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urface-engineered nanofiber and gold nanoparticle manip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death

        이주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나노 사이즈의 플랫폼은 3차원 세포배양 가능성과 생체 조직을 모방하는 지형학적인 특성과 함께, 우수한 생체적합성, 치료제의 주요한 투여경로로 사용되는 혈액으로 순환이 가능한 점 때문에 조직공학용 지지체, 약물전달체 등 생체공학 디바이스로 적용되고 있다. 나노 구조체가 생체외에 적용 되거나 생체 내로 삽입 또는 순환하면서 세포가 구조체의 표면을 가장 먼저 인지한다. 세포는 나노 구조체의 형태, 표면에 존재하는 분자에 의해 그 반응성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나노 구조체의 형태와 표면 변화에 의한 세포의 반응과 다양한 생체의학적 응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형태적으로 장점을 가지는 나노 구조체로는 나노섬유를 예로 들 수 있다. 나노섬유는 세포외 기질 구조를 모방하기 때문에 섬유의 표면에 따라 세포의 초기 부착, 증식, 분화, 표현형 등이 달라진다. 기존의 전기방사에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나노섬유는 세포와의 친화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섬유 유래 나노피브릴을 이용하여 조직공학용 인공피부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폴리카프로락톤을 전기방사한 후, 단편화 작업을 하여 나노피브릴을 만들었다. 이는 섬유구조를 유지하면서 세포에 닿는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세포에 대한 접근성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aminolysis 반응을 통해 나노피브릴 표면에 아민 그룹을 노출 시키고, 아민 그룹과 메타 아크릴화된 젤라틴의 아크릴 그룹을 마이클 첨가반응으로 단시간 내에 결합시킨다. 피부섬유아세포와 함께 배양한 결과 세포시트가 형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간단한 방법으로 표면개질된 나노피브릴이 공기-액체 계면 배양의 지지체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나노 구조체의 형태적 요인의 또 다른 예로 금 나노입자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트레이트산 환원 반응을 통해 제작하였고 그 표면을 원자전달 라디칼 중합방법을 통해 양이온 고분자를 도입하여, 표면의 전위를 변화시켰다. 표면이 개질된 금나노입자의 정전기적 인력 때문에 낮은 수용성을 가진 광증감제의 부착을 증가시키고, 광증감제 단독으로 적용한 것에 비해 높은 효율로 EPR 효과에 의한 종양 표적 전달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적외선을 이용하여 종양 치료를 수행하는 최소한의 침습적인 항암제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생체 내 이미징의 조영제로 활용할 수 있어 추적관찰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존 연구에서 우리는 나노구조체의 형태 및 표면의 개질을 통하여 세포의 반응성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나노 디바이스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nano-sized platform has 3D cell cultivation potential and topography that mimics living tissues,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circulating blood used as the main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s. It is being applied as a device. As the nanostructure is applied ex vivo or inserted or circulated in vivo, the cell recognizes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first. Cells have different reactivit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nanostructure and the molecules on the surface.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response of cells to changes in the shape and surface of nanostructures and various biomedical applications. As a nanostructure having a morphological advantage, nanofibers may be exemplified. Since nanofibers mimic the structure of the extracellular matrix, the initial adhesi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phenotype of cells vary depending on the surface of the fiber. Nanofibers using hydrophobic polymers used in conventional electrospinning have a limit of poor affinity with cells. In this study, we tried to make artificial skin for tissue engineering using nanofibrils derived from nanofibers. After electrospinning polycaprolactone, it was fragmented to produce nanofibrils. This increases the accessibility to the cells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contacting the cells while maintaining the fibrous structure. In addition, the amine group is exposed on the nanofibrils surface through the aminolysis reaction, and the amine group and the acrylic group of methacrylated gelatin are combined within a short time by Michael addition reaction. A cell sheet was formed as a result of culturing with skin fibroblasts,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surface-modified nanofibrils can be applied as a support for air-liquid interfacial culture through this method. Another example of the morphological factor of nanostructures is gold nanoparticles. In this study, the surface was prepared through a citrate-acid reduction reaction, and a cationic polymer was introduced through the atomic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to change the surface potential. Due to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of the surface-modified gold nanoparticles, the adhesion of photosensitizers having low water solubility was increased, and tumor target delivery by the EPR effect was possible with higher efficiency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he photosensitizer alone.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as a minimally invasive anticancer agent for performing tumor treatment using infrared ray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 contrast medium for in vivo imaging, thus enabling follow-up observation. As a result, in the Zone study, we confirmed that not only the reactivity of cells is chang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and surface of the nanostructure, but it can also be used as a nanodevice with various functions.

      •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이 심리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수준을 알아보고, 두 요소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 서울,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교 중 7개 학교의 오케스트라 동아리 구성원 17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4.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녕감과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은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3.89)과 대학생활적응의 대학환경적응(4.1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적응 차이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학업적응(3.12) 점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적응 차이에서는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사회적응에서 4학년이 가장 높았고, 개인-정서적응에서 2학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악기군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적응 차이에서는 환경지배력, 학업적응, 개인-정서적응에서 타악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참여기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적응은 삶의 목적, 대학환경적응에서 2년 이상 활동한 경우, 2년 미만 활동한 경우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연습시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적응은 사회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서 2시간 이상 연습한 경우, 2시간 미만 연습을 한 경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과 대학생활적응의 상관관계는 개인적 성장과 환경지배력, 자아수용과 환경지배력, 자아수용과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지배력, 삶의 목적과 환경지배력, 삶의 목적과 개인적 성장 등 총 33개 항목에 있어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대학환경적응과 긍정적 대인관계 간의 상관계수(0.588)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정서적응과 개인적 성장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0.186)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관관계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단체 활동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의 대학환경적응 요인이 가장 높은 관계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환경지배력,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학업, 사회, 개인-정서 적응 등 다양한 요인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서울, 경기 소재의 한정된 지역의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뿐만 아니라 확대된 지역 범위에서,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오케스트라 동아리 단체들이 생성 및 활성화되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가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가 군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가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도 지역 부대에서 근무하는 19세에서 25세 650명 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597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검증, 기술적 통계분석, t-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는 군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은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대인관계는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는 군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가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는 종속변수인 군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매개변수인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생활 적응에 대하여 독립변수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지지 대처, 가족 간 의사소통, 처음관계 맺기, 가족 간 문제해결 능력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해병대 병사가 군생활 적응에서 심리적 자원인 가족건강성, 대인관계, 상담욕구, 스트레스 대처 등을 함께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해병대 병사의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가 군생활 적응과 관계에서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방부 차원에서 사회‧심리‧정서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모색하고, 상담욕구와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가 낮거나 상담욕구와 스트레스 대처에 미흡했던 해병대 병사 및 군생활 부적응 병사의 개인역량 강화 등 군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아울러 정부차원에서는 가족건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가족 가치관, 긍정적 의사소통 방식, 규범 등에 대한 사회 및 학교 교육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 학교조직문화 유형이 혁신행동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LMX의 매개효과

        이주원 중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perceived by teachers on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the mediating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LMX).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mong LMX,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d whether LMX can be a crucial mediator for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ariou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o achieve the given task to the fullest, three central questions and research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First, from model fit point of view, is model of this study valid? Second, what is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LMX,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do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e.g.,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have an influence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MX,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do they have an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effects of LMX? The sample for this quantitative study was selected on a random basis from 474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window to obtain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d reliability.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factor loading between the variables and a path analysis was implemente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latent variables, using AMOS 7.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 teacher's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which means the degree of recognition that school members have on research variables is differ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duce young and inexperienced teachers who express low recognition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had an influence on LMX directly and LMX also directly affected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LMX had mediating effects on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In conclusion, interaction between leader and member is an essential factor in school organiz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a school culture that is considerate of others, and that both adapts to and takes the lead in a changing world. Schools should strive to develop LMX that actively interacts between leader and member, to build a school organization system in which members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his must happen so that schools can adjust to a changing world and become equipped with an innovative mind. Then the school member's innovation behavior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improve.

      • 중고령자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has already entered an aged society in 2017 with population over 65 reaching 6.54 million, accounting for 14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and will soon face the age of 10 million. As the saying goes, "It's useless" in human suffering, it's a middle and high age that is desperately needed to fill a gap of more than 20 to 30 years between retirement and death. In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middle and high-aged people through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high-aged people and ultimately prepare them for happy retirement or establish new cultur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demographic, economic, and social activity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mong 4,389 middle and high-aged people aged 56 to 75, excluding those who responded to the 6th Annual Aging Research Panel (2016)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d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was performe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layout analysis were perform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Schffe was post-verified for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 multi-return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e the theory of the study.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IBM SPSS 25.0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each measurement parameter.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creening of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 among middle and high ag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ople aged 56 to 75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gender, age,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spouse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ierarchy. Second, the multi-return analysis of relationships that affect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and social and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has shown that mos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economic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impact relationship, and the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by social activity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high-aged people wh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leisure and culture. When it comes to sports-related meetings, middle and high-aged people who participate in sports meetings one to two times a month have high satisfaction in their lives. Especially, social activitie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a middle and high-aged person's life turned out to be 'Yes' in a meeting with a close person. Therefore,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 by middle and high-aged people is the best response not only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life but also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sustainability of society. Third, middle and high-aged peopl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work)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composition of households, but they found that middle and high-aged people who did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In particular, the study found that men and women and education levels among thos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do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satisfaction of life. This can be said that gender and education levels do not have much meaning as they get older. In other words, they can do anything if they have work, even if their income is a little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of the self-employed and commercial workers is high, while that of the simple labor workers in the day-to-day or job sector is high. As the economic activities of middle and high-aged people account for most of the purpose of sustaining their livelihood, middle and high-aged people have many important meanings,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ty, through their economic income. For middle and high-aged people, therefore, the sense of belonging to Iran as well as the vitality of their lives is the same. Comparisons of the total population showed that economic activities (work)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istence' of social gatherings, but if they were not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work), the 'existence' of social gathering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Ultimately, studies show that overall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people's lives.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an aging society, we need to establish a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on a national level to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y and to actively carry out social, leisure and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such as volunteer education, along with the creation of various jobs through employment education of middle and high-aged people aged 50 or older as well as subsequent research. In particular, active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and high-aged people by activating the expertise of middle-aged people. Keywords : Middle and high-aged, Life satisfaction, Economic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우리나라는 2017년 65세 이상 인구가 654만명에 이르러 전체인구의 14%를 차지함으로써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곧 노인 인구 천만 명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고통 중에서 무위고란 말도 있듯이 은퇴 이후 사망시까지 20년~30년 이상의 긴 시간의 공백을 무엇으로 채울 것인가가 절실한 시기가 중고령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자의 개인적인 특성은 물론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을 통해 중고령자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이들이 행복한 노후를 준비하거나 새로운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제6차(2016년)년도 조사의 응답자 중 신규패널 대상자를 제외한 56세~ 75세에 해당하는 4,389명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경제활동, 사회활동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개인적인 특성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의 특성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에 대해서는 Schffe의 사후검증(post-hoc 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가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각 측정변수에 따라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6세~75세에 해당하는 중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검증에 대한 연구결과에 있어서 세대구성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계층의식에 있어서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경제활동, 사회활동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 관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대부분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경제활동 여부의 ‘있음’에서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고, 사회활동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분석결과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중고령자일수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여가·문화·스포츠 관련 모임에 있어서 월1~2회에 참여하는 중고령자들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활동으로는 친한 사람과 만남에서 ‘있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 참여는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최고의 대응책이다. 셋째, 경제활동(근로)을 하고 있는 중고령자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세대구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으나, 경제활동(근로)을 하지 않은 중고령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경제활동을 하는 대상자 중에서 남성과 여성 및 교육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이다. 이러한 특성은 성별과 교육수준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큰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들은 소득이 다소 적더라도 일만 있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결과는 일자리 종사상지위에서 자영업과 상용직이 삶의 만족도가 높은 반면에 일용직이나 직종에서 단순노무종사자는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은 생계유지의 목적이 대부분을 차지함으로써 중고령자들은 경제적인 소득을 통해 심리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게 되는 것은 물론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중고령자들에게 경제활동이란 소속감은 물론 삶의 활력소와 같은 것이다. 전체 대상자를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사회활동 특성 중 경제활동(근로)을 하고 있는 경우 친목 모임 여부의‘있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활동(근로)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 친목 모임 참여 여부의‘있음’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우리는 자연스럽게 노인 인구 증가는 물론 고령사회를 받아들이고 후속연구에 있어서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취업교육을 통한 다양한 일자리창출과 더불어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자원봉사 교육 등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 사회공헌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법과 제도적인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중고령자의 전문성을 활성화하여 중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적극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주제어 :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경제활동, 사회활동

      • 공정거래법상 부당내부거래 규제에 관한 연구

        이주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대규모기업집단이 경제성장기에 많은 기여를 했던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순기능 못지않은 역기능으로 경쟁제한, 지배구조 왜곡 등 많은 국민 경제적 폐해를 만든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즉 계열사 간 출자 및 채무보증 등을 통해 자금을 독점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시장경쟁을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분별한 선단식 경영을 함으로써 시장효율을 저해했으며 복잡한 문어발식 출자를 통해 총수 가족이 소수의 지분으로 전체 계열사를 지배하는 왜곡된 지배구조로 소액주주들의 경영참여가 제한되고 기업들의 책임있는 독립경영이 어려워졌다. 그 결과 전 국가적으로 유례없던 외환위기가 닥치자 거미줄처럼 연결되었던 계열사들은 동반부실화되는 상황을 피할 수가 없었다. 이에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경제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공정거래법은 부당지원행위의 규제를 목적으로 하는 규정을 신설하여 지원금액이 현저하고 부당성이 있는 내부거래에 대하여 규제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이러한 규제에 대하여는 이 제도가 경쟁이 아닌 경쟁자를 보호하는 규정이며, 나아가 이 규정이 아닌 타 법에 의해서도 내부거래 규제가 가능하며, 과연 회사 고유의 경영상 목적으로 한 행위에 대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부당성이 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 등으로 이 규정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견해도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부당내부거래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다룬 후 부당내부거래의 성립요건 등 구체적인 규제 방법을 다루고 있다. 우선 부당지원행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법이 금지하고 있지 않은 내부거래와 구별되는 지원금액의 현저성과 거래의 부당성이 있어야 하고, 또 지원주체, 객체, 지원행위 등에 있어서 상당한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 부당성에 대해서 법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경쟁저해성 내지 경제력 집중의 야기로 공정한 거래가 저해될 우려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입장이다. 이 제도는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제도이고, 또 기업집단내 내부거래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지원금액의 현저성, 부당성 등을 입증하여 위법의 소지가 없는 기업 내의 내부거래가 아닌, 규정에 어긋나는 부당지원행위라는 것을 밝히기가 어려운 이유 등으로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나라마다 경제ㆍ문화적 특수성이 존재하고 경쟁촉진 및 공정한 경쟁을 보호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정책 수단을 나라별로 달라질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정거래법에서 부당내부거래를 금지하는 것은 타 법률이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목적이 있고, 이 제도는 우리나라에 고유한 대규모기업집단의 경제력 집중과 그 계열회사들이 차지하고 있는 시장에서의 독과점적 지위 및 문어발식 사업확장으로 인한 국민경제의 폐해라는 현실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부당내부거래에 대한 규제는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No one can deny that Korean conglomerat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in the period of economic growth. But in the course it's true that it produced harmful effects like competition restriction, distortion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o on. That is, it restricted market competition with the way of funds monopoly through guarantee of an obligation or investment in affiliate. On the basis of that it hindered market efficiency for reckless fleet-type management and made restric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responsible self management difficult for distortion of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it expanded its business lines as an octopus spreads its arms. As a result affiliate connected like web became accompanied weak when financial crisis ever recorded approached. So, Antitrust Law made newly an article that intended to regulation of undue intra-group transaction for fair trade and prevention from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This article have regulated noticeable support and undue intra-dealing. However there is a negative view that is not efficient. Because it protect not fair competition but competitors, and undue intra-group transaction can be regulated without it. Moreover they say that Fair Trade Commission cannot judge intra-dealing properly whether legal or not. This study handles necessity of regulation for undue intra-group transactions and specific regulations like conditions needed for undue intra-group transactions in such a situation.. First of all, it admits undue intra-group transactions with noticeable support and undue dealing distinguished from legal intra-dealing. And supporting main group, supported object and supporting act need considerable requisite. The court and Fair Trade Commision require hindrance of competition and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for undue intra-group transactions. This article is controversial issue because first it is unique in the world, second it needs to prove that the intra-dealing is noticeable support or undue dealing, but it's so difficult. But every country has economic, cultural speciality so they have different policy instrument to protect fair competition. And in Antitrust Law, regulation of undue intra-group transactionthere is characteristic purpose which cannot be replaced for other laws. This article is based on experience of economic harmful effect that made from conglomerate's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and affiliates' monopoly in the market. In conclusion this regulation on undue intra-group transaction have to be reinforced more.

      •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이주원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의 정도 및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서, 급속한 사회변화에 의해 가족구조가 변화되면서 어머니에 비해 등한시되었던 아버지 역할이 새롭게 인식되고, 정서적 부적응으로 인한 아동의 문제행동 또한 심각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자책에 대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G시에 위치한 2게의 초등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재학중인 5학년과 6학년 아동 338명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문제행동은 Achenbach(1991)가 개발하고 오경자 등(1998)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Youth Self -Report : K-YSR) 중 문제행동 증후군에 해당하는 문항을 척도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2일부터 10월28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 평균평점은 3.70±0.44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고 애정-적대 차원의 점수는 3.86±0.61점, 자율-통제 차원의 점수는 3.52±0.42점, 성취-비성취 차원은 3.69±0.49점, 합리-비합리 차원은 3.74±0.54점으로 각 차원별로 점수의 차이는 크게 없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보면, 아버지의 학력(F=7.905, p=.000), 아버지의 직업(F=2.961, p=.032), 부모관계(F=17.086, p=.000), 가족의 동거형태(F=3.450, p=.017)와 아버지의 가사참여 정도(F=12.253,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아동의 성별, 아동의 학년, 아동의 출생 순위, 아버지의 연령, 종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아동의 전체 문제행동 평균평점은 0.47±0.25점이고, 내재화 문제행동의 평균평점은 0.52±0.33점, 외현화 문제행동의 평균평점은 0.44±0.24점이었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의 하위영역인 우울/불안의 평균평점은 0.56±0.38점, 위축은 0.47±0.34점으로 나타났고,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영역인 비행의 평균평점은 0.17±0.18점, 공격은 0.56±0.29점으로 나타났으며, 우울/불안, 공격 영역의 문제행동 점수가 다른 영역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는 아동의 학년(t=-2.557, p=.011), 아버지의 학력(F=4.791, p=.009), 아버지의 직업(F=3.212, p=.023), 부모관계(F=10.145, p=.000), 아버지의 가사참여정도(F=6.128, p=.000)와 종교(F=3.499, p=.008)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아동의 성별, 아동의 출생순위, 아버지의 연령, 가족의 동거형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은 중 정도의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415, p=.000).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아버지는 자녀를 하나의 인격체로서 애정을 갖고 존중해야 하며, 일관된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자녀의 행동 및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따라서 학교와 지역사회에서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위해 아동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포함한 가족을 중심으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아동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하여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지니도록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In recent days, rapid advance in science and radical social changes have altered family structure, and the role of father is newly being accentuated, though that was overshadowed by the role of mother in the past. Children who are emotionally maladjusted give rise to more serious problems than before, and father's nurturing attitude is very crucial for the normal growth and behavior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 found their fathers to bring them up, how often they gave rise to problems and how their perception of the nurturing attitude of their fathers was related to their behaviors probl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8 fifth and sixth graders who attended two randomly selected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G, Gangweon province. To see how they perceived the parenting of their fathers, Oh Seong-sim and Lee Jong-seung(1982)'s scale was modified,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ere assessed' by the problem behavior syndrome segment of Oh Gyeong-ja, et. al.(1998)'s Korean standardized version of Achenbach(1991)'s Youth Self-Report, or K-YSR. The data were gathered from October 2 through October 28, 2004,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father parenting and problem behaviors. As for the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father parenting and their problem behaviors, t-test and ANOVA were implemented,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tilized to identify relations between father parenting and their problem behaviors. Concerning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its Cronbach α was figur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nurturing attitude of their fathers, they gave relatively high mean scores of 3.70 0.44 to that. Affectionate-hostile father's nurturing attitude scored highest(3.86 0.61), followed by rational-irrational father's nurturing attitude(3.74 0.54), achievement/nonachievement- oriented father's nurturing attitude(3.69 0.49) and autonomous-controlling father's nurturing attitude(3.52 0.42).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scores of the different father's nurturing attitude styles, and the children viewed the father's nurturing attitude of their fathers positively. 2.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 father's nurturing attitude of the fathers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hildren's view of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s, in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F=7.905, p=.000), occupation(F=2.961, p=.032), father-mother relations(F=17.086, p=.000), type of residence(F=3.450, p=.017), and extent of sharing household chores(F=12.253, p=.000). The gender of the children, school year, birth order, the age of the fathers, and relig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3. The children's overall behaviors problem were given 0.47 0.25 marks on the item average. The collective average of their internal behaviors problem was 0.52 0.33, and that of their external behaviors problem was 0.44 0.24. Their internal behaviors problem included depression/anxiety(0.56 0.38) and withdrawal(0.47 0.34). Their external behaviors problem contained delinquency(0.17 0.18) and aggression(0.56 0.29). They got higher scores i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4.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of the children, their behaviors probl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chool year(t=-2.557, p=.011), father educational level(F=4.791, p=.009), father occupation(F=3.212, p=.023), father-mother relations(F=10.145, p=.000), sharing household chores by father(F=6.128, p=.000) and religion(F=3.499, p=.008). But the gender of the children, their birth order, father age and type of residence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5. As to correlation between father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ren and their behaviors problem, every type of nurtur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ly moderate reverse correlation to every type of behavior problem of the children(r=-.415, p=.000).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father nurturing attitude might affect children's behaviors problem, and fathers should try to treat their children with affection and respect, to maintain good relations with mothers, and to bring their children up coherently in an autonomous, permissive, positive and democratic manner. This type of nurturing attitude seem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should provide counseling to not only problem children but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ir fathers. And fat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teach fathers to have a positive and consistent attitude to child rearing in order to let children stay away from behaviors problem.

      • 歸脾湯이 β-Amyloid에 의해 유발된 생쥐의 신경세포 자연사와 인지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츠하이머병은 베타 아밀로이드 (beta amyloid, Aβ)의 축적에 의해 인지기능 장애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약물은 개발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Aβ(1-42)가 주입된 생쥐에게 귀비탕을 투여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와 신경세포 자연사의 회복에 귀비탕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생쥐의 해마에 Aβ(1-42)를 주입한 뒤 귀비탕 물추출물을 3주간 경구투여 (500 mg/kg, 1일 1회)한 다음 Morris 수중미로를 사용하여 학습 및 기억 행동을 측정하였다. 뇌 해마의 CA1부위에서 cresyl violet 염색과 Aβ 침착을 통해 병리적 상태를 확인하고, 이로 인한 신경세포 자연사를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염색,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및 cysteine aspartic acid protease3 (caspase-3)를 통해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귀비탕은 Morris 수중미로의 학습훈련과 공간기억 유지실험에서 도피대 도달시간을 유의하게 단축시켰으며, 도피대 통과횟수와 도피대 위치 사분면에서의 수영시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귀비탕은 뇌 해마 CA1에서 신경세포층 두께와 신경세포 수의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고 Aβ 침착을 유의하게 줄였으며, 신경세포 자연사와 관련된, TUNEL 표지세포 수, Bax의 과발현 및 caspase-3의 과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여 귀비탕은 Aβ(1-42) 주입에 의해 유발한 생쥐의 기억장애를 개선하고, 뇌 해마 CA1에서 Aβ의 축적과 신경세포 자연사를 억제하였다. 신경세포 자연사는 Bax 및 caspase-3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에 의한 것으로, 이는 귀비탕이 신경세포 자연사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알츠하이머병에 효과적인 약물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Guibi-tang (GBT) on congnitive impairment and neuronal apoptosis induced by Aβ(1-42) injection in the hippocampus of the ICR mice. Methods : Aβ(1-42) was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unilaterally using Hamilton syringe and micropump (2 ㎍/3 ㎕, 0.6 ㎕/min). Water extract of GBT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500 mg/kg) for 3 weeks after the Aβ(1-42) injection. The acquisition of learning and the retention of memory were tested using the Morris water maze. Neuronal damage and 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was observed using cresyl violet and Congo red staining. In addition, anti-apoptotic effect of GBT was evaluated using TUNEL labeling and immunohistochemistry against Bax and caspase-3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Results : GBT significantly shortened the escape latencies in the acquisition training trials. In the retention test trial, GB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arget heading to the platform site and prolonged the swimming time spent in the target quadrant, and significantly shortened the time for the 1st target heading. GB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reduction of thickness and number of CA1 neurons and the 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produced by Aβ(1-42) injection. In addition, GBT significantly reduced the TUNEL-labeled neurons and attenuated the up-regulation of Bax and caspase-3 expressions in the hippocampu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GBT improved cognitive impairment by reducing neuronal apoptosis and 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Therefore, GBT may be a beneficial herb medicinal formula to treat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 하회별신굿탈놀이 연행의 변화 양상

        이주원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회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며 양반과 각성받이 민중의 풍속이자 놀이로서, 소통의 문화장치로 활용된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고려 중엽부터 800년이라는 시간을 이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유구한 세월을 이어오다 1928년 무진년의 별신굿을 마지막으로 하회별신굿은 명맥이 끊기게 되었다. 이후 하회별신굿탈놀이를 기록한 송석하, 최상수, 류한상, 성병희의 활약과 이창희의 고증, 하회가면극연구회의 노력으로 하회탈은 국보121호로 지정이 되었고,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지역문화의 표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 영향으로 안동시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축제’를 기획했으며, 안동시와 하회마을 관광객 유치의 일환으로 1997년 경상북도와 안동시의 지원 아래 하회마을 ‘하회별신굿탈놀이 전수관’에서 상설공연을 시작하게 되었다. 20여 년이 훌쩍 지난 지금, 세월의 흐름과 관객과의 소통에 따른 하회별신굿탈놀이 연행의 변화양상들이 포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연희자가 의도한 바도 있겠지만, 그 중에는 즉흥적 연행이 굳어져서 생긴 변화도 있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구전되던 연행과 상황에 따라 변형된 연행이 모호하게 혼재되어 전승되고 있다. 근래 시도되는 즉흥적 연행이 오랜 세월을 이어온 전통인 양 여겨질 우려도 그만큼 커졌다. 그럴수록 하회별신굿탈놀이 연행의 전형성을 고찰하는 작업과 더불어 연행의 변화양상과 그 과정을 면밀히 따져 살피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가 일종의 만들어진 전통이라 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들이 부정적이라는 주장을 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연행이 변화된 부분과 그 변화의 원인을 따져 보려는 것이다.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전형을 간직한 채로 동시대의 의미와 맞물려 자연스레 변화를 거듭해왔다면, 이러한 현장성은 오히려 생동감 있는 연희로서 탈놀이의 본질을 더욱 건강하게 지속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하회별신굿탈놀이의 변화양상과 그 요인에 주목하여 논증하였다. Ⅱ장에서는 하회마을에 구전되는 설화를 통해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유래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역사적 자료가 되는 송석하의 사진자료와, 최상수, 류한상, 성병희의 채록본을 검토하였다. 기록된 자료는 하회별신굿탈놀이 전승자들이나 연행의 고증을 위한 면담자, 조사자가 처한 상황 등에 따라 일맥상통하기도 하고 상이한 부분도 발견되었다. 또한 여기에는 탈놀이에 대한 증언자나 조사자의 견해나 관점도 담겨있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 무형문화재 지정을 기준으로 그 전후의 채록본이나 조사자료를 비교하여,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전승양상과 복원과정에서 일어난 변화양상도 파악하였다. 본고에서 류한상의 조사 활동과 하회가면극연구회의 발굴 활동, 이창희의 발굴 이후 성병희를 주축으로 한 복원 활동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하회별신굿탈놀이 각 채록본의 다양성과 채록본이 정리되던 당시의 상황, 연행의 현장성을 이해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상설공연 이후의 변화양상에 대해 춤과 음악, 마당구성과 재담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상설공연 초기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지금과 같은 형태를 갖추지 못하였다. 상설공연이 진행되면서 연행자의 새로운 도전과 시도를 통해 2000년대에 이르러 현재의 연행이 고착되기 시작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변화가 발생한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변화의 요인은 크게 관객의 반응에 따른 즉흥성과 현장성, 단체와 개인의 예술적 지향성, 동시대성의 수용에 의한 것으로 나누어 살폈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의미를 고찰하고, 하회별신굿탈놀이 전승에 있어서 보존회가 처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짚어내고, 보다 발전적인 탈놀이 계승 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하회별신굿탈놀이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시기들을 나누어보면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는 1980년부터 1997년까지로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상설공연 시행 이전까지의 시기이다. 제2기는 1997년부터 2010년까지로, 이 시기에는 상설공연 이후와 보존회원의 영입이 활발했고, 공연활동이 대폭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제3기는 2010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로, 보존회원이 고령화되면서 보존회의 주요 배역이 전환되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시기 중에서도 2기에서 3기까지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상설공연을 통해 확장된 춤사위와 음악, 재담, 마당의 구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서술하고 그 변화를 만들어낸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별신굿이 성행하던 시절, 탈놀이판이 열릴 때마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각양각색의 볼거리를 선사했다. 오늘날 하회별신굿탈놀이도 그 당시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변화하고 있다. 본래의 모습을 잃지 않으면서도, 관객의 요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 생동하는 변화의 모습을 포착하고 시의적절한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여, 과거의 하회별신굿탈놀이가 그랬듯이 동시대를 담아내는 연희로 발돋움하길 바란다. 본 연구자는 1999년부터 보존회 회원으로서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전승해왔다. 이와 병행하여 탈춤을 중심으로 작품을 창작하는 전업예술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하회별신굿탈놀이를 바라보는 내부자적 관점과 외부자적 시각을 두루 포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존회에 소속된 연행자의 주체적인 활동을 주목한 것도 그 때문이다. 이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격려를 아끼지 않고, 전폭적인 지원을 해 준 하회별신굿탈놀이 보존회원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Hahoe Byeolsingut Talnori(Hahoe Mask Dance Drama) that was utilized as a cultural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ristocrats and the people by praying for abundance and well-being of Hahoe Village, has been continued till today for 800 years from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Hahoe Byeolsingut Talnori was discontinued after the last performance in 1928. After that, thanks to great efforts by Song Seok-Ha, Choi Sang-Su, Ryu Han-Sang, Lee Chang-Hee, and Seong Byeong-Hee who recorded and testified Hahoe Byeolsingut Talnori, and the Hahoe Byeolsingut Talnori Research Society, Hahoe Mask wa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121, and Hahoe Byeolsingut Talnori wa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Since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Hahoe Byeolsingut Talnori has been settled down as a symbol of regional culture. Owing to the influence, Andong-si planned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and as a part of attracting tourists to Andong-si and Hahoe Village, the regular performance began in the ‘Hahoe Byeolsingut Talnori Training Center’ under the support from Gyeongsangbuk-do and Andong-si in 1997. After more than 20 years from that time, there are aspects of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according to the time flow and communication with audience. Besides the changes intended by performers, some changes were caused when the improvisatory performance was fixed. As a result,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nd transformed performance are ambiguously mixed and passed down. It means the recently-created improvisatory performance could be regarded as tradition continued for a long time, which is a great concern. The researcher does not aim to argue that the created tradition is negative. The researcher just aims to examine the changed part in the performance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and causes for the change. If Hahoe Byeolsingut Talnori has been properly changed by maintaining its quintessence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meaning, the siteness works as a foundation for healthily maintaining the essence of mask dance drama. In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and demonstrated the aspect of change and the factors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First, Chapter Ⅱ examined the origin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through the tale orally passed down in Hahoe Village. Second, it reviewed the written records by Choi Sang-Su, Ryu Han-Sang, and Seong Byeong-Hee, and photo materials by Song Seok-Ha as historical data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The written records contained the researchers’ view on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and interviewees of the time. Third, it examined the research activity by Ryu Han-Sang, discovery activity by the Hahoe Byeolsingut Talnori Research Society, and restoration activity led by Seong Byeong-Hee after Lee Chang-Hee’s discovery. The processes above revealed the siteness of performance and diversity of each written record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It wa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e aspect of change occurred in the restoration process and the aspect of transmission of Hahoe Byeolsingut Talnori before it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Chapter Ⅲ mostly examined the aspect of changes in dance, music, composition of episode, and wordplay after the regular performance. In the early stage of regular performance, Hahoe Byeolsingut Talnori was not equipped with the current form. As the regular performance was progressed, the current performance started to be fixed in the 2000s through performers’ new challenges and attempts. Chapter Ⅳ analyzed the factors of the changes shown in Chapter Ⅲ. The factors of the changes were largely divided into improvisation and siteness according to audience’s response, artistic orientation of group and individual, and acceptance of contemporariness. Chapter Ⅴ considered the meanings of such changes, and wrapped it up by making suggestions on Hahoe Byeolsingut Talnori. The periods that showed remarkable changes in Hahoe Byeolsingut Talnori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period 1 is from 1980 to 1997, from the designation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to before carrying out the regular performance. The period 2 is from 1997 to 2010, which includes the time after regular performance, active recruit of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and sharp increase of performance activity. Lastly, the period 3 is from 2010 to 2022(present), when the main casting is changed as the members of preservation society are aged. Among the periods of such changes, this thesis mainly handled the changes from the period 2 to the period 3. This thesis described how the dance movement, music, wordplay, and composition of episode expanded through regular performance were changed, and the factors that brought about such changes. When Byeolsingut was prevalent, Hahoe Byeolsingut Talnori presented all sorts of spectacles whenever the mask dance drama was held. Today, Hahoe Byeolsingut Talnori is still changing even though it is not as much as the time. In the future, it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udiences’ needs or time change, without losing the original look. Just as Hahoe Byeolsingut Talnori did in the past, hopefully, it could be growing into performance containing the contemporary period by capturing the vibrant look of change and seeking for the direction of timely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