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RI계기를 이용한 성토시공 관리기법 연구 (I) -RI계기의 검증실험 및 교정식 작성-

        구본효,나경준,이진후,홍성완,Koo, Bon Hyo,Na, Kyung Joon,Lee, Jin Hoo,Hong, Sung Wan 대한토목학회 199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4 No.1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흙의 다짐관리 방법에는 실험실내에서 시행하는 흙의 다짐 시험 (KSF 2312)과 함수량시험(KSF 2306), 현장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 시험 방법 (KSF 2311)이 었다. 이러한 시험방법들은 소요시간이 길고 작업이 번잡하므로 최근과 같이 빠른 사공속도가 요구되는 대규모 토공관리에는 부적합하며 측정자의 개인오차 등으로 인한 신뢰성도 낮다. 최근 대부분의 외국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RI)를 이용한 흙의 밀도/함수량 측정계기를 성토시공관리에 이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연구의 부족 등의 이유로 건설분야에서의 RI계기 이용이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질 기술자들에게 RI계기를 소개하고 RI계기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RI계기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RI계기의 검증연구와 현장 적용성에 대한 검토를 실시한 후, 국내 토질에 적합한 교정식을 도출하였다. The laboratory methods for compaction of soil (KSF 2312) and for moisture of soil (KSF 2306) in combination with the soil density in place by the sand-cone method (KSF 2311) are generally used for compaction control of soils. However, these methods have limitations in number of test and in accuracy. ]n addition, they are time-consuming. Therefore, they are not adequate for speedy control of embankment compaction in a project with huge amount of earthwork. The RI (Radioisotope) gauges for measurement of soil density and/or of soil moisture are widely used for the compaction control of soils in many countries. But in Korea, they have had a limited usage and available informations for uses of RI gaug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promotes efficient and safe use of RI gauge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In this paper, fundamental aspects such as the priciples of RI gauges, gauge inspection techniques and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RI gauges for field usage were reviewed. And a new calibration curves suitable for the Korean soils were suggested.

      • KCI등재

        월경전증후군 환자에 있어 임상적 특징에 따른 치료효과

        정기옥,김휘,권동진,임용택,김장흡,김은중,김진흥,이진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2

        본 연구는 1994년 10월 1일부터 1995년 7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월경전증후군 클리닉에 내원한 71명의 환자중 다른 신체적 정신적 질환에 의한 18명과 만성 질환의 월경전 악화를 호소하는 9명을 제외한 수수 월경전증후군 환자인 44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에 따른 치료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경전증후군으로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은 평균연령이 38.65세였으며 발생기간은 8.29년이었다. 과거력상 임신후유증이 있었던 경우는 29.3%이었다.(Table 1). 2. 증상중 감정적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에 0.63+-0.39으로 감소하였으며, 그후 대증요법(약물요법) 사용후 3개월 후인 6개월째에는 최초 3개월째에 비해 0.63+-0.49로, 그리고 최초 내원시에 비해 0.30+-0.2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2). 3. 증상중 신체적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 0.77+-0.50으로, 그 후 대중요법을 사용 3개월 후인 6개월째에는 3개월째에 비해서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최초 내원시에 비해 0.47+-0.4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2). 4. 일상생활의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에 0.80+-0.42로, 그후 대중요법 사용후 3개월후인 6개월째에는 3개월째에 비해 0.65+-0.41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47+-0.3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lt;0.05, Table 2). 5. 각 군에 따른 비교에서 증상의 이환기간은 III군이 12.35+-5.90년으로 II군의 6.42+-3.95년과 I군의 4.21+-1.84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lt;0.05) 임신횃수에서는 III군이 2.28+-0.48로 II군의 1.57+-0.53에 비해, 월경 통증의 정도는 II군이 1.57+-1.13으로 I군의 0.89+-0.34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lt;0.05, Table 3). 6. 전 대상 군에서는 감정적 불편의 빈도는 우울증이 16%로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불편으로는 두통이 23%로 가장 많았었다. 각 군에 따라서는 감정적 불편이 I군에서는 피로감(45%), 우울증(32%), II군에서는 불안(24%), 분노(21%), III군에서는 분노(20%), 우울증(18%)이 많았고 신체적 불편은 I군에서 두통(24%), 관절통(15%), II군에서는 두통(27%), 부종(22%), III군에서는 부종(18%), 두통(15%)을 많이 호소하였다(Table 4) 7. 각 군에서의 감정적 불편의 잔존율은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군과 III군에서 각각 0.47+-0.05, 0.80+-0.22로, 6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69+-0.43, 0.51+-0.44, 0.41+-0.35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32+-0.48, 0.35+-0.19, 0.34+-0.31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5) 8. 각 군에서의 신체적 불편의 잔존율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군에서 0.49+-0.46으로, 6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56++0.38,0.54+-0.34, 0.63+-0.36으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18+-0.19,0.32+-0.23, 0.75+-0.62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6). 9. 각 군에서의 일상생활 불편의 잔존율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I군에서 0.59+-0.42로, 5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75+-0.43, 0.43+-0.41, 0.37+-0.55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7). 이상의 결과로 보아 월경전증후군은 주로 30대가 많았으며 이환기간은 적어도 수년동안 지속되어 왔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일 수록 이환기간이 더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임신횟수가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치료효과에서는 감정적 불편의 경우 6개월 후 약 70%의 개선이 있었으며 신체적 불편의 경우 53%, 일상생활 불편의 경우 53%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 경우 감정적 불편, 신체적 불편, 일상생활 불편이 경증인 경우 월경일기, 운동, 식사요법으로 6개월후 68%, 82%, 23% 증등도인 경우 대중요법이 첨가되어 각각 65%, 68%, 57%, 중증인 경우 각각 66%, 25%, 63% 의 개선효과를 보여 앞으로 월경증후군 환자의 치료에 있어 1차적 치료로서는 월경일기, 운동, 식사요법 그리고 중등도 및 중증 불편은 적극적인 약물 치료법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menstrual syndrome refers to physical or affective synmotoms that appea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menstural cycle, remit during menses, and affect the woman`s relationships or ability oto function. Earlier retrospective histories are considered to be unreliable. Because the criteria used to make the diagnosis varied among groups. Some treatment aim to correct the purported biologic problem underlying premenstrual syndrome, but in the absence of firm knowledge of the cause, specific corrective treatment is not possible. Therefore, much of current therapy has a symptom specific basis.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effect of treatment of 44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who visited at PMS clinic of Kang Nam St.Mery`s hospital from Oct.1, 1994 to July 31, 1995.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mean age of patients were 38.65+-4.58 years old and mean symptomatic period was 8.29+-5.93 years, and percentage of previous pregnancy complication was 29.3%(Table 1). 2. In residual rate of emotional discomfort, after 3 months was 0.63+-0.39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0.30+-0.29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nd was 0.63+-0.49 compared with 3 month respectivey(p$lt;0.05, Table 2). 3. In residual rate of physical discomfort, after 3 was 0.77+-0.50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was 0.47+-0.48 compared with initial visit respectively(p$lt;0.05, Table 2). 4. In residual rate of daily behavior, afte 3 months was 0.65+-0.41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was 0.47+-0.37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nd 0.65+-0.41 compared with 3 month respectively([$lt;0.05, Table2). 5. The symptomatic period age of patients according to groups, Group I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 with Group I and II. In number of previous pregnancy, Group I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 with Group II. In dysmenorrhea, Group II increased compare with Group I(p$lt;0.05, Table 3). 6. In total patients the most common emotional discomfort was depression(16%) and most common physical discomfort was headache(23%). According to the Groups, the most common emotional discomfort was fatigue(45%) in Group I, anxiety(24%) in Group II and anger(20%) in group III. The most common physical discomfort was headache(24%) in Group I and II, edema in Group III(p$lt;0.05, Table 4). 7. Residual rate of emotion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 & III and decreased at 6 month compared with 3 month and initial visit in Group I, II & III(p$lt;0.05, Table 5) 8. Residual rate of physic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 & II & III(p$lt;0.05, Table 6) 9. Residual rate of behavior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I, and decreased at 6 month compared with 3 month and initial visit in Group I, II & III(p$lt;0.05, Table 7) These data suggest premenstrual syndrome calendar, excercise, diet control is a useful method of treatment in the mild case. But conservative medical treatment is obligatory in moderate and severe case.

      • 박사후연구원의 현황과 지원 방안

        박기범(Kibeom Park),양현채(Hyeonchae Yang),하리다(Reeda Ha),송충한(Choonghan Song),이다은,신희진,이수진,이진후,조솔비,한민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ost-doctoral researchers and the impact this period has on the overall researcher career cannot be overemphasized. Since the 2000s, the career path model has changed and the instability of the labor market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hDs worldwide. In many countries, slow job growth compared to the increase in post-doctoral researchers, prolonged period, unstable employment and uncertain future career probl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In this study, the size of post-doctoral researchers less than three years after obtaining a degree was estimated by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s of follow-up surveys for new doctors conducted in 2019 and 2020.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post-doctoral researchers such as, university typ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proposed 4 policy directions;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broad career development,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and support for intersectoral and international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