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방재활의학과 관련 논문에 대한 조사연구

        김도헌,이인선 ( Lee In-Seon )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2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발간된 5권의 한방물리요법과학회지 및 1996년 부터 1998년까지 발간된 4권의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 175 편의 내용을 조사, 분류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75편의 논문 중 문헌논문은 92편(53%), 실험논문이 47편(27%), 임 상논문이 36편(20%)이었다. 2. 175편의 논문 중 경희대가 55편(31%)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 였으며, 대전대가 47편(27%), 원광대가 21편(12%), 동국대가 17편(10%) 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1996년 이후에는 101편의 논문 중 대전대가 28편 (28%), 동국대가 17편(17%)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3. 특정 증상 및 질환을 중심으로 연구한 125편의 논문 중에서 관절염 및 비증(28%)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비만(21%), 요통 및 척추 질환 (13%), 뇌졸중후유증(10%)에 관한 논문도 많았다. 4. 특정 치료방법을 중심으로 연구한 79편의 논문 중에서 약물을 제외 하고는 전기요법, 자기요법, 광선요법, 향기요법 등의 이학요법(35%)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추나요법(27%), 식이요법(14%)에 관한 논문도 많았으며, 이학요법에 관한 논문은 28편 중 17편(82%)이 1996년 이후에 발표되었다. 5. 실험논문 중 가장 많이 연구한 증상 및 질환은 관절염 및 비증(34 %), 비만(19%), 근육피로(13%)등의 순이었다. 6. 실험방법에서 실험대상에게 취한 치료방법으로는 약물투여가 가장 많았으며(81%), 1996년 이후에는 자기요법, 광선요법, 식이요법, 부항요 법, 피내침, 약침, 오색조사, 외용약을 이용한 논문도 발표되었다. 7. 실험대상은 흰쥐가 가장 많았고(68%) 사람을 실험대상으로 한 논문 도 7편이 있었으며, 실험전 증상 및 질병을 유발한 논문은 44편(94%)이 었다. 8. 실험논문에서의 결과처리는 평균±표준오차가 가장 많았으며(66%), 유의성 검정을 한 논문은 45편(95%)이었다. 임상논문에서의 결과처리는 단순결과수치가 가장 많았으며(69%), 유의성 검정을 한 논문은 12편(3 1%)이었다. 9. 임상논문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한 증상 및 질환은 요통 및 척추질 환(28%), 비만(25%), 뇌졸중휴유증(19%)이었다. 10. 임상논문 중에서 약물외에 연구대상에게 취한 치료방법으로 식이요법, 전기요법, 추나, 초음파, 이침, 외용약이었고, 6편의 논문에서는 치 료방법의 혼용으로 특정 치료방법과 연구결과와의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어려웠다. 11. 문헌논문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한 증상 및 질환은 관절염 및 비증 (33%), 비만(15%), 뇌졸중후유증(13%), 요통 및 척추질환(13%)이었다. 12. 문헌논문 중에서 수기요법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35%) 이학 요법, 식이요법과 양생법, 기공과 운동치료, 대체의학에 대한 연구가 있 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한방재활의학과와 관련된 증상 및 질환과 치료방법 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방법과 연구형식에 의한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나, 앞으로는 문헌고찰, 실험연구 및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연구가 시행되어 연구의 연계성을 살리고, 보다 발전된 연구방법에 의한 논문이 발표되어 한방재활의학과의 전문성을 발전시키며 의학논문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 인 건강유지의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계강조초황신부탕(桂薑棗草黃辛附湯)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백경룡 ( Baek Gyong-Lyong ),최민순,권영달 ( Kwon Young-Dal ),유도곤,송용선 ( Song Yung-Sun )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2

        계강조초황신부탕의 실험동물에서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ouse에서 sheep red blood cell의 투여로 유도된 체액성 면역기능 반응인 Arthus반응, 비장 중량의 변화,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의 변화등 이 100㎎/㎏/day로 5일간 복강투여후에 변화하지 않았다. 2. mouse에서 sheep red blood cell의 투여로 유도된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인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및 rosette 형성능력이 100㎎/㎏/ day로 5일간 복강투여후에 유의성이 있게 감소하였다. 3. mouse에서 sheep red blood cell의 투여 후 비특이적면역기능을 담당하는 혈청 lysozyme activity나 복강 macrophage에서의 reactive oxyg en species의 생성 능력이 100㎎/㎏ 용량의 5일간 복강투여후에 변화하 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계강조초황신부탕이 정상적인 체액성면역이나 비특이적 면역반응은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상적인 세포매개성 면역기 능에 대한 저해작용이 있어서 부작용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있으며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type Ⅳ알레르기에 유효할 가능성도 아울러 제시한다.

      • KCI등재

        관장요법(灌腸療法)에 대한 문헌적 고찰

        송윤경 ( Song Yun-Kyung ),임형호 ( Lim Hyung-Ho )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1

        관장요법이 임상에서 활용된 질환 및 구체적인 시행방법에 대하여 문헌 적인 고찰 및 발표된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1. 관장요법은 약물 외용법의 일종으로 한약재를 사용하여 국소적 혹은 전신적 치료를 목적으로 직장을 통하여 직접 투여하는 방법이며, 전제나 관장액 등의 제형으로 약물을 항문에 삽입 혹은 점적하여 투여한다. 2. 보유관장은 장중경의 밀전도법을 기초로 발전된 외치법의 하나로 약 물을 주입기로 일시에 항문에 관장하고 수시간 동안 항문을 전색하여 놓 는 방법이다. 3. 보유관장의 적응증은 급증, 장도질환 및 급성복증, 부인과 질환, 비 뇨기과질환, 암, 감염 질환, 소아과 질환 등이다. 4. 관장을 시행함에 있어서 관장약액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질환 및 병 정특징에 따라 배합하여 구성하며, 관장액의 양 및 보유시간의 장단, 항 관을 항문에 삽입시 삽입심도, 관장의 횟수 및 요정 등은 병정에 근거하 여 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관장요법 중 보유관장을 임상에서 단미 혹 은 복방으로 수전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절식요법이 사상체질별 체지방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화영,송용선 ( Song Yung-Sun ),박용현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1

        1997년 5월 1일부터 1997년 8월 31일까지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한 방재활의학과에 체중감소를 목적으로 입원한 환자 19례의 사상체질을 감 별하고 절식치료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임상적으로 고찰하여 다음과 같 은 결론을 얻었다. 1. 비만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대상 환자중 태음인이 74%, 소양인이 21%, 소음인이 5%를 차지해 태음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2. 절식치료전 측정한 신장과 체중은 태음인이 높았고 BMI, 체지방량, 체지방율 등 비만도는 소양인이 높았다. 3. 절식치료후 체중감소율은 소양인이 12.8±0.4%로 태음인의 11.8±1. 9%보다 높았다. 4. 절식치료후 BMI는 전체환자에서 정상으로 감소되었으며 체질별로 보 면 소양인이 3.5±0.4, 태음인이 3.1±0.8 감소하여 소양인의 감소가 더 높았다. 5. 절식치료후 체지방율은 소양인이 4.7±4.0 감소하여 1.3±2.7 감소 한 태음인 보다 높았다. 6. 절식치료후 제지방율은 소양인이 4.5±4.7 증가하여 태음인의 1.3± 2.7 증가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체질을 감별하고 절식요법을 계획하는 것이 비만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앞으로 체질별로 체지방 감소가 가장 높은 절식치료의 일정과 방법을 알아내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Green음악과 자연음악이 Ethanol 중독 백서의 요산 및 간대사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양진배 ( Yang Jin-Bae ),송태원 ( Song Tae-Won ),오민석 ( Oh Min-Seok )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2

        Green음악과 자연음악을 시간 및 기간별로 적용하여 Ethanol 중독 백서의 요산 및 간대사산소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중이 변화에서 Green음악 실험은 2주부터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자연음악 적용은 3주부터 증가하였다. 간장의 중량은 2주부터 Green음악 적용군에서만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시간별 차이는 없었다. 2. 혈중 요산의 함량은 Green음악 적용군에서 2주부터 유의성있게 감소 되었으나 시간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과산화지질, AST, ALT활성은 Green음악 적용 2주부터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SDH활성은 Green음악 적용3주부터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4. Xanthine oxidase, hypoxanthine oxidase활성은 Green음악 적용 2주 부터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5. 요중 요산농도는 Green음악 적용 2주부터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요중 allantoin의 농도변화에서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6. 혈중 alcohol농도, acetaldehyde농도, 간 alcohol dehydrogenase, 간 aldehyde dehydogenase활성은 Green음악 적용 2주부터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간 microsomal-ethanol oxidizing system, 간 catalse활성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한편 자연음악 적용군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reen음악과 자연음악은 백서의 요산 및 간대사효 소계에 영향을 주며 음악의 종류에 따라 그 효과도 달라 질병의 종류나 양상에 따른 올바른 음악이 선택되어야 하며, 이를 음악요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중풍휴유증으로 인한 편마비환자 견관절아탈구의 방사선학적 임상고찰

        신병철 ( Shin Byung-Cheul ),권영달 ( Kwon Young-Dal ),송용선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2

        편마비 환자에서 견관절 아탈구에 대한 임상적 접근을 목적으로 편마비 환자 21을 대상으로 사진과 측정지수를 도입한 방사선학적 검사 및 수지 폭, 견관절 가동역, 통증의 정도, 근력평가 등의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 고 그 결과들을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총 21명의 환자중 남자가 10명, 여자가 11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50 대와 60대가 76.2%를 차지하였으며, 편마비 부위로는 좌측편마비가 13명 우측편마비가 8명이었다. 2. 발병원인으로는 Cerebral Infarction이 14명, Cerebral Hemorrhage 가 5명, SAH가 2명이었으며, 발병부위로는 B.G가 7명, MCA White matter 가 7명, Thalamus가 2명, Internal Capsule이 2명으로 주로 중대뇌동맥 의 침범이 가장 흔하였다. 3. 중풍발병후 입원까지의 기간은 1-10일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입원 기간은 6-10주 사이가 9명으로 42.9%를 차지하였는데, 전 기간에 걸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선행질환은 고혈압이 13명, 심장질 환이 7명, 당뇨병이 6명의 순이었으며, 평균 재활 치료시작시기는 5-25 일 사이에 61.9%의 환자가 재활치료를 시작하게 되었다. 4. 견관절 동통이 발생하는 국어통증정도 5이상이 된 시기는 주로 15-6 0일 사이가 76.2%로 나타나 대다수 환자가 주로 이 기간 사이에 견관절 동통이 발병함을 알 수 있었으며, Pain Scale은 국어통증정도 5-6이 12 명으로 57.2%를 나타내어 가장 많았다. 5. Painful shoulder의 원인으로는 강직성이 14명으로 66.7%, 견관절의 아탈구가 14명의 환자에서 66.7%, 어깨- 손 증후군은 7명에서 33.3%를 보였고, 어깨-손 증후군에 아탈구가 같이 있는 경우는 4명으로 19%를 나 타내었으며, 손의 Edema는 17명의 환자인 85.7%에 있었으며, 상완골두에 서 견봉까지의 수지폭 평균은 ½수지폭이 8명, ½ - 1 수지폭이 9명, 1 - 1½수지폭이 3명, 1½ - 2수지폭이 1명으로 나타났다. 6. Shoulde AP&Lat의 방사선학 소견에서 아탈구 판정은 11명, 퇴행성 변화는 2명, 골다공적 변화는 6명, 상완신경총 손상의 판정이 2명 있었 다. 7. 양측 견부의 방사선학적 측정지수를 고찰해 보면 편마비측이 정상측 보다 VD가 5.94±3.95㎜증가,HD가 3.21±4.00㎜증가, JD가 4.87±4.57㎜ 증가하여, 아탈구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JD와 VD, HD등의 측정이 임상 적 진단 및 치료효과를 판정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로써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8. 능동적 견관절 움동범위의 변화에서 Fexion은 25.57±32.73。, Exte ntion은 13.81±9.99。, Internal Rotation은 34.29±35.72。, External Rotation은 7.90±15.38。, Abduction은 11.67±16.82。, Adduction은 2 9.33±29.42。의 향상을 보였으며, 주로 큰 폭의 향상을 보인 능동적 운 동은 Extention, External Rotation, Abduction의 신근운동이었으며, HD 값은 내전 기능의 회복과 유의한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어 견관절 내전 기능의 회복에 측방 아탈구 거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9. 편마비 상지의 근력을 보면 발병 다시의 근력이 G0가 23.8%, G1이 5 2.8%로 나타나 G1이하의 근력을 가진 환자강 16명으로 76.2%이었는데, 퇴원시의 근력은 G4가 38.1%, G2가 28.6%, G3가 19.0%를 보여 85.7%에서 poor(G2)이상의 근력 회복을 보여주었으나 3명의 환자는 퇴원시까지 G1 의 근력으로 남아 있었다.

      • KCI등재

        낙침(落枕)의 수기요법에 대한 고찰

        류석현,육상원,이상룡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2

        1 경근 수태양경근 족소양경근의 유주 범위에 해당한다. 2. 낙침의 수기요법은 급성질병으로 유발된 근경직현상이므로 교정(Tru st)보다는 soft이완요법이 효과적이며 강직된 근육이 이완된 후 골격 ro tation이 가능할 때 trust를 시행해야 한다. 3. 근에너지테크닉(M.E.T)의 경우도 등척성 수축 환자 직접법(Isometri c patient direct)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

        절식요법(節食療法) 시행 후 태음인비만에 대한 청폐사간탕(淸肺瀉肝 湯)과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의 임상적 연구

        송미연 ( Song Mi-Yeon ),이종수 ( Lee Jong-Soo ),김성수 ( Kim Sung-Su ),신현대 ( Shin Hyun-Dae )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1

        청폐사간탕과 태음조위탕이 절식요법 시행 비만 열태음인과 한태음인의 체성분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체중, 체지방률, 근육 량, 기초대사량 및 혈중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 erol, LDL-cholesterol 함량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증상에 있어 변비, 두통, 현훈, 전반적인 기력저하 등이 현저하 게 감소되었다. 2. 체중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3. 체지방률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4. 근육량(제지방체중)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5. 기초대사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6. 혈중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함량 변화 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7. 혈중 HDL cholesterol 함량 변화에 청폐사간탕은 유의성이 없었으 나, 태음조위탕은 한태음인의 혈중 HDL-cholesterol 함량을 유의하게 증 가시켰다.

      • KCI등재

        체혈(體穴)에 적용한 자기요법(磁氣療法)이 운동전후 피로관련변인에 미치는 영향

        이응세 ( Lee Eung-Se ),천상렬 대한한의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8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8 No.1

        피로회복을 위한 효과적 방법을 찾기 위해 자장, 피내침, 비자장을 72 시간 족삼리, 승근, 승산혈에 적용한 후 운동중 생리적 변인과 회복기 피로회복과 관련된 변인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젖산농도, 심박수, 산 소섭취량, 분당환기량, 빛에 대한 자극의 변화 및 회복기 15분의 젖산 및 심박수 회복률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중 젖산농도는 회복기에 자장군과 피내침군이 적용후 유의하게 감 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그룹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최고치에 서도 그룹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심박수는 운동중의 모든 시기에 자장군과 피내침군이 적용후 유의하 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그룹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자장 군과 피내침군이 모든 측정시간대에서 시기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산소섭취량은 피내침군이 적용후 높은 산소섭취량을 나타냄으로서 운동중 2분에서 12분에 이르기까지 그룹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 분당환기량은 자장군과 피내침군이 적용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냈으나, 모든 그룹, 시기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 회복기 15분의 젖산 및 심박수 회복률은 자장군과 피내침구군이 적 용후 현저하게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그룹간 유의성이 인정되었 다. 특히 혈중 젖산회복률에서는 전체 그룹에서 시기간 유의성이 인정되 었다. 6. 빛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은 회복기 5분 및 15분에는 자장군 및 피내 침군이 적용후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그룹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회복기 15분에는 자장군 및 피내침군이 유의하게 감소 하여 시기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장의 적용이 혈중 젖산농도의 감소, 심 박수의 감소, 젖산 및 심박수 회복률의 향상, 빛자극 반응시간이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피로의 회복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