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정주 중기시의 도상적 이해

        장인수 ( In Su Jang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서정주 중기시에는 ‘이성적 구조’를 결한 듯한 비약적이고 초월적인 모티프들이 패턴화하여 등장한다. 그것들은 불교나 서민적 생활에서 찾아낸 것들로서 도상성을 띤다. 이러한 경향은 흔히 ‘동양적 지향’으로 지적되곤 하지만, 그의 시 속에서 그 모티프들은 아방가르드 풍으로 배치되고 있다. 서정주는 자신의 불교적 은유에 대한 비교항으로 초현실주의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 기저에는 김환기와의 교류도 하나의 변인으로 깔려 있다. 김환기는 스스로 조선자기와 같은 한국적인 것과 지극히 서구적인 추상미술을 결합하고자 한 작가다. 김환기는 서정주의 시를 프랑스에 소개하려다가 실패한다. 김환기는 서정주에게 세계 보편성에 대해 다시 생각할 계기를 마련해준 존재다. 서정주가 세계종교 불교에서 그 교리보다 ‘도상적인 비유’를 추출한 것은 도상이야말로 관습을 넘어선 보편성을 띤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한편 『 동천 』 에 이르는 이 과정은 그가 자신의 분열증을 시적으로 승화해가는 과정과도 겹친다. 그 분열증적 증상들은 그의 창작에도 흔적을 남긴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하늘’은 그의 분열증 증상에 있어서도 자주 언급된다. 그는 그의 질환을 시적 장면으로 승화시킨다. 그 결과 ‘하늘’에 여러 오브제들이 배치되는 특유의 반추상적 공간이 출현하게 된다. Seo Jeong-ju`s poems was criticized for the lack of ‘rational structure’ by Kim Jong-gil in 1964. The peculiarity of his poetic motifs was summarizing statements and logical jumps. It came from the buddhist way of thinking. And the buddhist metaphor gradually took a ply of having the iconicity. This trend was often regarded as the oriental thing. But it is far from the truth. His motifs was arranged in the Avant-garde style. He made a comparison between western surrealism and his buddhist metaphor. This suggestion recieved from Kim Whan-ki, a semi-abstract painter. Kim Whan-ki wanted to combine the Korean material with the semi-abstract expression. Kim Whan-ki reminded him of the universality. Seo Jeong-ju realized that the icon was some universality already built in. He used not the buddhist doctrine, but the buddhist icon. His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was contributed to this poetical change. He wanted to sublimate his mental disease in art. Consequently he could complete the semi-abstract vision of the sky.

      • KCI등재

        구법(灸法)과 intense pulsed light(IPL)의 특성 비교 및 광선구(光線灸)의 한방임상(韓方臨床) 활용(活用)

        장인수,선승호,남동현,금수연,서형식,Jang, In-Soo,Sun, Seung-Ho,Nam, Dong-Hyun,Kum, Su-Eun,Seo, Hyung-Sik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3 No.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inciples between moxibustion and the 'Intense pulsed light (IPL)'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photo-moxa for the Korean medicine fields. Methods : The characteristics of moxibustion, IPL, parabolic reflector moxa and the dermatology surgical use of moxibustion were reviewed in the literature. Results : IPL is one type of light treatments that is employed by radiating the short-pulse wave, which is transformed from the light of high intensity. There has been used parabolic reflector in Asia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this hand-held device used for moxibustion in traditional medicine. Moxibustion is one of the treatment tools in Korean medicine using the heat energy. The fluence or energy density of IPL in clinical circumstances is similar to parabolic reflector moxa of moxibustion. IPL and parabolic reflector moxa shared same treatment principle employing the heat energy. Therefore IPL could apply for many indications in Korean medicine as a moxibustion tool and acupuncture. Conclusions: IPL may be plausible to be a fascinate method in phototherapy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일반논문 : 노리타케 가즈오(則武三雄)와 식민지 조선의 문단

        장인수 ( in s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노리타케 가즈오(則武三雄)는 조선총독부에서 일하면서 1940년대 식민지 조선의 문단에서 활동한 일본의 시인이다. 다나카 히데미쓰의 「취한배」에서 그려지듯 그는 사상적으로는 사회주의에서 전향한 낭만적 성격의 인물이었다. 그는 자비출판으로 『압록강』이라는 문집을 상재하기도 했다. 당시 사토 기요시, 가라시마 다케시 등 경성제대를 중심으로 한 학맥에서 제외 되어 있던 그는 경성의 문인사회에서 주변부에 속했다. 그 점이 오히려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과의 교류를 용이하게 했다. 그는 『국민문학』과 『조광』등에 발표한 리뷰를 통해 많은 조선인 작가들과 그 작품들에 대해 논했다. 조선인 작가들에게 그는 일본어로 작품 활동할 것을 권했는데, 그것은 언어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전시하에서 일본어로라도 쓰는 것이 낫다고 본 것이다. 그것은 김사량, 김소운 등의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전시체제 하에서 그는 조선문인보국회의 간사가 되었지만, 국책에 호응하기보다는 전쟁에 대해 회의하는 시를 쓰고, 자신의 서정성을 지켜가려고 했다. 그의 산문에서 우리는 체제에 동원된 식민지 문인들의 표정을, 그의 시에서는 식민지에 온 일본인 작가의 자의식과 조선 문인들에 대한 호의적 시선을 엿볼 수 있다. Noritake Kazuo[則武三雄] was an employe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he was also a Japanese poet who was very active during his stay in colonial Joseon, especially 1940s. Tanaka Hidemishu[田中英光] described Noritake as a romantic convert in his fiction, "the drunken boat". Noritake published the book of his works at his own expense. The book was to do with the Yalu[鴨綠江]. He was an outsider in the Gyeongseong`s literary world. At that time, the literary world was controlled by the elite who graduated from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pso facto, he could become confidential with colonial writers and poets. He often commented on their works in his critical reviews that were reported in the National Literature and in the Light of Joseon. He often advised them to work in Japanese, not Korean. He believed that was naughty but nice in the war-time. In fact, Gim Sa-ryang thought so too. In 1943, he became an assistant administrator of the Joseon Writer`s National Patriotic Association, but he was not a warmonger. He gave skeptical responses about the war in his poems. He wanted to keep his lyricism. We can find the colonial writer`s look in his proses, and see the division between the member of the empire and the lyrical poet of the homeland in his poems.

      • KCI등재

        일반논문 : 제국의 절취된 공공성 - 베를린올림픽 행사 "시"와 일장기 말소 사건

        장인수 ( In Su Ja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은 일본 국가대표로 출전해 우승한다. 그것을 기념하여 사이조 야소(西條八十)는 『요미우리신문』에 <우리의 영웅!>(我等の英雄)이라고 하는 행사시를 게재한다. 그 시에서 사이조 야소는 손기정의 승리를 ‘우리(일본인)의 승리’로 규정하면서 ‘내선일체의 사상’과 일본의 국가주의를 현창한다. 손기정의 쾌거는 식민지 조선에서도 신문·라디오 등의 미디어를 통해서 빠르게 전파된다. 『조선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각각 심훈, 서항석의 기념시를 게재한다. 기념시에서 그들은 손기정의 승리를 ‘민족의 승리’로 바라보면서 감격한다. 그들은 ‘고토’, ‘조국’, ‘옛조선’과 같이 제국에 의해 금지된 기호들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민족의 공적 감각을 고양시키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민족적 감격과 흥분 상태는 양 신문사의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이어진다. 그 사건으로 인해 양 신문사는 폐간되거나 무기한 정간되고, 많은 관련 자들이 고초를 겪는다. ‘비국민적인 태도’가 문제시되었으나, 그 사건은 사실 일본 저널리즘의 사진 이미지를 훼손하여 그 저작권을 침해한 사건일 따름이었다. 심훈과 서항석의 시가 제국의 메시지를 절취하여 국가가 없는 식민지적인 질곡의 상태에서 공적 감각을 단련시킨 사건이었다면, ‘일장기 말소 사건’은 그연장선상에서 제국의 시각적 이미지를 절취하고 제국의 공공성을 교란시킨 사건이었다. Son Gi-Jeong raced for the Japan team and won the marathon race at the 1936 Berlin olympics. To commemorate it, Saijo Yaso[西條八十] wrote an occasional poem, "Our hero" in the Yomiuri Shimbun. In "our Hero", Saijo declared Son``s win in a victory for ``our Japan``, and propagated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are one`` as a result. Son``s heroic achievement was rapid dissemination through the media in the colonial Chosun. Sim Hun``s occasional poem was posted on the Chosun Jungang Ilbo, and Seo Hang-seok``s poem was posted on the Dong-A Ilbo. In their poems, they have so much excitement in Son``s victory defined as a people``s victory. They inspire public sense of the race citing the banned symbols by the Empire. This nationalistic fever brought about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The incident has led two newspapers are shut down or indefinitely be suspension, and many people involved in had difficulties. The authorities brought their unpatriotic attitudes into question, but the essence of the incident was Japanese newspaper picture of a copyright violation. Shim and Seo trained public senses that had been the case in colonial state``s ordeal in their occasional poems by cutting messages of the empire. And then an extension of it,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was an incident which disrupts the publicity of the empire by cutting images of the empire.

      • KCI등재

        실추된 남성 사회와 결여가 있는 여성 -심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su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8 No.-

        심훈 소설에는 남성 사회의 실추와 여성의 성장이 그려져 있다. 그의 소설에서 남성들은 근대 권력에서 배제되고 남성성을 박탈당한 모습으로 재현된다. 그들은 `에로청년`이 되거나 `금욕주의자`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에로청년`들은 자신들을 남성으로서 승인해줄 근대 여성을 찾아 헤매며 호색한이 되어간다. `금욕주의자`들이 남자로 승인 받기 위해서는 독립운동의 본산인 `상해`로의 탈출이 전제되어야 했다. 그들은 세대재생산을 위한다는 합리화를 거쳐 혼인에 이르거나, `군복`의 힘을 빌려 비로소 남성이 된다. 식민지 조선의 실추된 남성 사회는 심훈 소설에서 여성혐오와 관음증적 시선에 의해 구조적으로 떠받혀진다. 심훈은 신여성을 혐오와 관음증적 감시 속에 방치해둠으로써 여성을 상대화하고 겨우 남성 사회의 실추를 만회하는 전략을 취한다. 기본적으로 심훈의 소설들은 남성 중심적이다. 그러나 그가 여성들의 성장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그것은 건실한 운동가로서의 남성들 역시 `운동` 속에 있는 한 일제의 탄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과, 남성들의 `운동`이 이론 투쟁으로 경화되고 내부적으로 분열되어 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심훈은 제국의 지배가 미치지 않는 공동체에 대한 노스탤지어 속에서 `연대`로서의 사회가 가능한 지점을 모색한다. 그는 여성들 사이의 친밀감에서 `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그는 이상적인 여성으로 `결여가 있는 인물`들을 내세운다. `추녀(醜女)`는 그 대표적인 예다. 그녀들은 남성처럼 일을 하며, 심지어 여성처럼 보이지도 않을 정도이다. 그녀들은 외로운 존재들이며, 그 때문에 더더욱 끈끈한 연대, 공동체를 희구한다. 심훈 소설에서 `국가`가 `고향`으로 대체되었다고 한다면, `여성` 역시 결여된 형상으로 남성을 대신한다. Shim Hun described the loss of male society and the lack of women in his own novels. In his novels the man were excluded from political power, and they did not have the manhood sufficiently. They became the erotic boy, or the stoic. The erotic boy combed the road for the modern girl. They wanted to be a real man through the approval of their modern lovers. The stoic also wanted to a real man. They had to go to `Shanghai` that could be a real man, because there were the political space to them. They had their shar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could be a real man through the marriage or the enlistment. In the course Shim hun depended on the misogyny and the structure of voyeurism. Basically his novels were a malecentered narrative. But it`s also true that he treated the formation of the female importantly. To describe the social adventure of the man was too difficult in the colonial era. And the man`s social movement went to increasingly rigid. So Shim Hun tried to find the new possibility in the woman`s solidarity, not the man`s movement. He took in the intimacy of women. He believed that it was more important than a theorical dispute. He found the ugly woman. The ugly woman were an ideal character for him. For them, there was lack. What was worse, they were not look like women. They worked like the man. They were lonely people. And then they desired the sticky solidarity. If the state was substituted by the home town in Shim hun`s novels, the man was substituted by the lack of women.

      • KCI등재

        현대문학 : 구자운 시의 상징과 그 변모 과정

        장인수 ( In Su Jang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9

        구자운 시의 문학사적 의의는 대부분 1950년대 그가 썼던 도자기 시에서 해명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1960년대 그의 시에 나타난 사회적 관심과 실존적 절망, 세계 보편성의 확보에 대한 관심은 소홀히 다루어졌다. 구자운의 시 세계를 통시적으로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상징법`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그의 분신으로서 도자기, 실솔, 바다, 목애 등을 내세우는 독특한 상징법을 활용했다. 1950년대의 도자기 상징은 그가 『현대문학』의 전통주의 펌핑 메커니즘의 영향 속에서, 그리고 자신의 신체적 불구에 대한 보상 심리에서 만들어낸 것이다. 4·19 이후 그는 `60년대사화집` 동인에 가담하면서 전통주의 노선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정치적·실존적 자유에 대해 노래했다. 그 과정에서 실솔, 바다 등의 상징을 만들어냈다. 1960년대 그는 시적 이상과 현실적 가난 사이에서 매우 힘들어했다. 그는 여대생 목애와의 연애를 통해 예술적 구원을 찾는다든지 다솔사에 머물면서 종교적 구원을 찾는다든지 했다. 비록 그 시도들이 현실도피적인 데로 흐른 탓에 모두 실패하고 말았지만, 그의 `상징법`은 한국시나 동양시를 넘어서 세계 보편성을 획득하기 위한 일관성 있는 고투의 산물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구자운의 사후 출간된 전집은 그의 유고 발굴을 통해 그가 다시 동양시로 회귀하고 있는 듯한 오해를 널리 퍼뜨렸다. 사실 만년의 구자운은 동양적인 시들을 여전히 서랍 속에 묵혀둔 채 죽음의식을 담은 시들을 발표했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의 구조적 의미는 미구에 닥칠 절대적 불행에 비추어서만 현재적 삶의 가치를 찾아내는 우울증적 전치에서 찾을 수 있다. 도자기 시들이 불구에 대한 보상 심리에서 나온 일종의 우울증적 산물이었던 것과도 일맥상통하는 구조이다. To understand diachronically about Gu Ja-wun`s poetry, we need to have concern for his poetical symbols. He had a keen interest in the poetical symbol. For example he made use of ceramics, cricket, sea, girl. His symbol of ceramics in 1950s` had made by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ism that had represented by pumping mechanism of Contemporary Literature, and under the compensation for his physical disability. After 4·19 he got out of the traditionalism, and he participated in 1960s` Anthology. Through the symbol of cricket and sea, he sung the political freedom and the existential freedom at that time. In 1960s` his soul was filled with suffering because of poverty. He made a desperate attempt to find the redemption in love with the young girl, Mok-ae, or in conversion into Buddhism. Even though he failed in his attempts, his poetical method of symbol deserve admiration. Because it was the product of his consistent efforts to get the universality over the Korean poetry and oriental poetry. Gu Ja-wun`s posthumous complete-works gave currency to misunderstanding that he had wanted to come back to the oriental vision in his beginning period by discovering unknown poems in his drawer. But, in fact he did not want to return to his oriental poetry. On the contrary he published the new pieces of work on death, the posthumous work had remained in his drawer. The structural meaning of the death-awareness in his later poetry had found in the melancholiac displacement that he had not found the worthy of the present life as long as he had left a matter out of account about the absolute unhappy.

      • KCI등재

        식민지 건축의 이데올로기와 경성(京城)의 기억

        장인수 ( Jang In-su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 건축을 통해 경성의 기억을 재구하고, 식민지 건축의 이데올로기를 해명하는 데 있다. 식민지 건축은 모두 지배자의 이데올로기를 체현한 아키텍처라는 점, 그자체로 지배자의 이데올로기를 피식민자들에게 전파하는 미디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은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제는 낡고 허물어져가는 조선적인 것과 새롭고 견고한 식민지 근대 건축을 대비함으로써 식민 지배를 ‘시혜적인 통치’로 미화하고자 했다. 조선신궁은 그와 같은 지배를 정신적인 방면에까지 확대함으로써 ‘지배의 영속화’를 꾀한 것이었다.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은 식민지 건축에 내재한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를 의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경성의 외관에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그것을 착잡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김광균은 조선호텔이 있는 하세가와초에 내리는 눈이 도시의 경관을 하얗게 지우는 모습에서 노스탤지어에 휩싸였고, 박태원은 경성부청과 덕수궁을 비교하면서 식민지 근대의 불완전성에 낙담했다. 김광균이 <장곡천정에 오는 눈>을 개작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피상적인 스케치로 만든 데비해,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서 박태원은 배회를 거듭하면서 그 현실 인식의 깊이를 더해갔다. 한편 최재서는 조선신궁에 대한 묘사로 그의 첫 일본어 소설 <보도연습반>을 시작했다. 그것은 그대로 국책 협력의 길로 나아가기 위한 일종의 이니시에이션이었다. 경성에 대한 기억은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뿐 아니라 재조 일본인의 시선까지를 아우를 때 더 진면목에 다가갈 수 있다. <취한 배>에서 재조 일본인 소설가 다나카 히데미쓰는 경성의 풍경을 여러 식민지 건축과 뒷골목의 소음 들로 생동감 있게 형상화했다. 그는 태평양전쟁 종전 후 비판적인 관점에서 식민지 수도 경성의 식민성을 폭로하고, 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야유를 보냈다. 식민지 건축은 경성의 기억을 그대로 담고 있다. 그것의 중개 없이 우리가 식민지 근대의 현실에 다가갈 수 없다는 것은 쉽게 간과되곤 한다. 우리는 어두웠던 일제시기를 잊고 싶어한다. 그러나 어둡고 불행한 역사도 우리의 역사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식민지 건축을 보존하고 그 건축의 역사를 기억하는 것은 후대 사람들의 몫이다. Around 1925 the landscape of Kyeong-Seong[京城] has changed considerably. In this time the architecture of important colonial institutions were completed. And they became the land mark in Kyeong-Seo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rame the memory of Kyeong-Seong through the colonial architecture, and the other purpose is to clarify the ideology of the colonial architecture. The colonial architecture embodied the ideology of the ruler. And it has also played a role in mediating between the ruler and the colonial people. As you can see Mitamanohuyu[恩賴, 1937] the japanese ruler tended to glamorize colonial domination. They contrasted the crumbling palace of choseon[朝鮮] and the solid colonial architecture. They were modern transplanter. Nevertheless their objective was an economic exploitation, they wanted to say that the modern was the dispensation of the empire. They wanted to extend the ruling of the spirit of the area. Choseon Jingu[朝鮮神宮] was the symbolic device for a permanent ruling of colonial choseon. The writer of the colonial choseon knew the ideology of the ruler that was inherent in the colonial architecture. Despite interested in urban landscape, they looked at it with eyes of mixed emotions, or they turned away from it. In the white snow that erases a landscape of Choseon Hotel, Kim Kwang-Kyun was consumed by emotion. After comparing the Kyeong-Seong city hall and Teoksu-Palace, Park Tae-Won was disappointed in colonial reality. Kim Kwang-Kyun turned the sentimental landscape superficial sketch in the course of an adaptation. But through the constant wandering, the depth of Park Tae-Won``s perception about the colonial reality increased. Meanwhile Choi Je-Seo started his first japanese fiction through describing Choseon Jingu. It was a kind of initiation for him to go down the path of pro-japanese. After the second world war, Tanaka Hidemisu[田中英光] also recalled the memories in Kyeong-Seong. He described more freely about colonial architecture. He disclosed the coloniality of Kyeong-Seong, and jeered the ruling ideology of the empire.

      • KCI등재

        우주의 변전과 생명의 이어짐, 감사와 기도의 노래 -김구용의 ‘아리랑 삼부작’을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su )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78 No.-

        김구용은 평생 ‘들리지 않는 노래’라는 주제에 전념한다. 그것은 전후의 피폐한 현실, 삶과 죽음이 끝없이 순환하는 우주, 인생 그 자체를 의미한다. 그는 그것을 「곡」, 「송」, 「거」 ‘아리랑 삼부작’으로 구현한다. 이 ‘삼부작’은 동학사의 삼존불에서 그가 착안한 것으로서 각각 과거, 현재, 미래에 대응한다. 그래서 각각 개별성을 띠면서도 삼존불이 한 장소에 거하는 것처럼 ‘하나의 노래’로서 영겁을 표현한다. 「곡」은 전후의 피폐한 현실과 혼란상을 다성적 형식으로 보여준다. 이 연작에서 그는 사회적 아노미를 극복하고 무너진 삶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동시대의 모든 삶은 서로 이어져 있다. 그는 무아와 불이의 몰개성적 방법을 통해 ‘나’를 벗어나고 선악의 도덕관념마저 넘어선다. 삶을 이어가려면 서로가 도우며 사는 수밖에 없다. 「송」은 음양오행을 관찰함으로써 생명의 지속성, 혹은 영원성을 깨닫는 노래이다. 오행이 서로 관계를 맺는 것이 음양이며, 음양은 부단히 서로의 위치를 바꾼다. 길흉과 성쇠는 쉼 없이 변한다. 그 속에서 음양은 생명을 낳고 기른다. 거기에 번뇌가 따를 수밖에 없으나, 그것이 이 우주에서의 삶이다. 「거」는 ‘집’의 계열체가 ‘세계’로 확산하는 구조를 띤다. 가족을 사랑하듯이 다른 사람을 사랑하면 세계가 모두 편안하다. 「거」는 그 대자대비한 우주 원리에 대한 감사이자 기원의 노래이다. 이 ‘삼부작’의 주제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안으로 어진 마음을 기르고, 바깥으로 서로 도우라는 것이다. 김구용은 20세기 최후의 문사이자 유·불·선을 아우르는 동양 사상가였다. 그가 걱정한 것은 우리 민족이 끝내 화합을 이루지 못하고, 다시 전쟁을 겪는 일인지 모른다. 그는 감사와 기도의 노래를 후대가 이어 부름으로써 민족 화해의 장을 마련하기를 바란다. 그의 시는 평생에 걸쳐 쓴 단 하나의 ‘장대한 당부’로 후손에게 이르고 있다. 그의 시는 그 역사적 가치를 논하기가 버거울 정도로 이미 단순한 문학을 넘어선다. Kim Gu-yong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theme of "Songs that can't hear." It means the impoverished reality of the postwar era, the universe in which life and death circulate endlessly, and life itself. He embodies it in the "Arirang Trilogy". This trilogy was conceived by him in the three Buddha statues of Donghaksa Temple and corresponds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espectively. Therefore, while each has individuality, it embodies eternity as a "single song" as if the three Buddha statues live in one place. "Song"[曲] shows the impoverished reality and confusion of the postwar period in a multidisciplinary form. In this series, he focuses on overcoming social animosity and restoring a broken life. All life at the same time is interconnected. He gets out of 'I' through the way of neoclassicalism, and goes beyond the moral notion of good and evil. In order to continue our lives, we have no choice but to help each other. "Ode to Song"[頌] is a song that realizes the continuity or eternity of life by observing the five elements. It is yin and yang that the five elements relate to each other, and yin and yang constantly change their positions. The ups and downs of fortune change endlessly. In it, yin and yang give birth to and nurture life. There is no choice but to suffer, but that is life in this universe. "Live"[居]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amily of "house" spreads to "the world." If you love others as much as you love your family, the world will be comfortable. "Live" is a song of prayer and gratitude for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prepared for its greatness. Summarizing the theme of this trilogy in one word, it is close to 'virtue'[仁]. Kim Gu-yong was the last classical scholar of the 20th century and an oriental thinker encompassing Confucian, Buddhist, and Zen. What he was worried about was that our people would not be able to achieve harmony at the end and go back to war. He hopes that future generations will sing songs of thanks and prayers to pave the way for national reconciliation. His poems reach his descendants with only one "great request" he wrote throughout his life. His poems are already beyond mere literature, beyond which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ir historical value.

      • KCI등재

        이헌구와 와세다대학교 문학부 교양주의 -교양, 대중, 엘리트주의

        장인수 ( In S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일본에서 근대 대학 교육의 체계가 안착되고 다이쇼 교양주의의 유행과 마르크시즘의 유행이 교차하는 1920년대 중후반에 이헌구가 와세다대학교 문학부를 다녔다는 것은 그의 문학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당시 일본의 대학 문학부는 입신출세주의에 지각한 청년들이 오히려 속물적인 입신출세주의를 비웃으면서 학문탐구에 매진했던 교양주의의 기풍이 아직 남아 있었다. 더구나 식민지 조선의 지식 청년들의 경우는 사회적 진출의 폭이 더 좁았기 때문에 교양주의로의 유인이 더 강했다. 와세다대학교 불문학과에서 이헌구는 스승 사이조 야소를 만나고, 아동문학, 시, 신극으로 이어지는 사이조의 전문 영역을 자신의 관심사로 내면화한다. 사이조 야소의 대중 문화계에서의 활약을 지켜본 이헌구는 대중 확보에 대한 갈증을 갖게 된다. 한편 독문학을 전공했던 김진섭이 그 전공 특유의 철학적 분위기로 인해 에세이스트의 길을 간반면, 불문학을 전공했던 이헌구는 프랑스의 계몽사상, 일본의 민본주의를 접하고 문학에 대한 열망을 근대국민국가에 대한 열망으로 혼동하게 된다. 정치사상에 대한 이헌구의 관심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공부로 이어져, 그 마르크스주의적인 교양지를 토대로 나중에 임화와의 논쟁에 나아가게 된다. 그러나 이헌구의 마르크스주의적 교양은 안막과는 달리 매우 엘리트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다. 신극운동에서 보여준 이헌구의 대중 확보에 대한 열망은 그 엘리트주의의 연장선에 있었기 때문에 결국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이헌구는 문학이라는 ``무해한`` 카테고리를 전문화하고, 그것을 근대국민국가와 이어져 있는 것으로 상상해버림으로써 스스로를 고고한 아웃사이더로 자리매김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고 스스로를 위안할 수 있었다. Lee Heon Gu attended Waseda University in the late 1920s. During that time in Japan, the university had an education system. And that time was a dynamic age that crossed Daishyo Kyou-you-shyu-gi[敎養主義] and Marxism vogue. The student who studied in faculty of literature studied hard their own major regardless of successful career. Furthermore this applied with special force in the cas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 class because of social restriction assigned. Lee met Saijyo Yaso in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Lee internalized a spectrum of Saijyo`s interests, in other words the children`s literature, the poetry, the modern play. Lee witnessed Saijyo`s success in the area of pop culture. Lee wanted to emulate Saijyo. On the other hand Kim Jin Sub who had studied the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has chased a career in an essayist, Lee has got interested in the philosophy of French enlightenment and Japanese democracy, But Lee mistook passions of the literature for passions of the nation-state. His interest on the politics got connected to study of Marxism. When he had an argument with Lim Hwa, he invoked Marxism to attack Lim, a famouse Marxist. But in a fashion quite different from Ahn Mak, Lee`s Marxism knowledge was the product of the elitism. Lee`s passions of public interest that had revealed in the area of the modern play movement could not help but frustration, because his passions were the product of elitism, Lee specialized the study of literature that was a harmless category, and they mistook it for passions of the nation-state. By so doing they wished that they became lone outsiders. By so doing they wanted to get to feel comfor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