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약산업의 혁신체제 개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방안

        김석관,박기범,황정태,최경은,성영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연구 Vol.- No.-

        연구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BT 분야에 대한 정부의 투자 확대를 통해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들이 산출되고 있으나 산업화 측면에서는 별다른 성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BT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BT의 산업화 통로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신약 개발이며, 기초연구 성과의 산업화는 보통 산학연 연계를 통해 실현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제약산업은 혁신 자원이 부족하고 혁신체제 전체적으로도 빈약한 연구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약 개발을 위한 임계 규모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산학연 협력을 통해 제한된 자원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발전 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산학연 혁신 주체의 역할과 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그것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그것을 토대로 우리나라 제약산업 혁신체제를 개선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DB 분석, 산학연 각 주체들에 대한 설문조사, 인터뷰 조사, 성공적인 협력 사례에 대한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것의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들을 제시 하였다.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 현황을 보면, 국내 제약회사들이 현재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신약 개발 과제 174개 중에서 산학연 협력에 의해 후보물질을 도출한 과제는 모두 64개(공동연구 50, 라이선스 14)로 전체의 36.8%에 해당했다. 외국과 달리 라이선스보다 공동연구가 훨씬 더 많은 것은 임계 규모에 미달하는 자원을 지닌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이 공동연구를 통해 부족한 연구 역량 자체를 보강하려는 의도가 강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50건의 공동연구 중 자발적 공동연구는 11건, 정부 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공동연구는 39건인데, 양쪽 모두 기업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제약회사와 벤처기업 사이의 협력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30여 개의 의약품 관련 벤처기업을 조사한 결과 132개 사가 산학연의 전·현직 연구자들과 인적 연계를 맺고 있고, 이중 64개사는 현직 대학 교수가 창업자이거나 대표이사인 경우였다. 산학연 협력의 주요 장애요인으로는 산학연의 조직 목표의 차이,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의 영세성과 제한된 전문성, 기술의 가치 평가 및 협력 성과의 배분 문제에 대한 산학연 주체들 사이의 이견 등이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제약회사의 벤처기업의 취약성으로 인해 학·연 → 벤처기업 → 제약회사로 이어지는 기술의 가치사슬이 구축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었다. 선호하는 협력 유형으로는 제약회사와 벤처기업은 기업 중심의 공동연구를 가장 선호한 반면, 대학과 공공연구소는 단계별 역할분담을 선호하였다. 이는 기업들은 공동연구를 통해 부족한 연구 자원을 확보하기 원하는 반면, 학·연은 연구의 독립성을 더 원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 제약산업에는 두 가지 시스템 실패 영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영역은 학·연의 기초연구로 얻어진 신규 약물 표적에 대한 후속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이고, 둘째 영역은 학·연·벤처에서 얻어진 초보적인 후보물질들이 기업으로 잘 연계가 안 되어서 사장되는 것이 많다는 것이다. 결론 및 시사점 국내 제약회사의 산학연 협력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특정 유형의 산학연 협력을 강조하기 보다는 산학연 협력이 성공할 수 있는 필요조건들을 충족시켜주는 것이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성공적인 산학연 협력의 필요조건으로는 훌륭한 협력 파트너, 매력적인 협력 아이템, 상호 목표의 존중과 인센티브 창출, 예상 가능한 협력 성과, 공정한 성과 배분, 협력의 리더십과 거버넌스, 분명한 역할 분담과 계약 조건, 장기적 신뢰 구축과 도덕적 해이의 방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산학연 각자가 노력해야 할 몫이 있지만, 정부도 관련 환경의 조성을 위해 제도적·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과제로 출연연구소의 연구 수행 체제 개선, 정부 연구개발사업의 기술료 제도 개선, 라이선스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약산업에서 산학연 연계가 미비한 시스템 실패 영역을 해결하기 위해 3가지 정책 수단을 혼용한 정책mix를 검토하였다. 그것은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설립, 국가신약개발전략위원회의 운영, 신약 개발 전문 펀드의 운용이다.

      •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에서 중국의 부상과 대응 전략

        김석관,홍성범,허다혜,전찬미,박정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의 첫 10년을 보낸 현 시점에서 글로벌 경쟁 지형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과거 생산 단계의 국제적 분업 구조에 참여하면서 선진국과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로 연결되었던 개도국들이 이제 혁신 역량을 축적하고 가치사슬의 상위 부분으로 이동하여 R&D 단계에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중 대표적인 나라가 중국이다. 최근의 현상을 간단한 말로 압축하면 중국이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연구소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1960년대에 생산 설비가 개도국으로 이전되던 것과는 다른 차원의 파급 효과와 함의를 지닌다. 그것이 기본적으로 선진국의 고급 일자리 감소와 R&D 기반의 공동화를 촉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보다 더 중요하게는,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왔던 비대칭적 경쟁 구도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에서 중국의 부상은 인접한 우리나라에게도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는 중국이 국제적 분업 구조상에서 가치사슬을 거슬러 올라 R&D 영역으로까지 그 역할을 확대하고 있는 현상, 즉,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에서 중국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내용·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개념과 유형: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기업의 제품 생산 과정을 분담하는 국제적 네트워크로 정의한다면,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는 기업의 R&D 과정을 분담하는 국제적 네트워크로 정의할 수 있다.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는 크게 기업들이 해외에 R&D 센터를 세우는 R&D offshoring과 기업들이 해외 기업이나 연구기관에게 R&D 과정의 일부를 위탁하거나 기술을 구매하는 R&D outsourcing으로 나눌 수 있다. · R&D 오프쇼어링 현황: OECD, UNCTAD, NSF의 통계에서는 선진국 민간 R&D 비용의 10~20% 정도가 해외에서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Booz & Company의 조사에서는 민간 R&D 비용의 40~55% 정도가 해외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전자가 해외 지사를 통한 지출만을 집계한 반면 후자는 기술 라이선싱이나 위탁 용역과 같은 아웃소싱까지 포함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종합하면, 세계의 기업들은 R&D 자금의 16%~50% 이상을 해외 R&D에 투자하고 있고, 그 총 금액은 800억달러~1,700억달러 이상이며, 이 추세는 전체 민간 R&D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 내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기업들이 꼽는 R&D 오프쇼어링 최적 입지는 중국, 미국, 인도 순으로 나타났다. ·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확산 동인과 영향: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확산 동인은 크게 시장 요인과 기술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R&D 센터가 시장 개척과 생산 설비 이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는 경우이고, 후자는 해외의 인재와 혁신 클러스터를 활용해서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되는 경우이다.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확산은 본국(선진국)의 R&D 효율성을 제고하고 해외 시장 개척에 도움을 주지만, 본국의 R&D 기반 공동화와 R&D 일자리 감소를 가져올 수 있으며, 기술 유출의 위험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혁신 역량의 유출을 통해 경쟁 우위를 상실할 수도 있다. 선진국의 R&D 센터를 유치하는 현지국가(개도국)들은 R&D 관련 일자리 확충, 인적 자원 개발, 지식 확산, NIS 구조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외국 기업에게 우수 인재를 빼앗기고 국내의 자생적 R&D 기반이 약화될 수 있는 위험도 있다. · 중국 내 외국 기업 R&D 센터의 현황: 중국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09년 현재 중국 내 외국 기업의 R&D 센터는 6,000여개이며, 여기에 근무하는 R&D 인력은 11만명이고, 외국 기업의 총 R&D 투자는 996억위안(한화 약 18조원)이다. 외국 학자의 추산에 따르면 실제 연구개발을 하는 센터는 최소 500개 이상이며, 70개 이상의 외국계 R&D 센터에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R&D를 수행하고 있다. 외국계 R&D 센터는 주로 베이징과 상하이에 집중되어 있으며, 업종별로는 IT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그 외 제약, 화학, 식품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외국계 R&D 센터의 기능은 크게 전술적/단기적/내수용/제품개발 중심과 전략적/중장기적/글로벌시장용/원천기술연구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보통 전자에서 시작해서 점차 후자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 중국 내 외국 기업 R&D의 동인과 장애 요인: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 R&D 센터를 설립하는 이유는 크게 중국 시장을 개척하는 것과 중국의 저렴한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구분된다. 외국계 R&D 센터가 중국에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언어/문화적 장벽, R&D 인력의 다양성, 현지 R&D 인력의 동기/창의성 부족, 높은 이직률, 중국 정부의 관료주의와 꽌시 문화, 정책적 변화의 불확실성과 낮은 예측가능성, 지적재산권의 보호 문제 등이다. · 중국 내 외국 기업 R&D의 영향과 전망: 외국 기업의 R&D 센터가 투자 및 고용 증가를 통해 중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적자원 개발, 지식 확산 등을 통해 중국의 국가혁신체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국 기업 R&D 센터의 역효과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만만치 않은데, 그것은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첨단기술 제품의 생산과 수출에서 외국 기업 의존도 심화, 외국 기업으로의 인재 유출과 미미한 지식 확산 효과 등이다. 특히 지식 확산과 관련해서는 외국 기업에서 국내 기업으로의 인력 이동이 적고 중국 기업들의 흡수 역량 저하로 인해 실질적인 지식 확산 효과가 미미하다는 비판도 있다. 결론 및 정책제언· 중국이 지닌 중층적 의미: 중국은 선진국과 우리 기업들에게 엄청난 규모의 신흥 시장이자, (자국에서는 점차 줄고 있는) 양질의 이공계 인력의 보고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언젠가는 자신들의 우월적 지위를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경쟁자이기도 하다. 중국이 지닌 이러한 중층적 의미 때문에 우리 기업과 정부의 대응 방안도 중층적이어야 한다. 즉, 한편으로는 중국을 활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경쟁 우위를 잃지 않기 위해 이들을 경계하는 전략을 적절히 구사해야 한다. · 기업의 대응 과제: 첫째, 거대한 신흥 시장으로서의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에서 다국적 기업들과 경쟁하고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른 다국적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현지에 R&D 센터를 설치해서 중국 시장용 제품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둘째, 고급 과학기술 인력의 보고인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의 고급 연구개발 인력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력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의 고급 인재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충성도를 높이고 이직률을 억제하기 위한 인력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잠재적 경쟁자인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과의 기술 경쟁력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은 고유의 혁신 모델을 빨리 찾고 구축해야 한다. · 정책적 대응 과제: 첫째, R&D offshoring과 관련해서 외국계 연구소 유치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 비해 한국을 R&D 입지로 선호하지 않고, 또 외국계 연구소가 들어오더라도 지식 확산 효과는 미미하다고 볼 때, 외국계 연구소의 유치 정책은 필요성도 부족하고 실효성도 기대하기 힘든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R&D outsourcing과 관련해서는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아웃소싱 네트워크에 편입하여 부가가치의 일정 부분을 확보하는 전략을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 수요자 측면에서는 다른 선진국 기업들처럼 중국을 R&D offshoring 기지로 활용하는 것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 R&D 센터를 설립

      • KCI등재

        경제의 세계화와 국제 분업에 관한 이론적 쟁점: 통합적 분석 틀의 모색

        김석관 한국지역학회 2012 지역연구 Vol.28 No.2

        The massive movements of production facilities of manufacturing industry from developed to developing countries since the 1960s led to a stream of researches on economic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ur. The studies on "new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ur", "global commodity chain", "global value chain", "global production network", and "global innovation network" are most cited ones among them. In this review, I examined key articles of these studies critically and disclosed three major theoretical issues by comparing them. They are demarcating historical phases of economic globalization, conceptual partition of value chains, and choice of categories for analytic framework. Based on these analysis,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researches on economic globalization are suggested. 1960년대 이후 가속화되었던 제조업 생산 기능의 개도국 이전 현상을 계기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경제의 세계화와 국제 분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신국제분업론, 글로벌 상품사슬 및 글로벌 가치사슬 연구, 맨체스터 스쿨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연구, Ernst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및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경제의 세계화 및 국제 분업을 다룬 이들 대표적인 연구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들 사이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와 더불어 몇 가지 이론적 쟁점들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그것은 경제의 세계화의 역사적 단계 구분 문제, 제조업 가치사슬의 개념적 분할 여부, 분석 범주의 선택 문제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적 쟁점들의 분석에 기반해서 경제의 세계화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통합적 분석 틀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Gender Reassignment Surgery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Positive Patients: A Report of Two Cases

        김석관,최지안,명훈,민수,이근철 대한성형외과학회 201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42 No.6

        It is believed that surgery o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positive patients is dangerous and should be avoided due to the possibility of postoperative infection of the patients or HIV occupational transmission to the medical staff. We discuss here the preparations and measures needed to conduct surgery safely on HIV-positive patients, based on our experience. We performed sex reassignment surgery on two HIV-positive patients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15. Both of them were receiving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and were asymptomatic, with a normal CD4 count (>500 cells/μL). The HIV-RNA was undetectable within the bloodstream. All the staff wore protective clothing, glasses, and three pairs of protective gloves in the operating roo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Prophylactic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to the patients, and antiviral therapy was performed during their perioperative course. Neither of the patients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none of the medical staff experienced accidental exposure. Both patients had satisfactory surgery outcomes without complications. HIV-positive patients can undergo surgery safely without increased risk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r HIV transmission to the staff through the proper use of antibiotics,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and supplemental protective measures with post-exposure prophylaxis for the staff in case of HIV exposure.

      • 부분구조합성법을 이용한 냉장고의 진동해석

        김석관,성대,임기수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3 소음 진동 Vol.3 No.3

        In this study, vibration analysis of a refrigerator was carried out to reduce vibration induced noise. When the components of a machine are assembled together, the natural frequencies of each component are changed since they have influences on one another. To avoid the problem of resonanc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must be checked systematically after they are designed. For this purpose, vibration analysis of a refrigerator was done using a component synthesis method.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and are presented here.

      •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김석관,안두현,형주,신광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환경 변화는 의료산업의 혁신을 요구: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4P 의료, 정밀의학, 헬스케어 3.0 등), 우수 인력을 기반으로 의료산업의 산업적 경쟁력 강화 필요성, 국민 보건 증진 및 의료보험 재정 절감 필요성, 연관 산업(의약품, 의료기기)의 혁신을 촉진○ 그러나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의 개념, 유형,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관련 정책적 논의가 어려운 상황이며,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을 정의하고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정책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는 의료산업의 혁신을 유형화하고 그 기본적인 내용을 개관함으로써 이후의 연구를 위한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음 주요 연구내용(1)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 개관○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은 “최적의 치료법을 개발하고 선별해서 의료 수요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의료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보건을 증진하기 위한 모든 기술적, 비기술적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음○ 신 치료법의 개발과 보급 과정에서 병원이 담당하는 연구는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로 통칭되는 추세이며, 의료 정보화, 조직 혁신,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제도 혁신 등은 서비스 혁신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음○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은 기초연구, T1 중개연구, T2 중개연구, 서비스 혁신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각은 다시 몇 가지 활동으로 세분됨(표 1) <표 1>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 분류 단계 기초연구 T1 중개연구 T2 중개연구 서비스 혁신 제품후보발굴/전임상연구 임상시험 최적치료법 선택 의료 행위 적용 기술기반서비스혁신 비기술기반서비스혁신 모토 translationto humans translationto patients translationto practice 목표 기초지식 preclinical efficacy clinical efficacy clinicaleffectiveness diffusion to practice 서비스 경쟁력 강화 내용 타겟연구기전연구 제품후보 연구동물에서 효능/독성 평가 인간에서 효능/부작용 평가임상연구 비교효과연구체계적 문헌연구진료지침개발 실행연구배포연구확산연구성과연구 병원 정보화 조직혁신사업모델 혁신제도혁신 (2)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 유형별 주요 내용을 개관하고 주요 이슈를 제기○ 기초연구 및 T1 중개연구: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T2 중개연구: 최적 치료법의 선별과 보급○ 서비스 혁신: 의료전달체계의 개선과 효율화 결론 및 정책 제언(1) 지원의 우선순위와 지원 규모 설정○ 미국에서는 막대한 생의학 연구 투자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보건 성과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사실에 근거해서 T1과 T2 중개연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짐- 미국 의학한림원을 비롯한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최적의 치료법을 선별해서 의료 수요자에게 적절하게 전달하기 위한 T2 중개연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 필요: 우리의 한정된 재원을 고려해서 산업 경쟁력과 국민 보건 증진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부터 지원해야 함(2) 병원의 연구 시스템 구축○ 의사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의학 교육 개선- 병역 특례와 연계한 MD-PhD 과정의 도입을 검토: MD-PhD는 사회 진출이 늦어지는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이를 상쇄하기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4년 동안의 박사과정을 병역 기간으로 인정해주는 병역 특례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 대학병원 소속의 전임의들에 대한 훈련 기회 제공: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대학병원에 들어온 전임의들에게 연구비와 인건비를 지급하여 1년 동안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연구비 지원과 연구 시간 확보: 정부연구개발사업에서 의사들의 인건비를 일정 수준 계상하고 간접비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해서 의사들의 연구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 필요(3) 병원의 기초연구 및 T1 중개연구 강화○ 기초연구자와 임상 의사의 협업 시스템 구축: 기초연구자와 임상 의사의 협업 시스템 구축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미국식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우선은 현재의 조직 구조를 유지하면서 기초의학교실과 임상의학교실의 공동연구를 촉진○ 병원와 외부 조직과의 협력 시스템 구축: 병원 중개연구는 대부분 외부 조직이 개발한 제품 후보의 효능과 부작용을 검증하는 것이므로 외부 조직과의 상시적인 협력 시스템(개방형 혁신 시스템) 구축이 중개연구 성공의 관건. 다양한 방식의 개방형 혁신 체제를 조직적, 문화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해야 함(4) 병원의 T2 중개연구 강화○ 비교효과연구 및 의료기술평가 강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예산을 확대하고, 이 기관 주도로 주요 대학병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비교효과연구 및 의료기술평가를 체계적으로 추진- 비교효과연구는 드러난 의료 현안을 해결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철저한 기획에 의한 하향식(top-down) 추진체계가 적절.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비교효과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차근차근 연구를 추진해야 함○ 최적 치료법의 보급을 위한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 구축: 표준적 치료법과 실제 진료 현장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1차 진료 기관들로 구성된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는 표준적 치료법이 실제 진료 현장에 적용되는 비율,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적용의 결과, 일선 의사와 환자들이 제기하는 문제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표준적 진료법의 수정과 보급에 기여하고 보건적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5) 병원의 서비스 혁신 촉진○ 병원 정보화르 통한 서비스 혁신 촉진: 우리나라의 우수한 IT 역량을 기반으로, 병원 정보화 성공 사례(예: 분당서울대병원)의 확산, 병원 정보화 기술개발 지원, 병원의 정보화 구축 자금 지원 등을 통해 디지털병원의 세계적 선두 주자로 도약○ 사업 모델 혁신을 위한 규제 정비: 4P 의료 시대에는 다양한 사업 모델이 새롭게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진입 규제를 비롯한 관련 규제들이 정비되어야 함

      •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김석관,장병열,이윤준,송종국,안두현,이광호,최지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일련의 지식 환경 변화를 배경으로 기업들이 외부와의 협력을 확대하는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개방형 혁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개방형 혁신”을 처음 주창한 Chesbrough의 연구 이후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졌고 국내에도 일부 논의가 소개되었지만, 아직까지 국내 기업들의 사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객관적 평가도 거의 전무하고 우리 기업들이 개방형 혁신을 도입하기 위한 실무적 지침과 정부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실행과 정부의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울 줄 수 있는 사례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을 자세히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그의 주장이 지니는 현실 부합성과 이론적 의의를 진단하고 그가 정말 기여한 부분은 어디인지를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기업의 전략적 기획과 실행을 이한 실무적 시사점 제공한다. 셋째,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사례를 토대로 개방형 혁신 활동의 산업간, 국가간 비교를 시도한다. 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술 및 산업적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고 업종별로 다른 개방형 혁신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혁신체제 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주요 연구내용 (1)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과 그에 대한 평가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연구, 개발, 상업화에 이르는 일련의 혁신 과정을 개방하여 외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혁신의 비용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며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는 기업 혁신의 방법론을 말한다. 개방형 혁신은 외부의 지식과 아이디어를 도입하는 내향형 개방과 내부의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서 다른 경로의 상업화를 추진하는 외향형 개방으로 나뉜다. Chsebrough의 이론은 “개방형 혁신”이라는 이름은 새롭지만, 그 세부 유형들은 모두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것으로 이론적으로 새로운 혁신 방법론을 제시한 것은 아니다. 현상적으로도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관행이 최근에 확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와 협력하는 것은 20세기 동안 계속 진행된 현상이고, 특히 기업연구소가 발달하지 않았던 20세기 초에는 R&D 아웃소싱이 기업의 주된 혁신 방법이었다. (2) 국내외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사례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을 기업이 처한 고유한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의 하나로 보고, 각 기업들이 처한 국가적, 산업적, 기업특수적 맥락에 따라 개방형 혁신의 실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결론 (1)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시사점 첫째, 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맥락 요소는 지식 환경의 변화가 아니라 산업구조적 특성이다. 둘째, 혁신의 경제학보다는 기술개발 가능성과 기술의 획득 자체가 더 중요한 동기이다. 셋째, 기술사업화 경로를 개방하는 이유가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 기업과 같은 것은 아니다. 넷째, 환경 규제와 같은 새로운 규제 환경의 등장도 개방형 혁신의 중요한 영향 요인이다. 다섯째, 휴면 특허의 활용을 통한 부가수익 창출 사례는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2)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첫째, [제품수명주기: 성숙산업 vs. 신생산업] 성숙산업에서는 신제품/신서비스/신사업 발굴을 위해 벤처기업과 협력하거나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의 탐색, 검토, 사업화(투자)를 위한 공식적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벤처캐피탈 설립 및 투자를 통해 벤처기업 커뮤니티를 상시 모니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생산업에서는 지배적 디자인 경쟁에서의 승리와 고객 확대를 위해 기업간 컨소시엄 구성이나 사용자 혁신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고객 커뮤니티 및 업계 유관기업과 적극적인 소통과 제휴를 통해 개방형 혁신을 경쟁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가치사슬: 소비재산업 vs. 자본재산업] 소비재산업에서는 외부의 다양한 기술 및 제품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도입하거나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소비자를 포함한 외부의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탐색, 수집하고 사업화시키는 절차를 갖추는 것과, 외부 아이디어 탐색을 위해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공개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본재(생산재)산업에서는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객기업과 자본재(생산재)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고객과의 장기적이고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고객의 니즈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지식의 속성: 명시적 지식 vs. 암묵적 지식] 명시적 지식이 중요한 과학기반산업에서는 특허가 주요한 전유수단이 되고 라이선싱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특허의 산출, 보호, 검색, 평가에 관한 조직 역량을 구축하고 특허를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암묵적 지식이 중요한 기술기반산업에서는 지식이 사람과 조직에 체화되기 때문에 라이선싱보다는 공동연구가 더 적합하며, 이 경우 최적의 파트너와 제휴관계를 맺는 것과 공동연구 과정을 관리하고 성과를 공정하게 배분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넷째, [인터넷/콘텐츠 산업: 포탈 vs. 온라인 게임] 인터넷 포탈과 온라인 게임산업은 인터넷 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용자 혁신의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갖지만, 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혁신 이외의 개방형 혁신은 그 동기, 유형 선택, 관리 이슈 등의 측면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인터넷 포탈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처기업과 협력하거나 벤처기업을 인수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벤처기업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온라인 게임산업은 특정 기술의 구매, 기업인수, 외주 개발, 사용자 혁신 등 다양한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며, 콘텐츠 제작자가 지니는 관리상의 이슈를 공유한다. 정책제언 가치사슬 내에서 이루어지는 수직적 개방형 혁신은 정부의 직접적 지원 필요성이 크지 않으며, 지식 원천의 다양화를 위한 벤처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 벤처 창업과 신사업 탐색을 지원하는 정책, 동종업종의 컨소시엄에 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수평적 개방형 혁신에 대해서는 글로벌 수준의 연구기관 육성과 산학연 협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기업의 협력 파트너가 될 대학 및 연구소의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파트너 탐색 지원, 인력 유동성 제고, 기업의 학/연 지원에 대한 세제혜택, 학/연의 인사평가 제도 개선을 통한 협력 인센티브 제공 등의 산학연 협력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이업종 공동개발(컨소시엄 포함)에 대한 지원도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