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종사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진섭 ( Jin Seop Lim ),이혁준 ( Hyuk Joon Lee ),임정훈 ( Jung Hun L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표적인 시설유형인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종사자로 구분하여 이들의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대한 수준과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경로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생활시설 종사자들이 이용시설 종사자들에 비해 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의 하위차원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및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의 검증에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tres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between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and community(liv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justice`s 3 sub-dimension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re same result through the latent average analysis between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and community(living) facilities. however, social worker who works in living facilities job stress is higher level than using facilities worker. Second,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to job stress but procedural justice has not statistical effect. In addition, only interactional justice have a negative effect to job stress, job stress have negative effect to job satisfaction. Third, In this study, established structural model are existed partially difference between group of facility types.

      • KCI등재

        지역대학을 활용한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소고(小考) : 해외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진섭 ( Jin-seop Lim ),정형선 ( Hyoung-sun Jeong ),진영란 ( Young-ran Chin ),오영삼 ( Young-sam Oh ),서은주 ( Eunju Seo ),김명일 ( Myoung-il Kim ),박명배 ( Myoung-bae Park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지역사회 대학의 참여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령친화대학(Age-Friendly University: AFU)을 대학의 새로운 정책이자 운영방식으로 적용하고 있는 해외대학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한 해외현지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각각의 대학은 대학이 지닌 상황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저마다의 특별하고 독특한 지역사회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대학은 주거, 건강의료, 요양과 같은 협소한 의미의 돌봄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경력개발, 사회참여 등의 거시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의 돌봄 서비스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지역대학이 커뮤니티 케어에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고 적용 가능한 분야는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탐색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depth ways of participating and utilizing community colleges in order for the government’s community care policies to be effectively realized, and to explore what roles and functions local universities can play in relation to community care. For this study, overseas local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community care, focusing on overseas universities that applied the Age-Friendly University(AFU) policy as a way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each university was practicing special and unique community care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and special nature of the university. In addition, these universities expanded the meaning of care and care to more comprehensive concepts rather than limited to microscopic areas, showing that universities could play important roles and functions in various areas, including lifelong learning,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as housing, health care and nursing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region.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applicable fields and contents of local universities on community care policies.

      • KCI등재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임진섭(Lim Jin-Seop)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패널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2,67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4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자기회귀 교차지연모델을 통한 분석결과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유의미하게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또한 이전시점의 공격성은 이후시점의 우울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전시점의 우울은 이후시점의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방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격성이 높을수록 이후 아동의 우울은 증가하지만, 우울이 높을수록 이후 아동의 공격성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 변인간의 관계성에 있어 남녀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지적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among adolescents. The 4-year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2,670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was used in this study. From the analysis result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were continued from elementary school 4th grade to middle school 7th grade in significant stability. In addition, the previous aggressivenes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ter period depression. Similarly, the previous depress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r aggressiveness, but the direction was negative. This means that the adolescents's depression increases as their aggressiveness increases, but as the depression increases, the later aggressiveness of the adolescents decreas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variables. Finally, the implication derived from the resul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자활사업 참여자의 창업의지의 발생경로에 관한 연구: 사회적일자리형과 시장진입형 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임진섭 ( Jin Seop Lim ),최장원 ( Jang Won Choi ),장용언 ( Yong Eun J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근로사업 유형 중 사회적일자리형과 시장진입형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자활의지 그리고 창업의지에 대한 수준과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경로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31개 지역자활센터에 속한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자활사업의 유형인 사회적일자리형과 시장진입형 집단에 따른 수준차이를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자활의지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업의지의 경우 시장진입형 참여자들이 사회적일자리형 참여자들에 비해 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자활의지 그리고 창업의지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의 분석결과 자활서비스의 질은 창업의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직무만족을 통해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에서는 자활사업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자활사업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levels of self-support service quality, job satisfaction, self-suppor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 groups of social employment and market approach types which are self-sufficiency programs, and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path. In order to proceed, survey data were utilized which were formed by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who belonged to 31 regional self-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rea, and following key factors which were fou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rough the latent mean analysis for the 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al employment and market approach types which are the self-support program types selected in this research, quality of self-support service, job satisfaction, and self-support intention from self-employment participants were all the sam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market approach type of participants showed higher level compared to the social employment type participant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in relation with the self-support service quality, job satisfaction, self-suppor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self-support program type, self-support service quality affected negatively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it affected positively through th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partially exist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self-support program type that was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Lastly, this research presented discuss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current self-support program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진섭 ( Lim Jin Seop ),정혜원 ( Jeong Hye Won ),김태형 ( Kim Tae Hye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 소재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 직무소외가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영향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사회복지사협회에서 실시한 사회복지 보수교육에 참여한 56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인인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매개변인인 직무소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소외는 일탈적 과업행동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일탈적 과업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직무소외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서 직무소외감은 완전매개 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서는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on deviant workplace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s of job-alienation on this relation.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567 social workers who were attending supplement education for employees working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Gwangju.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job-alienation. Also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job alienation and deviant workplace behavior. Second,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had directly no relationships with deviant workplace behavior but had indirect influences mediating effects of job-alienation that is featured as a full mediation variable on this relation.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opulation by sex on this rel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es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 for deviant workplace behavior of Employment of Participants under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요양보호사 경력개발을 위한 탐색적 접근 방안에 관한 연구

        임진섭(Lim, Jin Seop)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1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서비스를 지원하여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가족의 부양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하기 위해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가족의 부양부담을 완화하고 요보호노인에게 전문적인 요양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이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과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하나가 요양보호사의 낮은 전문성과 이에 따른 서비스 질 하락의 문제이다. 요양보호사를 위한 경력개발 프로그램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제고하고 요양보호사가 스스로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더 나은 발전적 지위와 장기적인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인 장기요양인력을 위한 경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인정되고 있는 ECCLI(Extended Care Career Ladder Initiative) 프로그램을 체계적인 관점을 통해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요양보호사 경력개발 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Elderly was enacted in 2008 which provides Physical activity or housework services for elderly who can live alone for reasons of sick of reasons or old age. Such a this system makes elderly more healthy and burden of the Caring to their family can be low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Elderly has a positive effects in various aspects but still have a lot of problems and limitations. One of these is decline in the quality of services associated with low professionalism of care givers for elderly.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are givers has emerg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give care givers evolutionary status and long-term vis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systematically analyze the program of ECCLI(Extended Care Career Ladder Initiative that is conceded as a innovative career development program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care giver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 성과만족에 관한 연구

        임진섭(Jin Seop L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 한국사회정책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에 대한 개인효과와 지역자활센터의 조직효과를 검증하고 이들의 지각된 자활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다층모형(Multilevel analysis)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적 평균모형(Unconditional means model) 분석결과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가 자활센터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층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적 기울기모형(Unconditional slope model) 분석결과에서 고정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가 높을수록, 지각된 자활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지각된 자활성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효과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지각된 자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 중 자활센터마다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성별, 지각된 서비스의 질, 직무만족,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조건적 기울기 모형(Conditional slope model)의 분석결과 지각된 자활서비스 질과 직무만족 중에서는 지각된 자활서비스의 질만이 조직수준인 전문자격증 소지자 수 및 센터장의 리더십과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individual factors and local self-support center`s factors on the self-sufficiency performance of the middle-old aged and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self-sufficiency. For this,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elf-sufficiency performance of the middle-old aged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local self-support center. This mean that appling the multi-level analysis to this study is reasonable. The higher self commitment, perceived quality of service, job satisfaction the self-sufficiency performance is increased in fixed effects. Of the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on self-sufficiency performance, gender, perceived quality of service, job satisfaction, stress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local self-support center. Perceived quality of service has only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number of license and readership in analysis of Conditional slope model for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local self-support center`s factors on the self-sufficiency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further research,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ncreasing self-sufficiency performance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