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자의 하향취업이 노동시장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선미 ( Sun Mi Jin ),공정석 ( Jeong Seok K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하향취업을 하는 대졸자들의 요인을 규명하며, 하향취업한 대졸자들의 노동시장이행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업한 대졸자 13,97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취업한 대졸자의 하향취업과 노동시장 이행에 관련하여 교차분석, t-test,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과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stata 10.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향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요인, 교육요인, 노동수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시장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하향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교육대비 하향취업, 전공대비 하향취업, 기술대비 하향취업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졸자하향취업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eterminants of college graduates` overeducation. The study als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college graduates` overeducation on work transition. To fulfill this purpose, we have used the secondary resources of「200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from KEIS. The data of 13,974 college graduates were analyzed using crosstabs, t-test,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overeducation had significant affected on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educational factors, labor demand factors but language training, qualifications, job training as human capital factors. In addition, the level that the work transition were influenced by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educational factors, labor demand factors and over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prevent college graduates` overeducation.

      • KCI등재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임진섭 ( Jin Seop Lim ),장용언 ( Yong Eun Jang ),공정석 ( Jeong Seok K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그리고 자활효과의 수준과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경로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31개의 지역자활센터에 소속된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분석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활사업의 유형에 따른 자활 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자활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일자리형과 시장진입형, 자활공동체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자활서비스의 질, 직무만족, 자활효과의 정도는 모두 동일함을 의미한다. 둘째, 비록 자활사업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그리고 자활효과에 대한 집단 간 수준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이론모형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현행 자활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정책적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path differences among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elf-sufficiency. To fulfill this purpose, all data for this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who belongs to the 31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Seou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0ness of self-su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sufficiency program. This means all the same degrees of effectiveness that participants of social employment program and market type program and self-sufficiency community was perceived.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elf-su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sufficiency program, we found that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existed partially with theoretical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policy limitation and suggestion were presented about effectiveness of current self-su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