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I)

        임채윤,김석관,손수정,이윤준,장병열,심현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조사연구 Vol.- No.-

        제목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I) 권호 조사연구 10-05 저자 임채윤, 김석관, 손수정, 이윤준, 장병열, 심현금 발간일 2010-12-31 페이지수 157 조회수 1576 다운수 818 주제분류 과학기술과 산업/경제 > 기업혁신전략 키워드 중소기업, 글로벌정책동향, 역량평가, 중소기업기술평가, 기술역량 원문다운로드 F10-05.pdf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배경○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의 지속적인 전개로 인해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 부족, 지원정책의 실효성 부족, 혁신형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함에 있어서의 한계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현황을 진단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 확보와 기술혁신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의 부족 □ 연구의 목적○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주요 비교 대상국가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미래 전략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 마련연구의 방법 및 구성□ 연구의 방법○ 국가 간 중소기업기술혁신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 국가별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대한 조사결과를 통해 기술혁신 활동 현황을 파악 및 비교 □ 연구의 구성○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설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및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지표를 설정○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가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데이터를 탐색○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앞서 설계된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지표를 조정○ 1차년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 추진할 주요 활동과, 조사내용, 수집된 데이터의 지수화 방향을 논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벤치마킹□ 해외 경쟁력 지표○ IMD 세계 경쟁력지수○ WEF 세계 경쟁력 지수○ 혁신지수○ 하이테크 경쟁력 지수○ 기업가정신 지수지표 개발의 시사점□ 데이터의 신뢰성○ 일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효율성과 신뢰성이 떨어짐 □ 국가간 비교 가능성○ 유럽혁신조사와 국내 기술혁신조사 및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간에는 일치성이 높지만 이외의 국가에서는 조사자료의 내용이 상이함 □ 대표성 확보○ 산업 전반의 혁신역량을 다루는 지표와 중소기업 혁신역량 지표가 차별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면밀히 검토 □ 일반화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특성을 체계화하기 어려운 경우, 정책수요를 바탕으로 지표화하는 방법을 고려○ 창업지원 정책을 정책수요로 하는 경우 창업활동지수, 창업 문화, 실패에 대한 용인 등 기존에 제시된 지표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지수화 함

      • KCI등재

        초기 육계 사료 내 미세조류(Tetradesmus sp.) 첨가에 따른 장관환경 변화

        임채윤,정희수,안수현,주상석,김지훈,공창수,김명후 한국가금학회 2022 韓國家禽學會誌 Vol.49 No.2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microalgae (Tetradesmus sp. (TO)) on intestinal immunity and microbiota of pre-starter broilers. One hundred and twenty 1-day-old birds (Ross 308) were allocated to two dietary treatment groups with six block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two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a corn-soybean meal-based basal diet and a diet with 0.5% TO powder instead of cornstarch in the basal diet. After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s for ten days, all birds' body weight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and representative eight birds were selected from each treatment group. Small intestinal lamina propria cells were isolated using flow cytometry to examine the frequency of immune cells. Cecal feces were harvested for 16s rRNA gut microbiota analysis and fecal IgA levels. Here, we found that 0.5% TO supplementation increased CD3+CD4+ T cells in the small intestine, but decreased CD3+CD8+ T cells in the small intestine. Gut microbial analysis showed that TO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lpha diversity of the gut microbiome. Taxonomic analysis showed that TO treatment increased the abundance of Firmicutes and decreased that of Bacteroidetes at the phylum level. The distribution of Enterobacteriaceae containing many harmful bacteria at the family level, was lower in the TO group. In the LEfSe analysis, the TO group had a significantly enriched abundance of Agathobaculum at the genus level. Overall, results show that Tetradesmus sp. supplementation influences intestinal T-cell immunity and induces the expansion of beneficial gut microbes in pre-starter broiler chickens.

      • 벤처기업의 기술지원 활성화 방안

        임채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연구보고 Vol.- No.-

        세계경제가 지식기반사회로 전환하면서, 과거 국가경쟁력의 척도가 기술의 축적정도로부터 기술의 구체적인 활용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벤처기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 나라도 IMF 이후 구조조정과정에서 벤처기업을 통한 고용창출과 산업구조고도화라는 목표아래 벤처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수단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전개로 말미암아 최근 KOSDAQ시장의 활성화,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급증 등 정책전개의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과도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우려는 기술적 역량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벤처기업이 다양한 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생존능력을 높여 가는 경우 궁극적으로 정책의 전개가 정부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핵심적인 역량을 확보한 기업을 창출하고, 이에 대한 적합한 평가수단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우량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한적인 측면에서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정부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벤처기업에 대한 기술지원시책을 종합적으로 연계·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한편으로는 융자방식에 의한 시설·운전자금 지원으로부터 선별적인 벤처기업 또는 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기술개발 능력 확충이 필요하다. 선택과 집중은 정부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책 방향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과 집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수한 벤처기업 또는 기업가를 선별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의 구축이선결되어야 하며, 이러한 평가시스템의 구축은 사회적으로 평가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함으로써 벤처기업에 대한 과열투자를 막고, 국가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기술적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기술을 중심으로 한 자금 지원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물적 자원의 투입 중심의 정책이 전개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물적 자원은 창업보육센터 설립, 벤처캐피탈 육성 등 벤처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하부구조 구축에 활용되었으며, 정책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정책 지원의 목표를 새롭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대안으로써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기술개발지원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부처에서 벤처기업 기술지원시책의 일환으로 추진하여온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효율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스라엘의 경우 대학 또는 벤처캐피탈, 기술이전회사를 중심으로 전문인력에 의한 보육센터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업종별 창업보육센터의 운영을 통한 전문화를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벤처기업 지원시책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정책의 제도화에 따른 경직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유연한 정책 전개를 위해서는 부처간 역할분담과 종합을 통한 협력과 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벤처기업 정책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정책종합조정기구를 운영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기업-벤처기업간 협력체제 강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조업의 부품 및 기계등 자본재 산업을 중심으로 협동연구개발체제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 기술이전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임채윤,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가연구개발예산의 확대 및 성과중심의 평가체계 확립에 따라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정부,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기술이전·사업화의 촉진을 위해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연구성과관리·활용 기본계획’등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기술이전·사업화에 대한 정책 전개와 성과간의 불일치는 아직까지 성과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의 속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한 연구개발과제와 기술이전 현황을 연동한 DB를 구축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전 기술의 기술 및 시장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의 유형에 따른 기술이전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한편, 정량적인 분석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기술이전의 애로요인, 연구개발 유형별 기술이전 메커니즘 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한다. 정량·정성적인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유형별 기술이전 성공 및 애로요인을 바탕으로 기술이전 정책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기술이전과 관련된 국내외 이론고찰,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 분석, 기술이전 성공사례 분석, 정책적 시사점 및 개선방안 등 크게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국내외 이론고찰에서는 국내적으로 수행된 기술이전 관련 선행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기술이전의 유형과 메커니즘, 성공요인과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정립하였다. 둘째,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 분석을 위해서 출연(연)의 성과보고서(’04~’06년)에 수록된 기술이전 현황을 DB화하고, 이를 조사분석 DB와 연동하여 이전된 기술의 연구개발 특성(6T 분류, 연구개발단계 분류, 기술수명주기 분류, 협력 유형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전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이전 사례분석에서는 생명공학, 철도, 에너지(환경),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이전 사례 중 기술료 1억원 이상(계약금액 기준)의 과제를 선별하여, 면담조사를 통하여 기술이전의 애로요인과 성공요인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기획단계, 성과평가의 효율화, 기술시장 창출을 위한 조세지원 강화, 기술이전 결과의 시장창출 효율화를 위한 신기술인증·평가시스템의 정비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술분야, 기술수명주기에 따라서 민간 부문의 기술 흡수·소화능력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술 사용자(또는 수요자)의 흡수·소화 능력 차이는 이전될 기술의 완성도에 따라서 수요의 집중도가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사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내부조직과 연구관리시스템의 수준에 따라서 성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분야별로 기술이전·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술이전·사업화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적·시장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이전 메커니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정책제언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정책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이전·사업화를 고려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업화로드맵(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oadmap) 수립을 제안한다. 국가적으로 연구개발 분야선정을 위한 로드맵이 작성되고 있지만, 여전히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기획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적극적인 기술이전·사업화 추진을 위해서 일부 대형연구개발과제를 중심으로 연구기획 단계에서 상업화로드맵을 수립함으로써 사업화 초기단계에서 시장창출을 기반으로 한 기술 이전·사업화가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과평가 체계에서 기술분야별/기술수명주기별/연구개발단계별 기술이전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목표를 수립하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이전 수요를 확대하기 위하여 기술이전소득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 공제 범위를 현재 7%에서 15%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신기술의 시장 진입 장벽을 완화하기 위하여 신기술인증·평가 시스템을 정비함으로써 신기술의 성능·안전성·신뢰성 등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 한국형 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

        임채윤,서지영,이광호,김병우,김영훈,김병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연구 Vol.- No.-

        연구목적 "벤처생태계"란 용어는 1998년 이후 국내를 중심으로 벤처기업의 육성을 위한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벤처생태계를 정의함에 있어서 생태계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파악하기 보다는 환경의 중요성만 언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아직까지 개념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벤처생태계를 구성하는 벤처기업, 벤처캐피탈, 회수시장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방향을 설계함으로써 시장 중심적인 벤처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벤처생태계와 관련된 각종 이론 고찰을 통하여, 구체화된 벤처생태계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황 및 실증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벤처생태계를 진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생물학적, 경제·사회학적 생태계와 벤처기업-벤처캐피탈-회수시장간 상호작용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벤처생태계 이론 및 모델 정립을 모색하였다. 둘째, 국내 벤처기업, 벤처캐피탈, 회수시장 현황과 함께 『벤처기업육성을위한특별조치법』 제정 이후, 국내 벤처생태계 관련 정책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와 미국의 벤처생태계 현황을 비교함으로써 국내 벤처생태계의 특성과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벤처기업 협회, 한국신용평가(주), 벤처캐피탈협회, 코스닥위원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산재한 벤처생태계 관련 데이터를 종합하여,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한 종합DB를(1997년~2005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축된 DB를 바탕으로 벤처기업-벤처캐피탈-회수시장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국내 벤처생태계 현황 및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벤처생태계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 중심의 새로운 정책방향을 모색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지난 10년간의 경험으로 인하여 국내 벤처생태계는 지속적인 진화를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정책 초기단계에서 보여 주었던, 정책에 대한 탄력성 보다는 시장 환경(경기지수 및 코스닥지수 등) 변화에 오히려 더욱 탄력적으로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의 완성도 제고, 시장연계형 연구개발프로그램 확대 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벤처캐피탈의 초기투자 확대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유한회사 투자조합, 경영지배 목적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M&A 활성화를 통한 회수시장의 활성화와 다각화를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