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박효랑(朴孝娘) 서사’의 변전 양상과 의미 -임상정(林象鼎), 남유용(南有容), 안석경(安錫儆)의 비교를 통해-

        임이랑 ( Im Lee-l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1 No.-

        조선 후기의 이른바 ‘박효랑 사건’을 다룬 일군의 전장류는 ‘효(孝)’라는 이념에 기반하지만 ‘시집가지 않은 딸’의 투전(鬪戰)적 효행이 담긴 ‘복수(復讎)’ 서사라는 점에서 훈훈한 미담과 허황한 소문이 교직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런 만큼 박효랑을 입전한 작품에서는 서사의 큰 줄기를 공유하면서도 등장인물이나 세부 장면들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작자마다 미묘하게 다른 의도와 지향을 보인다. 임상정의 「박효랑전」은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과 ‘큰딸의 복수’를 개연성 있게 보여준다. 즉, 임상정은 큰딸을 열렬한 효녀로 칭송하면서 은근하게 효랑의 집안을 지지한다. 남유용의 「효자박씨전」은 ‘효행’이라는 대전제 위에서 ‘복수’의 양상을 ‘연쇄적’으로 펼쳐내며 서사의 중요한 대목에 이를 때마다 ‘무협’ 장르의 요소를 조금씩 가미해 보여준다. 남유용이 시도한 ‘효’ 서사의 이러한 변주는 곧 ‘효협(孝俠)’이라는 말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안석경의 「박효랑전」은 자매가 모두 입전자로 상정된 듯 보이면서도 둘째 딸의 복수가 좀 더 강조된다. 특히 여종 ‘설례’의 등장이나 작품 말미에 덧붙은 ‘후일담’을 주목해야 한다. 한편, 안석경의 「검녀」에서는 효녀 박효랑은 원천 소스로만 활용되고 새로운 ‘협녀’가 재창조된다. 그러나 박효랑을 다룬 전작들과의 연관성을 종합해 볼 때 「검녀」의 여주인공은 결국 ‘박효랑의 후신(後身)’이다. 이것은 ‘실사(實事)’는 지워지고 흥미를 위한 ‘이야기’만 남은 박효랑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며 ‘조선식 스토리텔링’의 방식과 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표본이기도 하다. While narrative proses inspired by ‘Hyo-Rang Park incid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mostly based on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they are also notable examples of mixture between a moving and beautiful story but also a groundless rumor, as its depiction of filial duty involves belligerent ‘unmarried daughters’ that leads to ‘vengeance’. Hence, the works that are based on Park Hyo-Rang affairs show subtly different approaches in integrating narratives and characters by different authors, even though they share the broader frame of the narrative. Sang-Jeong Im’s < Park Hyo-Rang Jeon > depicts ‘unjust demise of the father,’ and ‘the revenge of the eldest daughter’ with a plausible narrative. Sang-Jeong Im applauds the eldest daughter as a filial woman and subtly supports the family of Hyo-Rang. In < Hyoja- Parkssi-jeon > written by Yu-Yong Nam, He unfolds various aspects of ‘vengeance’ in the successive chain of events based on the premise of ‘filial duty,’ then add some hints of the chivalry genre, whenever the narrative arrives at critical junctures. The variation of the ‘filial piety’ narrative that You-Yong Nam attempted could be characterized as ‘filial chivalry’. < Park Hyo-Rang Jeon > by Suk-Kyung Ahn seems to feature both sisters as the main characters, but it places more emphasis on the younger daughter. Especi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dvent of ‘Seollye,’ the female servant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epilogue’ at the end of the work. Meanwhile, In< Gum-Nyeo >,Hyo-Rang Park the filial daughter only plays a role of the source material, a new ‘chivalrous woman’ is re-created. However, Essentially, the heroine of < Gum-Nyeo > succeeds ‘Hyo-Rang Park.’ It could be seen as Hyo-Rang Park that only retains an interesting ‘story’ without ‘real-life event.’ < Gum-Nyeo > is also another example that we can examine the ways and techniques of ‘Storytelling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거지 발복(發福)설화>의 유형과 의미

        임이랑(Im, Lee Lang)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0

        이 글은 ‘거지’가 등장하는 구비설화가 ‘복(福)’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거지 발복설화>라고 명명하고 그 유형적 의미를 궁구해본 것이다. 먼저 발복(發福)의 방향성을 두 가지로 전제하여 거지가 복을 받는 ‘수혜형’과 거지가 복을 주는 ‘시혜형’으로 유형 분류를 시도했다. 수혜형 거지들은 스스로 부귀를 얻고자 하는 목표지향성이 뚜렷하지 않음에도 주변 인물이나 상황에 의해 우연히 재물을 얻거나 신분 상승에 이르는데, 따라서 이들 거지의 횡재는 귀인(貴人)과의 만남이 중요한 계기가 된다. 즉, 수혜형 <거지 발복설화>는 거지에게 부여된 운명과 사건전개의 우연 성에 방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시혜형 거지들은 보통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인격을 갖추었거나, 초월적 존재와 소통하는 등 비범한 이인(異人)의 형상으로 그려지면서, 때때로 거지가 타인에게 복을 선사하는 구원자에 가까운 존재로까지 보이도록 한다. 이것은 부귀와 빈천의 우열관계를 해체시킴으로써 거지가 복과 유리된 존재라는 기존의 인식을 전면 뒤집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를 종합하면, 수혜형 <거지 발복설화>는 당대 민중들이 보편적 빈민으로서의 자신을 거지와 동일시한 결과로 우연한 횡재 혹은 잠재된 운명에 대한 기대심리를 거지에게 투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시혜형 <거지 발복설화>는 거지를 타자화한 민중들이 그동안 빈천한 거지를 멸시하고 배척해왔던 사회적 통념에 대해 스스로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다는 자정(自淨)력을 방증한다. 따라서 <거지 발복설화>에 대한 이상의 논의를 통해 거지로 표상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우리의 시선을 반추해 보고, 각종 소외문제로 분열하는 현대사회에 <거지 발복설화>가 신선한 경세담(警世談)으로서 주목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concerns the genre of <Folklore of beggars making a fortune>, as folktales with ‘beggars’ are closely related to ‘good fortune’, and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each type of beggars. First, on the premise that two types are derived from alternative ways of making a fortune, beggars may be divided between the ‘beneficiary type’ blessed with good fortune and the ‘obliger type’ who brings others good luck. Beneficiary beggars, who have no clear goal of gaining wealth themselves, accidentally acquire wealth or rise in social status thanks to the people or situations around them. Thus, meeting a noble man i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such windfalls. In other words, the point of the beneficiary type in <Folklore of beggars making a fortune> is the role of beggars’ fate and coincidence in developing the story. On the other hand, obliger beggars are portrayed as extraordinary alien beings of exemplary character who inspire ordinary people or communicate with a transcendent being, which makes them sometimes seem more like saviors blessing other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letely reverses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beggars are isolated from wealth by dissolving the distiction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wealth and poverty. In short, the ordinary poor people of the time identified themselves with beggars and as a result, they projected their own expectations about windfalls or potential fate on the beggars through the beneficiary type in <Folklore of beggars making a fortune>. On the other hand, the obliger type in <Folklore of beggars making a fortune> shows the self-pur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i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 social convention of treating poor beggars as different beings and despising and excluding them. Therefore, through these discussions about <Folklore of beggars making a fortune>, we can ruminate on our views of the disadvantaged people we represent as beggars, and by doing so, <Folklore of beggars making a fortune> may be expected to awaken and draw the attention of people in our modern society divided by social alienation of a variety of forms.

      • KCI등재

        관광분야 지방정부 간 국제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임이랑(Im, Yira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의 주도로 창설된 강원도의 ‘동아시아지방정부관광포럼’, 부산시의 ‘아시아태평양도시 관광진흥기구’, 제주도의 ‘섬관광정책포럼’을 사례로 전개 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추진 요인,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 틀을 설정하였고, 문헌 자료와 인터뷰 조사 등을 기초로 실증적 사례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에서 다소 상이한 특성을 나타냈으나, 네트워크 추진 요인 및 창설 지방정부와 상설사무국과의 관계, 협력 사업의 내용 등에서 유사한 특징이 나타났다. 향후 네트워크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첫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와 현실성 있는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둘째, 사무국 유치 도시로서 운영에 주요 역할을 수행하되 네트워크를 회원 전체 이익을 대표하는 국제적 기구로 성장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national tourism network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on these network strategies. The“East Asia Inter-Regional Tourism Forum”in Gangwon, “Tourism Promotion Organization for Asian-Pacific Cities” in Busan and “Inter-Islands Tourism Policy Forum”in Jeju, all of which are led by Korean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s comparative case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focusing on the factor of network strategy,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 based on a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several similar features such as; factor of network strategy,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initiating networks and the permanent secretariat, and the network activities, were found in common. The following points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should be more specific goals and achievable plans to be created through the networks. Second,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a primary role in the network operation as host cities of each network’s secretariat, furthermore, develop the network into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body by providing institutional strategies. Third, they’re constantly trying to find way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through the network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자기소개서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임이랑(Lee-lang Im)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이 글은 대학 교양교과를 담당하는 필자가 자기소개서 수업 현장에서 교수자로서 겪는 한계와 곤란이 무엇인지 성찰적 내러티브 기술을 통해 점검한 질적 연구이다. 필자의 교수(teaching) 행위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었다. 첫째, 학생들이 몰입할 만한 작문의 여건과 상황은 충분히 마련해주지 못한 채 과도한 성취목표를 설정한 점이다. 둘째, 자기소개서라는 작문과제의 곤란도를 수업의 면면에서 지나치게 반복하여 강조한 점이다. 셋째, 자기소개서의 항목을 기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항목에 따른 예문을 또한 편향적으로 제시한 점이다. 즉, 필자의 수업은 ‘자기소개서 작성의 어려움과 복잡함’에 매몰되어 결국 학생들의 성취도 부진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념하면서 수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먼저 취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격차를 보다 세심하게 고려하여 수업 설계에 반영하려 한다. 학년별로 취업에 대해 느끼는 예민함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강생의 학년 분포를 살펴 수업의 성취목표를 유연하게 조정하고, 특히 신입생 위주의 수업에서는 자기소개서가 요구되 는 취업 이외의 상황들을 확장적으로 예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AI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자기소개서와 관련한 공학논의들이 다양하게 발표되고 있으므로 좋은 자기소개서를 판별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 개발과 같은 주요 논의는 수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보다 정교하고 다채로운 교수법의 변화를 통해 자기소개서에 대한 학생들의 막연한 두려움이 상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as an instructor in the field of a self-introduction class through the use of reflective narrative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my teaching, my class was buried in the ‘difficulty and complexity of writing a self-introduction’, resulting in the poor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ly, I tri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lass while keeping the following in mind. First, the dimness in the students’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ir future employment is considered more carefully and reflected in the class design.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various engineering discussions related to self-introductions are being announced. Thus, major discussions, such as developing a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identify good self-introductions, will be actively used in the class. It is hoped that the students’ vague fear of self-introductions can be offset through more sophisticated and colorful changes in teaching methods.

      • KCI등재

        〈호랑이가 도운 효부(孝婦)〉의 서사적 교섭 양상 : 구비설화와 ‘전(傳)’ 갈래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이랑(Im, Lee Lang)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1

        〈호랑이가 도운 효부(孝婦)〉는 어린 과부가 친정에서 강권하는 재가(再嫁)를 뿌리치고 도망치던 중 호랑이의 호위를 받아 무사히 시가로 돌아와 시부모를 효양한다는 이야기이다. 과부를 둘러싼 친정과 시가의 갈등을 ‘호랑이’가 가진 흥미성을 통해 풀어내려 한 이 서사는 민담적 상상력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애초 구비설화의 영역에서 발원되었을 서사가 한문 산문의 전(傳) 갈래에서 동일하게 반복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고전 서사가 생산 및 확산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갈래들이 서로 교섭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보수적인 한문 산문의 영역에서 ‘호랑이와 인간의 교감’과 같은 비현실적 서사를 그대로 옮겨 놓은 점은 남다른 의미가 있을 것으로 짐작되었다. 이에 〈호랑이가 도운 효부(孝婦)〉의 서사단락을 공유하는 구비설화와 「영남효열부전」 및 「협효부전」의 동이점을 고찰한 결과, 구비설화는 ‘호랑이’가 등장하는 후반부에 서사적 방점을 둔 반면 전은 현실 세계의 갈등을 드러내는 전반부를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 세계의 갈등을 더욱 첨예하게 부각시킨 전 작품에서도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구비설화의 비현실성을 그대로 답습한다. 구비설화의 후반부만큼 분방한 확장성을 보이지는 않지만 분명 설화가 마련해둔 ‘허구적인 문제 해결법’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서사를 종결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바로 그 지점에서 전 작품에 숨겨진 주제의식을 파악해본 바, 전은 평민 효열부를 입전하는 과정에서 구비설화의 환상성을 작동시켜 표면상 서사적 흥미를 지향하는 듯 보였으나 실상은 환상성을 빌려오지 않고서는 해결할 수 없을 만큼 “현실의 갈등이 첨예하다”는 점을 상기시킨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즉, 「영남효열부전」과 「협효부전」은 작품 안에서 여성의 재가 문제와 관련한 현실 인식을 노정한 채 그 이념을 긍정하기 위해 ‘민담의 흥미성’으로 회귀하는 ‘의도적’ 선택을 했다고 볼 수 있다. The oral folktales with women regarding “filial piety and chastity”(孝烈) become highly interesting with the advent of the “tiger”. Therefore, the narrative side dots of these tales lie in the latter part. On the other hand, the biography(傳) brings back the narrative paragraph of the oral folktale, but it emphasizes the first half, during which the reality issues are dealt with, while telling the same stor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wife’s and husband’s families over a young widow is highlighted as a much “serious conflict”. However, the method of solving problems while realistically exposing the conflicts in the real world imitates the unrealistic nature of the oral folktale as it is. Even though this method is not as expandable as the latter part of the tale, it is definitely borrowing a “fictional solution for a problem” that the tale has prepared. However, at that point, one can assume the characterizing intention hidden in the biography(傳). This is because it seems to be ostensibly pursuing narrative interest by activating the fantasy of the oral folktale through the entrance of the commoner Hoyulbu, but the reality reminds us that “conflicts in reality are so acute” that they cannot be solved without borrowing from fantasy. Therefore, the biography(傳) related to the women’s “filial piety and chastity”(孝烈) can be said to have made an “intentional” choice to return to the “interest of the folktale” in order to affirm the ideology while exposing the critical mind of the ideology of those days.

      • KCI등재

        일본의 사회성과연계채권(SIB) 도입과 특징에 관한 연구

        임이랑(Im Yi-Rang),하동현(河東賢) 한국정부학회 2021 한국행정논집 Vol.33 No.4

        정부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복지 서비스 확대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사회성과연계채권(SIB)이 주목받고 있다. SIB는 공공사업 수행에 필요한 자금을 민간의 투자로 조달하고, 사업 수행 후의 성과를 측정하여 성과가 달성되었을 경우 정부가 투자가에게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계약 방식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일본의 SIB 도입 실태와 전개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 SIB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중간지원조직 연계를 통한 사업검토 지원과 SIB 운영 모델의 유연성은 지방자치단체 SIB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SIB 사업 분야검토 시 중앙과 지방의 재정 분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사업 설계 시 이해관계자 간의 합의와 공정한 모델 구축 간의 균형이 필요하다. 넷째, 사업 시행 시 초기의 시행착오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Social Impact Bond(SIB) has drawn attention as a new way to execute the government budget efficiently and expand welfare services. SIB refers to a financial scheme in which public projects are implemented with private investment, and the government repays the principal and interest to the investor when the outcomes of the project are achieve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B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in Japan and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SIB in Korea.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oject support through intermediary linkage with the government and flexibility of the SIB operation model played a critical role in launching the SIB by local govern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inancial distribu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hen reviewing the SIB project field. Third, the balance between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and fairness of the model is necessary when designing a project. Fourth,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needed to alleviate trial and error in the early stages of project implemen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