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재활서비스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의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 IPA를 중심으로

        이춘엽,이주연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89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e tried to identify what items should be managed first through IPA matrix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importance in institutions with professional providers, friendly institutions, and institutions with strong publicity (p<.05). In IPA analysis, institutions with close distance or good transportation, institutions with professional providers, institutions with well-established treatment spaces, and institutions with high reliability were items to keep up the good work, and institutions with high treatment time had to concentrate here. Information about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how to play, talk, teach, and deal with behavior, information about their conditions or disabilities, and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ren's current services should be keep up the good work, and information on their future services should be concentrate here. This study established the basis for confirming wha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should focus on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their parents' views o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부모 89명을 대상으로 발달재활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IPA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항목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에서는 전문제공인력이 있는 기관, 친절한 기관, 공공성이 강한 기관에서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IPA 분석에서는 거리가 가깝거나 교통이 좋은 기관, 전문제공인력이 있는 기관, 치료공간이 잘 세팅된 기관, 신뢰성이 높은 기관은 지속유지 해야 하는 항목이었고, 치료시간이 많은 기관은 집중노력 해야 하는 항목이었다. 기관에서 얻는 정보에서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정보, 자녀와 함께 놀고 이야기하거나, 가르치거나, 행동을 다루는 방법, 자녀의 상태나 장애에 대한 정보, 자녀가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지속유지 해야 하는 항목이었고, 자녀가 앞으로 받게 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집중노력 해야 하는 항목이었다.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견해를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기관들이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것을 확인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전문적 작업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운영 플랫폼 개발의 기초 연구

        이춘엽,정남해,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by collecting expert opinions so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an use continuing education well as a means to become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in a particular field. Methods :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with 23 experts on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in common areas, elderly or dementia, community-based, physical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in 2019 and 2020. The first Delphi investigated the suitability of the course as a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level of education. In the second Delphi, we derived the final platform by verifying its suitability with verification of its content validity. Results : As a result, 87 items were derived for common areas, 53 items for elderly or dementia, 66 items for community-based, 66 item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85 item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ain contents included the expertise need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the role in various fields, the solution of difficulties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topic of preparing for the future. Conclusion :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presenting an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for training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as a basic study. It is hoped that the optimal education operation platform will be developed to strengthen professional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fficiently through future research.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가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수교육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체계적인 교육운영 플랫폼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2019년과 2020년에 시행한 공통영역, 노인치매, 지역사회, 신체재활, 발달장애 영역의 보수교육 강좌에 대하여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델파이에서는 해당 강좌의 전문 보수교육으로서의 적합성 여부와 적절한 교육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차 델파이에서는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최종 플랫폼을 도출하였다. 결과 : 최종적으로 공통영역은 87항목, 노인치매는 53항목, 지역사회는 66항목, 신체재활은 66항목, 발달장애는 85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내용은 작업치료사들에게 필요한 전문지식, 다양한 분야에서의 역할과 임상에서 많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해결, 미래를 준비하는 주제 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전문적 작업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운영 플랫폼을 제시한데 의미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들이 전문역량을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육운영 플랫폼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목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유용성

        이춘엽,송해윤,이정민,장문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데 임상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 케이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목의 관절가동범위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각도계로 목의 굽힘, 폄, 오른쪽 돌림, 왼쪽 돌림, 오른쪽 가쪽 굽힘, 왼쪽 가쪽 굽힘의 움직임을 각각 측정하였다. 검사자내 신뢰도와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같은 검사자가 두 번, 다른 검사자가 한 번으로 총 세 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검사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으며, 두 검사자는 서로 측정한 결과를 알지 못하게 하였다. 결과 :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자 9명, 여자 21명이었다. 실험 결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각도계의 평균 각도 비교에서 오른쪽 가쪽 굽힘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스마트폰 어플리 케이션과 각도계의 검사자내 신뢰도는 전 움직임에서 ICC값이 .841∼.958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전 움직임에서 ICC 값이 .720∼.944로 나타나 모두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각도계는 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관절가동범위에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으로 인해 임상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reliability of cervical range of motion measurement in healthy adult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that can be easily applicated in clinical setting. Methods :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as the flexion, extension, right rotation, left rotation, right lateral flexion, and left lateral flexion.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 same examiner performed two measurements and the other examiner performed once, total measurement were performed three times. The order of tests was randomized and two examiners didn't know the results of measurements. Results : Thirty healthy adul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ovements except the right lateral flexion in comparison of average angle of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showed ICC as .841∼.958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showed ICC as .720∼.944 for all movemen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have proven to be reliable in measuring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Smart phone application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in clinical setting due to fast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cervical range of motion.

      • KCI등재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성격과 감각처리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춘엽,정남해 대한통합의학회 2023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1 No.4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We conducted a survey study on 251 college students from March to May 2023. Personality, sensory process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measured through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ensory process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s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impact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sults : Correlations of all five personality factors, except openness to experience, were observed with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avoidance, poor registration, and sensory sensitivity. The variance of college life adaptation explained by each factor (based on R2) were 46% by personality and 26% by sensory processing. Among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greeableness and extroversion had positive effects, and low registration during sensory processing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e provision of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on of an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low sensory registration and neurotic traits to encourage positive chang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design a program that helps college students adapt to occupational therapy majors.

      • KCI등재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과 희망의 관계

        이춘엽,장문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을 알아보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활동이 무언인지에 따라 희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11월 29일부터 12월 6일까지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재활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 52명이 참여하였으며 주말과 평일의 일상생활시간조사를 포함한 설문지로 일대일 면접을 하 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시간사용에서 주말에는 수면(10시간 47분)과 미디어 사용(3시간 41분), 평일에는 수면(9시 간 43분)과 건강관리(5시간 12분)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시간사용과 희망의 관계에서는 가정관 리가 주도사고와 양의 상관관계(.688)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시간사용은 희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과 희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재활분야의 전문가들에게 20대 및 30대 장애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해줄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usage and hope in 20s and 30s the disabled. Methods :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2, 52 the disabled who have therapy in rehabilitation hospital in Busan and Gyeongnam, being diagnosed with spinal cord injury and stroke, were chosen.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involved time usage and hope. Results :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spent most time sleeping (10:47) and using media (3:41) on weekends. In additions, they spent most time sleeping (9:43) and health management (5:12) on weekdays. Second, doing household chores were positive correlation (.688) between time usage and hope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usage and hop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pose various activities for 20s and 30s the disabled.

      • KCI등재

        주거공간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대한 노인선호

        이춘엽,오찬옥,Lee, Chun-Yeop,Oh, Chan-Ohk 한국주거학회 200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0 No.6

        As the needs of housing for the elderly has increased,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and some housing projects for the elderly including nursing home began to be provided. Most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type or space layout and only several ones on interior design. The interior design in house influences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on the elderly who lives in. Also, the subject of them which examined the needs or preference for housing for the elderly were the middle-aged, not the ag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residential space by the elderly. The structured interview with 120 old persons who lived in Busan was carried out using by a questionnaire and 3D images. The elderly answered about the preferred interior style, color, lighting and interior finishes of each room in house, such as living room, master bedroom, kitchen, and bathroom.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of each room in house which the elderly preferred were presented. In general, they preferred the mixed interior style with tradition and modem. Also, the reddish and purple interior color, flower or plant patterned wall finishes, and wood floor were preferred in living room and master bedroom by the elderly. The white interior color and one colored wall finishes without any pattern were preferred in kitchen and bathroom.

      • KCI등재후보

        기억전략 프로그램이 정상 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이춘엽,류승민,김승환,공도현,이대은,이지호,정혜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6 No.1

        목적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노인에게 저하되어 있는 기억력을 회복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인지재활의 필요성을 인식 하고 기억전략 프로그램이 정상 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0명 중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누 어 대조군은 기존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실험군은 기억전략 프로그램을 주 2회, 4주간,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 전·후의 비교는 상황기억검사(Contextural Memory Test; CMT)를 시행하였다. 결과 : 두 집단의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순간기억과 지연기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p>.05). 그러나 프로그램 후 실험군의 순간기억과 지연기억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연구결과 기억전략 프로그램은 정상 노인에게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정상 노인 을 위한 기억 증진 목적의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고 발전된다면 이후 발생하게 될 치매 혹은 경도인지장애의 발병 을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necessary for the elderly has generally decreased memory in order to recovery and maintain. This study showed that effect of memorial strategy program on memory in the elderly. Methods : 20 elderly who has used seniors welfare center in Busan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used program of seniors welfare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memorial strategy program twice a week, total of 8 times. We used contextural memory test(CMT) to compared before and after. Results : Immediate recall and delayed recall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en compared before and after.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a experimental group after memorial strategy program. Conclusion : This study shown that memorial strategy program help memory improve in the elderly. Many programs for memory improve in the elderly expect that prevent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춘엽,류은정,송승훈,최미래,홍기훈,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7월 22일부터 8월 5일까지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9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인식의 영역에서는 차별의 인식(경험 있는 경우 4.13점, 경험 없는 경우 3.64점)이 가장 높았고 관심의 인식(경험 있는 경우 3.21점, 경험 없는 경우 2.86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 다. 자원봉사의 경험 특성에 따르면 학교 사회봉사나 과목 수강을 통해 자원봉사를 참여하게 된 경우, 새 로운 경험을 하고 싶어서 참여한 경우, 1년 이상 자원봉사를 한 경우, 주로 활동 보조의 자원봉사를 한 경우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높았다. 반면 자원봉사 활동 경험이 전혀 없거나 대인 관계를 넓히고 싶어서 자원봉사를 하는 경우, 주로 행정 업무 보조의 자원봉사를 한 경우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결론 : 대학생의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자원봉사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volunteering activities on awareness toward the disabled. Method : 259 students were chosen and 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by a questionnaire. Result :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with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 institutions related to disabled have positive awareness of disabled. Second, they have positive awareness of disabled in some cases such as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interesting in new events, volunteering activity for more over a year, and assisting activities. But they have negative awareness of disabled in some cases such as no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teresting in social relationship, and participating administration servi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better volunteering activity system for the awareness toward the disabled.

      • KCI등재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생활기능 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춘엽,박영주,박강현,지석연,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3

        목적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에서 생활기능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을 개발하고자 기초 연구를 실시하 였다. 연구방법 : 2018년 6월부터 동년 7월까지 생활기능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일본의 생활행위향상 매니지먼트(Management Tool for Daily Life Performance; MTDLP) 뿐만 아니라 스웨덴, 영국, 독일 등의 사례와 국내의 S 노인주간보호센터 및 I 보건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케어 관련 문헌을 조사하였다. 본 내용을 토대 로 전문가 집단 회의를 거쳐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 모델을 개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를 위한 평가를 시행하기 위하여 작업을 통한 건강 증진표, 흥미체크리스트, 생활기능향상을 위한 작업 목표, 생활기능 평가지, 일상생활시간 조사서(평일과 주말), 작업치료 종료 시 필요한 생활기능 인계지 등의 평가지 를 개발하였다. 또한 작업치료사들이 이미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 중재 중 생활기능향상 프로그램, ICF모델 기반의 활동분석, 라이프 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 인지운동치료 프로그램, The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 호스피스 완화 프로그램, 가정환경수정 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 방안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작업치료가 클라이 언트에게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전문 영역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필요한 한국형 생활기능향상 모델구축에 본 연구가 기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occupational therapy model focused on improving living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Methods : From June to July, 2018, the literature on community care was researched, focusing on cases of Japan's Management Tool for Daily Life Performance (MTDLP), Sweden, United Kingdom, Germany and domestic S Elderly Care Centers and I Health Centers. Based on this information, a group of experts developed a occupational therapy model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Results : Assessment tools such as occupation-based health promotional table, interest checklist, occupational goals for improving living functions, sheet for evaluation of living functions, survey of daily life time (weekday and weekend), and sheet for transition of living functions were developed to conduct evaluation for occupational therapy. The improving living functions program, analysis of activities based on ICF model, lifestyle redesign program, cognitive exercise therapy, the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 hospice, and home modification were also organized interventions already in place by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specific measures and models for the implement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within community care systems. Occupational therapy is positioned as a specialized area that is essential to the client, and we look forward to the use of this model.

      • KCI등재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

        이춘엽,김지훈,김희정,홍기훈,정혜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적용하여 이러한 작업 중재 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B지역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 29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적 용하였고, 일주일에 한 번, 6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중재는 크게 집단 활동과 개인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개인 활동은 경도 치매노인과 담당자가 상의하여 작업 목표를 선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활동 들을 일대일로 시행하였다.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는 CERAD 평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인지기능 변화에서는 MMSE-KC의 총점과 시간 지남력, 집중력, 구성회상, 길 만들기 B에서, 신체기 능 변화에서는 BBS의 선 자세에서 앉기와 두 눈을 감고 잡지 않고 서 있기에서, 우울 변화에서는 GDS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맞춤형 작업 중재는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의 향상,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중재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제안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applied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Methods : This study applied the single-group experimental design to 29 elderly with mild dementia who use the day care center in B area, and conducted a total of 10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Intervention consisted largely of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were conducted one-on-one with various activities necessary to select occupational goals and achieve the goal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 person in charge. The effects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were confirmed through CERAD, BBS, and GDS.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total score of MMSE-KC, time orientation, attention, constructional praxis delayed recall, and trail making test B in the cognitive function changes, and standing to sitting, standing unsupported with eyes closed of BBS in the physical function changes, and in the GDS score in the depression changes (p<.05). Conclusion :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reducing depression. This provided a basis for proposing a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as an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