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Second, the low-level type showed high affinity and open personality, but the at-risk type and exacerbated type showed high neurotic personality. Especially, the exacerbated type experienced high media addiction. Third, as factors predicting the latent group type of the change trajectory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tress from the parenting of mothers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mediation of execution function difficul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upport for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of the mother.

      • KCI등재

        인성과 행복의 통합 교육프로그램 수강과 실행을 통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질적 연구

        장희선(Chang, Heesun),안영진(Aan, Young-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3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들이 인성과 행복의 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수강 후, 영유아 교육 기관에서 인성과 행복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함으로써 영유아교사들의 영유아 인성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들은 인성과 행복의 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영유아의 배려 · 약속 · 정직 등의 인성 덕목 행동개선과 행복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을 8차시 이상에 걸쳐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후 영유아 인성과 행복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 실행 전과 실행 후 영유아 교사의 인식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성찰일지, 교수-학습지도안, 개별면담, 전문가협의회(FGI) 등을 통해 모은 자료를 코딩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에게 내재적 동기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들은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실행하면서 일어난 영유아의 인성과 행복감의 변화가 교사 자신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선순환 구조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에게서 교육전문성향상에 대한 자율적 적극성이 나타났다. 영유아교육현장에서 기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적용하였고, 인성과 행복교육방법 및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영유아교사들과 영유아들의 가정 및 교육관계자와 공동체의식이 함양되었다. 즉, 영유아인성과 행복의 통합적 교육에 대해 영유아들이 인성과 행복의 방향과 가치를 바르게 이해하게 해주고, 일관성 있는 교육이 지속될 수 있는 영유아 교육기관과 가정 공동체의 상호보완적인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영유아 인성과 행복교육을 실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영유아교사의 인성과 행복의 변화뿐아니라 교육기관, 가정의 공동체적 협동적 지원이 동시에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apply a character and happines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t the institution that they served and to implement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haracter such as care, promise, honesty, and happiness.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character and happines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children’s character and happiness had an effect on teachers’ happiness, which was a virtuous circle. Second, teachers reconstructed exist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erceiv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al methodology and materials for character and happiness. Third, teachers perceiv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home environment encouraged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values of character and happiness correctly, and that consistent education is need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needs to be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educate young children on character and happiness more meaningful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장희선(Chang Hee-Sun),지옥정(Ji Ok-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타당도 검증을 거친 지옥정?장희선(2010)의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교사 핵심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관해 교육을 받고 충청권 전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프로젝트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300명에게 지옥정 외(2010)에 근거하여 작성된 핵심 역량에 관한 설문지를 보냈으며, 이중 178명의 자료를 가지고 프로젝트 지도 기간에 따른 중요도 인식, 수행도 인식, 중요도-수행도 인식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로젝트 지도 기간이 길수록 ‘프로젝트 중 수업일지 기록을 통한 수업 과정 분석 평가’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지도기간 2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전체 핵심역량에 대한 수행도 인식도 가장 높았다. 흥미로운 점은 ‘프로젝트 학습 본질에 대한 이해’, ‘프로젝트 진행과정 및 절차에 관한 지식’ ‘학습자의 내적 동기 유발‘ 역량의 경우, 1년 미만 교사 집단보다 1년 ~ 2년 미만의 교사 집단이 오히려 낮게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점이다. 셋째, 전 집단에서, 15개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높으나 수행도 인식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교수자료 개발’ 역량의 중요도 - 수행도 인식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교사 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e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roject teaching period(less 1 year, 1 year~2 year, over 2 years) about ‘the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effective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by Okjong Ji & Heesun Chang(2010) which was done a verification of validity.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based on ‘core competency’ was sent to 300 teachers in Chungchong province who had an in-service education at least 10 hours about the project approach, Among them, 178 teachers' questionnaire were analysed for the impotance recognition and the performance recognition and the gap of two recognitions according to project teaching perio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more project teaching period is long, the higher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aching process through documentation of teaching diary during the project’ among the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over 2 years group is most high. In here,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1~2 year group is lower than less 1 year group to the ‘an understanding about the essence of project’ ‘a knowledge about the procedure and process of project’ ‘an arousal of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ird, The score of the importance recognition of all groups totally was higher rather than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recognition. Especially the gap of impota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recognition abou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most high among the 15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리더십 역량 모형 개발 연구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학교조직에서 교장과 교사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하는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리더 십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리더십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초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 과 행위사건면접 조사(BEI)를 실시하여 잠정모형(30개 하위역량)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와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3분야 6역량군 27하위요소의 역량모형을 개발하였 다. 개발된 부장교사 리더십역량에 대해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차이(IPA)를 살펴보았 다. 연구결과, 첫째, 부장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개인적, 관계적, 업무적 분야의 3분야에 따른 6역량군 27개 하위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개인적 분야의 역량군은 개인내적특성 역량군과 자기관리 역량군으로, 관계적 분야는 대인관계 역량군과 전략적 관리 역량군으로, 업무적 분 야는 부장 업무수행 역량군, 교수 역량군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부장교사 리더십 역량 중 관 계적 분야 역량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IPA) 매트릭스분 석결과, 중요도보다 실행도가 낮아 개선이 시급한 역량군은 대인관계역량군(설득하기), 부장업 무수행 역량군(업무분배 능력), 효과적인 교수역량군(효율적 학습환경 조성)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결과는 부장교사의 리더십역량 개발과 연수 프로그램 구성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former chief who middle management of principal, vice-principal and ordinary teachers and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former chief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In this study, it was deducted the provisional model(30 sub-capacities) through FGI and BEI with former chie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chieved excellent performance. And the leadership competence were composed 3 fields 6 capacity groups 27 elements of sub-capacities with importance average score through importance survey and factor analysis. Then, it was examined the difference of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chiefs is composed of 3 parts, so called, personal characteristic, relative and professional. Personal characteristic competency group can be divided into inner characteristic and self-management group. Relational competency part can be divided into human relations and strategic management competency. Professional part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performance as a former chief and teaching competency as a teacher. Seco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internal personal factors of chief teachers. IPA results show that human relationship(persuasion), performance(task distribution) and effective teaching(efficient learning environment making) competency need improvement. These results suggest for improving leadership competency of chief teachers and composing training program for chie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