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강의 시스템을 위한 시간차 검출 방식의 실시간 음원 추적 기법 구현

        강민수,오우진,Kang, Minsoo,Oh, Wooj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4

        Tracking of sound-location is widely used in various area such as intelligent CCTV, video conference and voice command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real-time sound-location tracking method for smart lecture system using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with orthogonal microphone array on the ceiling. Through discussion on some models of TDoA detection, cross correlation method using linear microphone array is proposed. Orthogonal array with 5 microphone could detect omni direction of sound-location. For real-time detection we adopt the threshold of received energy for eliminating no-voice interval, signed cross correlation for reducing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detected azimuth angles are processed using median filter for lowering the angle deviation.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with high performance MCU of TMS320F379D and MEMs microphone module and shows the accuracy of 0.5 and 6.5 in degree for white noise and lectured voice, respectively. 음원 추적은 지능형 CCTV, 화상회의시스템, 음성 명령 인식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강의시스템에 적합한 천정 부착형 직교배열 마이크로 음성 신호의 도착 시간차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하는 실시간 음원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TDoA를 위한 점 음원과 평행음원 모델을 분석하고, 3개의 선형배열마이크를 이용하여 상호 상관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직교축에 십자 배열된 5개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전방위(omni-direction)에서 음원 추적이 가능함을 보였다. 무음구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신 에너지를 이용하였으며 상호상관을 부호로 연산하여 계산량을 줄이고 추정 결과에 미디언 필터(Median Filter)를 적용하여 안정도를 높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고속 MCU인 TMS320F379D와 MEMs마이크 모듈로 구현하여, 방향 검출 성능이 백색잡음이나 음악 등에 대해서는 0.5도, 음성에 대해서는 6.5도의 정밀도를 보였다.

      • 의존관계 그래프에 기반한 재사용 컴포넌트 후보 추출

        강민수(Minsoo Kang),이기열(Keeyoull Lee),이병정(Byungjeong Lee),홍의석(Euysuk Hong),이종석(Jongseok Lee),이숙희(Sukhee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지고 그에 따른 재사용 컴포넌트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따라 재사용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결합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변형하여 두 클래스간의 의존 정도를 측정하고 클래스를 노드로, 측정한 의존 정도를 에지 값으로 하는 방향 그래프를 그린다. 그리고 그 그래프를 클러스터링을 하여 재사용 컴포넌트의 후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결정 네트워크 분석

        강민수(Kang, Mins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진로지도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진로에 관한 정보 및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맺은 관계망을 포괄적 의미에서의 ‘진로결정 네트워크’로 보았다. 특성화고 2학년 학생 중 14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교 내와 학교 외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성별, 도제반 소속 여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른 연결정도 및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4명 중 1명은 학교 내 진로결정 네트워크상 연결정도가 없는 고립자로 나타났으며, 이중 남학생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둘째, 도제반 운영에 따른 전공 내 네트워크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취업을 계획하는 학생들이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지 못했다. 셋째, 집단별 네트워크 비교 결과, 교사가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주요인물인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에서 형성되는 진로결정 네트워크는 주로 가정에 기반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지도에 있어 고립자 및 남학생에 대한 고려, 진로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의 확대, 교사의 진로교육 역할 강화, 학교-가정 진로교육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지원체제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by analyzing career decision network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established to share information and opinions about one"s career path was viewed as a ‘career decision network’ in a comprehensive meaning. Among the second grad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14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y groups based on gender, affiliation of apprentice class, and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divided into in-school and out-school network.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ne out of four students was found to be isolated without any connections on the in-school network, with more than 80% of male students. Second, the operation of the apprentice class caused separation within major, and network of students planning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was not activated even though they were in a large number. Third, a comparison of networks by group revealed that teachers are the key figures in every active networks. Finally, career decision networks formed outside of school have been shown to be largely home-based. This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isolated and male students in career guidance, expand career and job support programs, strengthen the role of teachers in career education, and establish back up systems to secure links between school and home career education.

      • 탈중앙화 심층강화학습 기반 자율주행 지역경로 선택 및 속도 제어 기술

        강민수(Minsoo Kang),이일규(Ilkyu Yi),조윤식(Yunsik Cho),신오순(Oh-Soon Shi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자율주행은 운전자의 개입없이 주변환경을 인식하고, 주행상황을 판단하여 자동차를 제어하는 높은 정밀도를 가진 시스템으로 발전되어왔다. 하지만 고전적인 지도학습 방법으로는 복잡하고 유동적인 도로환경에 맞추어 최적의 행동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층강화학습 알고리즘인 Deep Q Network 를 이용한 지역경로 선택 및 Deep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를 이용한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한다.

      • KCI등재

        대학의 학문 자본주의(Academic Capitalism) 현상에 관한 K대학교 사례연구

        강민수 ( Kang Minsoo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자본주의 현상과 대학풍토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및 이해를 탐색하고 대학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 자본주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서울 소재 사립대학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육활동의 시장지향적 행위는 낮은 교육 지원 만족도와 취업을 중시하는 경향의 확대 현상을 야기하였다. 학생들 또한 스펙을 위한 이중, 복수전공을 선택하고 동아리 활동을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다. 연구활동의 시장지향적 행위는 기초 학문의 축소 및 연구윤리 문제, 교육보다 연구에 치중하는 경향 확대, 정량적 실적평가의 양면성 문제로 이어졌다. 한편 대학의 자회사 운영은 대학이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였다. 학문 자본주의와 결부되어 나타난 대학풍토의 변화는 경쟁 지향적 가치의 내재화와 학생소외 및 소속감 결여로 드러났다. 이는 학생 자치활동의 축소, 다양성 및 비판의식 결여 문제와 연관되어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상위권 사립대학의 학생교육 및 복지 측면에서 자치활동의 활성화, 학교와의 민주적인 소통,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육의 질제고 측면에서의 개선을 요구한다. 학문 자본주의로 인한 변화과정 속에서 대학은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고 교육과 연구 기능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의 중장기적인 발전에 있어 학생교육의 방향과 강조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capitalism phenomena and university climate, and to draw implications at the university level.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one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where academic capitalism is prominent. The market-oriented behavior of educational activities has led to the l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tendency to value employment. Students chose dual majors and clubs not to fulfill their personal goals or aptitude, but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job. The market-oriented behavior of research activities has resulted in reduction of basic sciences and research ethics, a tendency to focus on research over education, and two-sidedness of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subsidiaries of universities was recognized as an opportunity for to secure self-reliance. The change in the university climate by academic capitalism has been revealed as a student alienation and a lack of belonging, as well as the internalization of a competitive climate. This has been related to the problems of reducing student autonomy, lack of diversity and critical consciousness. This results call for the revitaliza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democratic communication with school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nation's top private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capitalism change,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restore their original functions and balance between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It is time to consider where to put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student education in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of universities.

      • KCI등재

        교사의 AI·디지털 활용 교육정책 내실화 방안 탐색

        강민수(Minsoo Kang),김한솔(Hansol Kim),김희규(Hee Kyu Kim),주영효(Young Hyeo Joo)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s' AI and digital use in schools and to derive ways to improv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40 people, including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officials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professo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of education, and managers of companies related to AI and digital education, who have high understanding of AI and digital utilization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y.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FGI, four plans were derived for strengthening teachers' AI and digital utilization education: making AI and digit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field, providing AI and digital education guidelines that play a pivotal role, establishing a culture of virtuous circle to revitalize AI and digital education, and expanding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settlement of AI and digit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establishing and executing AI and digital teacher training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field, defining and clarifying the scope of AI and digital competencies that can serve as the centerpiece of AI and digital education policies, building a teacher-led culture to revitalize AI and digital education, and enhancing administrative flexibility for teachers to settle AI and digit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범대 특수교육과 학생들은 모두 교사를 꿈꾸는가?: 수도권 A대학 중등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에 관한 연구

        강민수(Kang Minsoo),임소정(Lim Sojeong),최지혜(Choi Jihy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 학생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토대로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을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A대학의 중등특수교육과 졸업생 및 재학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적 접근 방법에 따라 주요개념과 범주를 도출하고, 개념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코딩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진로탐색 및 결정의 다원화’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중재적 조건인 A대학 학생 및 진로지원의 특징과 맥락적 조건인 환경 및 제도적 요인과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하였다.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에서 나타난 중심 범주는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과도기’였으며 이는 특수교사 양성이라는 분명한 목적이 있는 특수교육과에서 취업이 하나의 대안진로로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의 맥락에서 진로결정의 유의미한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 그 의미를 해석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며, 향후 특수교육과를 비롯한 사범대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적, 맥락적 요인을 이해하고 적합한 진로지도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nge of career decision-making aspect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student experiences through a grounded theoretic approach. 10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Following the grounded theoric approach of Strauss & Corbin(1998), the main concepts and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coding paradigm model was presen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oncepts. As a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course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in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was found to be “diversification of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and the causal conditions leading to this phenomenon was “concerned about own careers”. The central phenomenon occurred as an outcome of interactions with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A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guidance and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e central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experiences during career decision-making was “the transition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which means that getting a job has turned out to be an alternative career choice 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maintaining a clear purpose of foste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is relevant that it captures and interprets meaningful changes of career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nd give insight to set the proper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for students at the college and department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