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현병 환자의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관계

        이지인 圓光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 중재 및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DSM-IV, DSM-5에서 조현병으로 진단 받고 J도에 위치한 정신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13문항, 정서지능 50문항, 의사소통 29 문항, 자가 간호수행 23문항의 총 1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정서지능 측정 도구는 Salovey와 Mayer (1996)의 모형을 토대로 문용린(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의사소통 측정 도구는 Takahashi, Tanaka & Miyaoka (2006)가 개발한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자가 간호수행 측정 도구는 유숙자(1991)가 개발하고 임신화(200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é 검정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정도는 250점 만점 중 평균 159.5(±18.1)점, 의사소통 정도는 306점 만점 중 138.2(±62.5)점이었고, 자가 간호수행 정도는 115점 만점 중 평균 85.8(±13.4)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의사소통에서는 간호사와의 의사소통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 보호사와의 의사소통이 재발 횟수에 따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가 간호수행은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정서지능과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정서지능은 의사소통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42, p<.001). 다음으로 정서지능은 자가 간호수행과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54, p<.001), 의사소통에서도 자가 간호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8, p<.001).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현병 대상자의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향후 대상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and tools for schizophrenia subject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examining their relations. On the subjects of 10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chizophrenia in DSM-IV and DSM-5 and were admitted to a psychiatric hospital in J province, the total of 115 item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13 items, emotional intelligence 50 items, communication 29 items, self care 23 item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is study used the measurement tool for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ed by Mun-Yong-Lin (1999) based on the model of Salovey and Mayer (1996), the measurement tool for communication translated from the tool developed by Takahashi, Tanaka & Miyaoka (2006),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self-care developed by Yu Sukja (1991)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im Shin-hwa (200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 WIN 20.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were analyzed.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determin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using scheffé test.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an average of 159.5 (±18.1) out of the full score 250 points, and communication was 138.2 (±62.5) out of the full score 306 points, and self care was 85.8 (±13.4) out of the full score 115 point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with nurses varied according to age, and communication with doctors and caregiv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lap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care according to sex and age. Third, to explo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r=.42, p<.001). Nex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care (r=.54, p<.001), and communic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care (r=.38, p<.001).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of schizophrenia subjects and is expected to be used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social return of the subjects in the future.

      • 여성노동정책의 변동 요인 및 과정에 대한 연구 : 여성노동관련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인 계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factors and processes that caused policy change in women's labor policy, by examining three major women's labor laws since the 1980's. The analytic tool is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 This study is aimed to answer the question why women's labor policy has not been effective in dealing with labor problems of women: career interruption after child-birth and low participation rate in economic activities. As a methodological tool, this study takes a whol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sequential.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change for women's labor was made when three streams were coupled. The three streams are problem stream, political stream, and alternative stream. In case of women's labor policy change, the various forms of barriers against women acted as the problem stream; election as the political stream. Legislative push by administration, with  support from ruling party, served as alternative stream, which resulted in decisive effect on policy change. Second, the policy window was opened mainly by political stream in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At this stage,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 and political events were very influential in opening this window. Third, the policy window for the three laws was opened for a brief period of time, during which legislation took place. The period was short because the motivation of the legislation was political in nature. That is, legislators rushed in passing bills and publicizing the enactment to the public. They were not much interested in the success or impact of those laws.  Fourth, the result of this study informs us that the focus of women's labor policy has changed from addressing discriminatory practices on employment to promoting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Such a change was detected in the analysis of the problem stream of three laws: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ct, the earliest law of the three, focused attention on reducing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on employment; but the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and the Economic Activity Promotion Ac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wo laws enacted later, put priority to promoting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 conclusion, Korean women's labor policy is deeply affected by the political stream, which caused legislation to be completed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Political motivation blocked exploring more fundamental solutions for women's labor problems.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제정된 여성노동관련법 사례를 대상으로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하여 여성노동정책의 변동 요인과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시대 변화에 따라 대응되어온 여성노동정책이 여성노동문제에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했던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책변동 과정을 단계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정책변동 과정 전반을 조망한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 하였다. 여성노동관련법 제정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여성노동정책의 변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동정책 변동은 세 가지 흐름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각 흐름에서 변동에 영향을 준 요인을 설명하자면 문제흐름에서는 고용전반 및 고용형태의 차별, 정치흐름에서는 선거, 대안흐름에서는 정부 및 정당 중심의 법제정 추진과 회기 내 의결이었다. 둘째, 여성노동정책 변동에서 정책의 창은 정치흐름에 의해 열렸고 흐름결합에 따라 나타난 대안의 성격은 교의적이었다. 그리고 정책의 창이 열리는데 정치적인 성향의 정책활동가의 역할과 정치적 사건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여성노동정책 변동에서 정책의 창 개․폐 기간은 짧게 나타났다. 이는 여성노동관련법 제정에 차기선거 및 정권신임 같은 정치적인 이유가 크게 작용하여 법률의 실제 적용가능성 보다는 법 존재 자체가 목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우리나라 여성노동정책변동은 정책의 비중이 여성차별에서 여성경제활동촉진으로 변화되었다. 이것은 문제흐름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에서 여성차별이 핵심 사항이었으나 여성발전기본법과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에서는 여성경제활동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여성노동정책 변동은 정치흐름이 크게 영향을 미쳐 여성노동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기 어려웠고 정책의 방향이 현실적으로 설정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여성노동관련법 제정에서 나타난 정치흐름의 특징은 법 제정이 보수적인 성향의 정권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정치적인 변화가 있었던 시점이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적인 요인의 영향으로 여성노동정책 변동이 급속히 이루어졌기 때문에 여성노동정책이 여성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 대안으로서 미흡하였다고 할 수 있다.

      • Maslow 욕구이론을 통해 본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지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Job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attitude to the work and the most important and interested thing in organizational life. Job satisfaction is related in the function of personnel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is given differently according to what members try to achieve in his work place and how much the needs of members are fulfilled. And this satisfaction is not able to separate from needs and motivations. That is, job satisfaction is closely relates with satisfying the needs of the individual. So, we can show the strategy for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grasping need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nagement strategy by grasping needs of public service officials and job satisfaction of them. That 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of fulfillment-degree caus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needs(expectation) and the fulfillment which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then try to argue that certain needs must be fulfill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So, this study puts four questions; First, how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Seco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needs and job satisfaction? third, which level of needs does largely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urth, if Job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needs(expectation) and fulfillment, what does this mean?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teratures and then make an positive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books and thesis on Maslow theory(a kind of theories on motivation) and needs-job satisfaction. For positive analysis, SPSS WIN 12.0 is u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rvice officials are satisfied with their duty.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needs. To put it concretely, in the individual case, physiological-needs, safety-needs, social-needs, esteem-needs, self-actualization-need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al case, physiological-needs, safety-needs, self-actualization-needs, esteem-need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results show that the needs which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is safety-needs in the individual case, and are physiological-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in the organizational case. also, those need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And in the examination of needs item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stable income, security for the aged, attachment to family, self-conten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individual case while wages, promotion/appoin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al case. Fourth, the result indicates the expectation of needs have strong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an fulfillment of them. This tendency appear prominently in safety-needs(in the individual case), physiological-needs and safety-needs(in the organizational case). Also, of needs-items, stable income, security for the aged show this tendency prominently. And of the organizational items, wages, welfare(including temporary rest from office), working environment, a relief measure for an injury or disease, a security for a retiree, promotion/appointment show this tendency prominently. This results mean that low-ranking public officials are still in low-needs-stage from the perspective of Maslow' needs hierarchy theory, and that the fulfillment of their needs enhances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t is needed to fulfill safety-needs in the individual environment and physiological-needs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of the elements which constitute needs, a security for the aged, wages, promotion/appointment are fulfilled preferentially. 직무만족(job satisfaction)이란, 한 개인이 직무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생활을 하면서 가장 중요하고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다. 조직에 있어서는 직무만족은 구성원의 인사관리의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직구성원들은 그들의 직장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얻고자 하며, 그 것이 어느 정도 충족 되었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이 만족은 욕구나 동기와 분리해서 생각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즉, 직무만족은 개인의 욕구충족과 밀접히 관련된다. 따라서 욕구를 파악하여 공무원들의 직무만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들의 직무만족정도와 욕구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전략을 제시하고 자한다. 즉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욕구수준과 기대와 충족의 차이를 통하여 욕구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특정욕구가 충족되어야 함을 말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직무만족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직무만족과 욕구 간의 상관관계? 셋째, 욕구수준 중 어느 단계가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기대하는 욕구정도와 충족의 차이가 직무만족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는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 그 중에서도 Maslow이론과 직무만족, 욕구와 직무만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단행본과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조사결과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조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정도를 살펴본 결과, 공무원들은 직무에 대하여 불만족보다는 만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욕구의 상관관계에서 개별차원에서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사회욕구, 존경욕구, 자아실현 욕구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차원에서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존경의 욕구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욕구는 개별차원에서는 안전의 욕구가 조직차원에서는 생리적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욕구항목별로 직무만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개별차원에서는 일정소득유지, 노후생활보장,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소속감이나 신뢰감, 자기만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차원에서는 보수, 승진/보직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욕구기대와 충족의 차이와 직무만족을 살펴본 결과 욕구의 기대가 충족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개별차원에서는 안전의 욕구, 조직차원에서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가 상대적으로 차이를 크게 보이고 있다. 항목별로 보면 일정소득유지, 노후생활보장에서 기대와 충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조직차원 항목들 중에서는 보수, 후생복지(휴직제도 포함), 근무환경, 부상·질병에 대한 사후대책, 퇴직 후 생활보장, 승진/보직에서 기대와 충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Maslow 욕구단계에 따라 볼 때 하위직 공무원들이 여전히 낮은 수준의 욕구에 머물러 있으며 그 것을 만족시켜주어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의 환경에서는 안전의 욕구를, 조직생활 환경에서는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욕구를 구성하고 있는 많은 요소들 중에 노후생활보장, 보수, 승진/보직을 우선하여 충족시켜주어야 함이 본 연구결과에서 밝혀졌다.

      •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이지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개론을 수강하는 예비 중등교사 1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인식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 전과 수강 후의 인터뷰, 개별 과제 및 조별 과제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이들은 통합교육의 대상인 장애학생을 일반학생과 같은 학생으로 느꼈으며, 장애학생의 특성 및 그와 관련된 내용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의 대상인 장애학생의 또래 관계 및 학업 수행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였다. 이들은 통합교육의 개념을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교사에 대하여 실천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전문가인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 관계를 다짐하였다. 넷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모든 학교급을 통합교육의 적기로 인식하였으며, 또래 관계 및 학업 수행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섯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들은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도 많은 이점을 준다고 인식하게 되었으며, 통합교육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비 중등교사들은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해 통합교육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였으며, 통합교육의 교사에 대하여 실천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통합교육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은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강점인식과 희망의 매개효과

        이지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knowledge and hope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argeting 336 college students and office workers in their 20’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using Hewi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SPSI-R), Strengths Knowledge Scale and Hope Scale. For analyzing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 and a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Hayes (2018) Process 3.2, and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Bootstrapp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ngths knowledge, hop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the more often one experiences strengths knowledge, one thinks hopefully, and has higher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knowledge in the effect of self-orientation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had no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strengths knowledge. Thir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effect of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has an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hope. Fourth, it showed that strengths knowledge and hope double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has an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trengths knowledge and hop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and proces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trengths knowledge, hope, and discusses about the limitations.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오페라 아리아의 가창 지도 방법 연구 : '울게 하소서', '이제는 못 날으리', '사랑하는 아버지'를 중심으로

        이지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criteria of musical activities of music study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singing activity is the most essential basis. At the same time it is the most frequently required activity on the field of school. However, there are many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to play 'aria' well which is called 'the flower of opera' through regular musical classes in school. It is almost impossible that major number of students who neither have inborn musical talent nor acquire intensive musical training can sing a 'aria'which requires highly developed musical techniques as well as delicate emotional expressions. However, focusing on the requirements of music study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paper suggested easy ways to sing operas in original languages without losing their own atmosphere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lyrics and the characteristic of musical pieces of various times and cultures. Having general knowledge of opera and its background and analysing musical pieces in their essential elements such as frame, lyrics, rhythm, melody, and harmony can make it possible. This study analysed several arias which are contained in highschool music text books as subject musical pieces such as Soprano aria ‘Lascia ch'io pianga’ in 『Rinaldo』composed by G. F. Händel, Bariton aria ‘Non più andrai’ in 『Le Nozze di Figaro』composed by W. A. Mozart, Soprano aria ‘O mio babbino caro’ in 『Gianni Schicchi』composed by G. Puccini so that they can be practically used in a singing class on the field of school. This study described ways of singing opera arias according to vocalizing, understanding and pronouncing lyrics, and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musical pieces. Also this paper analysed 3 opera arias and suggested teaching methods of singing for each of them.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주의집중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지인 우석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Attention and Self-concep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order Lee, Jee-ein Major in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Administration & Culture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Cho, Don-koo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hether a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influence on the attention and self-concep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some students having learning disorder from S middle school were chosen as subjects.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 middle, post. The session was conducted 28 times in total, once a week within 90 minutes per one session. Three out of the eligible eight students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and found to be affected by the group art therapy. In the pre stage, the students introduced themselv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he middle stage, the art therapy was conducted, mainly using mediums effective on attention and self-concept. In the post stage, mostly, several tests were carried out to see if the therapy affects the students' attention and self-concep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K-CBCL, self explanation test and K-HTP were used as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Followings are the results summarized. By and large, the attention of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order was improved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according to the result when the preliminary and the post inspection of K-CBCL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lso, the self-concepts of all the students changed into positive ones, when looking at the findings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s of self-explanation and K-HTP.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the students came to get rid of their fear about art and have confidence in various art therapy activities. Moreover, their group consciousness and learning and expressive abilities were found to be improv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approved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attention and self-concep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order.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주의집중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S중학교의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주 1회 90분 이내에 총 2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8명중 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집단미술치료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효과를 알았다. 초기에는 자기를 소개하는 시간과 학생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고, 중기에는 주의집중과 자아개념에 대한 효과적인 매체를 중심으로 미술치료활동을 하였다. 후기에는 학습장애 학생들이 주의집중과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검사를 중점적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로 K-CBCL 검사와 자기표현 측정검사, K-HTP 검사를 통해 비교 분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장애 학생의 주의집중은 K-CBCL 사전,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학생이 전반적으로 주의집중이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장애 학생의 자아개념은 자아표현 측정 사전, 사후 검사와 K-HTP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학생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으로 향상되었다. 집단미술치료를 통해서 미술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다양한 미술치료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집단성과 학습능력, 표현능력이 향상되는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에 주의집중과 자아개념의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 타악기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또래관계와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지인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타악기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또래관계와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S지역아동센터를 이용 중인 다문화 아동 7명으로, 국내에서 출생한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들로 표집한 후 단일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타악기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는 2019년 8월 22일부터 2019년 9월 26일까지 회기 당 50분씩 주 2회,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관계 척도와 한국 정서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 Wilcoxon Matched Pair 검정을 통해서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녹화한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행동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아동의 또래관계와 정서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p <.05),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또래관계 하위영역에서는 사회적지지, 처벌주도권, 친밀, 우의, 대립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정서변화 하위영역에서는 정적정서와 부적정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음악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 아동의 행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의 또래관계 행동 및 긍정적 정서표현 행동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타악기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또래관계와 정서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적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rcussion ensemble-centered music therapy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emotional change in multicultur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 (7) multicultural children using S loc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City S, Gyeonggi province. They were children from the immigrant families who were born in Korea. After sampling them, they were considered as a single group. The percussion ensemble-centered music therapy was provided in a total of twelve (12) sessions: 50-min. per session twice a week from Aug. 22 to Sept. 26, 2019. Pretest and posttest,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program were conducted in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 same way with peer relationship scale and Korean Emotional Experience scal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identify the difference with Wilcoxon Matched Pair test. To identify the behavior change among subjects, we analyzed the trends in behavior change based on the data of recorded video. As a result of study, it appea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and emotional change in multicultural children(p <.05) and the music therapy was effective. To be specifi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punishment initiative, intimacy, friendship, and confrontation, sub-areas of peer relationship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ub-areas of emotional change (p <.0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havior change in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music therapy program, it appeared that subjects’ behavior in peer relationship and positive emotional change showed a positive change in general. The study findings above suggest that the percussion ensemble-centered music therapy can be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eer relationship and emotional change in multicultural children.

      • Learning oriented team manage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 Multi level investigation

        이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reativity is an essential element in organizations. The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rapid changes, intensifi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which is defined as generation of new and useful ideas.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determinants of creativity, especially on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organizational level.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basic unit of organization is ‘team’,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team-level variables such as precedents of creativit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ed team management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creativity. Especially, I defined learning oriented team management as a system of practices that purpose to develop a learning organization and developed the components based on the AMO (ability-motivation-opportunity) model. Also, drawing on insights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 theorized and examined team climate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dividual mindset (intrinsic motivation) as intervening mechanisms between learning oriented team manage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This study surveyed 257 team members in 48 teams in Korean organizations across various industries and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ing oriented team manag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individual creativity via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dividual intrinsic motivation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creativity via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dditional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motivation enhancing learning oriented team managemen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among AMO compon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