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체육교사의 역도선수 양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임효경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and share the results of the weightlifting training proces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sing narrative methods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revitalizing the disabled student sports competition and training weightlifters. Documents, photos, video data, and literature related to in-depth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weightlifting coach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five major themes (‘From strangers to recognized leaders’,‘Children is growing through weightlifting',‘The process of efforts to build a weightlifting club’,‘Know-how gained through experience’,‘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growing through worries’) were derived. 19 sub-themes(‘Weightlifter starting with entrusted dumbbells’,‘Silent stranger’,‘Leader recognized by medals’,‘Weightlifting team guaranteed employment’,‘Weightlifting with patience and tenacity’,‘Adaptive behavior skills learned through weightlifting’,‘Experiencing various emotions on stage’,‘Securing training time within the curriculum’,‘Discovering and nurturing players’,‘Self-efforts to enhance competency’,‘The driving force behind the teacher: calluses and beliefs in the palm of the hand’,‘A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runs on his feet to prepare for a student's adult life’,‘Careful strategy: Colour changes in medals’,‘A strategy to change anxiety and nervousness into faith’,‘Customized guida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Growing through various experiences’,‘Role conflict: Finding your identity’,‘The process of thinking necessary to fulfill two roles’,‘Teacher wish: supporting the future of student athlet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school weightlifting club, the method and exercise effect of weightlifting instruction for disabled students, the professional athlete training process, and the role of the leader. And a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장애학생체육대회 활성화 및 역도선수 양성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특수체육교사의 역도선수 양성과정을 내러티브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 면담과 비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역도부 지도와 관련된 문서와 사진, 영상자료, 문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대주제(이방인에서 인정받는 지도자가 되기까지, ‘역도’를 통해 성장하는 아이들, 역도부를 일궈낸 노력의 과정, 경험을 통해 쌓은 노하우, 고민을 통해 성장하는 특수체육교사)와 19개의 하위주제(맡겨진 바벨로 시작한 역도부, 소리 내지 못하는 이방인, 메달로 인정받는 지도자, 실업팀 취업이 보장된 역도부, 인내와 끈기로 승부하는 역도, 역도를 통해 배우는 적응행동기술, 무대에 올라 다양한 감정 경험하기, 교육과정 안에서 훈련 시간 확보하기, 선수 발굴 및 육성과정, 역량 강화를 위한 스스로의 노력, 교사를 움직인 원동력: 손바닥의 굳은살과 믿음, 성인기의 삶을 준비해주기 위해 발로 뛰는 체육 교사, 메달의 색을 바꾸는 세심한 전략, 불안과 초조함을 믿음으로 바꾸는 전략,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도, 다양한 경험을 통한 성장시키기, 역할 갈등 속에서 중심 잡기, 두 가지 역할을 해내는데 필요한 고민의 과정, 학생 선수들의 미래를 위한 바램)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역도부 운영과 장애 학생 역도 지도 방법과 운동 효과, 전문선수 양성과정과 지도자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임효경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특수 교사들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17년 이상의 중등 특수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심층 면담과 비참여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기 초 통합교육 현장에서 운영되는 통합학급 적응 기간은 학생들의 장애 정도 및 학생 수, 학생들의 성숙도, 학교 규모, 특수교사의 노하우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적응 기간 중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적응 기간 중 통합교육의 모습은 교과와 통합담당 교사의 특성, 통합담당 교사의 협력 정도, 학교 유형과 학급 분위기, 특수교사의 역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효율적인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을 위해서는 특수교사가 학교 유형별 현장과 학교 내 일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유연한 사고를 갖고 통합담당 교사, 학부모와 협력체계를 유지하며 지원인력을 활용하는 노하우를 지녀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역할과 지원영역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Relationship of Metabolic Diseases with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Age

        임효경,설재웅,박범석,문지영,홍민화,이유리,황민지,이미나,이지영,김인식,Lim, Hyo Kyung,Sull, Jae Woong,Park, Beom Seok,Mun, Ji Young,Hong, Min Hwa,Lee, Yoori,Hwang, Min Ji,Lee, Mi Na,Lee, Ji Young,Kim, In Sik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18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조사되어진 제 6기 2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령별 신체활동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연령별 신체활동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예방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제 6기 2차(2014)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정상군의 382명과 대사질환군의 1,525명을 총 9,701명의 설문 응답자 중 관련 자료가 없는 2,506명을 제외하고 총 7,295명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은 국제신체활동 설문지 (IPAQ)를 기반으로 재분류 되었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2004년 개정 된 NCEP-ATP III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령에 따른 대사성질환과 신체활동과의 관계에서 10~29세 정상군과 50~69세의 대사질환군에서 혈색소, 적혈구용적, 크리아티닌의 수치는 고강도 신체활동이 수행되었을 때 증가했고 저강도 신체활동을 수행되었을 때 감소했다. 30~49세의 정상군과 대사질환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고강도 신체활동이 수행되었을 때 증가했지만, 저강도 신체활동이 수행되었을 때 감소하였다. 따라서 연령과 운동강도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정상군에서 연령과 운동강도에 따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에 차이는 없었지만 대사질환군에서는 연령에 따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였고 운동강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대사질환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고강도 신체활동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연령은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가 신체활동과 연령에 따라 대사성질환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etabolic disease is associated with abdominal obesity, high blood pressure, and dyslipidemia. Physical activity has beneficial effects on a variety of diseas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diseases and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age. Among a total of 7,295 subjects, the data from 382 individuals in the normal group and 1,525 persons in the metabolic disease group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one-way ANOVA,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levels of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and creatinine (CR), were elevated when a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performed, but they were reduced when a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performed in the normal group aged 10~29 years and the metabolic disease group aged 50~69 years. In the normal group and metabolic disease group aged 30~49 years, the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was elevated wh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conducted, whereas it was reduced when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performed.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HDL-C depending on age and exercise intensity was observed in the normal group; the level of HDL-C decreased with age and increased with exercise intensity in the metabolic disease group. Physical activity has different effects in metabolic disease depending on age.

      • KCI등재

        중등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현장 경험 탐색: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임효경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various areas of inclusive education. [Method] Eight middle-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nd subsequent analysis revealed 4 main themes and 16 sub-themes.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school, the maturity level of the students, and their degree of disability.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a wide range of task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y feel that, rather than cooperation, there is a lack of committed support, of guidance for individual students, and of guidance relating to full-time special-class students. Third, for the essential elements for inclusive education ar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unbiased awareness, read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reparation of disabled students to become a member.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advance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competency, to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hips, to provide ongoing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led students, and to support full-time special-class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discussions should be held on the role of special teachers and on area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ere support is particularly needed. Follow-up studies are recommended.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 특수교사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등 특수교사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 면담과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은 학교 유형과 규모, 학생들의 성숙도,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여러 가지 업무를 담당하며 통합교육 현장에서 협력보다는 일방적 지원과 학생 생활지도,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는 통합학급 교사의 편견 없는 바른 인식과 준비된 특수교사, 구성원이 되기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사 역량 강화와 협력관계 유지, 지속적인 장애인식개선 교육,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사 역할 및 지원영역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급 수업과 특수교사의 지원을 거부하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을 지도한 중등 특수교사의 경험 및 인식

        임효경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refuse to support special class classes and special teachers. [Method] Six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collected. [Results] Students were refusing to assistance due to trauma in the past, reje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confusion about their identity, and false perceptions of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The role of cooperative parents and Inclusive class teachers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adapt to school with the necessary support. An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recognize themselves positively, and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human rights education are needed. [Conclusion]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role and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ho refuse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수업과 특수교사의 지원을 거부하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을 지도해본 중등 특수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등 특수교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과 비참여 관찰,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 학생들은 과거 트라우마, 중증 장애 학생에 대한 거부감,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스러움, ‘장애’와 ‘특수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들로 인해 지원을 거부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학교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협조적인 부모와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리고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과 장애 인식 개선 교육, 인권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지원 거부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 역할 및 지원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임효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xperienced teachers in the full-time special class management.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henomenological study by selecting four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Full-time special classes were managed in various forms. Second, students stayed in full-time special classes were due to student willingness, problematic behavior, lack of leadership and non-cooperative attitudes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and the demands of parents. Third, full-time special class teachers ha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being in charge of student education alone in limited educational environments. Fourth,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wed cooperative or non-cooperative attitudes towards full-time student guidance. Lastly, in order to operate a full-time special class, it wa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ing data, decide on the support necessary through a meeting, and utilize the supportive manpow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ole and support area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ull-time special class operation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중등 특수교사들의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 과정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결과를 공유하고 효율적인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경력 18년 이상의 중등 특수교사 4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과 관찰, 전일제 특수학급 관련 문서 및 문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일제 특수학급은 공식적, 비공식적 또는 정기적, 비정기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전일제 특수학급 교육을 받게 된 이유는 학생 의지, 문제행동, 통합학급 교사들의 지도력 부족과 비협력적 태도, 학부모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일제 특수학급 담당 교사들은 제한된 교육환경에서 학생의 교육을 혼자 담당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통합학급 교사들은 전일제 학생 지도를 위해 협력적이거나 비협력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들은 비장애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특수학급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근거 자료를 만들고 회의를 통해 필요한 지원을 결정해야 하며, 1인 체제로 운영하는 경우, 교내외 지원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리자와 동료 교사들을 함께 고민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과 관련된 특수교사의 역할 및 지원영역에 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특수체육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내러티브(self-narrative)

        임효경 ( Hyo Kyung Im ),김승재 ( Seung J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한 특수체육교사의 교직준비과정과 교사와 연구자로서의 생활을 소재로 하여 고민과 갈등 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자기이야기(self-narrative)라는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회고록, 메모, 일기, 연구물 등 다양한 자료를 Clandinin 과 Connelly의 내러티브분석 절차에 의해분석한 결과 ``예견된 정체성 혼란의 시기``, ``딜레마 속에서 정체성 찾기``, ``과도기 속에서 자리 잡기``, ``연구자로서 체육교사 되기`` 라는 4개의 주제를 발견하였다. ``예견된 정체성 혼란의 시기`` 하위 범주로 1) 교사가 되기위한 통과의례, 2) 체육 과목을 지도해 본 적이 없는 체육교사 라는 핵심어가 도출되었고 ``딜레마 속에서 정체성 찾기``의 하위 범주로 1) 찾아온 기회와 갈등 속에서 이름 찾기, 2) 체육교사이고 싶은 이유`` 라는 핵심어가도출되었다. ``과도기 속에서 자리 잡기``의 하위 범주로 1) 낯선 곳에 대한 두려움, 2) 준비되지 않은 통합교육현장에서의 멀티플레이라는 핵심어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다양한 학교 현장의 특수체육교사들과 관련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현장에 필요한 실제적인 연구물들이 현장의 특수체육교사와 예비특수체육교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적극적인 연수(원격연수 포함)의 기회가 제공 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This study was applied in-depth self-narrative of teaching profession life of a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ich was introducing his/her life of a teacher and a researcher as well as finding to overcome the agony and conflicts. It was found that ``Anticipated period of identity confusion``, ``Finding identity in a dilemma``, ``Transitional period to settle in``, ``Becoming a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as well as a researcher`` were the most important themes of the participants from memoirs, memos, diary, and research papers. Sub-categorical key words of ``Anticipated period of identity confusion`` were 1) A rite of passage for becoming a teacher, 2)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never teaches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Sub-categorical key words in a dilemma were 1) Finding names under conflicts and coming-in chances, 2) Why want to b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Sub-categorical key words of ``Transitional period to settle in`` were 1) Fear of unfamiliar places, 2) Multiplayer in the field of education who are not ready to integrate.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es regard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filed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nd active training (including remote training) chances should be directly provided to actual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pre-teachers on filed.

      • KCI등재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 탐색

        임효경 ( Hyo Kyoung Im ),김승재 ( Seung J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에 배치된 체육교사들이 체육을 지도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력교사 11명으로 선정하였으며 내러티브(narrative)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심층면담과 참여·비참여 관찰, 특수체육교사와 관련된 각종 문서수집과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대주제와 21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즉, 장애영역별 학교의 다양한 체육수업 운영방식과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실제 행동·심리·운동특성, 그리고 체육수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어려움과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교직생활동안 터득한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노하우들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depth research on various experiences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for special schools in different disability types have been going through. A total of 11 experienced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 s and by using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the study carried out profound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as collecting an y written references in connection with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literature analyses. In the end, the study extracted four main theme including 21 sub-theme. In shor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schools in different disability types have been experiencing difficulties and problems caused by these diverse methods of how to ru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most actual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mo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 process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mselves. Not only that, the study came up with tip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at they have been acquired during their career years to help themselves with efficient and successful Physical Educatio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