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대 다치아(Dacia)의 신화들과 자몰세(Zamolxe) 신앙이 루마니아 문학에 끼친 영향

        이호창(Lee, Ho-Cha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1

        본고는 잘목시스 신앙이 루마니아 문학에 어떠한 영감으로 계승되었는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다치아의 신 잘목시스의 가르침에서는 ‘인간’과 ‘인간의 삶의 터전인 대자연’과 ‘대자연의 질서 법칙을 관장하는 우주 창조의 근원’이 하나의 유기체(有機體 organism)라는 관념을 포함하고 있었던걸로 추정할 수 있다. <미오리짜>의 몰도바 목동은 죽음의 위협 앞에서도 두려워하거나 피하려 하지 않고 도리어 죽음을 대자연과의 결혼식이라 여기며 당당히 받아들이려 한다. 그가 이러한 태도를 보일 수 있는 이유는 죽음이 존재의 사라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자연으로 귀의하는 것이며 이는 곧, 존재의 지속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자연의 일부인 인간은 이 세상에 와서 잠시 유한의 삶을 머물다가 육신의 호흡을 멈추면 대자연과 하나가 되는 숙명을 지녔다는 것을 깨닫고 있었기에 죽음을 억지로 피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헤로도토스는 역사 제 IV권 93장에서는 “제타에(다치아) 사람들은 자신들을 죽지 않는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고 기술했으며, 제 IV권 95장에서는 “잘목시스는 죽음을 단지 모든 선(善)을 함께 누리며 끝없이 살 수 있는 다른 어떤 곳으로 옮겨가게 되는 것이라고 가르쳤다”고 덧붙이고 있다. 죽음에 관한 다치아인들의 이러한 태도는 <미오리짜>의 주인공 몰도바 목동의 태도와 거의 차이가 없어 보인다. 다치아 사람들이 잘목시스의 가르침을 따라 자신들을 죽지 않는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믿은 것과 마찬가지로 <미오리짜> 의 몰도바 목동은 죽음을 끝이 아니라 대자연과 하나가 되어 모든선을 누릴 수 있게 되는 초월의 사건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명인 마놀레>와 같은 유형의 전설들, 다시 말해, 도시, 다리, 성곽, 수도원 등의 건설을 위해서는 살아있는 사람이 강제로 건축물안에 생매장 되어야 그 건축물이 무너지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인신공희 유형의 전설들은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유럽에서는 루마니아뿐 아니라 그리스, 세르비아, 마케도니아,헝가리 등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그리스와 헝가리를 제외하면, 이런 유형의 전설이 발견되는 지역이 거의 모두 가 고대 트라키아(Thracia) 문화권에 속하던 지역이라는 점이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이러한 유형의 전설이 루마니아 주변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의 슬라브권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슬라브권에서는 유일하게 발칸의 세르비아에서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이러한 전설들은 고대 트라키아의 정신세계를 계승하고 있는 지역에서만 온전하게 보존되어 온 것으로 보았다. 덧붙여 이 전설들은,원시 농경사회의 신화적 상징들이 고대 트라키아를 거치고 중세 보편 신앙과 만나면서도, 그 상징을 잃지 않고 보존되었기 때문에 전승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루마니아를 제외한 트라키아 문화권의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지닌 구비문학의 전승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이 알려져 있을 뿐이지 그것에 관한 문학적인 가치나 사상적인 가치를 그리높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루마니아에서는 자국의 민족정신을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 하면서 그 속에 담겨있는 숭고한 사상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는 루마니아 사람들 이 잘목시스의 사상과 다치아의 정신을 온전히 이어 받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일례라 할 수 있다. Zalmoxis was a great philosopher who taught that 'gods'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connected like one 'organism'. Descendants of Geto-Dacia, Romanian people inherits doctrine of Zalmoxis. For instance, the Romanian spirit is synthesized into the masterpiece of the Romanian folk, the poem <Mioriţa, A little lamb>, where a young shepherd is warned by his little white-black lamb, that his fellow shepherds plan to murder him and take his flock. The young shepherd instead of resisting, accepts his fate. This means that death is just a destiny of all of us and it is a transition to nature where we are come from, not a end of existing. Concepts of immortality taught by Zalmoxis in Geto-Dacia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an idea of the young shepherd. In <Memento Mori> of Mihai Eminescu, Dacia is archaic and fairy-like immense garden in which cosmos and nature make perfect harmony. It symbolize lost eden and the absolute space to where the poet want to go for eternal rest. <Zamolxe -pagan mystery ->by Lucian Blaga is inspired by Geto-Dacian's supreme god, named Zamolxe and his religion. In this drama, ancient Zamolxe is reborn as a new character, like a poet who is on his mental journey to find a way through which human being and nature can communicate. Blaga's work was inspired by a myth of the ancient people of Dacia but it is basically a mirror which reflects our tragic ages.

      • KCI등재

        Mihai Eminescu의 神話詩, <Memento Mori>에 나타난 Dacia의 신화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루마니아 민족은 혈통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카르파치아 산맥과 다뉴브강 주변의 토착민인 다치아(Dacia) 민족과 이들을 정복한 로마 민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치아는 로마에 의해 정복된 후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다치아는 역사 속의 고대 민족으로서가 아니라 ‘루마니아 정신의 고향’이며 ‘민족의 동질성을 느끼게 하는 상징’으로 아직까지 루마니아인들의 가슴 속에 자리 잡고 있다. 루마니아의 민족시인 미하이 에미네스쿠(1850-1889)도 다치아의 세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치아의 신화적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전설적 인물들에게서 강렬한 시적 영감을 받아 장편 신화시<Memento Mori 죽음을 상기하라 1872>를 집필하였다. 이 신화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치아의 역사와 루마니아 민족 기원 전설을 살펴보아야 한다. 다치아인들은 자몰세(Zamolxe)라는 신의 가르침을 따라 영원불멸을 믿으며 천혜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나 다치아인들은 서기 106년, 로마 트라이얀 황제의 대군에 의해 수도 사르미제제투사(Sarmigezetusa)를 함락 당하고 마지막 왕 데체발(Decebal)이 자결한 후 로마에 완전히 정복당하게 된다. 전설에 의하면, 다치아가 로마에 정복당할 당시 다치아의 왕 데체발에게는 도키아라는 딸이 하나 있었다고 한다. 로마 황제는 도키아의 미모에 반해 청혼을 하지만 도키아는 그를 피해 산으로 도망을 간다. 추격하는 로마 황제에게 막 붙잡힐 순간 도키아는 자몰세 신에게 도와 달라는 기도를 올리고 자몰세는 그녀를 돌로 만들어 준다. 이 신화에서 도키아는 다치아의 정신을 상징한다. 다치아는 비록 로마에 의해 멸망을 당했지만 루 마니아의 정신은 도키아와 마찬가지로 돌처럼 굳어져 루마니아인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남아 있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에미네스쿠는 <죽음을 상기하라>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시적(詩的) 신화를 창조해 내었다. 이 시에서 다치아는 태초의 자연인 동시에 죽음 후에 돌아가야 할 영원(eternitate)의 세계로 그려져 있으며, 도키아는 절대적 공간인 다치아의 모든 생명을 돌보는 달의 요정으로 등장하고 있다. 자몰세는 다치아를 침범한 로마와 로마의 신 제우스에게서 다치아를 지켜내기 위해 싸우지만 다치아는 결국 그들에게 짓밟힌다. 이 신화시에서 에미네스쿠가 가장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삶은 덧없는 것이며 영원함은 오직 죽음뿐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상은 다치아로부터 이어 내려오는 루마니아의 . 고유한 정신 세계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에미네스쿠와 마찬가지로 다치아인들도 삶을 고난으로 보고 죽음을 악으로부터의 해방이라고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Romania is descended from Dacia and Roma. Spirituality of Dacia is handed down to Romanian ethos and Dacia's mytholog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f of romanian literature. Romania national poet, Mihai Eminescu created a fantastic myth about Dacia in his posthumous poem <Memento Mori>. To understand Eminescu's myth related with Romanian ethos, we have to see real history and mythology of Dacia. Dacian's God, Zamolxis, Dacian's last king, Decebal and his daughter Dochia are most remarkable personages in history and mythology of Dacia. Dacia's native population moved into the region about the seventh or the sixth century BC. By the first century BC the Dacians were the leading tribe of region. The Dacians raided parts of Romania and Moesia as the warrior Decebalus took leadership of Dacia some time between 65 and 86 BC. Traianus began his battles in March 101 and finished in AD 106 declaring Dacia a province of the Roman Empire. The degree of Romanization in Dacia was extensive. Dacia was Romanized but it retained their traditional cattle driving and agricultural practices. Due to the influx of colonists and other Roman citizens populating the newly declared province, however, changes were happening. Zamolxis (Saitnoxis) was the Supreme God of the Getae (or Dacians), a Thracian people inhabiting a territory including today's Romania. The scholars have interpreted Zamolxis as a Sky-god, a god of the dead, a Mystery-god, etc. This deity had neither temples nor representations. He was worshipped on the hills and the top of the mountains, the supreme place for worshipping being one of the highest peaks of the Carpathians. The Getae are the most valiant men, not only because of their stamina, but also because Zamolxis, whom they worshipped, had taught them to be so. They think death is just an abode change; for that reason, they are ready to die rather than embark upon a journey. Dochia was a very beautiful girl in myth about Dacia. Roman emperor Traianus wanted her as a wife, but she didn't want to be wife of one's country's enemy. She ran before Traianus to the mountain and at that very moment to be caught by him, she prayed to Zamolxis to help her. Zamolxis made her a rock to escape from Traianus. Dochia symbolize spirit of Dacia ; Dacia was conquered by Roma, but spirit of Dacia is remain as a rock. In <Memento Mori> of Mihai Eminescu, Dacia is archaic and fairy-like immense garden in whichcosmos and nature make perfect harmony. It symbolize lost eden and the absolute space to where the poet want to go for eternal rest. Dacia remain the original homeland of Romanian people's.

      • KCI등재

        즈부러토룰(Zburătorul ; 夢覽, 夜來者)과 관련된 신화와 문학에 대한 분석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성애의 감정은 인간의 이성으로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성애의 감정에 초자연적인 힘이 관여하고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왔다. 루마니아 민간전승에서도 이러한 믿음을 발견할 수 있으며 많은 문학 작품들 속에는 이런 저런 방식으로 인간의 성애에 개입하는 여러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중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즈부러토룰(Zburătorul)은 사춘기 소녀들에게 난생처음 성에 대한 갈망을 느끼도록 만드는 짓궂은 존재로, 즈부러토룰이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사춘기 소녀의 성몽(性夢) 속에 들어가 성 관계를 맺고 사라지면 그 소녀는이성에 대한 그리움과 열망으로 심한 가슴앓이를 겪게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신화학자인 로물루스 불커네스쿠(Romulus Vulcănescu)에 의해 악령(daimon)으로 분류가 되긴 하지만, 즈부러토룰은 사람의 육신을 해치거나 사악한 마음을 품게 만드는 등의 부정적 활동을 하는 존재는 아니다. 사회 기능상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오히려 긍정적인 역할이 발견된다. 한 소녀가 생리적 사춘기를 보내며 즈부러토룰로 인하여 성애의 감정을 알게 되었고 성욕을 절제하는 고통을 느끼면서 사랑의 가슴앓이를 심하게 치렀다는 것은 이제 그녀는 어린 소녀가 아니라 성숙한 여성으로 거듭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성을 아동적인 놀이의 동무가아니라성적결합(性的結合)의상대자로받아들일준비를해야할시기가왔다는것이다. 이는한소녀가 부모의 보호를 받는 어린이에서 아이를 낳고 가정을 돌봐야 할 성인 여성으로 성장했음을 알려주는 징후이며,개인적인 차원에 지나지 않았던 자기의 존재 가치와 위상이 사회적이고 국가적인 것으로 격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진정한사회의일원으로받아들여지게되었다는것을상징하기도한다. 그러므로즈부러토룰에의해 겪게되는가슴앓이는일종의무형적(無形的) 입사식(入社式; Ritual de Iniţiere ; Rite of Initiation)으로볼수 있으며 소녀에게 성애를 느끼게 만드는 즈부러토룰은 사악한 목적으로 소녀들을 괴롭히는 악귀가 아니라 입사 시험관이라 할 수 있다. 이 신비로운 존재에 관한 이야기는 제오르제 컬리네스쿠(George Călinescu)에 의해 루마니아의 4대 신화중하나로평가 받고있으며 , 미하이에미네스쿠(Mihai Eminescu)의시<컬린(이야기의단편들) Călin (file dinpoveste)>, <샛별 uceafărul>, 바실레알렉산드리(Vasile Alecsandri)의시<스부러토룰Sburătorul>, 이온헬리아데러둘레스쿠(Ion Heliade rădulescu)의시<스부러토룰Sburătorul> 등, 19세기루마니아낭만주의문학가들의여러 작품에 중요한 모티브를제공하였다. 그중 러둘레스쿠의 시 <스부러토룰>은 즈부러토룰을만나고 난 뒤 겪게 되는 한 소녀의 안타까운 가슴앓이를 가장 사실적이며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에미네스쿠의 시 <컬린 (이야기의 단편들)>은 즈부러토룰과 나눈 순수한 사랑의 이야기를 동화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In Romanian folklore and literature, we can meet many kinds of mysterious being which are intervene in human’s erotic sentiment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them is called ‘Zburătorul’. It’s character is very similar with Eros in Greek mythology and Incubus in occidental tales. The ‘Zburător’ is a kind of dragon or serpent, he transforms himself into a very attractive man, then intrudes into dreams of girls at puberty to make love with them. There are a lots of romanian literary works inspired by this ‘Zburător’. One of the most important literary work related with ‘Zburătorul’ is ballad titled <Sburătorul> by Ion Heliade Rădulescu. In this ballad, writer described minutely pathetic mental agony of a little girl’s, named Florica, who is aware of her sexual feelings by ‘Zburătorul’. Mihai Eminescu also composed several poems motived by ‘Zburătorul’ like <Călin, file din poveste>, <Luceafărul> The majority of the romanian scholar says that ‘Zburătorul’ is a demon, a nightmare and an evil spirit. But this creature is not a completely negative being. We can not find any story in which ‘Zburătorul’ injures human’s body or he converts man into devil. On the contrary, when it tries to analyze mythical symbols from the side of social function, the affirmative role of Zburătorul’ is discovered. The fact that one young girl was known the erotic sentiment in the period of physiological adolescence as a result of aggression of ‘Zburătorul’ means that this girl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 role as the woman and she goes to establish her identity as the woman. From that reason, the mental agony of girls caused by ‘Zburătorul’ could be considered as a formlessness rite of passage from girlhood to womanhood, that is ‘initiation of girls’.

      • KCI등재

        유통서비스 업종에서의 작업장혁신에 관한 통합적 연구

        이호창 ( Ho Chang Lee ),심용보 ( Yong Bo Shi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유통서비스 업종에서의 작업장혁신과 관련하여 저원가 경쟁전략과 차별화 경쟁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유통서비스 업체에서 고성과작업체계의 지향성을 갖는 작업장혁신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분석과 양적 통계분석을 평행하는 통합적 연구(triangulation)를 시도하였다. 질적 사례분석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유통업체 중에서 저원가경쟁전략을 강조하는 월마트와 차별화 경쟁전략을 강조하는 웨그먼스를 추출하여 다수사례 연구방법(multi-case study)을 적용하였다. 양적 통계분석에서는 유통서비스 업종에 속한 100인 이상 한국 기업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245개의 기업을 표본추출하여 고성과작업체계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질적 분석의 경우 월마트는 저원가 경쟁전략을, 웨그먼스는 차별화 경쟁전략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서로 상이한 작업장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월마트는 저비용-저가격 전략과 프로세스 주도적 혁신을 통해 엄청난 성장을 거두었지만, 그 성공 뒤에는 저임금, 저숙련, 단순노동, 높은 이직률로 얼룩진 열악한 일자리가 지배적이었다. 반면 웨그먼스는 차별화 경쟁전략과 고성과작업체계를 통해 양호한 경영성과와 양질의 일자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고 있었다. 한편 양적 분석의 경우, 한국의 유통서비스업체에서도 차별화 경쟁전략과 고성과작업체계의 구성요소간의 외적 적합성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나아가 고성과작업체계는 이직율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인당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core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is that work is organized to permit front-line work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hat alter organizational routin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HPW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triangulation research method and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urnover rate in Korean distributive service companies. A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W-Mart case suggested that the low cost strategy resulted in the excellent management performance but was composed of the work system in which the working conditions W-Mart were inferior and made clear low-skilled, low-pay and high-turnover rate. But, WegmansFood Markets case was showing that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was commensurate with HPWS and Wegmans Food Markets case was composed of the work system in which the working conditions were superior and made clear high-skilled, high-pay and low-turnover rat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HPW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rate and per annual sales. The turnover rate partially mediated between HWPS and per annual sales.

      • 루마니아 신화에 내재된 민간신앙과 동방정교의 문화적 융합 양상

        이호창(Lee, Ho-Cha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루마니아 땅에 보편 종교인 크리스트교가 전파된 것은 지금부터 약 2000여 년 전의 일이다. 예수의 12제자 중 한 명인 안드레이가 흑해변의 도브로제아(Dobrogea) 지방에서 예수의 복음을 전했다는 기록과 기념물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다. 하지만 크리스트교의 전래 역사가 오래 되었다고 해서 고대의 민간 신앙이나 그것과 연관된 다양한 민속 전통들까지 모두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크리스트교의 종교체계 아래로 흡수되어 그 자취를 완전히 감추어 버린 것은 아니었다. 루마니아에서는 오히려 현재까지도 고대의 신앙과 풍습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되는 여러 속신, 미신 등의 민속 문화들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크리스트교가 초월적인 삶의 문제는 해결해 주었지만 현세적인 삶의 문제는 거의 해결해 주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크리스트교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원죄를 대속할 것을 약속했고, 예수의 재림을 통해 인간에게 영생을 줄 것을 약속하는 등, 영적인 근본 문제들에 대해서 해결책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인간들이 현세에서 겪는 소소한 질병이나 수시로 변하는 육체적 불만, 기후의 변화에 따른 불안감 등을 해결하는 방안은 개인적인 기도 외에는 딱히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민간 신앙과 민속 의례들은 주술이라는 방법을 통해 소소한 질병들을 치유하거나 육체적 불만을 위무하는 가능성을 제시했고, 기우제나 희생제의 등을 통해 기후 변화에 따른 불안을 진정시키고 풍작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초월적이고 영적인 문제에 관여하는 보편 종교와 현세적이고 육체적인 문제에 관여하는 민속 신앙은 서로를 보완하면서 융합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루마니아 인들의 이와 같은 삶의 방식은 루마니아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신화들의 내용 속에서도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즉, 신화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 속에 보편 종교인 동방정교의 영향 뿐 아니라 민간 신앙의 영향이 강하게 융합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미르체아 엘리아데에 의하면 고대의 신화들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모습만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뿐이라고 한다. 신화는 중세 이후의 보편종교, 철학, 과학 등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어 버린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그들의 뒤편에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루마니아의 시골마을 사람들은 아주 오래전에 이미 기독교화 되었다고는 하지만, 고대로부터 이어온 전통들까지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 기독교로의 개종은 종교 간의 공존과 융합을 가져다주었을 뿐이다. 일부 도시화된 곳에서는 크리스트교에 의해 고대의 신화와 이교도 신앙들은 모두 배척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고대의 신들은 아직까지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루마니아의 예를 들자면, 불멸을 가르쳤던 다치아의 잘목시스는 영원한 생명과 구원을 약속한 예수로, 벤디스 여신은 성모 마리아로, 천둥과 번개의 신이었던 트라키아의 제벨레이지스는 성 엘리야로, 카발레룰 트락은 성 게오르게로, 동물들을 다스렸던 이름 모를 신은 성 베드로로 그 모습을 바꾸었다. 그러나 트라키아와 다치아의 신들은 크리스트교 성인들의 이름 뒤편에 숨었을 뿐이지, 아직까지도 그 힘을 고스란히 발산하고 있다. 루마니아의 거의 모든 문화 양식이 외면적으로는 크리스트교화 되었지만, 내면적으로는 고대의 민간 신앙을 계승한 신화-의례적인 민속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One of the feature of Romanian culture i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Orthodox doctrine and ancient myths. Although the dominant religion in Romania is the Orthodox and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Romania was a long history, traditional believes derived from ancient paganism has not disappeared. As such, far from coinciding with the story in the Book of Genesis, the Romanian cosmogony is largely dualist in nature, depicting the Earth as the common opus of God and the Devil, imagined as counterparts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rather than in the biblical way. This cosmogony says that man’s desire is to give a purpose to every thing and being in order to gain full harmony. In Romania, the ancient gods have had Christian saints' names but their nature power, which is believed from ancient time, still inspire Romanian peasant's spirituality. For examples, Jesus replaced Zalmoxis in Dacia as the Savior, Elijah replaced Gebeleizis as god of the thunder and rain, Gheorghe replaced Cavalerul Trac as the god who expel evils, the Holy Mother Maria replaced Bendis in Trachea or Diana from Roma as goddess of management, Saint Peter replaced anonymous god for wild animals. Whereas in Southeastern Europe inclusive of Romania, Church has been imbued with so many cosmic symbols. The religious experience peculiar to the rural populations was nourished by what Mircea Eliade called, “Cosmic Christianity”. Cosmic Christianity is a peasant-centered religion with its array of cosmic liturgies and religious folklores. It is not a paganization of Christianity and is not expressed by a scholastic theology. It is a popular theology that is built 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easonal festivals and religious folklore, which reflect the life of the common folk. Thus, cosmic symbols of folkloric themes are passed on to the Church, which gave them sacramental meaning. Eliade explains Cosmic Christianity of the rural population in Romania as being dominated by 'nostalgia for a Nature sanctified by the presence of Jesus'. Romanian Cosmic Christianity is inherited ancient mythological thinking that god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in unity.

      • KCI등재

        CSJ 개발을 위한 캐리어 파이프의 변형해석

        이양(Lee, Yang-Chang),이준성(Lee, Joon-Seong),이호정(Lee, Ho-Jeong),류정현(Ryu, Jeong-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논문은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접속재 개발을 위한 연구결과로써, 접속시스템의 핵심기술인 고절연 고무슬 리브의 현장 접속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Carrier Pipe의 구조해석과 주요부의 전기적 특성과 전계의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수치해석 등을 실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려 한다. 절연설계 및 전계완화 해석에 의한 검증과 접속재의 수축거동 해석에 의한 Carrier Pipe의 최적화된 형상으로 두께가 최소 9mm이상을 갖는 Carrier Pipe가 필요하며, 전 기적 전계완화 해석결과 고절연 고무슬리브의 중앙매립전극 경계면으로써, 접속재 수축거동 해석 결과와도 일치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is paper represents the results of study on Extra High Voltage Power Cable Connection System Development. The purpose is to evaluate structural safety by numerical analysis for the relaxation of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and by structural analysis of Carrier Pipe for easy installation of High Insulating Rubber Sleeve in the field, which is core technique of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hickness of Carrier Pipe needs at least 9mm by optimization analysis of deformation behavior and insulating design & relaxation of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The result of contraction behavior of the connection part can be demonstrated with the same result of electric field relaxation analysis at the boundary of the electrode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rubber sleeve.

      • KCI등재

        영상 중요도 정보에 기반한 스타일 전이 기법

        이호창(Hochang Lee),윤경현(Kyunghyun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40 No.2

        스타일 전이 기법은 참조 영상에 나타나는 질감/색상과 같은 스타일을 결과 영상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기존의 스타일 전이 기법 연구들은 색상이나 질감 중 하나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두 가지 특징을 동시에 반영한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또한 스타일 전이를 위해 후보 픽셀 집합을 구할 때 단순히 임의의 픽셀들로 구성하기 때문에 때때로 안 좋은 결과 영상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조 회화 작품의 색상과 질감 정보를 동시에 반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때 참조 영상의 스타일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영상의 중요도 정보를 이용한다. 우리는 참조 영상과 대상영상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중요도가 유사한 영역간에 스타일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의 알고리즘은 색상과 질감을 동시에 반영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에 비해 참조 영상의 느낌을 잘 전이할 수 있었다. 또한 임의의 픽셀을 기반으로 후보 집합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중요도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기 때문에, 영역별로 보다 명확하게 특징을 반영할 수 있었다. Style transfer re-renders a target image with texture or color taken from parts of a source image that is matched locally to the target image. Existing style transfer techniqu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 color and texture, and many researches of them are proposed for expressing non-photorealistic rendering based on style transfer techniques. However, most of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ed only one part (color or texture) and don’t consider both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Additionally they construct candidate pixel set for transfer by random access approach. So they sometimes make unnatural res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tyle transfer techniqu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oth color and texture of the source image. Our method uses image saliency values to construct a candidate set for transfer style of source effectively. We consider saliency of target and reference image, and then match the style to region with similar saliency value.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we consider both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So we can express more similar result from source image. Also we can express more realistic effect per each region because we construct candidate set based on image saliency information.

      • KCI등재
      • 이온 루카 까라지알레(I. L. Caragiale)의 해학극

        이호창(Lee, Ho-cha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1

        이온 루카 까라지알레(I. L. Caragiale)의 해학극 <잃어버린 편지 O scrisoare pierdută>는 정치를 통해 출세하려는 자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협박, 배반, 속임수, 무능력 등 인간들의 갖은 부도덕성과 비사회성을 웃음을 통해 강력하게 공격하고 있는 작품이다. ‘우리가 아무리 ∼한 척 해봐야 우리의 본 모습은 이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을 장황한 연설로써가 아니라 희극이라는 예술을 통해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작가가 사용한 다양한 희극적 요소들은 권위를 가진 대상에서 권위의 광휘와 허식을 벗겨내는 방식으로 그 대상의 실체를 드러내어 그 대상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고 오히려 비판적인 의식을 갖게 하는 웃음을 만들어 내고 있다. 작가는 부정적 사회의 모습을 보여 주면서 이를 고칠 근본적인 해결책이 무엇인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단지 상류 사회를 향한 열망, 출세욕, 성공욕구 등을 채우기 위해서 가면을 쓰고 광대처럼 살아가는 것이 과연 얼마만의 가치가 있는가를 자문하게 할 기회를 주고 있을 뿐이다. 우리와는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루마니아의 한 세기 훨씬 이전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지만 이 작품 속에서 비춰지는 우스꽝스런 사회는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과 그리 다르지 않다. 또한 <잃어버린 편지>의 등장인물들이 보이고 있는 도덕적 결함도 우리 현대인들의 그것과 그리 큰 차이가 없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까라지알레의 대표작을 읽고 분석하면서 신분 상승을 위해 발버둥치는 현대인들의 부정적인 모습을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Ion Luca Caragiale (1853-1912) is Romanian playwright and author. Romanias foremost dramatist, his works sharply satirize human society. His masterpiece, Romanian comedy, A Lost Letter, tells the story of elections in a small Romanian provincial tow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leader of the opposition mistakenly receives a letter from a drunk citizen who was a postman. The letter is written by the prefect to the most influential lady in town, the wife of the city council president, who is the opposition leaders best friend. The love letter becomes the object of tough political bargaining when the powerful central government dispatches to the town the official candidate, an old decrepit politician. The lovers are torn between their duty to the center and their fear of being exposed. They use threats, police violence, and promises in order to handle the situation when they discover that the centers official candidate also obtained his position because of a letter he had accidentally found. The drama ends "happily," with the incumbents and the opposition dividing the spoils and concluding that the pie is large enough for everyone. I.L. Caragiale rebuke our high society for its immorality whit derision in his satiric comedy, A lost letter. In our high society, there are a lot of disgustful things like intimidation, betrayal, incompetence, deception etc. But author does not inform a certain solution to improve this deformation. It seems to give us a chance to ask ourself if it would be valuable to struggle to asc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