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유원(李裕元)의 1845년 사은사행(謝恩使行)과 한중 문인 교유

        임영길 ( Yim Young-gil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이 논문은 李裕元(1814∼1888)의 『橘山文稿』(필사본 16책, 규장각 소장) 소재 연행시문을 소개하고, 「橘山意園圖」를 중심으로 이유원의 제1차 연행 경위와 한중 문인 교유의 구체적인 실상을 고찰하였다. 『귤산문고』에는 『嘉梧藁略』에 누락된 작품들이 다수 실려있는데, 제7책에는 「星槎紀年」, 「聞見事目」, 「燕京雜記」, 「楊雪翰墨」 등 이유원이 1845년 사은사 서장관으로 첫 연행에 임했을 당시의 견문과 활동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다. 「성사기년」과 「문견사목」이 조정에 보고하기 위한 공적인 기록이라면, 「연경잡기」와 「양설한묵」은 사적인 기록이라는 점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제8책에 실린 「燕行別章」과 「華人尺牘」, 그리고 「橘山意園圖」는 그의 폭넓은 국내외 교유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유원은 스승 申緯와 외삼촌 朴綺壽를 비롯해 鄭元容, 洪敬謨, 金永爵 등 소론계지인들의 인적 관계망을 이어받아 紀昀의 손자 紀樹蕤와 葉志詵, 王楚材(梓材로 개명), 馮志沂, 李鈞, 沈亨惠, 楊尙文ㆍ楊尙志 형제 등 많은 청 문사들과 문학ㆍ서화ㆍ금석 방면에서 활발히 교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귤산의원도」가 청 문사들의 주도 하에 제작되어 이유원의 중국 내 교류망을 직ㆍ간접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 인맥은 같은 소론계 인사인 1846년 진하정사 朴永元과 서장관 沈熙淳 등에게로 이어졌다. 아울러 「귤산의원도」를 매개로 神交를 맺은 周棠과는 제2차 연행을 떠난 1874년까지 우정을 지속하게 된다. 이유원과 청 문사의 교유는 19세기 조ㆍ청 교류망의 계승과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한중 문인 교유의 연속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poetries of journey listed in Gyulsanmungo(橘山文稿) (16 manuscripts, possession of Gyujanggak) which are not well known and investigates the specific facts in regards to the first journey of I Yu-won(李裕元) and literary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Gyulsanuiwondo(橘山意園圖). In Gyulsanmungo, there are a lot of works that omitted from Gaogoryak(嘉梧藁略), and the seventh book contains materials that provide detailed insights and activities at the time of I Yu-won’s first journey to Beijing in 1845, which are Sungsa-ginyun(星槎紀年), Mungyeon-samok(聞見事目), Yeonkyung-jabgi(燕京雜記), Yangsul-hanmuk (楊雪翰墨) and so on. While Sungsa-ginyun and Mungyeon-samok are the official records to report at the royal court, Yeonkyung-jabgi and Yangsulhanmuk are the personal records so that required more detailed review. In addition, Yeonhaeng-byuljang(燕行別章) and Hwain-cheokdok(華人尺牘) of the eighth book and Gyulsanuiwondo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shows his broad literary exchange both in domestic and overseas. I Yu-won actively exchanged in literature, calligraphy, and epigraphy with Ji Yun’s grandchildren Ji Shurui, Ye Zhishen, Wang Chucai (renamed as Zicai), Feng Zhiyi, Li Jun, Shen Henghui, Yang Shangwen and Shangzhi brothers and many other Qing literaties, by following the human network of Soron Party including his teacher Sin-wi and his maternal uncle Bak Gi-su, Jeong Won-yong, Hong Gyeong-mo, and Kim Young-jak. During this process, Gyulsanuiwondo was produced under the leadership of Qing literaties, and contributed to the direct and indirect expansion of I Yu-won’s human network in China, and then his personal connections were passed on to the people of Soron Party, Bak Young-won and Sim Hui-soon of Jinhasahaeng in 1846. Furthermore, the friendship with Zhou Tang, who had only communicated by letter with the Gyulsanuiwondo as a medium, continued until 1874 when he left the second journey to Beijing. In terms of the succession and expansion of the human network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19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I Yu-won and Qing literaties can be given meaning as an example showing the continu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n-Chinese literary exchang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연행록의 계보적 고찰 ― 徐有鎭의 『鍾園遊燕錄』을 중심으로 ―

        임영길 ( Yim Young-gil )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4

        이 글은 19세기 일련의 문인들 사이에 탐독되었다고 판단되는 徐有鎭(1768∼1812)의 『鍾園遊燕錄』을 중심으로 특정한 경향성을 띠는 ‘연행록군’의 존재와 그 형성 연원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18세기 후반 洪大容의 『燕記』와 徐有聞의 『무오연□녹』, 그리고 徐有稷의 『北遊錄』(不傳)에 담긴 예리한 관찰과 풍부한 기록을 적절히 수용한 『종원유연록』이 직·간접적 경로로 전승되어 19세기 연행록의 내용 및 체재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 『종원유연록』은 연행록 체재면에서 일기와 잡록을 결합한 ‘복합체’ 형식이 유행하는 토대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내용면에서 청조의 선진 문물제도와 외국에 대한 관심을 더욱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19세기 연행록의 사적 전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적지 않다. 더욱이 12개 항목으로 구성된 잡록은 홍대용 『연기』에 실린 기사의 제목과 내용을 바탕으로 하되 상세히 증보하여 북학파 연행록의 실용적 관점을 충실히 계승한 연행록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기왕에 19세기 연행록 중 이해응 『계산기정』(1803)의 영향력이 수차례 지적된 바 있는데, 분석을 통해 『계산기정』 역시 『종원유연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종원유연록』은 『계산기정』뿐만 아니라 李鼎受의 『遊燕錄』(1811)에도 영향을 주었고, 『종원유연록』의 내용과 체재를 대폭 수용한 『계산기정』이 다시 朴思浩의 『燕薊紀程』(1828), 趙鳳夏의 『燕薊紀略』(1842) 등에 파급되면서 일기에 여러 항목의 잡록을 별도로 첨부한 형태의 연행록이 19세기에 다수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동시대의 특정 연행록이 여러 단계를 거쳐 파생되어 광범위하게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은, 당대 문인들이 연행록을 저술하는 과정에서 공통된 지향점을 견지했음을 방증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요컨대 서유진의 『종원유연록』은 서유문·서유직의 연행 기록과 더불어 대구서씨가 연행록에 홍대용의 『연기』가 전승된 정황을 확인케 하는 자료이자, 19세기 가계 및 교유 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①서유문 『무오연□녹』―서유직 『북유록』―서유진 『종원유연록』―이정수 『유연록』, ②서유진 『종원유연록』―이해응 『계산기정』―박사호 『연계기정』―조봉하 『연계기략』으로 이어지는 연행록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해주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traced the existence and the origin of formation of ‘Yeonhaengnok gun’, which shows a specific tendency centering on Seo Yu-jin(1768-1812)’s Jongwon Yuyeonnok that is considered to had been widely read by literati of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ongwon Yuyeonnok which appropriately accepted the sharp observations and abundant records of Hong Dae-yong’s Yeongi, Seo Yu-mun’s Muo yeonhaengnok and Seo Yu-jik’s Bukyurok(not transmitted) of the late 18th century, was handed down through direct and indirect routes then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contents and format of the Yeonhaengnok of the 19th century. Jongwon Yuyeonnok not onl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the 'complex' format combining diaries and miscellaneous records in terms of the format of Yeonhaengnok, but also contributed to further expanding the Qing Dynasty's advanced cultural system and interest in foreign countries in terms of the content. This aspect occupies a considerable position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Yeonhaengnok of the 19th century. Moreover, miscellaneous records consisting of 12 items are based on the titles and contents of the articles in Hong Dae-yong's Yeongi, but are supplemented in detail, so that they can be evaluated as faithfully inheriting the tradition of the Buk-Hak school's Yeonhaengnok. The influence of Yi Hae-eung's Gyesan gijeong(1803) among Yeonhaengnok of the 19th century has been pointed out several times in the meantim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Gyesan gijeong was also strongly influenced by Jongwon Yuyeonnok according to discussion. Jongwon Yuyeonnok influenced not only Gyesan gijeong but also Yi Jeong-su's Yuyeonnok(1811), and Kyesan gijeong, which largely accepted the contents and format of Gyesan gijeong, was extended again to Pak Sa-ho's Yeongye gijeong(1828) and Cho Bong-ha's Yeongyegiryak(1842). Accordingly, many Yeonhaengnok in the form of separate attachments of various miscellaneous records in a diary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In this way, the fact that a specific Yeonhaengnok of the same time was derived through various stages and exerted a wide influence can be an indicator that the literati of the time held on a common goal in the process of writing Yeonhaengnok. In short, Seo Yu-jin's Jongwon Yuyeonnok is a data confirm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Hong Dae-yong's Yeongi was handed down to Yeonhaengnok of Daegu Seo’s family as well as Seo Yu-mun and Seo Yu-jik. Also, it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data that provides a clue to clarify the following correlation between Yeonhaengnok,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x effect of family lineage and social relations in the 19th century; ①Seo Yu-mun’s Muo yeonhaengnok-Seo Yu-jik’s Bukyurok-Seo Yu-jin’s Jongwon Yuyeonnok-Yi Jeong-soo’s Yuyeonnok, ②Seo Yu-jin’s Jongwon Yuyeonnok-Lee Hae-eung’s Kyesan gijeong-Pak Sa-ho’s Yeongye gijeong-Jo Bong-ha’s Yeongye giryak.

      • KCI등재

        조선후기 연행록에서 북경 ‘西山’의 의미

        임영길(Yim, Young-gil)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7 No.1

        1. 들어가며 2. ‘西山’ 유람의 배경 추이 3. ‘서산’ 관련 기록의 특징 4. 나가며 이 논문은 조선 사절단의 北京 유람 공간 확장이 1780년 이후 淸朝의 사신 접대 의례에 생긴 변화와 맞물려 있음에 착안하여, 그 대표적인 공간으로 ‘西山’에 주목하였다. 북경의 서북쪽 교외에 위치한 서산은 金・元・明・淸代에 걸쳐 황실의 離宮이 조성되어 외부인의 출입을 엄격히 제한하던 구역이다. 그러나 1780년 열하사행과 1781년 동지사행에서 조선 사신이 乾隆 帝의 명에 따라 圓明園 연회에 참석한 뒤부터 燕行에서 공인된 탐방 공간이자 필수 유람 코스로 정착하였다. 북경의 여러 명승고적 가운데 18~19세기 연행록에서 가장 다채로운 기록을 담고 있는 장소가 바로 ‘서산’이다. 조선후기 연행록의 통시적인 흐름상에서 북경의 ‘서산’이라는 공간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 집중적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해당 시기 연행록의 특화된 면모가 잘 드러나는 소재이다. 19세기 연행록의 특징으로 흔 히 거론되는 답습이나 재인용, 부연과 같은 관습적인 글쓰기 형태가 서산관련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對淸인식을 표출하는 장소로 서산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저자의 독창적인 의론이 담겨 있다. 아울러 서산 유람이 보편화됨에 따라 북경성 북부 지역에 대한 인문지리 지식이 연행록에 대량으로 추가되었다. 18~19세기 조선 문인들이 북경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서산 유람이 일정 부분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조선 문인과 청조 "강정전계" 문인의 교유에 관한 소고

        임영길 ( Young Gil Yim ) 우리한문학회 2013 漢文學報 Vol.29 No.-

        본고는 19세기 전·중반 연행사들이 만난 청조 문인 집단에 대해 살펴보았다. 嘉慶 이후 중국에서는 문인들이 詩社나 雅會를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조성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翁方綱의 제자인 陶澍·吳嵩梁 등이 결성한 宣南詩社를 들 수 있다. 선남시사에는 경세가로 알려진 공自珍·魏源·林則徐 등도 참여했는데, 그들은 점차 학술·문학방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후 선남시사 同人이던 黃爵滋와 徐寶善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인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會試에 응시하기 위해 북경에 머물고 있던 강남 지방의 문사들과 교유하며 규모를 확대해나갔고, 陶然亭 등지에서 詩酒의 모임을 가졌다. 특히 1829년부터 도연정에서는 크고 작은 아회들이 수차례 있었는데, 1836년의 ‘江亭展계’는 그 중에서도 가장 번성했던 모임이다. 참여 인사 가운데는 대표인물인 黃爵滋를 비롯하여 葉志詵·汪喜孫·李璋煜·梅曾亮·陳慶鏞 등 한중 문학 교류사에서 비중 있는 인물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강정전계 문인들은 대개 학술적으로 고증학을 중시하고 경세사상에 경도되어 있었으며, 문학적으로 桐城派에 연원을 두고 있었다. 도연정에서의 아회는 10여 년간 지속되었는데, 이때 북경을 방문한 연행사들은 주로 강정전계 동인과 교분을 맺을 수 있었다. 양국 문사들은 도연정에 모여 시를 수창하고 필담을 나누며 교분을 맺었다. 지인들의 작품을 서로 보여주고 序跋이나 題詩를 써 주며 양국 문단의 동향을 파악하는 등 학술적·문화적 교류를 이어 나갔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ti group of China who Korean envoys met in the beginning and middle of the 19th century. From Jiaqing(嘉慶) period, the Chinese literati was remarkably tended to develop the network by holding poetry meeting. Starting from Tao Shu(陶澍) and Wu Song-liang(吳嵩梁), the disciples of Weng Fang-gang(翁方綱), organized “XuannanShishe(宣南詩社)” in 1810s. Gong Zi-zhen(공自珍)·Wei Yuan(魏源)·Lin Ze-xu(林則徐), known as a statesman, participated in XuannanShishe, and they became to take charge of leading person in the field of scholarship and literature. After that, a new literati group was organized by Huang Jue-zi(黃爵滋) and Xu Bao-shan(徐寶善), who had connection with the member of XuannanShishe. They started to extend the scale by associating with the literati in Jiangnan(江南) region who stayed in Beijing for taking the Metropolitan examination(會試), and had a poetry meeting in taoranting(陶然亭). Among them, “JiangtingZhanxi(江亭展계)” in 1836 was the largest meeting. Many important people were included in JiangtingZhanxi, especially Huang Jue-zi as a main person, Xie Zhi-shen(葉志詵)·Wang Xi-xun(汪喜孫)·Li Zhang-yu(李璋煜)·Mei Zheng-liang(梅曾亮)·Chen Qing-yong(陳慶鏞) and etc. Member of JiangtingZhanxi put literary origin to Tong-cheng Group(桐城派) and highly appreciated Kao-zheng Scholarship(考證學). In the scholarly aspect, they supported governing thought, based on Chinese literature. The poetry meetings in taoranting had been continued for 10 years. During that period, Korean envoys who traveled in Beijing could associate with major people of JiangtingZhanxi. Korean envoys could understand the trend of Chinese literati in the progress of poetry reading and writing conversation with them. Literati of Korea and China could continue the scholarly and cultural exchanges while presenting their literary collection and writing a classic prologue and epilogue to each other. In this way, JiangtingZhanxi can be a key word to figure out the Korea-China literary exchange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청(淸) 문인 황작자(黃爵滋)와 조선(朝鮮) 문인의 교유 - 『선병서옥초집연기(仙屛書屋初集年記)』를 중심으로-

        임영길 ( Yim Young-gil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본고는 淸 문인 黃爵滋(1793~1853)의 생애와 저작을 소개하고, 그의 自撰年譜인 『仙屛書屋初集年記』에 수록된 조선 문인들의 서신과 필담의 내용을 살핀 것이다. 황작자는 19세기 전반기에 청조 문단을 이끈 인물로, 북경을 방문한 조선 문인과 적극적으로 만나면서 양국의 교류에 있어 가장 큰 중개자 역할을 하였다. 『선병서옥초집연기』는 1816년부터 1846년까지 황작자의 관직과 교유의 행적을 정리한 책이다. 연도순으로 卷次가 나뉘어 있으며 각 권의 첫머리에는 벼슬에 임명된 날짜와 조정에 올린 奏疏 등이 기록되어 있고 지인들에게 받은 詩文과 手札, 筆談 등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시문은 대체로 벗과 선후배들이 황작자의 유람, 그림, 건물 등에 대해 쓴 記·銘·詞·題詩·題辭, 황작자의 생일을 기념한 贈詩, 황작자가 주관한 시회에 관한 詩·賦·序·跋 등이 많으며, 수찰에서는 정치, 문학, 학술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황작자의 행적과 정치 행보를 살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교유 과정과 교제한 인물들의 성향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권21~25에는 1836년부터 1840년까지 황작자가 교유한 조선측 인사 9명의 手札 27편, 筆談 3편, 詩文 5편이 수록되어 있다. 1834년 동지 정사 李翊會의 자제군관李時敏(1797~?)과 李曦(1782~?), 1835년 동지 부사 趙斗淳(1796~1870), 1836년 동지 정사 申在植(1770~1843)과 수행원 李鳳寧(1793~1871), 1837년 동지 정사 朴綺壽(1774~1845), 1838년 동지사 서장관 李時在(1785~1852), 1839년 동지사 서장관 李正履(1783~1843)와 자제군관 李正觀(1792~1854)이 그들이다. 이들은 상대국에 자기나라의 문인과 문학 동향을 소개하고, 漢學과 宋學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으며, 서적과 금석문을 주고받는 등 활발히 교류하였다. 이후 황작자는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조선의 李裕元·權大肯·徐念淳 등과 계속해서 교유를 이어나갔다.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life and books of Huang Juezi(1793~1853), a literati from Qing Dynasty, and to look over the contents of letter and written conversation with Joseon literati, included in his chronological anthology, Xianping shuwu chuji nianji. Huang Juezi is a person who led the literary world of Qing Dynasty in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and he acted as the most important intermediary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dynasty. Xianping shuwu chuji nianji is the book that organizes Huang Juezi`s public office and literati circle from 1816 to 1846. The book also includes poetry, prose, letter and written conversation from his acquaintances. Especially the volumes No.21~25 include letters, written conversations, poetry and prose by 9 Joseon envoys associated with Huang Juezi, from 1836 to 1840. The followings are 9 people; I Si-min and I Hui in 1834, Jo Du-sun in 1835, Sin Jae-sik and I Bong-nyeong in 1836, Bak Gi-su in 1837, I Si-jae in 1838, I Jeong-li and his brother I Jeong-gwan in 1839. Huang Juezi and Joseon Envoys actively interacted by introducing literati and literature trend of their country to partner, exchanging opinion in regard to philology and philosophy, exchanging books and epigraph. Then, Huang Juezi kept continuous association with I Yu-won, Kwon Dae-geung, Seo Nyeom-sun, etc from Joseon, until he passed away.

      • KCI등재

        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아편, 아편전쟁

        임영길 ( Yim¸ Young-gil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아편은 본래 설사와 복통의 치료제로 알려졌으나 그 환각 작용과 중독성으로 인해 기호품으로서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조선에서 아편이라는 물질은 1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병증을 치료하는 약재 정도로 인식되었을 뿐, 상품으로서의 아편은 유통된 적이 없었으며, 그에 대한 지식도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조선의 연행 사절단이 아편으로 인해 내우외환을 겪는 중국의 상황을 접하게 되면서 아편의 유래, 아편 흡연도구와 방식, 아편의 효용과 중독에 따른 폐해, 아편전쟁의 경위와 내막 등에 관한 정보들을 입수하기 시작하였다. 1848년에는 역관 박희영이 아편 흡연 도구를 국내로 들여오다 적발되는가 하면, 이 일을 계기로 조정에서 아편연에 대한 금령을 내렸으나 결국 조선 내부에도 아편이 침투하여 심각한 위해 물질로 자리하게 된다. 아편(연)에 관한 기록은 19세기에 저술된 시화나 필기 등 일부 자료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연행록에서 조선 사절단이 중국 현지에서 직접 견문한 아편 중독의 실태, 당보나 전언 등을 통해 입수한 영국과의 분쟁 상황, 아편 정책을 둘러싼 만주족과 한족 관원의 정치적 대립 등의 실상을 적극적으로 포착하고 있어 주목된다. 李圭景의 鴉片煙辨證說 에는 1820년대부터 연행을 통해 수집된 아편 관련 정보들이 조선 사회에 공유된 정황이 드러나 있다. 또한 尹程의 『西行錄』(1844), 權時亨의 『石湍燕記』(1850)에 수록된 한족 지식인들과의 필담에는 아편의 해독성 및 조선에의 유입을 경계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영국의 강한 군사력, 청 관료 사회의 부패, 은 유출로 인한 재정 고갈, 아편 금지책의 혼선 등의 내밀한 사정까지 생생하게 보고되어 있다. 아편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이 서양 세력의 위협에 대비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으로 전환된 배경에 연행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pium was originally known as a remedy for diarrhea and abdominal pain, but its hallucinogenic and addictive properties have spread it around the world as an item of personal preference. Until the 19th century in Joseon, the substance called opium was only recognized as a medicine to treat diseases, and opium as a commodity had never been circulated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did not have any knowledge about it. However, after the 19th century, the Joseon delegation came into contact with the situation of China that suffers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by opium, then they start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origin of opium, tools and methods of smoking opium, the effects of opium and the effects of addiction, and the history of the opium war. In 1848, station officer Park Hee-young was caught bringing in opium smoking tools and the court imposed a ban on opium smoking, however, eventually, opium penetrated into Joseon and became a serious hazardous substance. Records about opium are scattered in some materials such as poems and writing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because Yeonhaengnok actively captures the realities of the opium addiction, the conflict with the UK obtained through Tang-Bao(塘報) or messages, and the conflict and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Manchu and Han Chinese officials over opium policy which were experienced in China by Joseon delegation. In ApyeonyeonByeonJeungseol of I Gyu-gyeong, the situation in which opium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1820s was shared in Joseon society is revealed. In addition, the handwritten conversations with Han Chinese intellectuals published in Yun Jeong’s Seohaengnok(1844) and Gwon Si-Hyeong’s Seokdan Yeongi(1850) do not stop at the level of being wary of opium's hazard and influx into Joseon, vividly reports the confidential circumstances such as the UK's strong military power, corruption in the Qing bureaucracy, financial exhaustion due to silver leakage, and confusion of opium bans. It can be seen that Yeonhae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ackground in which Joseon intellectuals' curiosity about opium developed into a crisis awareness that they had to prepare for threats from Western powers.

      • KCI등재

        『擇里志』 異本考

        이도훈 ( Do Hun Lee ),김세호 ( Se Ho Kim ),임영길 ( Young Gil Y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3 No.-

        李重煥의 『擇里志』는 최고의 인문지리서라는 평가를 받으며 인문·지리·역사·경제 등 수많은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초기 원형은 짐작할 수 없으며 ‘擇里志’라는 서명조차도 확정되지 않았다. 이는 대략 130여 종 이상으로 추정되는 『택리지』 異本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분석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택리지』 이본 가운데 善本 20여 종의 원문교감을 통해 대략적인 표준형 원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몇몇 외적인 요소들까지 포함하여 여러 이본을 계열화하고 각각의 특징을 서술하였다. 주요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擇里志’, ‘八域誌’ 등 50여 종의 서명, 둘째, 「八道」와 「卜居」의 세부목차와 「四民總論」·「總論」의 수록양상, 셋째, 李瀷·鄭彦儒 등이 남긴 序跋과 南師古의 「十勝保身福地」, 이익의 『星湖僿說』 등의 부록, 넷 째, 원문 교감사항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선 초기본으로 추정되는 이본들을 분류, 해당 이본들은 『택리지』가 완성된 직후에 필사되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서발과 부록의 수록형태, 유사한 서명을 기준으로 계열 화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본문의 일부 내용이 雙行註 형태로 기록된 계열, 유사한 본문이 수록된 계열, 특이한 부록들을 수록한 계열로 분류하여 그 특징들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계열화 작업의 성과는 모든 이본을 망라하지 못했기에 일종의 미완성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의 말미에 첨부해 둔 이본들을 비롯하여 추후 여러 이본들의 특징을 규명하고 추가적인 계열화 작업을 시행해 나가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T``aengniji(擇里志) written by I Jung-hwan(李重煥) received the excellent reviews in human geography book. It has been studied in several academic studies like humanities, geography, history and economics. However, we couldn``t only guess the original, but also decide the title T``aengniji correctly. It``s because the different versions of T``aengniji which is more than 120 were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settled the standard by the textual critic about 20 good versions. So we classified according to similar contents and wrote it``s each features on results. Our standard of classificat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depends on the title of 50 versions``s book title like T``aengniji or p``alyokchi(八域誌). Second, it was decided the contents of p``alto(八道) and pokko(卜居), or the format of Saminch``ongnon(四民總論) and ch``ongnon(總論). Third, we verified the prefaces and epilogues written by I ik(李瀷) and Jong on-yu(鄭彦儒) and so on, and confirmed the supplement written by Nam Sa-ko(南師古)’s Sipsungbosinbokchi(十勝保身福地) and I ik’s Sunghosasul(星湖僿說) and so on. Finally, it was based on textual critic.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some different versions are very similar to the originalaccording to our standard of classification. We also classified several different versions following the book name, or the format of prefaces, epilogues and supplement. In addition to that, we defined characteristics about other things. One is that a pair of line annotation substitutes for body text. The other one is that has similar contents. The last one is that has unique supple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till incomplete, because we couldn``t checked every different versions. However, we attached the list of other different versions at the end of paper. We expect that this list will help follow-up studies about T``aengni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