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강신복(Kang Sin Bo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0 No.3

        스포츠교육학은 체육 교육 현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와 코칭을 다양한 관점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초기에는 스포츠교육학이 학교체육의 실천과 교사양성에 주된 초점을 맞추었지만, 체육학문화 운동 이후 사회체육, 전문체육까지 포함하여 교육과정, 교수와 코칭, 교사(지도자) 양성 등으로 연구 영역이 확대되었다. 이 같은 동향은 한국스포츠교육학의 성장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특히 한국스포츠교육학은 1980년대 말부터 박사 과정의 개설, 그리고 1994년 한국스포츠교육학회가 창립되고 학회지가 출간됨으로써 태동되었고, 그 후 현재까지 학문적 성장기에 있다. 이후 한국스포츠교육학이 보다 중흥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간의 연구 성과들을 성찰해 보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최근 선진 외국의 경우에도 지나간 연구 성과들을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과제를 모색하려는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스포츠교육학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주요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지난 10여 년간 발표된 스포츠교육학 관련 논문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한국스포츠교육학은 크게 학교체육, 사회체육, 전문체육 영역에서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어져 왔으나 비교적 학교체육 중심의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과제로서 이론과 실제의 문제, 연구 패러다임의 문제, 그리고 학문 자립성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Sport pedagogy is the sub-discipline of Human Movement Studies, which explores the teaching and coaching practiced in the various contexts from the multiple perspectives in order not only to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information but also to improve th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beginning era of sport pedagogy, it had focused both on practicing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on prepa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fter the disciplinary movement which was prompted by Henry(1964) in the early 1960s, sport pedagogy has extended its research scope from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the leisure and elite sports. Also it has focused mainly on the curriculum, teaching/co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hese trends could be observed simultaneously in the history of Korean sport pedagogy`s growth. Especially Korean sport pedagogy has been quickened and grown up with a successive process such as opening the doctoral program in the early 1980s, establishing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KASP) in 1994, and publishing th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Now it is very important to review the research outcome which was accumulated by much of researches for developing Korean sport pedagogy. Recently many of leading sport pedagogues in foreign countries have tried to review the past research findings for exploring new tas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port pedagogy and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and practical tasks. So this study explored the domestic doctoral theses and the articles related to sport pedagogy,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professional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during the past decade. As the result, Korean sport pedagogy was studied in the realm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leisure sports, and elite sports with the various themes, but relatively the studie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led Korean sport pedagogy in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are pointed out with following three tasks: ⑴ th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⑵ the research paradig, and ⑶ the academic independence.

      • Landsat 8 대기 반사도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서울시 PM<SUB>10</SUB>시공간 해상도 향상

        백창선(Baek, Chang-Sun),염재홍(Yom, Jae-Hong) 한국측량학회 2019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9 No.4

        최근 한반도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관측 일수가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서울시를 기준으로 24개의 도시 대기 관측소와 15개의 도로변 대기 관측소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제공하고 있으나 미세먼지 특성상 토지 피복, 기상 조건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관측소에서 측정되는 데이터가 서울시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성 영상, 기상 관측 데이터, 토지 피복도와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높은 시공간 해상도의 서울시 미세먼지 영상 생성 모델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티칭교육학에서 스포츠코칭교육학으로

        최의창(Eui 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2

        스포츠교육학 분야는 체육학의 여러 하위학문 중에서 지난 30여년간 가장 급성장한 분야 가운데 하나다. 특히 한국스포츠교육학은 최근 성장을 통해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연구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단연코 최선두에 있다고 인정받고 있다. 1990년대 미국연구 동향의 답습에서 시작하였으나, 체육수업, 체육교육과정, 체육교사교육 전반에 걸쳐 이제는 한국 학교체육의 제도적, 문화적 특색이 반영된 한국적 주제와 이슈들이 많이 탐구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적 연구주제의 개척이라는 긍정적 성과를 올리고 있는 반면, 급격히 변해가고 있는 최근의 학문적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도 있다. 이 점은 한국스포츠교육학의 국제적 수준으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취약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30년을 위하여 한국스포츠교육학이 어떤 학문적 모습을 갖추어야 할 것인지를 연구영역(연구대상)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그간의 연구영역이 거의 전적으로 학교체육교육 장면에 국한되어왔음을 지적하면서, 생활체육교육과 전문체육교육을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핵심적으로, 스포츠 “티칭”을 벗어나 스포츠 “코칭”으로 연구범주의 전환을 도모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먼저 현재 세계 스포츠교육학계의 동향과 한국 체육교육 분야의 현황을 파악한다. 이를 기초로 한국스포츠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몇 가지 핵심 개념들을 소개하고 필요한 실천적 노력을 제안한다. Sport pedagogy is one of the most grown subfields in Kinesiology for the last 30 years. Except for the cases of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it is well recognized that sport pedagogy researchers in Korea has become the leader in Asia. The quantity and quality of research studies by Korean researchers have increased at an astonishing speed. Korean sport pedagogy research(KSPR) has begun by imitating and importing those of United States. However, KSPR has developed research perspectives and topics grown from Koreans institutions and practices. Many current practices and policies have studied and reviewed recently. This identification process of KSPR is now occurring in all the subareas of curriculum, teaching, teacher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Although this trend is welcome, the field has for some period neglected the international trends occuring other countries than US. The SPR in other countries have extended to sport coaching in schools and stadiums. The eyesight has been widened to include sport for all and elite sport eocahing as well as school physical education.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KSPR should move from Sport Teaching Pedaogy to Sport Coaching Pedagogy. First, the current trends in international SPR is described. Second, the changing practic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Korea is analyzed. Third, a conceptualization or reconceptualization of SPR based on a concept of physical activity and human needs is provided. The idea of Coaching Matrix has proposed in order to introduce the extended conceptualization of coaching an the subject area of research. Based on this, some further ideas of research areas and topics are presented. Finally, necessary efforts for the renewed KSPR have been outlined for the next 30 years to come.

      • KCI등재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 - 스포츠교육이 이끌어가는 한국체육 4.0을 지향하며 -

        최의창(Eui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1

        지금 한국체육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아니, 성장통이라고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 같습니다. 1988서울올림픽대회 이후 급격한 발전이 만들어낸 불순물에 의한 신체부조화 현상입니다. 새로운 세대와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한국체육의 재탄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스포츠교육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이 글은 이 한국체육 격변의 시기에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 중견연구자의 개인적 의견 제시입니다. 우선,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의 의미를 규정하여 밖으로 뻗어나는 향외적 개혁과 안으로 파고드는 향내적 개혁으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스포츠교육의 역할”의 뜻을 살펴보면서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지음에 스포츠교육이 주체적 역할과 종속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해석합니다. 이 해석의 바탕 위에서 스포츠교육이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이루어지는 향외적 개혁과 향내적 개혁의 의미를 살펴봅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교육의 이상을 추구하는 한국체육을 “한국체육 4.0”이라고 규정하고 최우선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Korean Sport(KS) is in turmoil now. Many negative happenings in the elite sport sector have occurred this year only.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has launched a special task force to reform KS. Reform ideas for the transformation of KS have been proposed, and some pros and cons on them are now being suggested. In this context, the role that sport education(SE) has to play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form of KS(RKS) and the role of SE(RSE). First, the general meaning of RKS is explained, and the two forms(the introvert and the extrovert) of reform are identified. Second, the general meaning of RSE is presented, and the two forms(the independent and the subordinate) of SE’s roles are suggested. I emphasize the role of sport education(and sport pedagogy) should be the leading one in which SE is the goal, not the mean. Based on these ideas or clarifications, I explain the meaning of the introvert reform and the extrovert reform in which SE plays the independent role. Finally, I call the Korean sport that SE takes the leading role as Korea Sport 4.0. And I suggest some fundamental and urgent innovations that need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스포츠교육(학)이 스포츠코칭을 만났을 때

        정현우(Hyunwoo Ju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과 스포츠코칭의 변화과정을 담론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스포츠교육학의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학교체육(정과체육 → 학교스포츠 → 유·청소년 스포츠 담론)과 스포츠코칭(경험적 → 과학적 → 교육적 담론)의 주요 담론의 변화와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의 현실을 고려할 때 스포츠교육(학)과 코칭의 만남은 선택과 우연보다는 필연적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스포츠교육학의 영역의 확장에 따라 기존의 스포츠코칭 영역의 개념, 연구, 실천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으며, 반대로 스포츠코칭이 엘리트체육에서 생활체육영역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교육적 개념, 연구, 실천에 대한 당위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에서 스포츠교육학 지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스포츠교육학은 기존 체육수업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유소년, 생활, 노인 스포츠지도사들이 각각의 대상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미래 스포츠교육학은 (1) ‘운동소양’과 같은 스포츠교육학 방향의 구체화, (2) 유아, 청소년, 성인 등 대상별 발달단계 및 요구 탐색, (3) 스포츠교육의 다양한 목적, 학습자, 종목의 특성 등을 고려한 실천적 연구, (4) 체육지도자(교사, 코치, 강사 등)의 전문성 함양 등을 위한 연구에 주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는 스포츠와 관련된 교육현상에 대한 교육학적 지식을 생산하고 재분배야 하는 입장에서 학교체육은 물론 생활체육, 전문체육, 여가, 건강, 무용, 무도교육까지 연구주제를 확대해야 하며, (교육, 스포츠)철학, (교육, 스포츠)심리학, 정책학, 생리학 등 인접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교육현상을 보다 적절히 탐구해야 한다. 나아가 스포츠교육학 지식이 체육지도자 제도를 중심으로 스포츠제도와 정책을 개선하는데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port pedagogy in terms of analyzing the change process of sports education and sports coaching through discourse analysis. Considering the change of major discours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 ‘school sports’ → ‘youth sports’ discourse) and sports coaching (‘craft’ → ‘scientific’ → ‘educational’ discourse) and the reality of sports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the encounter between sports education and sports coaching is inevitable. On the one ha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cept, research and practice of sports coaching according to expansion of the field of sports pedagogy,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 concept,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process of sports coaching being expanded from elite sport to sports for all. Furthermore, sport pedagogy should provide pedagog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port instructo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system. In this regard, the future directions of sport pedagogy will be as follows: (1) Clarification of the direction of sport pedagogy such as ‘sports literacy’; (2)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needs of youth, adult, older people; (3) practical study considering various purposes of sports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learner and a range of sports; (4)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ports coach. Finally,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should expand its research topics and explore the educational phenomenon appropriately through multi-discipline approach including (education, sports) philosophy, (education, sports) psychology, policy science, physiology. In addition, sports pedagogy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of sports policy and system centered on the sports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 KCI등재

        한국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 동향

        김무영(Moo Young Kim),이승배(Seung Bae Lee),문호준(Ho Jun Mo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90년 후반 한국에 소개된 이후 현재까지 연구와 실천영역 모두에서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 중에 있는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동향 및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 수행의 문제와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회전자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DB), 한국학술정보(KISS)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43편의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스포츠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 2명, 스포츠교육학 전공 대학교수 1명, 스포츠교육학 박사과정 2 명, 스포츠교육모형 연구 경험이 있는 현장 교사 1명에 의해 분류된 자료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연구 결과의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스포츠교육모형 연구는 초기(1997-2003) 현장 연구가 중심이 되어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주된 연구 테마는 주로 기능주의적 패러다임에 충실한 모형의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의 효과성에 있었으나 2000년 중반(2004-현재)부터는 보다 확장된 연구 패러다임과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기존의 단편적 비교 연구에서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주제에 관심의 눈을 돌리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하여 모형이 갖는 특별한 기능에 대한 관심은 스포츠교육모형이라는 화두를 통해 체육 가르치는 일을 보다 의미 있고 잘 하기 위한 보편적 관심의 실천 매개체로 스포츠교육모형을 바라보도록 기여하였음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수업모형의 선형적 단순 비교를 지양하고 연구의 실재성을 제고하며 마지막으로 스포츠교육모형의 실천과 참여 주체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문제를 보다 깊이 있게 고민할 필요성을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궁극적으로 스포츠교육모형의 실천이 어떤 측면에서 학교 체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며 실천의 과정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생에게는 어떤 의미로 수업 경험이 구성되는지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summarize study trend and achievements for sports education model, actively being discussed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practice ever since the introduction to Korea in late 1990s, and to provide course of future development. Diver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 of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KISS for utilization in analysis of 43 study subjects. In the process, data was classified by two doctors in Sports Education, one university professor in Sport Education, two doctorates studying Sports Education and one teacher with past experience in sports education model. The classified data was reviewed for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study results. As a result, studies on sports education model initially (1997-2003) grew quickly in terms of quantity based on field research that mainly focused on psychomotive, cognitive and definitive efficacies of models that faithfully abide by the functional paradigms. Since mid 2000s (2004-present), studies showed extended research paradigms and different methods to take interest in more in-depth and diverse topics compared to existing simple comparison stud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erest on special functions of sports education model contributed in looking at models as a means to make teaching of sports easier and meaningful. In addition, instead of simple and linear comparison on models, this study reviews the reality of studies to present the necessity to consider deep understanding on practice and participating bodies as important. Practice of sports education model ultimately increased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at schools. The authors of this study argue that researchers must put interest and effort in exploring educational experiences by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actice of mode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한국과 영국의 대학 체육교사교육 비교 분석

        이창현(Chang Hyu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비교연구 관점을 통해 한국과 영국의 체육교육과 지식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 체육교육과정 개편에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영국 각 대학 체육교육과 교육과정 문서 자료를 수집하고 교수, 교사 그리고 학생과 인터뷰(총51명)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hulman(1987)의 교사 지식을 바탕으로 근거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영국의 체육교육과는 체육교사교육에 집중하는 형태이며 한국의 체육교육과는 체육교사교육 및 체육학교육을 병행하는 형태였다. 영국의 경우 전임 교수가 대부분 강좌를 담당하고 있었으며 한국의 경우 시간 강사의 비율이 높았다. 전체 교육과정 시수는 한국이 높았으며, 영국의 경우 교양과 일반 교육학 강좌가 존재하지 않았다. 실기 강좌는 두 학교 모두 높은 시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실기를 바탕으로 PCK 등의 교수법을 배우는 형태였다. 다만, 영국의 경우 같은 강좌가 학년마다 반복되는 나선형 구조였고 한국의 경우 단기 집중형 구조였다. 스포츠교육학의 경우 영국의 강좌 시수가 한국보다 높았으며 내용 교수법(PCK)과 학습자 및 학습자 특성에 관한 지식(KLC)의 연계 지도 방법 차이가 두드러졌다. 스포츠내용학의 경우 두 나라 사이에 맥락적 차이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체육교사교육보다는 체육학을 강조하는 강좌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실기 강좌의 개편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knowledge base (Shulman, 1987) in Korea, compa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ETE) programs in England and Korea. I present data from a comparative study of two PETE programs in two countries. The study used grounded theory of PETE curriculum and interviews. I identified four findings. First, the system in England concentrated on only PETE. However, the system in Korea included PETE and the study of kinesiology. Second, the amounts of hours in curriculum in Korea were much more, than in England. Third, in both courses, there were many sessions where practical content knowledge (CK) knowledge was interrelated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However, the interrelation of knowledge of learn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KLC) was less common in Korea than in England. Fourth, many students in England requested sessions to teach at GCSE and A Level. In Korea, the need for PCK and KLC was identified. I conclude by confirming the need to study these issues in other institutions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initial results. I propose a reduction of sessions of physical activities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과 소통을 위한 스포츠교육의 역할과 과제

        김도연(Do Yeon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최근 세계화 시대흐름과 더불어 다문화사회로 변화한 한국 사회에서 요구되는 스포츠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스포츠교육의 역할을 고찰함과 동시에 청소년의 다문화 및 글로벌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스포츠교육의 과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정책현황 및 다문화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외국의 사례로 독일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체육정책과 다문화 스포츠교육 관련 자료를 고찰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스포츠교육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스포츠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토하여 한국 사회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스포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다문화사회에서 소통과 화합을 위해서는 복지차원의 일회성 정책에서 벗어나 양자적 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다문화 체육정책및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스포츠교육 영역에서의 과제로는 첫째, 다문화 스포츠교육과 관련된 연구가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자 연수교육이 요구되고,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학교행정가, 정책입안자, 기업고용주, 학부모 간의 지역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다문화 스포츠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s and challenges of sport Pedagogy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at has formed as a consequence of globalization. Specific questions include the role of sport pedagogy in integrat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hallenges in enhancing the global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youth. I examined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polc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e. Muti-cultural sports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in Germany were examined as an advanced case. In addition, the potentials of multi-cultural sport pedagogy were explored by surveying literature on development processes of multi-cultural sport pedagogy and the contribution of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in multi-cultural societies require community-based multi-cultural sports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bilateral societal integration beyond improvised welfare policies. This study highlights four major challenges for future multi-cultural sport pedagogy, including (1) more research focused on multi-cultural sports, (2) development of sports programs that can direclty be applied to schools and communities, (3) training sports teachers to enhance their muticultural competence, and (4) establishing networks connecting school administration, policy-makers, and employers hiring immigrants toward community integration.

      • KCI등재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 따른 스포츠의 개념과 체육과 교육과정 반영양상 탐구

        한준상(Joonsang Han),박상봉(Sangbong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체육학계 내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의 스포츠 개념의 규정 시도를 찾아보고, 각각의 관점에서 현행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양상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각 학문적 관점에서의 스포츠 개념이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스포츠의 개념을 탐색하고자 하였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진화론적 관점, 윤리학적 관점, 역사적 관점, 언어학적 관점, 사회생물학적 관점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후 이상의 스포츠 개념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양상을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중 공통 교육과정, 교육부 교수・학습자료, 교과서 등을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개념의 체육과 교육과정 반영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학문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스포츠 개념이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This study looked for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sport from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in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was to explore how the definitions from each point of view are reflected in the current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is, we also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ort concept in each academic perspective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the previous studies that sought to explore the concept of sport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a cultu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n ethical perspective, a historical perspective, a linguistic perspective, and a sociobiological perspective. Since then, the aspect of the sport concept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common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extbook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flection aspects of the sport concept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meaning of the sports concept viewed from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interprete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SD) 연구 동향을 통해 본 스포츠 교육 영역의 확장가능성 탐색

        김원정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emergence background of sustainable development(SD)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nd to explore the extensibility of the field of sport pedagogy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and literature of SD related research conducted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domestic pedagogy an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ecology. For this purpos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17 SDGs were initially interpreted and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discipline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of pedagogical literature, curriculum documents, sport pedagogy, sport philosophy, ethics, sport sociology and sport management, legislative data and research trends in sports ecology. In addition, by re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SDGs in the context of ‘sports’ and ‘education’, the role of ‘sport pedagogy’ and the extensibility of the field was explored. A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D research was remarkable in elementary than secondary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rt subject in Korea, and the socio-cultural aspect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ESD was stronger tha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s. Second, SD research in sport was mainly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ith a high proportion of sports management and the emergence of sports ecology abroa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concept of sport and environment(or ecology) in phys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SDGs, they were categorized into ‘healthy life and physical education’, ‘ecology and natural environment sport’, and ‘cooperative linking of sport education and sport management’, and the role of ‘education’ and the extensibility of the ‘sport pedagogy’ were expected to be further specified according to the phased changes of the SD-related green waves(1~4). Ultimately, in the future,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cooperation within physical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iscuss sport and ecological issues in depth so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SD) and the sustainability of sport itself can be pursued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개념 및 출현 배경을 이해하고 국내 교육학및 체육학, 스포츠생태학 등 다양한 학문에서 수행된 SD 관련 연구 동향과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 교육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교육학 문헌과 교육과정 문서, 체육학 연구(스포츠교육, 스포츠철학 및 윤리, 스포츠사회, 스포츠경영 등), 법제처 자료, 스포츠생태학 연구 동향 등 문헌 분석을 토대로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항목별 구체적 내용을 여러 관점과 다학문적 차원에서 1차 해석 및 논의하였다. 또한, SDGs의 항목별 내용을 ‘스포츠’와 ‘교육’적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범주화함으로써 체육학 내 ‘스포츠 교육’ 역할과 영역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SD 연구는 국내 교육 분야에서 중등보다 초등, 교과에서 유아교육, 예체능 분야에서 미술 분야 연구가 상대적 강세를 보였으며, ESD와 관련하여 ‘체육’은 사회문화적 측면이 환경적, 경제적 측면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학SD 연구는 인문사회 분야에서 주로 수행되었고 국·내외 모두 스포츠경영학 연구 비중이 높았으며, 해외 스포츠생태학의 출현은 스포츠와 환경(또는 생태)에 대한 체육학에서의 개념 활용과 학제적 연구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셋째, SDGs의 항목별 분석과 해석 결과 ‘건강한 삶과 체육’, ‘생태와 자연환경 스포츠’, ‘스포츠교육과스포츠경영의 협력적 연계’로 범주화되었고, SD 관련 녹색 물결(1~4)의 단계적 변화에 따른 ‘교육’ 역할과‘스포츠교육학’의 영역 확장 가능성은 더욱 구체화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궁극적으로, 미래에 체육학 내 학문간 융합과 협력을 통하여 스포츠와 생태 문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SD)과 스포츠 자체의지속가능성을 함께 추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