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과대학 학생들의 디자인 씽킹 활동을 통한 협력적 소통 경험

        임종현 ( Jong-hyun Lim ),안미리 ( Mi-lee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3 No.1

        산업계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대학의 공학교육 패러다임도 변하여, 엔지니어의 인재상이 ‘20세기 기술개발 자형’에서 ‘21세기 문제해결인’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이것은 산업계와 사회가 요구하는 공학인재의 역할이 달라졌기 때문이며, 공학교육이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변화된 공학인재상에서 앞으로 특히 필요로 하는 것은 소프트스킬이라고 일컬어지는 사회·정서적 스킬임을 강조하는 연구 보고가 최근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디자인 씽킹 교육이 사회·정서적 스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교육에 참여 학생 중 공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적 스킬 중 협력과 소통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씽킹 활동을 통해 참여학생들이 협력적 소통을 충분히 경험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공학인재의 협력적 소통 역량의 향상을 위해 공학교육과정에 디자인 씽킹 방법을 적용한 수업 운영을 제안한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메이커교육 연구 동향 분석

        임종현 ( Jong-hyun Lim ),오여진 ( Yeojin Oh ),안미리 ( Milee Ah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키워드 분석과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메이커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2015년 ~ 2020년 기간 동안의 메이커교육 관련 국내 학술 논문 200편(학술지 저널 122편, 학위 논문 78편)의 초록을 분석하였다. TF-IDF 기준 키워드 분석 결과 메이커스페이스, 도서관,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출현하였다. 다음으로 LDA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유아 메이커교육과 교사연수 필요성’, ‘학생역량과 메이커수업모형’, ‘박물관 메이커교육’, ‘메이커문화 확산’, ‘초등 과학교과 메이커교육’,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학교 교육과정 교과융합 메이커교육’으로 7개의 토픽을 추출하였다. LDA 분석 결과를 근거로 7개의 각 토픽별 시계열 추이를 분석하여 ‘유아 메이커교육과 교사연수 필요성’, ‘초등 과학교과 메이커교육’, ‘학교 교육과정 교과융합 메이커교육’이 지속적이면서도 큰 증가 추세를 보였고, 향후에도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학교 밖에서 관심을 받으며 시작된 메이커교육이 유아교육 및 초중고 교육과정에 적용을 시도하는 연구와 박물관 및 도서관 등의 비형식 교육기관의 메이커스페이스운영 및 메이커교육에 대한 연구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LDA 기반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메이커교육 연구 주제를 범주화 및 시각화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고, 연도별 토픽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한 교육공학적 시사점의 제시와 방법론적으로 토픽 모델링의 활용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정규 및 비정규 교육과정에서 메이커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nd in change in keywords and topics of the research of the Maker Education 2015~2020 in Korea. Abstracts of 200 academic papers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r the period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Technology field. As a result of the Keyword Analysis based on the value of the TF-IDF, ‘makerspace’, ‘library’, and ‘program’ appeared at the top. Next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extracted seven topics which were ‘1) Mak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Re-education’, ‘2) Student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Model of Maker Education’, ‘3) Maker Education at the Museum’, ‘4) Spread of Maker Culture’, ‘5) Maker Education in Scienc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6) Makerspace in Library’, and ‘7) Maker Education with a Convergence of subjects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n time-series trends were analyzed for each of the seven topics with the result of the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and ‘Mak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Re-education’, ‘Maker Education in Scienc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nd ‘Maker Education with a Convergence of subjects in the Regular Curriculum’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These three topics could be predi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o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implications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by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to analyze trends in the research of the Mak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ct follow-up researchers could use as primary data for the research of Mak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심상훈련이 체대입시생의 심리적 변인과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임종현(Lim, Jong-Hyun),홍준희(Hong, Jun-Hee)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심상훈련이 체대입시생의 심리적 변인(심상능력, 자기효능감, 인지적 상태불안)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편의표집으로 선정한 체대입시생 21명을 실험집단(n=12), 통제집단(n=9)에 각각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심상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경쟁상태 불안 척도와 운동수행능력 측정을 위한 10m 왕복달리기 기록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심상훈련 프로그램은 총 4주간 주 2회씩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처치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험 처치 후 두 집단 간의 심상능력을 비교한 결과, 운동기술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외형-건강, 운동기분, 운동효능감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증에서는 모든 요인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더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실험 처치 후 두 집단 간의 자기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조절효능감 요인이 통제집단보다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증에서는 모든 요인의 평균값이 증가하였으나, 자기조절효능감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 처치 후 두 집단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인지적 상태불안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증에서도 인지적 상태불안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넷째, 실험 처치 후 두 집단 간의 운동수행능력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증에서도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심상훈련은 체대입시생의 심상능력, 인지적 상태불안, 운동수행(10m 왕복달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체대입시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심상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image training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imagery ability, self-efficacy, cognitive state anxiety) and exercise performance of applicants for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he subjects included 21 applicants for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n=12) and the control group(n=9).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Exercise Imagery Inventory to measure imagery abilities, Self-efficacy Inventory, CSAI-2 to measure cognitive state anxiety, and 10-meter shuttle run records. An image-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independent-sample and paired-sample t-test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tudy applied an experimental treatment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compared them in imagery abilities, finding that imaging training caus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techniques between the groups but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health imagery, exercise feelings, and exercise self-efficacy between them. The experimental group recorded higher point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cross all factors both in the pre- and post-tests. Second, the study compared the groups in self-efficacy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efficacy between them.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ts means across all factors in the pre and post-test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efficacy but no such differences in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Third, the study compared the groups in cognitive states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experimental group recorded a lower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re- and post-tests. Finally, the study compared the groups in 10-meter shuttle run records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record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e- and post-test. In short, image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imagery abilities, cognitive state anxiety, and 10-meter shuttle runs for the applicants of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image training is effective for applicants of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윌로우스 한인비행가양성소 건물의 역사 및 건축적 고증에 관한 연구

        임종현(Lim, Jong Hy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8

        윌로우스 한인비행가양성소(韓人飛行家養成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과 재미 실업가 김종림(金宗林) 등이 주도하여 1920년 7월 5일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 카운티(Glenn County)에 설립한 최초의 재미 한인 비행교육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퀸트 학교가 1920년 2월경에 한인비행학교(韓人飛行學校)에 임대한 교사의 이건 여부에 관한 실증적 고찰로써, 한인비행가양성소의 운영이 잠정적으로 중단된 1921년 4~6월 이후 이건 된 것으로 추정되는 글렌 카운티 874번 필지에 소재한 건물의 역사적 온전성을 평가하고 두 건물의 동일성에 관한 사실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3차례의 현지 조사를 수행하여 한인비행가양성소가 임대했던 퀸트 학교(Quint School)가 설립된 1914년부터 조사 건물이 소재한 874번 필지가 현 소유주에게 상속된 1963년까지 발생한 주요 사건을 입증할 사료의 수집, 관련자 면담, 건축 조사를 시행했다. 퀸트 교사와 조사 건물 간 역사적, 사회적, 건축적 연관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조사 건물의 역사적 온전성(穩全性)에 관한 본 연구의 최종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인비행가양성소가 임대한 퀸트 학교가 최초 설립된 위치는 글렌 카운티 90번 지구 내 1043번 부지의 북동쪽에 있는 17번 필지(Lot 17 of Lot 1043 of Section 90)이다. 둘째, 1918년부터 조사 건물이 소재한 874번 필지에 정착한 베나마티 가(家)는 퀸트 지구(Quint District)의 이사회 임원(Board of Trustees)으로 학교의 설립, 운영, 폐교 후 매각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했으며, 조사 건물이 현 소재지인 874번 필지의 실질적인 자산으로 편입된 시기는 1923 이후부터 1928년 4월 9일 사이로 추정된다. 셋째, 1920년에 당시 퀸트 교사와 조사 건물의 건축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변화된 건물의 위치(location) 및 주변 환경(setting)을 제외하고, 역사적 연관성(association), 건물의 건축기법(design), 건설 재료(material), 세부구조와 장식에 적용된 공예술(workmanship), 이건 후 변형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는 원형적 정서(feeling)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두 건물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글렌 카운티 874번 필지에 소재한 건물은 퀸트 학교가 최초 설립되었던 글렌 카운티 1043 부지에서 현 위치로 이건 후 교사에서 살림집으로 개조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한인비행가양성소가 임대할 당시 퀸트 교사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역사적 온전성을 충분히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view aiming to verify the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identity of the building on lot 874 in Glenn County, which is presumed to be the Quint schoolhouse rented by the Korean Aviation School (KAS) in 1920-1921. Led by Roh, Baek-rin, the military secreta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Kim, Chong-lim, a successful rice farmer and businessman in Colusa County, KAS is known as the first Korean flying educational institution established near the town of Willows in Glenn County, California in July 5, 1920. Founded as a grammar school for Italian Immigrants, the Quint school lasted until 1919, and its vacant schoolhouse later served as one of the KAS training buildings until it unexpectedly closed between April and June 1921 due to the lack of operating budget. To figure out historical events relevant to the survey building from the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Quint school in 1914 until the current owner inherited and has managed Lot 874 from Frank Benamati, an original property owner, since 1963, this study evaluated the historical integrity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research and surveys of historical records, oral histories from local stakeholders, and architectural information through the three field surveys in 2021. With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historical, social, and archite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Quint schoolhouse and the survey building,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int schoolhouse, rented by the KAS, was built northeast of lot 1043 in Glenn County. Second, two members of the Benamati family, who settled at lot 874 of Glenn County in 1918, were on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Quint District,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opening, operation, and post-closing sale process of the lot 17 of lot 1043 where Quint Schoolhouse was built.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survey building was incorporated into the Benamati family’s property between 1923 and April 1928. Third, except for the original location and setting of the building, the Quint schoolhouse in 1920 is identical to the building on lot 874 based on the architectural observation of its close association with the family history of the current owner, the same building design (one-room schoolhouse) with minor changes of structural and decorative features,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same kind, the same level of workmanship among the architectural details of both buildings, and feeling of the prototype of a schoolhouse with moderate modification of its interior layout into a single-family residence. Considering that the historical integrity is still intact to deliver the authentic sense of the Quint schoolhouse rented by KAS in 1920,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building on lot 874 is the same as the Quint schoolhouse founded on the lot 1043 in 1914.

      • KCI등재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전자’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규명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임종현 ( Jong-hyun Lim ),안미리 ( Mi-lee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6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사는 더욱 전문화된 교수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8개의 주요 역량과 22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주요역량 간, 각 하위 역량간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 각각 ‘소스코드 작성 역량’과 ‘타겟 시스템 회로도 활용 소스코드 작성 역량’이 최고 순위이다. 본 연구는 전자 교과의 핵심이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 및 교사역량 강화를 제안하며, 직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역량 요소를 통해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achers’ competency for the NCS-based microprocessor course in the 'electronic,' and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Findings were (1) the teaching competencies for the microprocessor course consists of 8 major factors and 22 sub-factors, and (2) the AHP gained the result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eaching competencies. In conclusion, the programm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competency, suggested a guidelines for Microprocessor course to use in vocational schools.

      • KCI우수등재
      •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학습모듈에 대한 대안적 탐색

        임종현 ( Jong-hyun Lim ),안미리 ( Mi-lee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특성화고교, 산업수요 맞춤형 고교(마이스터 고교)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산업현장의 실제 직무수행 역량을 성취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 근거한 NCS 학습모듈을 개발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실무과목 교재로 활용토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정보·통신 전문 교과의 실무과목 중 시스템 프로그래밍과 이에 상응하는 임베디드소프트웨어(SW)엔지니어링 NCS 및 학습모듈을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과 함께, 학교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NCS 기반 교육과정과 학습모듈의 원활한 활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