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장용언 ( Jang Yong Eun ),황명주 ( Hwang Myoung Ju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에서 10월에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 2개 대학교 25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와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취업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부적(nega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자아존중감 수준이 나빠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posi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나빠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감소와 정신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mental health,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e analysis a data from 256 participants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research effectiveness.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Second, whe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Third, it was found tha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the mediating factor of mental health was found to have all-mediated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provide effective suggestions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 practical social work interventions.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장용언 ( Jang¸ Yong E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2년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75명으로 이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대인관계기술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기술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기술 향상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Participants analyzed data of 375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ver.2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Second,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Third, in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were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skill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장용언(Jang, Yong Eu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서울시 지역자활센터 7개소의 자활사업 참여자 27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 결과분석에는 271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조사대상 자활사업 참여자 중 158명(59.8%)가 우울 진단이 의심되는 높은 우울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높은 수준이 136명(50.2%)와 낮은 수준이 135명(49.8%)로 비슷한 빈도를 보였다. 둘째, 가족응집력은 자활의지에 정적(posi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응집력이 높아질수록 자활의지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모형 검증에 투입된 통제변수 중에서는 연령과 건강상태가 종속변수인 자활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은 자활의지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우울과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 증진에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s participants in Seoul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research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279 participants from the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in Seoul was conducted, and in the analysis a data from 271 participants was used.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158(59.8%) of 271 participants showed high depression levels according to CES-D scales which indicate that over 36 point might be considered as depressive symptom. Stress showed a similar frequency to a higher level 136 people (50.2%) and low levels of 135 (49.8%). Second, whe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family cohes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ird, it was found that age and health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Fourth, it was found that family cohes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e mediating factors of stress,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part-mediated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effective suggestions to improve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of program participants.

      • KCI등재

        준'고령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장용언(Jang, Yong-Eun),임중철(Lim, Jung-Cheol)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4

        본 연구는 준 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서울특별시 소재 지역자활센터 7개소의 자활사업참여자 271명을 조사한 자료 중에서 준 고령층 자활사업 참여자 15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직무만족이 자기유능감에 정적(posi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준 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자기유능감이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만족이 자활의지에 정적(posi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준 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자활의지는 증진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준 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자 활의지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자기유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준 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 자기유능감 및 자활의지 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s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271 participants from the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in Seoul was conducted, and in the analysis a data from 150 the aged participants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research effectiveness.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e mediating factors of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part-mediated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effective suggestio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the willingness for the aged self-sufficiency of program participa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임진섭 ( Jin Seop Lim ),장용언 ( Yong Eun Jang ),공정석 ( Jeong Seok K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그리고 자활효과의 수준과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경로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31개의 지역자활센터에 소속된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분석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활사업의 유형에 따른 자활 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자활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일자리형과 시장진입형, 자활공동체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자활서비스의 질, 직무만족, 자활효과의 정도는 모두 동일함을 의미한다. 둘째, 비록 자활사업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그리고 자활효과에 대한 집단 간 수준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이론모형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현행 자활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정책적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path differences among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elf-sufficiency. To fulfill this purpose, all data for this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who belongs to the 31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Seou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0ness of self-su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sufficiency program. This means all the same degrees of effectiveness that participants of social employment program and market type program and self-sufficiency community was perceived.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elf-su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sufficiency program, we found that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existed partially with theoretical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policy limitation and suggestion were presented about effectiveness of current self-sufficiency.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명주(Hwang, Myoung Ju),장용언(Jang, Yo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구조관계에서 성별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윤리 확보를 위해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승인을 (P01-201810-22 -005)을 획득한 후 경기도 경상북도, 부산광역시에서 조사된 대학생 33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SPSS Ver.21.0과 AMOS Ver.18.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ANOVA),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시행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정적(positive)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부적(negative)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살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여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 자아탄력성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은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더 강하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in the process of job search stress of college students toward suicide behavior and then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In order to secure research ethics, research approval was obtained from IRB(P01-201810-22-005) and th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334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Gyeonggi-do and Busan.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through SPSS Ver.21.0 and AMOS Ver.18.0 progra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earch stress affects suicide behavior positively in college students. Second, ego resilience negatively affects college students suicide behavior. Third, ego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job search stress and suicide behavior. Fourth, the effect of job search stress on suicide behavior was significant only in female students group. Fifth, negative effects of job search stress on ego resilience and negative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suicide behavior were found to be stronger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황명주(Hwang, Myoung Ju),장용언(Jang, Yong Eu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에서 10월에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 2개 대학교의 대학생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취업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부적(nega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정신건강 수준이 나빠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정적(positive)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자살생각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정신건강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살생각 감소와 예방에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suicidal idea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research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e analysis a data from 253 participants was used.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antal health. Second, whe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the mediating factor of mental health was found to have all-mediated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provide effective suggestions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김재엽 ( Jae Yop Kim ),장용언 ( Yong Eun Jang ),서정열 ( Jung Youl Seo ),박지민 ( Ji Min Par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을 5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중학교 10개, 고등학교 10개교에서 1학급씩을 임의추출한 할당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710부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청소년의 경우 지난 1년간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가 56.3%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남자청소년은 58.5%, 여자청소년은 54.8%로 남자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실태의 경우 조사대상 청소년의 자살행동은 27.0%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청소년 (35.4%)이 남자청소년(16.4%)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청소년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경험 모두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우울, 자살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mpact on suicidal behaviors of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to defin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710 students were selected by quota random sampling method from all parts of the Korea and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urvey, 56.3% of the adolescen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over the past 12 months, school violence in male adolescents(58.5%) is more higher than in female adolescents(54.8%). In the case of suicide conditions, 27.0% of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s showed that female adolescents(35.4%) commit serious suicidal behaviors than male adolescents(16.4%) do. The outcome of research model is as follows. First, for the male adolescents`` cases,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irection, depression as the mediating variable presented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ly, in the case of female adolescents, only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mpacted on suicidal behavior, and showe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irection, depression as the mediating variable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 practical social work interv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