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il.)의 부위별 정유성분 조성

        장수정,김영회,김명곤,김계환,윤세억,Jang, Soo-Jung,Kim, Young-Hoi,Kim, Myung-Kon,Kim, Kei-Whan,Yun, Sei-Eok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2

        순비기나무의 잎, 꽃, 줄기 및 열매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으로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및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7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성분은 monoterpene hydrocarbons 16종, oxygenated monoterpenes 30종, sesquiterpene hydrocarbons 10종, oxygenated sesquiterpenes 8종, diterpenes 3종, 기타 성분 9종으로서, 특히 ${\alpha}-pinene$, ${\beta}-pinene$, sabinene, 1,8-cineole, terpinen-4-ol, ${\alpha}-terpineol$등의 monoterpene류가 주요 구성성분들이었다. 부위별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잎에서는 ${\alpha}-pinene$ (30.25%) > 1,8-cineole (19.89%) > sabinene (9.56%) > ${\alpha}-ternineol$ (7.94%) > ${\beta}-pinene$ (5.69%) > terpinen-4-ol (2.37%), 꽃에서는 ${\alpha}-pinene$ (25.47%) > 1,8-cineole (7.69%) > manoyl oxide(6.21%) > ${\beta}-pinene$ (4.20%) > ${\alpha}-terpineol$ (3.76%) >sabinene (2.78%), 줄기에서는 ${\alpha}-pinene$ (13.24%)>${\alpha}-terpineol$ (10.64%)>1,8-cineole (4.40%)>manoyl oxide (4.02%) > ${\beta}-pinene$ (2.39%) > terninen-4-ol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 The essential oils isolated from leaves, flowers, stems, and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by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metho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76 components detected by GC, 42 components were identified positively by GC-MS and GC co-injection with authentic standards, and 34 components were identified tentatively by mass spectral data only. They included 16 monoterpene hydrocarbons, 30 oxygenated hydrocarbons, 10 sesquiterpene hydrocarbons, 8 oxygenated sesquiterpenes, 3 diterpenes, and 9 miscellaneou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in the oil from the leaves were ${\alpha}-pinene$ (30.25%), 1,8-cineole (19.89%), sabinene (9.56%), ${\alpha}-terpineol$ (7.94%), ${\beta}-pinene$ (5.69%), and terpinen-4-ol (2.37%), and those in the flower oil were ${\alpha}-pinene$ (25.47%), 1,8-cineole (7.69%), manoyl oxide (6.21%), ${\beta}-pinene$ (4.20%), ${\alpha}-te.pineol$ (3.76%), and sabinene (2.78%). The major components in the oil from the stems were ${\alpha}-pinene$ (13.24%), ${\alpha}-terpineol$ (10.64%), 1,8-cineole (4.40%), manoyl oxide (4.02%), ${\beta}-pinene$ (2.39%), and terpinen-4-ol (2.21%) while those in the oil from the fruits were ${\alpha}-pinene$ (20.24%), 1,8-cineole (11.47%), ${\beta}P-pinene$ (9.79%), ${\alpha}-terpineol$ (7.08%), sabinene (3.68%), and limonene (2.77%). The percentage composition of monoterpenes in the oils from the leaves and the fruits were higher than in those from the flowers and the stems, whereas the oil from the flowers and the stems were characterized by a large content of sesquiterpenes, diterpenes and other unknown high molecular weight components.

      • KCI등재

        여성의 몸과 주체를 둘러싼 정책적 담론의 형성

        장수정(Soo-Jung Ja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2

        최근 여성의 출산저하에 따른 사회적인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정부는 출산 장려 정책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출산을 바라보는 시각과 정책에 대한 입장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다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여성의 몸은 사회적 담론의 각축장이 되어 왔고, 특히 국가정책을 논의하는 장에서 여성의 몸은 다양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신축적인 몸”으로서의 담론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여성의 몸에 관한 담론이 한국사회의 국가 정책 담론 안에서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여성이 몸의 주체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나아가 국가가 여성의 몸에 대해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개입하고자 할 때, 여성의 몸을 둘러싼 정책은 어떻게 논의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여성주의 입장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런 논의를 위해 먼저, 여성의 몸ㆍ주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여성의 몸을 중심으로 한 국가의 피임정책과 현재 출산정책에 관한 논의를 역사적인 흐름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저출산에 대한 논의가 현 사회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과 더불어 어떻게 논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인 함의를 다루고자 한다. Recently, Korean government urged by societal concerns about low birth rates is looking for various ways to encourage increased birth rates. Some policy makers discuss the policy of birth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Sweden. Different interest group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birth rates. Historically, women's body has been used for social discourses and women's body has been discussed as a flexible body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One of the main discourses is about contraception and birth rates. I will examine how representations of women's body has been changed in the discourses of Korean national policy and at the same time I will discuss the meaning for women of their subjectification. Moreover, I will discuss a feminist perspective on how government have to consider in the policy changes with regard to women's body when government wants to intervene in the name of policy making. First of all, I will look at the definition of women's body and subjectification. Next, I will look at the history of contraception policy and birth policy in the context of current discourses on birth rates. Finally, I will suggest some feminist policy implications. I expec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ward the discourse on enhancing the quality of women's life.

      • KCI등재

        일가족 양립 정도에 대한 인식

        장수정(Jang Soo-Jung),송다영(Song Da-Young),김은지(Kim Eun-Ji)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2

        본 연구는 일가족 양립 인식정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으며 일을 하고 있는 25세 이상 성인 1,490명을 대상으로 일가족양립 정도 및 수준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기 위해 확률표본에 기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특히, 여성홀벌이들이 가족-일 양립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자녀수별로는 자녀가 한명인 경우 가족-일 양립에 가장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기업규모별로는 300-900인 규모 사업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근로자들이 일-가족 양립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교육 및 보건등과 같은 서비스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가족-일 양립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n work-family balance and compares the differences of diverse groups in Korea. The success of work-family policies depends on employees' perceptions of both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spects of work-family support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to produce a instrument that could measure the perceptions of work-family balance. The survey is a conducted random sample, with random selection of respondents who are working and over the age of 25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design employed ANOVA to compare the perceptions on work-family policies for supporting work-life balance in society. There was a difference in spillover levels between workers in different groups such as gender, employment status, age, the number of children, family type by employment status, company size, and industry. The findings will inform policy-makers as they continue to develop policies that positively affect working people.

      • KCI등재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장수정(Jang, Soo-J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무상보육 시행 이후에도 무상보육은 담론의 각축장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유아 무상보육 담론분석을 위해 주요 4대 일간지(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무상보육’ 기사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카인즈(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와 조선일보 아카이브를 통해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무상보육 실시 후 자료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무상보육담론은 양육수당, 맞벌이 주부 대 전업주부, 보편복지 대 선별복지 등 다양한 대립 구도를 형성하면서 경합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론분석 결과 보수적 또는 진보적 이데올로기가 실천되고 재편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상보육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를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에서 성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has examined an analysis of discourses on free child care policy for 0-2 year old children in Korea. The author has searched articles in daily news papers of "free child care for 0-2years old" using 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and Chosun archive. For the analysis, articles from March 2012 to May 2013 has been collected. From this study, it has been suggested that discourses has been showed with diverse issues such as home care allowance, working mom vs full-time housewives, universal welfare vs selective welfare. These discourses has developed with the ideologie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erspective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a free child care policy for 0-2 year children through reflective discourse analysi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한부모 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연구

        장수정(Jang, Soo Jung)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2

        본 연구는 규범적 정책분석 방법론에 기초하여 한부모 관련 정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논문에서 초점을 두고 있는 정책은 「한부모가족지원법」에 근거한 한부모정책과 한부모 관련 일자리(자활)지원정책, 일·생활균형지원 및 돌봄정책이다. 연구결과 현 한부모정책은 잔여적인 접근으로 한부모의 노동권과 돌봄권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한부모 가구주의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돌봄권이 확보되어야 하고, 돌봄권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보편적돌봄자모델과 돌봄자를 돌보는 관점에 기초하여 권리로서 소득 보장 및 돌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보편적돌봄자모델과 돌봄자를 돌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부모정책에 대한 대안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나아가 돌봄 전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한부모가족 정책 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aradigm preconditioned in single-parent policie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care ethics and universal care model. Based on the normative policy analysis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relevant policies and service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single-parent policies. The policies focused on this paper include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the Job Support Policy, the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 Care Services, and the Act on the Implementation of Child Care Expen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urrent single-parent policy does not guarantee single-parent labor rights, care rights, and the right to organize househol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ight to care must be secured to gurantee labor rights, and that income guarantee and care suuport as rights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universal care model and policy paradigm for caring for caregivers in order to ensure care rights. In conclusion, a paradigm shift is needed for single-parent family support policies and related policies. Based on a new paradigm for care, this study presented alternatives to parent policies, and further provided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y directi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 돌봄 서비스에 대한 분석 -돌봄 민주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장수정 ( Jang Soo J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1

        본 연구는 Tronto의 돌봄 민주주의 이론에 기초하여 초등 돌봄 서비스를 부모의 돌봄권과 아동의 돌봄수혜권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초등 돌봄 정책의 가치를 중심으로 규범적 정책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 돌봄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기존 문헌, 연구보고서, 통계 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초등 돌봄 서비스는 Tronto의 돌봄 민주주의 관점에서 볼 때 부모와 아동의 기회 제한, 불평등한 돌봄/돌봄 수혜, 부정의한 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현재 초등 돌봄교실은 부모나 돌보는 사람들의 돌봄권과 노동권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돌봄교실 서비스가 제한된 대상과 시간에만 제공되어 돌봄이 필요한 아동의 돌봄 받을 권리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초등 돌봄 교실은 돌봄 교사만 책임지고 있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도록 제도화 되어 있지 않다. 비공식 자원 및 시장 의존이 높아 아동은 부분적이고 단절적인 돌봄을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장을 통한 돌봄이 확대되고 있고, 돌봄의 질과 신뢰는 불투명하다. 보편주의적인 초등 돌봄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구의 경제적 여건과 자원에 따라 아동의 돌봄 격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돌봄 민주주의에 기초한 보편적인 초등 돌봄 서비스 패러다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With the growing gap in ca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re are growing concerns over the rights of the children to be cared for and the labor rights of the parents. Based on Tronto’s care democrac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primary car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and parents’ (or guardians’) rights.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normative policy analysis focusing on the value of primary care policy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policy. This study used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for analysis. Analysis shows that the current primary care service is quite limited based on Tronto’s perspective on care democracy. First, primary care service are provided to conditional children by 5 p.m., which does not guarantee the right to care for children who need care. It also does not support parents’ (or guardians’) right to work and care. Second, primary care service are only responsible for care teachers, and systems involving various subjects are not institutionalized. In the case of primary care, due to the high level of informal resources and market reliance, children receive partial and disconnected care. Finally, care is being extended through the market, and the quality and trust of care is unclear. There is a gap in child care depending on the economic situation. This study presented an alternative based on the universal elementary care policy paradigm to realize care democracy.

      • KCI등재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과 보육의 공공성에 대한 탐색: 공공성 실천과 장애를 중심으로

        장수정(Soo Jung J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2

        본 연구는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 어린이집이 실천하고 있는 공공성의 특징과 장애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곳의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 부모조합원, 교사, 졸업조합원을 대상으로 초점면접과 심층면접을 하였다. 지원 조직 활동가 및 관련 공무원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성원들이 운영과 보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민주적 의사결정을 통해 신뢰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함께 돌보고 함께 운영하는 방식을 통해 협동과 호혜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셋째, 자연 친화 보육환경을 제공하고 아이들의 행복권을 중시하는 아동중심 보육을 실천하고 있다. 넷째,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 어린이집은 마을에 관심을 가지며 지역사회에 기여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내 관련 기관과 느슨한 연계를 갖고 있으며, 향후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연대를 확장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은 참여와 호혜적 관계가 두드러진 것이 특징이지만 기관마다 차이가 있었으며, 각 기관의 조합원 사이에서 긴장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연대와 지역사회기여는 내부 동력의 한계와 중간지원조직의 부족 및 제도적인 장애로 실천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사회적협동조합 어린이집은 보육의 제 3 주체로서 참여, 협력과 호혜, 아동권, 지역사회기반, 연대 라는 공공성을 담보하고 실천하고 있다. 보육의 공공성을 더 확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협동조합 구성원들의 진전된 논의와 실천, 사회적협동조합이 공공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제도적인 개선과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blic of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 and the obstacles to practice the publicity. The researcher conducted focus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childcare centers. The author also interviewed a government employee, an activist in『Co-care and Community Education』, and official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ic center. In order to examine the public meaning of child care in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 i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infrastructure, participation, network, cooperation and reciprocity, and child rights.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embers of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s are actively involved in management and child care, and trust is formed through democratic decision making. Second,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s have loose links and aims for solidarity through a coalition. Third,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s provide time and nature friendly space for children and practice child care in terms of child-centered focus, which places importance on children"s right to happiness. Fourth,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s are caring together, are interested in the village and contributes to th community. Finally, The value of cooperation and mutual benefit is realized through care and management together. In short, the social cooperative children"s center is a model as a third party to practice the public interest in childcare. In order to expand the publicity in childcare, the members need an expanded discussion and practice, an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