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게르쩬과 폴란드 문제

        전지용(Jeon, Ji Yo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게르쩬에게 있어서 서유럽은 이미 치명적인 질병에 걸려있는 세계이었다. 그는 서유럽의 문화에서 보이는 문제들이 기독교의 영향 때문에 제기되었고 그것은 슬라브적 정신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서유럽 세계에서 나타나는 모든 악이 기독교의 이원론 때문에 야기되었다고 그는 보았다. 게르쩬은 기독교가 끼친 흔적을 폴란드인 미쯔비쯔에게서 발견했고 그것을 메시아니즘이라고 개탄했다. 게르쩬은 그러한 문제들이 ‘자유인’을 계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는 절대적인 도덕성이 모든 것의 기준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게르쩬은 기사계급의 문화와 소매상인의 문화를 엄격하게 구분했다.뚜르게네프와의 논쟁 때에도, 게르쩬은 부르죠아지는 그들 자신의 문화를 갖고 있지 못하고 고상한 문화에 기분 나쁜 습기를 뿌리는 계급이라고 매도했었다. 그러므로 부르죠아지의 문화는 반드시 거부되어야했다. 나아가, 게르쩬은 서구 세계의 지배계급이 제국주의적 야심 때문에 타락하여 분해되고 있다고 보았고, 따라서 서구 세계는 오래 지탱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폴란드 문제에 대한 게르쩬의 인식에는, 그러므로, 이중적인 측면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는 폴란드의 역사 때문에 야기된 서유럽적인 측면에는 질색했다. 게르쩬에게 그것은 치유되어야 할 측면이었다. 그러나 그는, 폴란드의 분할이 절대주의 시대의 유산이었기에, 폴란드의 역사에 동정을 표했다. 따라서 게르쩬은 폴란드인들과 함께 폴란드의 독립을 위한 선전 활동을 했다. 이것이 러시아의 많은 민족주의자들로부 터 그에 대한 거친 공격을 일으켰다. 러시아 내의 많은 민족주의자들이 거칠게 자신을 공격하고 있었음에도, 그는 폴란드의 독립을 위한 선전활동을 계속하면서 폴란드인들과의 유대를 지속했다. 분명, 그것이 정의이기 때문이었지만 동시에 게르쩬이 러시아 혁명을 위한 동맹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했을 것이다. 폴란드에 파견되는 러시아의 진압군 장교들을 설득하고자 게르쩬은 ‘이웃의 목에 밧줄을 졸라매면서 자신의 조국에서 자유의 시대를 시작시킬 수 없다.’고 그들에게 말했다. 게르쩬은 폴란드인들 스스로의 동의하에 그들이 슬라브적 세계에 동참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가 말하는 ‘슬라브 연방’은 미래의 사회주의적 러시아가 주요한 역할을 맡게 될 사회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슬라브 연방은 당시의 서유럽 세계가 안고 있던 각종 문제들을 극복한 유토피아적 사회를 의미한다. 봉기 당시의 <폴란드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들과 게르쩬 사이의 담화나 편지가 그들 사이에서 이 부분이 어느 정도 양해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는 폴란드인들이 스스로 슬라브적 세계에 동참함으로써 역사의 새로운 흐름에 따를 것이라고 믿었다. Western Europe, for Herzen, is the world of the fatal disease. He thoughts that the problems of the western culture arose from the effect of Catholicism, and it was alien to the Slavonic genius. Particularly, he thoughts that all evil of the western world was caused by the dualism of Catholicism. He can see the effect of Catholicism in A. Mickiewicz and Herzen deplored as the messianism of Poles. Herzen believed that thos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for 'the man of liberty'. So, he said that absolute morality must share the fate of everything. Herzen divided into the culture of the knight and the culture of the shopkeeper. He distasted the culture of shopkeeper. While disputing between Herzen and Turgenev, Herzen said that bourgeois had not his own culture and they were the class who cast damp over a noble culture. In addition to it, Herzen was convinced that the western world can't sustain any longer because the ruling class of the West was corrupted and dissolved by imperial ambition. So, Herzen's view for the problem of Poland cannot help being had two faces. Herzen can't endure the western aspects of Poland that was caused by her history. For him, surely, it was the object to be dealt. But he has compassion for her history, because her partition was the heritage of the age of Absolutism. So, Herzen pleaded with Poles for her independence of Poland. This excited the hard attack to him from many nationalists Although he was attacked from many nationalists in Russia, he kept on with his pleading. It seems so because it was not only a rightful cause but also it need to ally with someone for russian revolution. At the uprising of Poland, Herzen would persuaded the offices of Russian detachment to join with him. It is as next; "Drawing a belt he neck of neighbors, one can't make start the liberty age of his nation." Herzen dreamed of Poles' join into Slavonic World with Poles' consent. Surely, it means Slavonic federation which the future socialist Russia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urther, these Slavonic federation means the utopian society which has overcome every problem in the contemporary Western Europe. He believed that Poles can go together with the stream of the new history through the join into Slavonic World.

      • 루마니아어의 신체관련 어휘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이문수(Lee, Mun Suh)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루마니아의 언어학자 치학(A. de Cihac)은 그의 어원사전(I. 1870,II. 1879)에서 조사대상어휘 총 5,765개 중에서 라틴어원의 어휘가20%, 슬라브어원의 어휘가 40%, 터키어원이 20%이며 나머지 20%는 그리스어원이나 헝가리어원 또는 알바니아어원 등이 차지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루마니아의 언어학자 마크레아(D. Macrea)는 그의 최근 저서(1982)에서 1930년대에 출판된 칸드레아의 어원사전과 1950년대에 출판된 루마니아어원사전 상의 통계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치학의 어원사전의 통계수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마크레아에 의하여 제시된 통계자료들을 비교하여 분석해보면 루마니아어가 언어계보적인 관점에서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루마니아어에 존재하고 있는 라틴어원의 비율이 여전히 낮은 편이라는 점이다. 루마니아의 언어학자 그라우르(A. Graur)는 그의 저서(1967)의 서론에서 모든 현상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언어에서도 일시적인 것들과 지속적인 것들 사이나 또는 표면적인 것들과 필수적인 것들 사이에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언어의 특성을 관찰하고자 할 경우에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어휘보다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주장이다. 본고에서는 일리에스쿠 (M. Iliescu)의 루마니아어의 기본어휘 및 부쿠레슈티대학교 부설 언어 연구소 팀의 살라(M. Sala) 등에 의한 로망스어의 대표어휘 중 루마니아어의 대표어휘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인간의 신체와 관련된 어휘중에서 주요 부위에 해당하는 50개 어휘를 선별하여 그 어원 및 사용빈도나 다의성 그리고 파생력 등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루마니아어의 신체관련 어휘의 약 85%가 라틴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관련 어휘의 85% 정도가 루마니아어의 기본어휘 범위에 속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신체관련 어휘가 그 언어의 정통성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Cihahc’s 「Etymological Dictioary of Romanian Language」published in 1870’s estimated that of the surveyed 5,765 Romanian vocabulary about 20% was of Latin origin, 40% of Slavonic origin, 20% of Turkish origin and the remaining 20% of Neogreek, Hungarian and Albanian origin. A Romanian scholar, D. Macrea(1982) asserted that almost 40% of Romanian vocabulary was made up of French elements, i. e. of Romance factors showing that Cihac’s statistics were superficial and far from the fact. But as the ratio of the Latin origin of Romanian vocabulary concerned, it does not change things very much, because the number of Latin words estimated by Macrea does not exceed 30% of the Romanian vocabulary. Romanian linguist A. Graur(1967) asserted published book that in languages, as in all phenomena, distinction must be made between ephemeral and lasting elements and between superficial and essential facts. According to Graur, in the Romanian language there are some words which were not used about ten or twenty years ago and one can't be sure that these words would still be in use in ten or twenty years from now on. Conversely, there are many words which are preserved for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This means that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a certain hierarchy may be established among the vocabulary. In order to characterize a language, one must rely much more on its stable elements than on the ephemeral words. M. Iliescu pointed out 3,209 words as the basic Romanian vocabulary using word frequency o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press, science and literature etc. Marius Sala, coordinator of the Institute of linguistics at the Bucharest University, published 「Vocabularul reprezentativ al Limbii Române」in 1988, in which Sala and her colleague showed 2,581 representative Romanian words. They classified these words into several categories with three criteria, namely the criterion of frequency, the criterion of polysemy and the criterion of derivation. Romanian scholar S. Puşcariu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body part expressions like cap ‘head’, faţă ‘face’ etc. in any language and confirmed after making inquiries into the etymology of the 100 physical words of the Romanian language as well as French and Italian languages that all of these three languages have approximately 90% words of Latin origin.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basic and representative vocabulary of the Romanian language, especially to study the etymology of the selected 50 physical words. 37 Of the 50 words belong to the so called representative vocabulary and 43 words belong to Iliescu’s 3,209 basic vocabulary, which means that 86% of 50 physical words are the basic vocabulary in the Romanian language.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etymological research on the 50 physical words, 44 are of Latin and Romance origin, 2 of Slavonic origin(obraz, gât), 2 of unknown(ceafă, burtă), 1 of Substratum(buză) and 1 borrowed from Hungarian(labă), which means that 88% of the 50 physical words are of Latin or Romance origin. Hence, more than 85% of the 50 physical words of the Romanian language show Latin or Romance origin and about the same ratio of the 50 physical words belongs to the basic vocabulary of the Romanian language. These statistics should show the true character of the Romanian vocaburary.

      • 헝가리 민담의 갈래와 구조적 특징

        한경민(Han Kyeng 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구비문학은 한 민족의 특성을 담고 있는 문화의 보고라는 점을 인정할 때, 헝가리 구비문학 연구는 헝가리 민족과 문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된다. 이 글에서는 구비산문 중에서도 민담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민담의 갈래와 구조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헝가리 민담은 내용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류된다. 요정담은 전체 민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물담과 교훈담, 우스개 이야기등의 세부 갈래로 나눌 수 있다. 2장에서는 헝가리 민담의 갈래 분류를 소개하고,각 갈래를 대표하는 작품을 짧게 요약하여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앞에서 소개한 민담에서 뽑아낸 구조적인 특징을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헝가리 민담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모티브가 발견되었고, 이것에 대해 4장에서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 헝가리 민족은 아시아 민족이며, 목축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구조를 지탱하기 위해 유럽까지 이주해갔음을 알게 되었다. 그 결과 헝가리는 아시아 민족이면서 유럽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고, 서유럽의 공통적인 문화코드인 카톨릭을 받아들여, 국교로 발전시켰다. 이렇게 해서 헝가리는 서유럽의 문화유산과 아시아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함께 지니고 있는 특별한 민족이 되었다. 구비민담이 각 민족에게 가장 오래되고 가장 보편적인 가치관의 결정체 라고 할 때, 헝가리 민담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독특한 것을 찾아내는 것은 헝가리 민족의 고유한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이 글은 헝가리의 구비민담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헝가리 민족이 이어 내려온 고유한 이야기를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찰하고자 했다.그러므로 민담이 배경으로 하고 있는 시대의 모습과 문화, 더 나아가 고유한 가치관과 신앙관을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도 담고자 노력했다. 민담이 간직하고 있는 공동체 문화의 발견과 가치 평가는 헝가리 민족의 고유함과 독자적 특징을 보여주고, 우리에게 헝가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것이다. A literature of Folklore contains the very characteristics of a n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e literature of Folklore is a treasure house of a culture. So to study the Hungarian folklore is a royal road to understand the Hungarian nation and the special feature of their own thoroughl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amined and analyzed the Hungarian Folklore,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structure of the oral tales. First of all, the fairy tales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Hungarian oral tradition. Maybe about 50% of the oral tradition can be classified as a category of fairy tales. And then there were animal stories, didactic literature (or morality story) and some jokes.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article, I introduced the varieties of the hungarian folklore and analyzed some representative stories of the genres. In the next chapter were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lore. Then I found out the very features only relevant to the Hungarian folklore. There were the points of the 4th chapter. Hungarian Nation were suspected to be come from Asian regions for a long time ago. The reason why was they had raised the livestocks and they needed a new meadowland to feed them. They had moved toward west. So they were originally from Asia but now they were in the middle of Europe. For about 1,000 years, they have lived in the heart of Europe as a nation of Asia. They accepted the Christianity as a state religion. So we can say Hungary is a really special nation who have European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a culture peculiar to Asian way of life. A folklore and oral tradition is said to be a crystal to show us the nations' view of life and world. It is so natural to find out the longest and the most special contents in the Hungarian folklore and oral traditions. It can provide us the very Hungarian view of life and world. Adding this, the article was proposed to rediscover the way of life and the people's attitudes inborn in the minds of the Hungarian people. The article also tried to show the background of the time related to the folklore and oral tradition. This approach to detect and look for a common folklore and oral tradition as well as special ones, is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very desirable nature of the Hungarian culture in a well-balanced and whole approach.

      • 예지 안제예프스키(Jerzy Andrzejewski)의 <재와 다이아몬드>(Popiół i Diament)에 나타난 극한적인 상황에서의 인간의 행동양식

        정병권(Cheong, Byung-kw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예지 안제예프스키(Jerzy Andrzejewski; 1909-1983)는 폴란드 현대문학 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세계 제2차 대전과 사회주의 체제로의 전환 등 폴란드 현대사가 중요한 분기점을 맞이할 때마다,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분위기를 작품 속에서 특징적으로 표현하는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변화에 순응하는 그의 순발력은 때로는 이전의 그와는 상치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기 때문에 그의 작품들은 높은 평가와 인정을 받으면서도, 정치적 상황에 쉽게 영향을 받는 기회주의적 작가라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것이 사실이다. 1947년에 발표된 안제예프스키의 대표작 <재와 다이아몬드>(Popiół iDiament)는 2차 대전 후에 나온 폴란드 문학작품 중 당시 폴란드 국민이 처했던 이념과 모랄 그리고 정신적 혼돈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폴란드에서 수십만 부가 팔릴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누린 작품이다. 또한 영화(감독: Andrzej Wajda)로까지 만들어 져서 폴란드 국민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소설은 2차 세계대전 말 독일이 무조건 항복했던 날을 전후한 4일 동안, 폴란드 지방 도시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안제예프스키는 <재와 다이아몬드>를 통하여 전후 폴란드에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행동과 위험한 의식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지하활동에 관여하고 있던 청소년들은 독일점령 기간 중에는 나치에 대항하는 용감한 투사로서 때로는 경탄과 명예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전쟁이 끝나고 정치적 상황이 완전히 변한 현실에서는 범법자, 우범자로 취급되고 있었다. 싸움과 살인을 통해서 조직과 자신의 힘을 과시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그들은, 자기들만의 폐쇄된 비밀 조직을 만들어서, 동기나 목적에 관계없이 폭력을 시험하려고 한다. 그들은 살인을 조직의 생리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살인을 못하는 조직은 조직으로서 존재 의미가 없는 것이다. 작품 속에는 두 가지의 극한적인 상황이 묘사되고 있다. 하나는 지하 비밀 활동이 형성하는 정신적으로 선택의 가능성을 배제시키는 출구 없는 상황이고, 다른 하나는 나치 수용소이다. 전자에서는 명예, 배신, 양심, 복종등 심리적 부담을 통해서 상대방의 행동 반경을 제한하고 오로지 지시에만 복종하도록 강요되고 있다. 후자는 물리적으로 탈출이 불가능한 폐쇄된 공간으로 죽음이 거의 기정 사실화 된 절망의 장소이다. 이 소설 등장 인물 중 네 명이 나치 수용소를 경험했으며, 극한 상황 속에서 도덕적 판단력이 마비된 행동을 감행하고 있다. 안제예프스키가 <재와 다이아몬드>를 통해 집 요하게 추구했던 문제는 바로 극한 상황 속에서의 인간의 도덕성 마비와,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인 것이다. Jerzy Andrzejewski(1909-1983) is one of the most famous writers in Poland. His first novel, Order of the Heart(Ład serca, 1938), was awarded a prize by the Polish Academy of Literature and made him famous as a moralist. During the German occupation of Waraw in World War II, Andrzejewski was very active in the literary resistance movement. His war-time experiences and actualities are reflected in his novels pu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war. one of which includes Ashes and Diamonds(1948). One of the main themes of this novel deals with new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that arise in Poland with the termination of war in 1945. In this year People's Poland has been proclaimed. However not all Polish people are ready to accept this reality. Members of the Home Army(Armia Krajowa), also known as young conspirators "infected with death" do not give up resisting the new socialist government. As before, they are forced to obey the order of their superiors in the name of honor of a soldier and solidarity with those who had died during the war. The young people caught in this trap of conspiracy have no alternative but to yield to the pressure of the hierarchy. The new Polish government is also hostile towards members of the Home Army, who had fought during the war against the German occupation army. Another theme of this novel is concerned with the moral problem of a venerable judge before the war, who has returned from the Nazi concentrationcamp Gross-Rosen. The judge Kossecki is discovered to have been a notorous "kapo" in the concentration camp, who had tortured his fellow prisoners to save his own life. Kossecki insists that his behavior was an inevitable choice in the concentration camp which lies beyond the scope of human morality. He feels uneasy about his future, but he does not feel conscience-stricken about his past. He is interested in only one thing: his return to his pre-war status as a respected judge.

      • 우크라이나 선거에 나타난 지역주의 연구

        박정호(Park, Joung-H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우크라이나의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문제는 독립이후 국가 건설과정에서 중요한 현안 과제로 부상하였다. 한 국가 내에 존재하는 민족들 혹은 지역들 간의 갈등과 대립은 국가적 통합성과 사회적 안정성 확립에 있어서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부와 서부의 지역주의 현상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적 발전과정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사안은 결코 단 기간 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였다. 동부와 서부를 필두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개별 지역들이 고유한 사회 문화적 정체성을 토대로 지역성(locality)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었다는데 주된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유권자들의 투표 성향은 독립이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선거과정에서 거의 예외 없이 발현되었다. 본 논문은 대선 후보자와 정당의 지역별 지지율 분포와 정당의 지역균열지수를 추적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지역주의 현상의 실제적인 수준을 파악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본다면, 유쉔코 통치 시기 우크라이나에서 ‘지역’과 ‘지역주의’ 요인은 정치과정의 중요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2006년과 2007년 총선, 2010년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투표성향은 우크라이나의 지역 분할구조와 정치 사회적 현실을 분명하게 반영해 주는 중요한 지표였다. 동부와 서부 지역에 정치적 기반을 둔 정당들과 대선 후보자들은 선거과정에서 지역 대결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지역 유권자들을 정치적으로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부와 서부 지역 간에 내재되어 있었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갈등 양상이 투표를 통해 지역주의 현상으로 표출되고야 말았던 것이다. 이는 유쉔코 통치 시기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갈등의 주요한 원천이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동부와 서부 지역의 특수성과 입장차이는 단일한 정치 공동체 형성과 대내외 정책의 방향설정에 있어서도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우크라이나 선거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현상의 핵심적인 동인은 우크라이나의 역사 발전과정에서 형성되었던 지역적, 인종적 분리와 정치문화의 차이에 기초한다고 정의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aim is to explore political implications of ukrainian parliamentary and presidential elections after orange revolu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in ukrainian el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ting results of presidential candidates and main political parties in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Ukraine. Also this paper evaluates regional cleavage index of main political parties since orange revolution. The analysis on the electoral results in east and west indicated that level of regionalism has been intensifying. This study revealed that determinants of eastern and western regionalism are due to regional divisions, including differences of historical experience, ethnic, economic, religious factors.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regional cleavages or regionalism in the post-communist Ukraine primarily reflect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egacy and political culture in east and west. Regionalism and regional divisions continue to a major challenge to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independent Ukraine.

      • 사회주의 폴란드에서의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이지원(Lee, Ji-won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최근에 이르러서야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인정된 어린이 책의 역사에서 20세기 후반기에 독특한 성장과 발전 모습을 보였던 폴란드나 동유럽의 이야기는 교류의 부족과 정치적인 이유로 서유럽과 아시아에 잘 알려져 있지 못하다. 폴란드의 어린이 책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사회주의 시대, 국가의 계획과 통제 하에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출판이 종속되면서, 여러 가지 검열과 엄격한 이데올로기적 맞춤 생산에도 불구하고 양적, 질적으로 역사상 가장 화려한 성장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어린이 책을 만드는데 있어 전통적으로 그 역할이 강조되어 온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서 그 발전상은 특히나 주목할 만 한데, 그 주요 배경을 이루었던 것은 폴란드 자체의 예술적 전통과 창작적 배경 뿐 아니라, 도서의 생산과 유통에 이르는 사회, 경제, 문화적 요소들이었다. 논문은 이와 같은 요소들을 밝히며 사회주의 폴란드에서 어린이 책을 만 들었던 작가들과 출판사에 대한 배경을 정리하면서, 아르 누보에서 아르 데코에 이르기까지 1945년 이전 폴란드에서 진행되어 오던 예술적 경향들에 영향을 받았던 주요 작가들이 훗날 폴란드 일러스트레이션 학파라고 불려지는 예술가을 어떻게 구성하였는지, 이들의 주요 활동 무대가 되었던 출판사와 정부, 그리고 예술 학교의 관계는 어떠하였는지, 폴란드의 일러스트레이션이 서유럽에서 어떻게 주목받았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 The history of children's books had been long been ignored in academic world. It has been studied by some librarians, historians, and collectors searching for curiosity but never been treated as an onerous theme of academic studies. Thus, the illustration in children's books has never been a focus for neither art historians nor literary critics.Much has been changed in the last century. The children's books becoming the most profitable enterprise of many publishers, the academic world gradually accepting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history, and the courses of children's literature being opened in many universities. It is the time that the history of children's reading matter shall be written, of which the realm reaches all over the modernized worlds. Of those, Poland and other former socialist countries shares a very different history.Polish children's books, especially its illustrations and book art had been a phenomenon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in various international book fairs and the book exhibitions. Those makers of these books were called 'Polish school of illustrators', though they never had been properly defined by any art historians or literary critics in Poland, let alone those of the other side of the iron curtain. Polish publishing industry, like any other producing systems under the socialist reign, had been nationalized. The 20-year-old left wing publishing house, 'Nasza Księgarnia(Our bookshop)' has been chosen to function as the ultimate state-run editor for children's book, printing more than 60-90% of children's books in Poland. The publishing industry itself had been flourished during those early years of the socialist government, so had the children's publishing. The first department of book illustration been established in Warsaw's Academy of Fine Art, under the prominent graphic designers and illustrators like Henryk Tomaszewski or Jan Marcin Szancer. With the social privilege of makers of children's books been raised, those academic hubs had drawn many talented art students to themselves. The book illustration department of Warsaw's Academy of Fine Art became the most important center for breeding the future phenomenon of Polish illustration, with the other unavoidable center of Polish art education, Cracow's Academy of Fine Art. The artists of Polish childeren's book illustrations were mostly the graduates from those two school, working closely with the main children's publisher, 'Nasza Księgarnia'. The artistic imagery, the racy folk art tradition, solid graphic virtuosity made fame for Polish children's illustr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ose achievement in socialist era, was more sociological than artistic. In the planned economy of socialist production, no competition was needed in any fields. Children's illustration, created by the well equipped artists, censored by severe artistic as well as political standards, distributed by state run book shops, could never been preyed upon the harsh economic reality of commercialism. Those books had the flower raised in historical glasshouse, which has to be documented and researched in children's literature studies in both western and former eastern worlds.

      •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Lee, Mun-Suh)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도․유럽어족의 한 가지인 이탤릭어군 중에서도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로망스어의 일종으로서 언어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자면 그 중에서도 이탈리아어와 함께 동 로망스어권에 속해 있는 언어이다. 한편 루마니아어는 사용되고 있는 지리적인 면을 고려하자면 소위 발칸 로망스어의 한 부류로 볼 수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의 자음체계를 계승하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 상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면을 보이고 있다. 한 예로서 이미 고전 라틴어 시대부터 사용이 위축되기 시작하여 민중들의 언어였던 속 라틴어에 서는 완전히 사라졌으므로 현대 로망스어들에선 그 모습이 사라졌거나 문자로는 표기되더라도 묵음이 되어서 음가의 기능을 잃어버린 고전 라틴어의 성문 마찰음 h/ɦ/ 이 오늘날 루마니아어에만 유독존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에서 이 성문 마찰음이 대부분 슬라브어를 비롯한 발칸지역 주변의 외래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들(예: duh, hrană 등)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 음이 발칸 라틴어에서도 사라졌다가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을 비롯하여 주변의 타 민족들의 언어로부터 차용한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또한 라틴어에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유독 루마니아어에서만 나타나고 있는 자음들 ş/ʃ/ 및 ţ/ʦ/ 는 각기 라틴어의 치찰음 s 와 치․파열음 t 가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 된 것이다(예: 라틴어 sīc> 루어 şi; 라틴어 tĕnere > 루어 ţine 등). 그밖에도 라틴어에선 존재하지 않았던 치경 파찰음/ʧ/ 와 /ʤ/ 또한 각기 라틴어의 유․무성 연구개 파열음들(g/ɡ/, c/k/)이 전설 모음들 앞에서 구개음화 된것들로서 루마니아어와 함께 속해 있는 소위 동 로망스어권의 이탈 리아어와 공유하고 있는 특성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예: 라틴어 gĕlu/gelu/ > 루어 ger/ʤer/, 이어 gelo/ʤelo/; 라틴어 caelum/kælum/ > 루어 cer/ʧer/, 이어 cielo/ʧielo/ 등).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라틴어에 근간을 두고 있으나 지역적인 여건상 기층어 및 상층어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면서 소위 발칸 로망스어로서의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consonant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one of the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veloped by a gradual transformation from the spoken Vugar Latin. As we can see from this research on the evolutuion of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consonant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Westernstream.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Latin concerned, it had a rather small number of consonants in comparison with the vowel system. Besides the glottal fricative h/ɦ/, which was originally aspirate in Clasic Latin began to disappear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ex.: ne homo > nehemo > nemo) and then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ex.: habeo > abeo). The finals -m, -s, -t of Classical Latin were eliminated in Vulgar Latin(ex.: murum > muro; formosus > formoso; cantat > canta et.). As far as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is concerned, the symbol k is a comparative rarity, which is not a regular letter in Romanian as in Latin. It is used only for international terms such as kilogram, kilometru etc.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c(ex.: casă/kasǝ/). However this phoneme is changed to the alveolar affricate /ʧ/ before the front vowels(ex.: cer/ʧer/).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the diagraph ch before the front vowels(ex.: ochi/oki/). The voiced velar plosive g/ɡ/ shows similar distributions as the voiceless. Among the consonant symbols, ş/ʃ/ and ţ/ʦ/ exist only in Romanian, which are in general derived from the Latin s and t before the front vowels(ex.: Lat. sīc > Rom. şi; Lat. tĕnere > Rom. ţine etc.). As already stated above, the glottal fricative h/ɦ/ of Classical Latin was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 Therefore, the symbol h either disappeared in the Romance languages or is used alphabetically for the loan words but has no more sound, that is mute. Among the Romance languages, Romanian is only the language which uses the glottal fricative as phoneme. We can consider that the aspirate of Classical Latin was also lost in Romanian and then re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the Slavonic languages. Notice that this symbol appears generally in Slavonic based words(ex.: duh, hrană etc.). In addition, the Latin consonant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was changed into -pt- in Romanian, that is, the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ex.: Lat. coxa/koksa/ > Rom. coapsă/koapsǝ/). Another example for the labialisation is the changing of Latin făctŭm to Romanian fapt. Thus in Romanian is popular the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the substratum. In conclusion,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the Romance laguages,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Balkan Romance.

      • 민주화 10년, 발칸유럽의 문화갈등연구

        김정환(Kim, Jeong-H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발칸의 민족주의는 종교적 근본주의와 배타적 인종주의 그리고 분리와 독립, 자치권의 확대, 영토 분쟁으로 얼룩진 정치문제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문제라 그 심각성이 국제적으로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나타난 발칸유럽의 민족주의가 서유럽제국과 오스만터키제국으로부터의 독립운동을 전제로 발전한 반면, 20세기 후반 다시 표출된 민족주의는 국내와 인접국의 다수민족과 소수민족 사이의 갈등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냉전시대 폐막과 더불어 극적인 유혈사태를 동반한 민족적 분리주의의 부상이라는 결과를 초래하였 고, 지난 90년대 초부터 6차례(보이보디나 자치분쟁, 크로아티아 내전, 보스니아 내전, 알바니아 내전, 코소보 분쟁, 마케도니아 자치분쟁) 이상의 크고 작은 분쟁과 내전이 발칸유럽에서 발생하였다. 사회주의 유고지역 외 발칸유럽 국가 중에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는 향후 소수민족분쟁의 소지가 큰 국가로 인식되고 있으며, 알바니아는 향후 사회주의 유고지역의 알바니아인 디아스포라(Diaspora)와 무슬림의 동향을 좌지우지할 잠재적 변수이자 막후 세력으로 지목되고 있다.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지역에 거주하는 150여만 명의 헝가리인은 루마니아內 제1의 소수민족 집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불가리아에는 역사적 산물로 80여만 명에 이르는 터키인들이 거주하고 있어 언제라도 제2의 코소보와 같은 민족간 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다. 발칸유럽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족갈등은 1)기존 다민족국가의 분열과 해체 속에서 새롭게 형성된 소수민족 또는 단위민족에 의한 민족자결과 분리 독립의 문제, 2)다수민족 국가들 내 기존 개별 민족들 간의 지역 경계․ 귀속 변경문제에 따른 민족갈등, 3)새로운 정치 주체의 형성 속에서 수반되는 다수민족 간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민족갈등, 4)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에 놓인 국가 간의 이민 또는 분쟁지역에서 유입되는 난민 등에 의한 新소 수민족갈등 등의 형태로 그 이유와 원인이 지역에 따라 복합적․동시다발적으로 얽혀 있는 양상이다. 발칸유럽 內의 이러한 소수민족 분쟁과 그 문화적 갈등을 억제․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1)민족주의의 극단적 현상을 용납하지 않는 성숙된 분위기의 조성과 능력 있는 중재자의 역할, 2)협상과 타협을 기초로 한 평화 협정과 조약의 체결, 3)다수․소수 민족간 또는 소수ㆍ소수 민족간 제휴와 연립 그리고 협력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 4)분쟁해 결과 평화유지를 위한 유럽 통합경찰의 설립, 5)분쟁당사국과 주변국의 분쟁해소 노력과 조건부 난민 처리, 6)유럽연합의 정책공조 필요성, 7)크고 작은 규모의 다양한 평화공동체 구상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족간 분쟁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각 민족들은 민족적 자결권,이데올로기, 계층, 민족국가에 대한 국민의 충성 등을 검토하여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억압(또는 억제)’, ‘민족간 동일성에 따른 재구성’, ‘권력 분배’,‘국가 건설’의 네 가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억압’이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승리에 따른 다른 쪽의 선택일 수밖에 없다면, 민족주의의 구조주의적 모델에 따라 민족동일성을 재구성하거나 다민족 국가에서의 민족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권력분배’ 또는 ‘제휴 민주주의’ 그리고 국제 중재자에 의한 새로운 ‘국가건설’은 긍정적 의미의 해결을 도모하는 한 측면이라 할 수 있겠다. With the beginning of 1990, the new democracies barometer is a multinational survey of post-communist countries of Eastern and Balkan Europe. The break-up of three ethnically complex federal republics (Soviet Union, Czechoslovakia Yugoslavia) in the early 1990s resulted in 14 new independent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socialist Yugoslavia in Balkan Europe divided into five Slavic countries such as Slovenia, Croatia, Bosnia and Hercegovina, Macedonia, Serbia and Montenegro. These new states are based on specific nationalities, but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label them nation states because each has its very own minority problems. Yugoslavia was created as a country after World War I to unite several southern Slavic groups, previously in separate countries. This area is ethnically very complex, with six principle nationalities as Serb, Croat, Muslim, Slovene, Albanian, Macedonian (if includes Montenegrin, seven principle nationalities). The most numerous, Serbs, constituted 36% of the 1981 population (States's Year-book, 1981 census). Serbs, Croats, Slovenes and Macedonians have become the national bases of four new states. Each major ethnic group has a core area in which it forms nearly the entire population, but most groups are also scattered as significant minorities over a wide area and indeed constitute localized majorities in some areas of other republics. Muslim (a designation of a religious community as a nationality), Serbs and Croats are the three main groups in Bosnia and Hercegovina. Albanians provided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region in southern Serbia known as Kosovo, which thus far has not become an independent state. The Montenegrins, fewer in number and separated from Serbs only by history, have joined them in the federal country called Serbia and Montenegro (former-New Yugoslavia), which in quotation marks here identifies the rump state left after the four other republics seceded. The proportion of Serbs rose from 36% in the former Yugoslavia to 62.3% in the Serbia and Montenegro. Ethnic problems and minorities have reached explosive levels in post-socialist countries of Balkan Europe, particularly the socialist Yugoslavia. No single group formed a majority within it, although Serbian influence tended to predominate. Four of the country's republics have so far declared independence (Slovenia, Croatia, Bosnia and Hercegovina, Macedonia). Croatia's declaration in June 1991 sparked an uprising by the republic's minority Serbs, who constitute about 12.2% of Croatia's population. Serbian insurgents have since seized about one-third of the territory of Croatia and about two-thirds of Bosnia and Herzegovina, with help from the Republic of Serbia and the serb-dominated federal army. Bosnia and Herzegovina has an extraordinarily complicated history, marked by periods of indigenous principalities, Hungarian rule, Turkish conquest, and administration and annexation by Austria-Hungary. Most of the inhabitants are southern slavs and speak serbo-croatian, but they are divided by religion. Bosnia and Herzegovina made strenuous efforts to preserve ethnic balance in its government, with representation of Muslims, Serbs and Croats. It gradually loosened its ties with socialist Yugoslavia and ultimately declared its sovereignty, which wasnot accepted by Serb areas in the state. Finally, civil war resulted with activities in disgrace like ethnic cleansing or genocide. The problem of minorities in Serbia and Montenegro is exceedingly complex. The most problematic of all is the issue of Serbian-Albanian relations and of status of Kosovo Albanians. Since the establishing of the multi-party political system in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Kosovo Albanians choose an option of self-isolation regarding political and public life, and built their own independent political field and a parallel government system.

      • 지구적 이민,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김시홍(Kim, Si-ho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탈냉전시대에 접어들면서 국제이민은 유럽사회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과거현실사회주의국가였던중동부유럽으로부터많은수의이민자들이 쇄도할 것이며 이로 인해 인종적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보였다. 실제로 1990년대 초반까지 이 지역으로부터 이민자, 난민 및 망명신청자의 유입이 있었으나, 중반 이후에는 현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주된 이유로는 유럽연합의 회원국들이 자신들의 국경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기 때문이었다. 2004년5월유럽연합에정식으로가입하게될예정국들은인구의유입국으로변모하고있다. 체코, 헝가리, 폴란드로들어오는이민자들은이들나라들을경과국으로여기며장차서유럽지역, 그중에서도독일로진입하려는의도를갖고있다. 그러나서유럽국들은이민자의수가증가하는것을원치않기 때문에 공동의 이민정책을 마련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결국 불법이민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며 이것이 심각한 쟁점으로부상될가능성이높아보인다. 이를해소하는방법으로서유럽국들의또 다른 희생과 양보가 필요하지만 가까운 미래에 해소되기 어려운 난제로 보인다. International migration has been a serious concern for Europe after 1989. It is believed that a number of people from East and Central Europe will invade western part of the continent and concomitantly raise conflicts among different ethnicities. But reality is such that in early 1990s there have been immigrants, refugees and asylum seekers from that region but shortly after those trends did not happen and member states of the EU chose somewhat 'fortress Europe' way. It is also true that candidate states are becoming importing foreign labor rather than exporting. In fact those who are coming to Czech, Hungary and Poland consider these countries as transit area, and in the long run want to move to the West. Nevertheless west European countries are reluctant to receive those people under the principle of 'zero migration'. In so doing, illegal immigration is increasing and might create tumultuous trouble among the peoples of Europe. To lessen the problem there needs another sacrifice of the western countries but it seems quite unrealizable in the foreseeable future.

      • 크로아티아인의 발칸유럽 정착과 중세 왕국의 발전사 연구

        김 철 민(Kim, Chul-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중세 시기 수용된 기독교에 대한 신앙심 그리고 중세 왕국 건설 경험과 문화적 발전은 현재까지도 크로아티아인들에게 매우 커다란 의미로 다가오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독립 국가의 이상을 향한 주요한 원동력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크로아티아인의 발칸유럽 정착과 기독교 수용 그리고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각 시기별로 그 특징을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제 2장에서 고대 크로아티아에 대한 역사적 고증 내용과 크로아티아인들의 발칸유럽 정착과정, 그리고 크로아티아가 현재 강력한 가톨릭 국가가 된 배경인 9세기 기독교 수용 과정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제 3장에서는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를 각 시기별 특징에 따라 나누어 크로아티아 중세시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따라 왕국 성립 초기인 11세기는 문언과 문화의 출발로서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성립과 발전을 바라보고자 했으며,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는 헝가리 아르파드(Arpad) 왕조 하에서 수립된 봉건제도의 성숙 과정을, 14세기는 문화적 융성 시기라는 소주제로 특히 아드리아해의 두브로브니크(Dubrovnik)의 문화적 발전상에 대해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15세기는 오스만 터키와 베니스 공국간의 전쟁과 혼란의 시기로 규정하고 당시의 시대상을 소개하게 될 것이다. After Croats settled in the Balkan about 5-6C, South Slav in Croatia has been influenced a lot by the Christian religion and faith(especially Catholic). And, with the experiences of establishing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and a cultural development at that time, it have influenced on the nations in Croatia until now. From this point of view, I analyze the Croatian settlement in the Balkan and the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with th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ury. In the chapter II, I analyze what is the historical demonstrations about the ancient Croats, and how Croats settled in the Balkan, and what is the meaning of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In the chapter III, I study the ma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roatia at the medieval times, especially focusing on from 11C to 15C; 11C - a starting of the literary language and the culture of Croatian Medieval Kingdom; 12C, 13C - a puberty of feudalism under Hungarian Arpad's dynasty; 14C - a cultural prospe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Dubrovnik's duchy; 15C - the time of wars and confusion between Ottoman Turkey and Venice. Finally, in the chapter IV, I summarize how much the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experiences of the independent Medieval Kingdom in South Slav in Croatia had influenced on the nations in Croatia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Croa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