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주산기 저산소-허혈 뇌손상의 세포 생화학적 기전

        장영표,Chang, Young Py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5

        주산기 뇌손상은 주로 급격한 저산소-허혈 손상에 의하는데 급격한 산소 공급의 차단은 oxidative phosphorylation을 정지 시켜서 뇌대사를 위한 에너지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에너지 공급이 차단된 뇌세포는 뇌세포막에서 세포 내외의 이온 농도 차를 유지시키던 ATP-dependent $Na^{+}-K^{+}$ pump의 기능이 정지 되고, 세포 내외의 농도 차에 따라 $Na^{+}$, $Cl^{+}$, $Ca^{{+}{+}}$의 대규모 세포 내로 이동이 일어난다. 세포 내로 calcium 이온의 이동은 glutamate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서도 일나는데, 세포 내 calcium 이온의 증가는 protease, lipase, nuclease 등을 활성화 시켜 세포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연속적이고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Glutamate는 대표적인 신경 전달 물질인데 저산소-허혈 손상 시 glutamate 수용체의 지나친 흥분은 미성숙 뇌에 뇌손상을 유발하는데, NMDA 또는 non-NMDA 수용체와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calcium 이동 통로를 활성화 시켜 세포 내 calcium 이온을 증가시키고, 그 외에 metabotropic recetor는 G-protein의 활성화 등을 통해 뇌손상을 유발하는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을 매개한다. 저산소-허혈 손상 후 재산소화와 재관류가 일어나면서 뇌세포의 지연성 사망(secondary neuronal death)이 일어나는데 이는 초기 손상 후 뒤이어 일어나는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에 의하는데 다량의 산소 자유기 발생, nitric oxide의 생성, 염증 반응과 싸이토카인, 신경전도 물질의 과흥분 등이 관여하며, 신경 세포 사망은 세포괴사(necrosis)뿐 아니라 일부는 세포 사멸(apoptosis)로 알려진 의도된 세포 사망(programmed cell death)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Fig. 2).

      • KCI등재
      •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예후

        강소영(So Young Kang),박지윤(Jiyun Park),장영표(Young Pyo Chang),이영석(Young Seok Lee),유지숙(Jeesuk Y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1 No.3

        목 적:신생아 경련은 원인 및 임상 양상, 예후 등이 소아 및 성인에서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저자들은 신생아 경련을 보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 양상,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단국대 학교병원에 입원한 1,474명의 신생아 중 경련을 주소로 입원했거나 입원 중에 경련을 했던 환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 동안 본원에 입원했던 신생아는 1,474명 이었으며 이 중 23명(1.56%)이 경련을 보였다. 경련의 주된 원인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8명(35%)으로 가장 많았고, 대사이상이 4명(17%), 두개내 출혈이 2명(9%), 선천성 뇌기형이 2명(9%), 중추신경계 감염 질환이 2명(9%)이었고 나머지 5명(22%)의 환아는 경련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경련이 발생한 시기는 평균적으로 생후 4.48±5.71일이었다. 경련의 형태는 비정형적이 11명(48%)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는 23명의 환아 중 4명(17%)은 특별한 약물 치료 없이 경련이 조절되었고 19명의 환아가 약물 치료를 받았는데 이 중 13명(57%)은 단일 약물 투여로 경련이 조절되었으며 6명(26%)은 추가적인 투여가 필요하였다. 경련이 조절되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1.94±1.25일이었으며 치료를 받은 19명의 환아 중 13명은 항경련제를 중단할 수 있었는데 중단했던 시점은 평균 생후 64.08±43.65일이었다. 항경련제를 중단하지 못했던 이들 중 한 명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에 의한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으로, 한 명은 패혈성 쇼크로 사망하였다. 결 론 : 신생아 경련의 원인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가장 많았으며 경련을 보였던 환아의 상당수는 1차 약제로 반응을 잘 하였고 평균 2개월경에 약물을 끊을 수 있었다. 신생아 경련은 원인이 다양하므로 좋은 예후를 위해서는 즉각적인 기저 질환에 대한 평가 및 치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Neonatal seizur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neurologic manifestations in neonates and could be the important clinical sign of underlying brain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the outcomes of neonatal seizures. Methods : We reviewed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in 23 patients with neonatal seizures who admitted to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07 to June 2009.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neonatal seizures were diagnosed in 23/1,474 (1.56%) neonates. Nineteen of them (82.6%) were term and 4 were preterm. The main cause of neonatal seizures was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n=8, 35%). Other various causes included metabolic disorders (n=4, 17%,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 deficiency, severe hypernatremic dehydration, prolonged severe hypoglycemia, and pyridoxine dependent seizure), intracranial hemorrhages (n=2, 9 %), congenital brain anomaly (callosal dysgenesis, hemimegalencephaly) (n=2, 9%), and infection (congenital syphilis, early neonatal sepsis, n=2, 9%). Among nineteen neonates (82.6%) who were treated with anticonvulsants, we could not stop the anticonvulsants in six of them (32%). They had severe HIE, prolonged severe hypoglycemia with residual encephalomalatic changes, sinovenous thrombotic hemorrhages due to antithrombin III deficiency, congenital brain anomaly, and septic shock, respectively. Conclusion : Approximately one third of neonatal seizures were caused by HIE, and moderate to severe HIE had more serious outcomes. Neonatal seizure could be a significant clinical sign indicating specific underlying etiologies such as stroke, metabolic disturbances or congenital brain anomalies. Therefore, intensive workup and prompt management for neonatal seizure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outcomes.

      • SCOPUSKCI등재

        현호색의 Acetylcholinesterase 활성 저해 성분 및 그 작용기전

        황세영,장영표,변순정,전미희,김영중,Hwang, Se-Young,Chang, Young-Pyo,Byun, Soon-Jung,Jeon, Mee-Hee,Kim, Young-Choong 한국생약학회 1996 생약학회지 Vol.27 No.2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crude drugs, it was found that total MeOH extract of Corydalis Tuber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acetylcholinesterase. To isolat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Corydalis Tuber, total MeOH extract of the the crude drug was subjected to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The MeOH extract was suspended in water and fractionated with methylene chloride and subjected to acid-base fractiona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basic fraction which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acetylcholinesterase was carried out and 5 subfractions (1-5) were obtained. From subtraction 4, compound I was isolated. The structure of isolated compound I was identified by spectroscopic parameters of $^1H-NMR$, $^{13}C-NMR$, EI-MS and FAB-MS. The compound I was identified as berberine. It was found from the Lineweaver-Burk plot that berberine was a reversible and specific inhibitor of acetylcholinesterase having 90% inhibitory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2.5{\mu}M$.

      • SCOPUSKCI등재

        신생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8-iso-PGF<sub>2</sub><sub>α</sub>) 농도에 관한 연구

        이건송,지윤희,장영표,Lee, Kun Song,Ji, Yoon Hee,Chang, Young Py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9

        목 적 : 지질 과산화의 주요 지표 중에 하나인 isoprostane($8-iso-PGF_{2{\alpha}}$)을 제대 동맥혈에서 측정하여 신생아에 산화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주산기 위험인자 및 신생아기 주요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이 신생아에서 산화손상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하였던 미숙아 33명과 만삭아 28명을 대상으로 제대 동맥혈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70^{\circ}C$에서 냉동 보관 후 isoprostane($8-iso-PGF_{2{\alpha}}$)과 malondialdehyde(MDA)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isoprostane과 MDA 농도를 미숙아와 만삭아에서 각각 비교하였고,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주요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평균 출생 체중은 미숙아 $1,771{\pm}445gm$, 만삭아 $3,200{\pm}567gm$이었고, 평균 재태 연령은 미숙아 $31.5{\pm}2.0$주, 만삭아 $39.0{\pm}2.0$주였다.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미숙아 $704.7{\pm}635.6pg/mL$, 만삭아 $423.9{\pm}306.5pg/mL$로 미숙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5), MDA도 미숙아 $44.0{\pm}22.9{\mu}M/L$, 만삭아 $28.2{\pm}10.7{\mu}M/L$로 미숙아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5). 미숙아의 경우 isoprostane은 출생 후 24시간에 $478.6{\pm}580.6pg/m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둔위 분만, 양수 과소증, 신생아 가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만삭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임신성 고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러나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신생아기의 주요 합병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미숙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만삭아에 비하여 높고, 일부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연관이 있어서, 주산기-신생아기에 산화손상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에 하나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하였다. Purpose : We measured the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8-iso-PGF_{2{\alpha}}$) and intended to decide whether the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could be used as a useful parameter for lipid peroxidation in newborn infants. Methods : The isoprostane and malondialdehyde(MDA) concentrations of the umbilical cord were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and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assay in 33 preterm and 28 term infant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and MDA were compared between preterm infants and term infants, and were analysed for association with perinatal risk factors and neonatal complications. Results :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were $704.7{\pm}635.6pg/mL$ and $421.9{\pm}306.5pg/mL$ in preterm and term infants, respectively.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MDA were $44.0{\pm}22.9{\mu}M/L$ and $26.2{\pm}10.7{\mu}M/L$ in preterm and term infants, respectively.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and MDA in preterm inf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erm infants(P<0.05). The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natal risk factors such as fetal distress, oligohydramnios, and breech delivery in preterm infants and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in term infants(P<0.05). Conclusion :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in preterm infa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term infants, and thos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e perinatal risk factors.

      • A Case of Pseudodeficiency in a Potential Late Onset Pompe Disease Carrier, with Double Dual Variant, Each in cis Formation

        김승호,김구련,장영표,이동환,Seung Ho, Kim,Goo Lyeon, Kim,Young Pyo, Chang,Dong Hwan, Lee The Korea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22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22 No.2

        폼페병(PD, Pompe disease), 2형 당원축적병(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I)은 보통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용해소체 효소인 acid maltase (acid α-glucosidase, GAA) 결핍으로 인한 대사근육병이다. 한 종류의 효소 결핍에 의한 질환이지만, GAA의 결핍정도와 유전자형에 따라 임상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발병 시기에 따라 크게 영아형 폼페병(infantile onset Pompe disease, IOPD), 성인형 폼페병(late onset Pompe disease, LOPD)으로 나눌 수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기 때 호흡곤란증후군을 진단받고 치료받은 후 잠시 혈중 CK 증가가 확인되었으나 다른 임상증상 없이 경과 관찰 후 호전되었고, LSD 스크리닝 검사 결과 상 GAA 수치가 0.58 umol/h/L로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한 1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해당 환아를 PD 의증으로 고려하여 시행한 GAA enzyme essay 상 total GAA level은 16.2 nmol/2hr/mg protein, GAA with acarbose level은 2.0 nmol/2hr/mg protein, acarbose/total level의 비율은 12.0%로 낮은 수치를 확인하였다. 환아의 유전자 검사 상 exon #4에서 두개의 likely pathogenic heterozygous mutation인 c.752C>T (p.Ser251Leu), c.761C>T (p.Ser254Leu), exon #12에서 heterozygous mutation인 c.1726G>A (p.Gly576Ser), exon #15에서 heterozygous mutation인 c.2065G>A (p.Glu689 Lys)이 확인되었다. 환아의 7세 오빠는 유전자 검사에서 정상으로 확인되었고, 아버지는 환아에서 동일하게 확인된 exon #12에서 heterozygous mutation인 c.1726G>A(p.Gly576Ser), exon #15에서 heterozygous mutation인 c.2065G>A (p.Glu689Lys)이, 어머니에서는 exon #4에서 두 개의 likely pathogenic heterozygous mutation인 c.752C>T (p.Ser251Leu), c.761C>T (p.Ser254Leu)가 확인되었다. Pathogenic한 유전자 두개가 있으면 보통 환자로 인식될 수 있으나 이 환아에서처럼 pathogenic한 유전자 두 개가 있더라도 cis 형태로 하나처럼 움직인 경우 PD 환자가 아니라 carrier 일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한 증례였다. 이에 PD 환아의 유전검사 결과를 해석할 시 pathogenic variant 유전자가 두 개일지라도 혹시 cis 형태로 하나의 유전자인지를 확인하여, pseudodeficiency나 potential LOPD carrier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며 여러 임상 양상을 취합하여 진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산소 치료를 받은 극소저출생 체중아에서 폐 실질변화에 관한 고해상컴퓨터 단층촬영술 소견에 관한 연구

        진용만,정찬욱,장영표,이영석,이인선,Jin, Young Man,Chung, David Chanwook,Chang, Young Pyo,Lee, Yung Suk,Lee, En S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목 적 : 산소치료를 받았던 극소저출생 체중아에서 교정 주령 38에서 42주에 폐 HRCT를 시행하여 폐 실질 내의 변화를 관찰하고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임상적 중증도와 비교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산소 치료 받은 재태연령 32주미만, 출생체중 1,500 g미만의 극소저출생 체중아 44명을 대상으로 출생 후 교정주령 38-42주에 폐 HRCT를 시행하였다. 흔히 관찰되는 폐 HRCT 소견들을 기술하고 그들의 빈도를 구했다. 폐 HRCT 소견에서 폐 손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한 공기폐색 점수, 무기폐 점수, 총 CT 점수와 기관지-폐동맥 직경 비를 기관지 폐이형성증 환아군과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없는 환아군 사이에 비교하고, Jobe-Bancalari 진단 기준에 의한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임상적 중증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폐 HRCT 소견은 공기 폐색(56.8%), 무기폐(70.5 %), 선상 음영 증가(77.3%), 기관지-폐혈관 다발의 변형(65.9%) 등이 흔히 관찰되었다. 이들 소견들은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있는 환아 군에서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없는 환아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혼재되어 자주 관찰되었으나(P<0.05),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없는 환아 군 일부에서도 관찰되었다. 공기폐색 점수, 무기폐 점수, 총 CT 점수는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있는 환아 군에서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없는 환아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고(P<0.05), 기관지-폐동맥 직경 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P<0.05). 총 CT 점수(r=0.799, P<0.0001)와 기관지-폐동맥 직경 비(r=0.576, P<0.0001)는 임상적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중증도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직선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산소치료를 받았던 극소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신생아기에 촬영한 폐 HRCT 소견은 폐 실질 내의 변화를 잘 반영하고,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임상적 중증도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findings of lung parenchyme in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between the corrected age of 38-42 weeks who were treated with oxygen after birth, and to compare them to the clinical severity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Methods : The lungs of fourty-four VLBW infants with gestational ages of less than 32 weeks and birth weights of less than 1,500 g who were treated with oxygen after birth were examined using HRCT taken when the corrected age was between 38-42 weeks. Common findings among the infants and the frequency of their occurrences were noted. Total CT scores obtained by the summation of air trapping and actelectasis scores and the ratio of bronchus-to-pulmonary artery diameter were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HRCT findings and correlate them with the clinical severity of BPD as defined by Jobe-Bancalari diagnostic criteria. Results : 1) The most common findings in HRCT images of the lungs were air trapping (56%), atelectasis (70.5%), linear opacity (77%), and distortion of the bronchopulmonary bundle (65.9%). These findings were more commonly observed in infants with BPD in a mixed pattern than those without (P<0.05). However, abnormal findings were also found in HRCT images of some infants without BPD. In infants with BPD, air trapping, atelectasis and total CT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without BPD. Also infants with BPD had a lower bronchus-to-pulmonary artery diameter than those without BPD (P<0.05). 2) The total CT scores (r=0.799, P<0.0001) and the ratio of bronchus-to-pulmonary artery diameter (r=0.576, P<0.0001) showed a linear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severity of BPD. Conclusion : HRCT findings in VLBW infants between the corrected age of 38-42 weeks who had been treated with oxygen after birth are useful in revealing pathologic changes in the lung parenchyme and show a good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severity of BPD.

      • KCI등재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에 의한 장폐색에 관한 연구

        홍기배,성인창,이건송,장영표,송희승,Hong, Ki-Bae,Seong, In-Chang,Lee, Kun-Song,Chang, Young-Pyo,Song, Hee-Se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4 No.1

        목 적: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은 장관 영양을 지연시키고 장폐색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진단과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원칙은 아직 논란 중이다. 본 연구는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임상 소견을 관찰하고,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 관장 후 장폐색 증상 호전, 장관영양의 진행, 합병증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극소저출생체중아 중에 태변 장폐색으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한 14명의 임상 소견과 방사선 소견, 장관 영양의 진행,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 치료 후 호전 여부,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다. 이들의 주요임상 소견을 장폐색 증상 없이 수유 진행이 가능하였던 극소저출생체중아 18명과 비교 하였다. 결 과: 1)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 장폐색이 없었던 극소저출생체중아에 비해 낮은 5분 Apgar 점수를 보였다(p<0.05). 또한, 출생 후 마지막 태변 배출시기(일), 첫 수유 시작 시기(일), 전 장관 영양 도달 시기(일)들도 의미 있게 지연되었다(p<0.05). 2)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14명에서 18 회를 시행하였다. 18회 중 12회에서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하였으며 이 중 11회에서 관장 후 다량의 태변 배출과 함께 장폐색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1예는 호전이 없어 회장절개술로 태변을 제거하였다. 3)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 못한 5명 중 3명에서 증상의 호전이 없어 조영제 관장을 재시행 하여 조영제가 회장말단에 도달하였고 장폐색 증상이 호전되었다. 4) 고삽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에서 고삼투압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다. Purpose: Mecnoium obstru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which delays enteral feeding and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bowel obstruction, can be diagnosed and treated with hyperos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linical findings of meconium obstruction, the improvement of small bowel obstruction after contrast enema, and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enema. Methods: Hypersol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s were performed in 14 VLBWIs with meconium obstruction. Clinical findings, radiologic findings, feeding intolerance,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enemas were observed. Also, clinical findings related to meconium obstruction were compared with 18 VLBWIs without meconium obstruction. Results: 1) Fourteen VLBWIs with meconium obstruction had significantly lower 5 minutes Apgar scores than 18 VLBWIs without meconium obstruction (p<0.05). Moreover, the day of last meconium passing, and the day of the first trial and full enteral feeding were delayed significantly. 2) A total of 18 enemas were performed in the 14 infants. The contrast medium passed the ileocecal valve and reached the terminal ileus in 12 enemas. Of the 12 enemas, 11 were successful, but 1 infant underwent an ileotomy, even though the contrast medium reached the terminal ileum. 3) Intestinal obstruction was not relieved in three of five infants, in whom the contrast medium failed to pass the ileocecal valve. Obstruction was relieved after repeated enemas in which the contrast medium reached the terminal ileum. 4)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water-soluble contrast enemas were observed. Conclusion: Hyperos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 is considered to be safe and therapeutic for meconium obstruction in VLBW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