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의향 요인에 관한 연구

        장소현,박종식,이은주,배은주,이용갑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5

        The 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for the disabled means a successional process: first, identification of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second, provision of housing facilities in transitionalphase and activity support for the disabled; third, provision of permanentresidential space, income and workplace for the independent living and dynamiclinkage of various social services(including activity support for the disabled). Thefirst step for this process is to identify and to categorize, which disabled haverelative strong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comparatively the actual condition surveys ofthe disabled in living facilities in the time between 2009 and 2012 from theaspects of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its independent variables, level ofsatisfaction.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has decreased steadily from57% in 2009 to 34% in 2012. But, the two surveys record 57% of the intention ofdeinstitutionalizati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disabled for the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re not consistent in all surveys. Only one surveyhas identifi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and dissatisfactions with staffs and services of facilities. This study has take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influence variables of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e results are that woman, relative old age, satisfactions with usage of cellular phoneand internet, dissatisfactions with facility, practice in vocational training, relativeshort residence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y type(rather than in livingfacility for the severely disabled). Because this result comes from a actualcondition surveys for Incheon in 2012, it can not be applied for the wholecountry. Therefore, the nationwide identification and categorizing for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at would lead for the first step for the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 forthe disabled. 시설거주 장애인이 출소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자립생활을 영위하고자 할 경우 첫째, 탈시설의향 확인, 둘째, 탈시설 후 중간거주시설인 자립생활체험홈·공동생활가정·자립생활지원센터 등에대한 지원 및 ‘활동지원제도’ 제공 확대, 셋째, 지역사회에서 자립하기 위한 주거·일자리·소득 지원및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와의 연계를 하나의 연속과정으로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인 탈시설·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도화하는 첫 단계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탈시설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희망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몇 몇 광역지자체가 실시한 시설 거주 장애인들의 탈시설욕구를 분석하여 탈시설의향과 이에 영향을 준 변수들및 만족도 등을 비교하였다.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의향은 일반적으로 2009년 57% 수준에서2012년 34%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58%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소와 증가의 동반 경향은 조사의 시기와 지역 및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 중 발달장애인 및 중증 장애인의 증가 등 다양한 이유 때문에 하나의일반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결과를 유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년인천광역시에서 실시된 시설 거주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변수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상대적으로 탈시설의향이 강한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에 짧은 거주기간, 여성,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 휴대폰·인터넷 사용에 대한 만족 및 시설에 대한 불만족, 직업훈련 수행 등이 상대적으로 강한 탈시설의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양육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소현,김순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1 生活科學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y examining parenting behavior and competence of emotional regulation.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305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derived and modified from Heo Myo Yeon(2004) for parenting behavior. Moon Yong Rin(1996)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Kim Yong Rea(2000) for school adjustment.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2.0 program. In school life-related adjustment perspective, the self emotional regula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thers emotional regulation was the next, maternal monitoping ranked third, maternal affection came fourth and family financial status came fifth and sex was found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In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persp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he most affecting factor, school year was the next and simulated maternal discipline through reasoning was the last. School friends-related adjustment was most affected by the self emotional regulation, others emotional regulation came second and maternal affection came third and family type was last School teacher-related adjustment was most influenced by others emotional regulation, the self emotional regulation ranked second, sex factor was third, maternal affection came fourth and maternal monitoring came fifth and school year had the weakest influence. The influence order of affecting factors in school instruction-related adjustment were noted as following; self emotional regulation, others emotional regulation, maternal monitoring, sex, family financial status. The result suggests diverse adolescent education programs which embrac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status should be developed for their school adjustment Also, an active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followed for parents to have desirable parenting behavior.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대사적 위험과 영양상태: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장소현,서윤석,정영진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energy level of breakfast with less risk of chronic diseasefor Korean adul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atotal of 12,238 adults aged 19~64, the final 7,769 subjects were analyzed except subjects who were undergoing treatmentfor cancer or metabolic disorder. According to the percent of breakfast energy intake versus their estimated energyrequirement (EE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10% (very low, VL), 10~20% (low, L), 20~30% (moderate,M), ≥ 30% (sufficient, S). All data were analyzed on the metabolic risk and nutritional state after application of weightedvalue and adjustment of sex, age, residential area, income, education, job or jobless, and energy intake using a generallinear model o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subjects of group S were 16.9% of total subjects, group M 39.2%, group L37.6%, and group VL 6.3%. The VL group included more male subjects, younger-aged (19 to 40 years), urban residents,higher income, higher education, and fewer breakfasts eaters together with family members. Among the 4 groups, the VLgroup showed the highest waist circumference, while the S group showed the lowest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and serum total cholesterol. The groups of VL and L with lower intake of breakfast energy showed high percent of energyfrom protein and fat, and low percent of energy from carbohydrate. With the increase of breakfast energy level, intake ofenergy, most nutrients and food groups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subjects consuming nutrients below EARdecreased. The VL group showed relatively higher intake of snacks, sugar, meat and eggs, oil, and seasonings, and thelowest intake of vegetable. Risk of obesity by waist circumference was highest in the VL group by 1.90 times of the S groupand the same trend was shown in obesity by BMI. Risk of dyslipidemia by serum total cholesterol was 1.84 times higher inthe VL group compared to the S group. Risk of diabetes by Glu-FBS (fasting blood sugar) was 1.57 times higher in the VLgroup compared to the S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breakfast energy level is positively related tolower metabolic risk and more desirable nutritional state in Korean adults. Therefore, breakfast energy intake more than 30%of their own EER would be highly recommended for Korean adults. 우리나라 성인에서 아침결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침결식은 대사적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본 연구는 한국성인을 위한 대사적 위험성이 낮은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을 제시하고자 제4기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64세 성인 12,238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며, 임신 또는 수유중인 자, 대사 이상 질환이나 암으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7,769명 (남자 38.4%, 여자 61.6%)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침식사 에너지비율은 개인별 아침식사의 에너지섭취량이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0% 미만 (극저에너지군), 10~ 20% 미만 (저에너지군), 20~30% 미만 (중간에너지군), 30% 이상 (충분에너지군)인 네 군으로 분류하여 대사질환의 위험요인별 교차비와 영양상태를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해당 년도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성, 연령,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유무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추가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성은 α = 0.05 수준에서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아침식사 에너지가 1일 에너지필요추정량의 30% 이상에 속하는 대상자는 16.9%, 20~30% 미만군에 39.2%, 10~20% 미만군에 37.6%, 10% 미만군에6.3% 순으로 나타났다. 극저에너지군과 저에너지군에는여자보다 남자, 19~39세의 젊은 성인, 도시 거주자가 많았고 소득수준은 중상이상,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이 많았고직업을 가진 사람, 가족과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으나 중간에너지군과 충분에너지군에는 그와 대조적으로 여자, 40세 이상 성인, 읍면거주자, 소득과 교육수준이낮고, 무직, 가족과 식사하는 사람이 많았다. 2) 충분에너지군에서 곡류 (주식류, 스낵류), 당류와 함께감자류, 두류, 육류 및 난류, 어패류, 채소류, 과일류, 유지류, 조미료류의 섭취량이 네 군보다 높았다. 극저에너지군은채소류의 섭취량이 네 군 중 가장 낮았고, 스낵류, 당류와함께 육류 및 난류, 유지류, 조미료류의 섭취량이 저에너지군과 중간에너지군보다 높았다. 3) 아침식사 에너지가 낮은 군일수록 지방에너지비와 단백질에너지비는 높고 탄수화물에너지비는 낮았으며, 에너지와 모든 영양소 섭취량 및 영양소적정섭취비 (NAR, MAR)가 낮아 영양소별 평균필요량 (EAR)에 미달되게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충분에너지군은 에너지와모든 영양소의 섭취실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4)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극저에너지군에서는 높은 반면, 충분에너지군에서는 낮아서 복부 비만위험은 충분에너지군을 기준으로 아침에너지섭취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극저에너지군에서 1.9배로, 저에너지군1.44배, 중간에너지군 1.32배에 비해 높았으며,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위험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충분에너지군에서 혈청총콜레스테롤이 가장 낮아서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은 충분에너지군에 비해 극저에너지군에서1.84배 높았고 공복혈당에 의한 당뇨 발생 위험도 극저에너지군에서 1.57배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19~64세 성인에서 아침식사 에너지가 개인별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0% 미만인 군은 비만, 이상지질혈증, 당뇨의 위험과 동시에 영양부족의 우려가있는 반면에,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30% 이상군은 대사위험성이 가장 낮고 영양상태가 가장 양호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19~65세 미만 성인을 위한 아침식사의 에너지 가이드라인으로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30% 이상을 제시할 ...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놀이성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델(APIMeM)

        장소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play attitude and playfulness i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playfulness. A survey was collected from 255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parents of the children responded regarding their smartphone addiction, play attitude, and playfulness, with the mother being the primary caregiver who rated the child's playful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and MEDYAD beta v1.1, using Cronbach's alph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PIMeM analysis. In this study,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as used to explore the organic interaction between couples in the process of nurturing their children at home.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APIMeM), examining how parental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the mediation of parental play participation and playful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smartphone addi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leading to a decrease in children's playfuln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play rather than simply being present in their play space.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놀이성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델(APIMeM)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 255명을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해 SPSS 21과 MEDYAD 베타 v1.1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놀이참여태도와 놀이성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에 대해 부의 놀이참여태도와 놀이성은 정적 영향, 어머니의 놀이참여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모의 놀이참여태도만 부적 매개효과가 확인돼 모의 자기효과만 유의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어머니일수록 자녀와 한 공간에 있는 것이 자녀와 함께 놀이하는 것이 아님을 인지하고, 자녀와의 놀이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장소현,최승훈,이용갑 한국보건사회학회 2018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7

        This study examined experience on workplace violence of social workers, and the 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n workplace violence, job stress and burnout. Data were gathered from July to August 2017 by surveying 587 people who are engaged in social work from 73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Incheon.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AMOS 18.0 was used. According to our survey, 41.2% of social workers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and 59.5% of participants said that their facilities did not have any follow-up actions after experiencing workplace violence. Participants of the survey also responded that protocol for dealing with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was lack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of major variables, verbal violence did not cause workers’ burnout directly, bu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directly. That is verbal violence did not make workers directly exhausted, but the more exposure to the verbal violence they had, the more job stress they had. And that job stress eventually was related to the burnout. Violence to the bod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and burnout.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경험을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7년 7월~8월까지 인천광역시소재 사회복지시설 73개소의 종사자 58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으며, AMOS 18.0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경험은 약 41%이며, 응답자의 약 60%가 폭력에 대한 대응책이 없다고 대답함에 따라 현장에서 폭력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폭력을 언어폭력과신체폭력으로 구분한 후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언어폭력은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이에 따라,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소진상태를 직접적으로 초래하는 것은 아니지만,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져 결국 소진상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신체폭력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사회적 경제 전략 - 인천지역 사례 연구 -

        장소현,이용갑 한국사회서비스학회 2017 사회서비스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2개의 프로그램인 광역 자활기업 「소통과 나눔」의 ‘장애아동학습지원’ 및 사회적 협동조합 「M 커뮤니티」의 ‘즐거운 아침, 행복한 학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서비스투자 사업에서 사회적 경제의 성장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지역사회서비스투자 사업의 특성상 대인사회서비스, 이용기간의 2년 제한, 이용자의 소득계층별 본인부담금 등 때문에 제공기관, 이용자, 관리운영자(지자체 및 지역사회서비 스지원단)간의 상호호혜성, 신뢰, 지속가능성이 어려운 현실과 제공기관 등록 제에 의한 제공기관들간 무한경쟁 상황은 기존의 영리추구 제공기관들이 사 회적 경제 조직으로 전환하는 것을 제약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 음과 같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서 사회적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첫째, 사회적 경제 조직을 위한 신규 프로그램 개발, 신규 프로그램 수행 사회적 경제 조직의 확대를 위한 제공지역 확대, 사회적 경제 조직의 안착을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제공기관 이나 제공인력에 대한 보호 및 모니터링 등과 같은 적극적 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제공기관 등록시점부터, 그리고 제공기관과 제공인력에 대 한 연간 교육에서 사회적 경제에 관한 교육과 컨설팅 이수를 제도화할 필요 가 있다. 셋째, 적극적 지원 및 교육·컨설팅을 이수하고 적극적 지원을 받은 사회적 경제 조직이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서 어떻게 성장하는 가를 중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다른 사회서비스분야에서도 사회적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two development case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 Programs(CSS) of the Metropole Incheon. It makes clear the success conditions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CSS: new programs, close cooperation betwee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he Metropole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ion, active protection and favors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despite of unlimited competi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Next the study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CSS : various active measures as mentioned above, training and consulting of social economy for providers, active monitoring about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CSS, finding lessons for the promotion for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other social services.

      • 4-Bromoisoquinolyl-tert-butyl-TMP zincate와 Trimethyl borate의 반응에 관한 연구

        장소현,윤수정,남궁성건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1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23 No.-

        The one-pot homologation reactions of 4-bromoisoquinoline and 3-bromoquinoline with di-tert-butyl-TMP zincate/trimethyl borate were investigated. 1-tert-Butylisoquinoline (1) and 2-tert-butylquinoline (2) were formed unexpectedly under the presented reaction condition in 44% and 20% yields, respectively. The reaction mechanisms, including 1,2-migratory additions of the tert-butyl groups from 1-(4-bromoisoquinolyl)zincate and 2-(3-bromoquinolyl)zincate, are proposed in detail. The results for the reactions of other heteroaryl compounds under identical reaction condition are also discussed. Key words:trimethyl borate, 4-bromosoquinoline, di-tert-butyl-TMP zincate, 1,2-migration, homolo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