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oT 센서 연동 운전 보조 음성 AI Agent Device 및 App

        이하은(Haeun Lee),이시윤(Siyoon Lee),오인규(Inkyu OH),박경만(Kyeongman Park),신승연(Seungyun Shin),이수민(Sumin Lee),정서우(Seowoo Jeong),이민구(Mingu Lee)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캐리’는 운전에 어려움을 느끼는 초보 운전자와 장롱면허자의 안전운전을 위해 고안된 어플리케이션이다. ‘캐리’ 어플과 차량용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서 보다 안전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황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본 기능을 공유-렌터카 업체와 연동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초보 운전자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운전 교습을 제공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캐리"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을 디자인 하는 과정을 담았으며,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설문조사와 사용성 평가의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각 평가는 "캐리"가 사용자들의 니즈를 정화하게 충족시키고 있는지, 어플의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평가는 실제 주행 환경이 아닌 테이블 테스트로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모듈 완성 이후 테스트 차량을 통한 사용자 평가와 AI Agent Device 베타 버전 평가를 진행중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의 체험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실감, 초실감 메타버스 대표사례를 중심으로-

        이하은 ( Lee Haeun ),한정엽 ( Han Jungyeu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코로나19에 의한 비대면 상황 가속화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의 5G 정보통신기술의 상용화에 따라 웹 3.0을 대규모로 활용하려는 메타버스 산업들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유형분류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ASF에서 제시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4가지 유형분류에 대해 연구자가 체험형태의 관점으로 유형을 바라볼 필요성을 제시하며 체험형태에 따른 유형분류와 유형별 체험특성에 대한 대표사례 분석을 통해 그 특성들을 대비적으로 보여주어 유형별 특성의 요소를 분석할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유형분류, 가상현실과 가상세계, 그리고 웹3.0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실감 메타버스와 초실감 메타버스의 특성요소를 확인을 위해 해외 대표사례와 국내 대표사례로 선정된 4개의 각 유형별 플랫폼을 가상세계 특징요소와 가상현실 특징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표사례의 세부 분석을 위해서는 실감 메타버스의 경우 가상세계의 특성인 공유공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시성, 상호작용, 지속성, 그리고 사회화/커뮤니케이션 총 6가지 요소로, 초실감 메타버스의 경우 가상현실의 특성인 시뮬레이션, 상호작용, 인공성, 원격현전, 온몸몰입, 그리고 망으로 연결된 커뮤니케이션 총 6가지 요소를 척도로 활용했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들을 웹3.0시대의 관점에서 발전을 예측하여 체험유형을 기준으로 재분류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메타버스의 체험형태에 따라 체험자의 시각적 환경을 기준으로 2D, 3D로 나누어 실감 메타버스와 초실감 메타버스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유형의 국내외 대표사례를 통해 선정된 4개의 각 사례를 가상세계 특징요소와 가상현실 특징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실감 메타버스는 가상세계 특성의 공유공간과 사회화/커뮤니케이션 요소에서, 초실감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특성의 시뮬레이션, 원격현전,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높은 연관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는 메타버스 산업의 사회적 관점을 뒷받침하면서 실감 메타버스와 초실감 메타버스의 특성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관련분야의 연구자 뿐 아니라 메타버스 산업에 있는 전문가들에게 학술적 용어 및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의 초석이 되어 가치를 배가시킨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sponse to the recent non-face-to-face situation triggered by COVID-19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5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ultrahigh speed, hyper-connection, and ultra-low latency, metaverse industries that use Web 3.0 on a large scale are taking center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s for each type by classifying experience types of metaverse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cases by contrasting the characteristics, while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need to consider four types of metaverse platforms presented by ASF, which are mostly used for the classification of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erience types. (Metho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analysis wa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metaverse, virtual reality, virtual world, and Web 3.0.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s of the realistic metaverse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four platforms by type selected as overseas representative cases and domestic representative case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virtual world characters and virtual reality characters.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cases, in the case of the realistic metaverse, a total of six factors, including shared space, graphic user interface, immediacy, interaction, sustainability, and socialization/communic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world, were used as a measure, and in the case of the hyper-realistic metaverse, six factors, simulation, interaction, artificiality, telepresence, full-body immers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a measure. (Results) In this study, the need to reclassify the current metaverse platforms based on the experience types was suggested by predicting th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b 3.0 era. Metaverse was categorized into 2D and 3D, and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realistic metaverse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based on the user's visu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types. In addition, the four cases selected through the classified representative cases at home and abroad were respectively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virtual world characters and virtual reality character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alistic metavers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the shared space and socialization/communic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world, while the hyper-realistic metavers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simulation, telepresence,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Conclusions) It doubles its value as it becomes a cornerstone of research to establish academic terms and concepts for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and experts in the metaverse industry by presenting the characters of the realistic metaverse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while supporting the social perspective on the metaverse industry.

      • 정보통신 기술 HARQ분석과 최신 기술 동향에 관한 연구

        이하은(Haeun Lee),이동현(Donghyun Lee),하태윤(Taeyun Ha),Arooj Masood,조성래(Sungrae Cho)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Hybrid-ARQ기술 분석 및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서술한다. HARQ는 오류 검출 기법의 하나로 FEC와 ARQ기법의 장점을 혼합한 기술로 볼 수 있으며 동작 방식에 따라 Type이 구분된다. 이러한 HARQ는 기술적 이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에서 정보처리 지연을 줄이기 위해 응용되고 있다. 혼합적 요소를 이점으로써 다양한 기술에 주요 기능으로 적용되는 것을 통해 앞으로의 통신기술 발전에 있어 HARQ의 기대도가 높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배색의 증가에 따른 단맛 연상 예측

        이하은(Lee, HaEun),박영경(Park, YungKyung)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7 No.1

        Color is an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that evokes the association of taste, and most product colors consists of color combinations to enhance power of information delivery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ssociation of the users. Previous studies on color combinations and taste have shown that the additiv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color and color combinations is established in the association of sweetness for two color combination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additivity is established in sweetness association from single color to three-color coloration,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make a quantitative prediction of sweetness based on the existing color emotion prediction formula. First, 10 colors (R, YR, Y, G, B, PB, P, Pk, Wh, Bk) were composed of single color, two color and three color combinations, respectively, in the flat sample. Then, subjec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sweetness association of each stimulus. According to the average of the response values, sweetness association was classified into sweetness association, neutral association, and non-association color combinations. As a result, in both single color and multicolor combinations, the colors that predominantly act on sweetness association and non-association matched, indicating that the association of the sweetness of multicolor combination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ssociation of fewer colors or single color. Therefore, the sweet association could be predicted by the color emotion prediction formula, and it was confirmed that single and multi colors established an ad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and three color combinat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more efficiency in food package design by predicting sweetness association with a color emotion prediction model.

      • SCOPUSKCI등재

        수소부품 안전성 평가를 위한 극저온 챔버용 열교환기 성능 해석

        이하은(Haeun Lee),이형순(Hyoungsoon Lee),전호병(Hobyoung Jun),정찬호(Chanho Jeong),이동훈(Donghoon Lee),김시우(Si Woo Kim) 대한기계학회 202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6 No.4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인 수소버스의 부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검증장비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소버스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비 중 하나인 고압부품 수소리크 시험 및 TPRD(thermally 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thermal cycle 시험 장치에 포함되는 극저온 챔버를 구동하기 위한 적절한 열교환기를 설계하기 위한 열교환기의 열 및 유동해석을 진행하였다. 수소부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극저온 챔버를 위한 열교환기의 필요 성능을 검증하고 챔버 내 온도구배를 해석함으로써 정립되지 않은 수소버스 시험설비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열교환기의 필요 용량 및 규격을 제시하고 수소부품을 위한 극저온 시험설비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 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verification equipment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o verify the safety of parts of hydrogen buses, which is an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is in the spotlight around the world. Heat and flow analysis of a heat exchanger was conducted to design a suitable heat exchanger for driving a cryogenic chamber included in a thermally 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thermal cycle test apparatus, which is one piece of equipment used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a hydrogen bus. To evaluate the safety of hydrogen components, the necessary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was verified for cryogenic chambers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and the temperature gradient in the chamber was analyzed. This analysis can help in understanding the required capacity and standard of heat exchangers needed to manufacture unestablished hydrogen bus test facilities and to prepare design standards when manufacturing cryogenic test facilities for hydrogen compon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