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 경험에 관한 연구

        박영욱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로서 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가 발달장애인을 지원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 경험의 실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의 현주소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에 대한 사회복지학적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에서부터 전문가들의 해석까지 다양한 관점들을 개관하고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전반적인 맥락을 논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제 양상을 긍정적, 부정적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지원함에 있어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역할과 기능, 종사자의 정체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내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는 종사자 6명으로 이들은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와의 인터뷰는 시설로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1인당 80분에서 120분이 소요되었다. 연구 결과, 6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통합하여 23개의 하위범주와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8개의 범주는 ‘자기결정권 지원을 통한 종사자의 긍정적 변화’, ‘자기결정권 지원 촉진을 위한 노력’, ‘종사자 측면의 저해요인’, ‘보호자 측면의 저해요인’, ‘기관 측면의 저해요인’, ‘환경적 측면의 저해요인’, ‘이용인 측면의 긍정적 변화’, ‘이용인 측면의 저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이라는 시설유형에서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에 관한 새로운 시도를 도모하고 있었다. 이 경우,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당사자의 당연히 권리라는 측면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지만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프로그램 지원과 활동하는 삶의 현장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이 종사자, 보호자, 기관의 안전규정 등에 의해 통제되거나 무시되고 있는 현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자기결정권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화된 지원방침이나 실제적인 지원매뉴얼이 부재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종사자 개인의 의지나 노력에 의해 존중되거나 무시될 우려가 매우 컸다. 사회복지의 가치로서 이용인의 자기결정권 존중은 기본적인 가치임에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는 발달장애인 이용인의 자기결정권이 존중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었으며, 자기결정권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딜레마 상황들에 대해서도 지원에 관한 기준점이 없어 개별 종사자의 판단에 맡겨진 상황이었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발달장애인도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자로서 자신의 권리로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며 자기결정권 행사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이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정체성을 고민하는 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실천현장에서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존중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당사자의 당연한 권리라는 관점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수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전제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권 존중이 첫 번째 지원원칙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이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을 지원하는 종사자들은 자기결정권 지원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의 당연한 권리라는 인식으로 서비스에 임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 두 번째, 발달장애의 특성에 관한 전문 교육시스템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들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기초지식이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발달장애인 이용인의 자기결정권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을 만나기 전에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 비전문적인 서비스가 아닌 전문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발달장애 전문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세 번째, 자기결정권 지원매뉴얼같은 교육자료의 필요성이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 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이 필요하다. 현 시점에서는 시설의 규정이나 시설장의 의지 그리고 종사자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자기결정권 지원이 좌우되고 있다. 그러기에 체계적인 지원매뉴얼이 갖춰진다면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행사가 종사자의 권력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자기결정권 행사의 권리를 확보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보호자 대상의 자기결정권 인식개선 교육을 제안한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는 보호자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 보호자의 인식변화 없이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권 증진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장애자녀의 자기결정권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 번째,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환경구축, AAC 지원센터를 제안한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진 이용인들이 많다. 자기결정권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완할 수단이 필요하다. AAC의 환경구축을 통해 의사소통장애의 어려움은 일정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지역이나 권역별 AAC 지원센터를 구축하여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이용인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고 적합한 AAC를 만들어서 시설에 보급하여 주고 활용방법을 안내해준다면 이용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일조할 것이다. 여섯 번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자기결정은 경험이 필요하다. 경험을 통해 자기결정이 확대된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장애인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훈련지원 사업으로 편성하여 자기결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증의 발달장애인도 학습을 통해 더 많은 경험을 하면 자기결정권의 발휘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일곱 번째, 시설 서비스 규정의 보완을 제안한다.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과 보건복지부의 사업안내에는 구체적인 시설 서비스의 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용장애인의 위험 감수에 대한 기관의 판단이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선택권의 보장 등 자기결정권 지원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련 법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먼저는 의사소통 환경구축으로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서의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법규 신설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간판, 표지판, 게시판, 안내문, 상점의 메뉴 등이 보완대체의사소통의 방식으로 표기되어야 하며, 보완대체의사소통으로 소통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야 한다. 또 하나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 5]의 개정이 필요하다. 현재 종사자 ‘3명 이상’의 규정에서 직책과 직급을 구분하여 시설장, 중간관리자, 사회복지사, 사무직, 기능직(운전, 조리)으로 편성된 구체적인 종사자 배치기준을 담아 변경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사(사회재활교사)의 경우에는 장애인 3명당 1명의 획일적인 배치가 아니라 이용장애인의 지원정도에 따라 1대 1, 2대 1, 3대 1 배치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서비스의 고객이라는 관점으로 변화되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권리가 존중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제언을 하였지만 향후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정책적으로 실천 현장에 적용되어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이다. 후속 연구로 전국의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를 포괄한 연구가 진행되거나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시설장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발달장애인 당사자를 대상으로 당사자 관점에서의 자기결정권 지원 실체를 연구하는 것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xperience of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for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as a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the disabled.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eply apprehended, and the social welfare meaning of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identified. To this end, This study described the overall context by examining various perspectives from the general perspective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e interpretation of experts.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f social discourse surround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amined.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ole and function of disabled day care center necessary to support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sabled day care center, and the identity of work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social workers who suppor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a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for these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August 2022.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y visiting the facility directly, and it took 80 to 120 minutes per person. As a result of the study, 66 concepts were derived, and 23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were derived by integrating these concepts. The 8 categories are 'Positive change in social workers through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Efforts to promote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indering factors from the social worker's side', 'Hindering factors from the guardian's side', and 'Hindering factors from the day care center side' ', 'Hindering factors from environmental side', 'Positive changes in users', and 'Hindering factors from users' appeared. The discussion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ype of facility called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a new attempt was being made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case,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natural right of the person concerned. However, in the field of support and activities of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controlled or ignored by the workers, guardian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and there was no systematic institutionalized support policy or practical support manual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lthough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users as a value of social welfare is a basic value, the reality is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ot respected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support for various dilemma situation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also provided. There was no reference point for this, so it was left to the judgment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Social awareness needs to be changed so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can also receive the support necessary for exercising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s users. This may be a point to consider the identity of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a paradigm of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be converted. The view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natural right of the person concerned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first support principle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do not have basic knowledge abou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people can receive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and be put into service sites. Third, it is suggested to produce a manual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re is a need for guidelines that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an refer to when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ight to exercis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must be secured through the production of systematic support manuals. Fourth, propose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guardian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deeply related to the involvement of guardians. It is difficult to promot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out changing the perception of guardians.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t change. Fifth,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he AAC support center is proposed. Man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have difficulties in verbal communica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hould be premised on communication, but a means to supplement verbal communication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AAC environment. Sixth, the development of a self-determination program is suggested. Self-determination requires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is expanded through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lf-determination program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suppor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earn. Seventh, supplementation of day care center service regulations i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day care center service regulations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d the business guid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tents on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uch as the agency's scope of judgment on risk taking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choose when operating the program, should be added. Finally,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law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ignboards, bulletin boards, notices, and shop menus in the community should be marked a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local community, the notation, explanation (guidan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hould be secured legally.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manpower to support self-determination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ppendix 5], specific social worker placement criteria should be created by distinguishing the position and rank from the regulation of ‘more than 3 social workers’. In the case of social workers, it should be changed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one-to-one, two-to-one, and three-to-one plac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disabled, rather than one uniform assignment for every three disabled people.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t is expected that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be changed from the point of view of being a customer of the service,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be respected. Although variou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purpose,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in terms of policy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in the futur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break away from regional limitations.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includes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nationwide.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that targets the facility manager. It should also be done to study the self-determination support 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주거환경이 독거노인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화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서우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11

        고령화에 따른 사회변화는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세계적인 고령화의 영향으로 OECD 경제개발협력기구의 사회보장 회의에서는 노인 케어와 관련하여 Aging in Place를 언급하였다. Aging in Place는 ‘기존의 친숙한 거주 지역에서의 지속적인 삶의 유지’라는 의미이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를 경험한 복지선진국에서는 ‘Aging in Place(지역사회 내 거주)’를 고령사회 노인의 지속적인 삶의 질 유지 및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설정하였고, 주거복지정책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주거 취약계층인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를 향상하고자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이 지역사회 내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복지정책과 복지서비스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독거노인 436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이 독거노인의 노화불안 및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p<.05를 기준으로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주의식이 높았다. 주거환경만족도 하위영역의 경우 주택환경만족도, 지역사회환경만족도, 이웃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주의식이 높았다. 하지만, 지역서비스접근성만족도는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환경기준에 적합할수록 정주의식이 높았다. 둘째,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졌다. 주거환경만족도 하위영역의 경우 주택환경만족도, 이웃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졌지만, 지역사회환경만족도와 지역서비스접근성만족도는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환경기준은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지고, 정주의식은 높아졌다. 주택환경기준에 적합할수록 정주의식이 높아졌지만, 노화불안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주거환경만족도와 주택환경기준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화불안을 통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에 독거노인의 정주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주거복지정책 및 실천방안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를 추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노인주거복지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확대이다. 둘째, 안전하고 쾌적한 지역사회환경의 조성이다. 셋째, 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소통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교류가 자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지역서비스접근성 강화이다. 다섯째, 주택환경기준에 적합한 주거지원이다. 여섯째, 노인에게 적합한 물리적 구조, 성능 및 환경에 대한 주택환경기준의 제도적 보안이다. 일곱째, 사회 전반적으로 노화에 대해 사회적 인식 및 분위기의 개선,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이 지역사회 내 안정적으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Aging in Place 관점의 지역사회 통합 돌봄 체계를 구축하여 커뮤니티 케어를 실천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ocial change due to aging is a common phenomenon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of the global aging population, Aging in Place was mentioned in relation to senior care at the OECD Social Security Conference. Aging in Place means 'continuing to live in an existing familiar residential area'. "Aging in Place" was set as a way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 citizens in an aged society, and presented in a direction toward housing welfare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aging anxiety on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rough this, we are proposing to develop community welfare policy and welfare services program so that the elderly can continue to reside in the community. To that end, 436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in Suwon City were surveyed on the impa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n aging anxietyand Settlement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pond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layout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tur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sed on a significant level of .05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In the detailed areas of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satisfaction level,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However, satisfaction with local service accessibility has not been shown to affect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more suitable it was for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Second, the effe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n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less aging anxiety. In the detailed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higher th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satisfaction level, the lower the aging anxiety, and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local service accessibility satisfaction level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aging anxiety.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do not affect aging anxiety. Third, it is the mediated effect of aging anxiety in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ower the anxiety of aging, and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more suitable the housing environment standard,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but the less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medi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understanding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and housing environment standard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by checking the mediated effects of aging anxiety. It is meaningful that has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and provided the basis for housing welfare policies and measures to implement them. In order to promote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rough this study, the elderly housing welfare polic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an expans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Second, the creation of a safe and pleasant community environment. Third, it should set up a forum for communication and exchange among senior citizens in the community, and ensure that exchanges can be activated on their own. Fourth, strengthening access to local services. Fifth, there is a need for policy and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for housing sources suitable for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Sixth, institutional security of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is needed for physical structure, performance and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elderly. Seventh, there is a need for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of mood and expansion of education about the aging of the elderly as a whole in society. This suggests that community care should be implemented by establishing a community integrated care system from the Aging in Place perspective so that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can continue to reside in the community.

      •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와 체화 경험

        김용진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와 체화 경험을 살펴보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는 어떠하며, 자립관의 체화된 경험은 무엇인가?’로 근거이론(Strauss & Cobin, 1998)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를 근무경력 10년 이상의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6년 8월 2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6일부터 2016년 11월 11일까지 2개월에 걸쳐 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6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통합한 21개의 하위범주가 나왔으며,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 패러다임의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인권문제에 대한 사회적 각성’이었고, 핵심현상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함’이었다. 결과는 ‘자립패러다임의 실천의지’, ‘삶의 다양성 찾기’로 나타났다.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함에 대한 과정은 ‘자립패러다임 직면에 따른 소극적 순응’, ‘변화 모색의 단계’, ‘시도의 단계’, ‘조류에 따라감’의 4단계로 분석되었다. 첫째, ‘자립패러다임 직면에 따른 소극적 순응’은 중증장애인의 개인 신변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케어위주의 재활모델이 주가 되는 단계다. 둘째, ‘변화 모색의 단계’는 자립패러다임 및 정책의 변화를 인식하고 새로운 모색을 하게 되는 단계다. 셋째, ‘시도의 단계’는 이용인의 자립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지원하는 단계다. 넷째, ‘조류에 따라감’은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자립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경험을 쌓고, 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과 선택권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면서 장애인 당사자주의에 보다 더 접근하게 된 단계다. 선택 코딩에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 ‘적극 추진형’, ‘현실 수용형’, ‘대처 취약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적극 추진형’은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전환에 따른 과정에서 매사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거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개선책과 자구노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는 유형을 의미한다. 적극 추진형의 장애인자립관은 모든 형태의 자립지원을 염두에 두고 장애인 자립의 가능성을 폭넓게 지지하고 실천하는 자립 모델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현실 수용형’은 전체적인 흐름의 맥락을 이해하고, 점진적인 수용을 통해 변화를 받아들이는 유형을 의미한다. 선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는 못하지만, 주위의 변화에 반응하고 자신의 시설 안에서 수용하고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고민한다. 시설의 재활모델 기능에 대한 우호적 성향과 자립 모델의 현실적 수용이 동시에 보이는 이원화된 자립관을 나타낸 제한적 자립모델의 유형이다. 셋째, ‘대처 취약형’은 해결책과 방안을 찾아 내지 못하고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미래와 전망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실행력이 낮은 유형이다. 대처 취약형의 자립관은 재활모델의 우월성을 강조하지는 않지만, 자립모델의 경험과 실천의지가 약한 제한적 재활모델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수행과 그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인권침해의 사회적 비판과 투명성 확보를 요구하는 사회적 개입에 종사자들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 둘째, 자립패러다임 실천의 첫 단계로 거주시설 환경 개선과 지역사회 거주체험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셋째,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지역적 한정 및 이에 따른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사무국장 유형화에 따른 분석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시설장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성과 사무국장과의 역동성에 따른 복합적인 경험들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고, 자립패러다임 실천을 선도하는 시설 종사자(시설장, 사무국장)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함께 제안한다.

      • 시설장이 인식하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인력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김남선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d direct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practical problems regarding manpower operation, education, facility management,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in the operation of brain lesions. Urrently, the guidelines for changing the standards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rom 3 disabled to 1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 are given, but there are many facilities subject to the standards of 4 disabled people in 2021. Accordingly, is the current manpower standard for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ppropriate for supporting the disabled by type of disability and facility operation?Through the question,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problems of facility operation, solutions, and system improvements through the operation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brain lesions (2 people), day care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1 pers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tailed manpower allocation standards such as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types are required to provide specific manpower support for the provision of customized day care services for each type of day care fac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acility area and facility standards. Currently, the standard of 66㎡ or more is installed and operated with a minimum floor area, so the space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eparate space due to challenging behavior, a rest space for workers, and an activity space for brain lesion users. In the case of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the area of facilities suitable for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for securing spaces per person by referring to regulations that require more than 6.6㎡ of living room or bedroom space per person. Third, the expansion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cluding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expansion of facilities by reflecting research on needs of each field and policies subdivided through surveys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Korea Association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unit price of services and usage fees supported by region and facility type. Through a nationwide single standard service, the quality of unbalanced services by region should be improved, and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lowest standard for providing services without discrimination by type should be prepared.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facilities, support support manpower,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orkers through activ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operating entitie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employment of workers, train professional manpower according to long-term service, and continuously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본 연구의 배경은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특화되어진 형태의 뇌병변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최중증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중고령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시설장이 세분화되어진 형태의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에 있어 인력 운영, 직원 및 교육, 시설 관리 및 운영, 지자체 지원 등에 대한 다방면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에 따른 향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다양한 유형의 시설의 신설과 운영의 방향성을 이끌어 보고자 하였다. 현재 ‘2022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3권)’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에 의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인력기준이 이용 장애인 3명에 사회재활교사 1인으로 기준이 변경되어진 지침이 하달되어져 있지만, 현장에서는 2021년도 이용 장애인 4명에 사회재활교사 1인의 기준을 적용 받는 시설이 다수일 것으로 보여지며, 위에서 언급되어진 뇌병변, 최중증, 중고령 등의 유형별, 장애정도, 생애주기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주간보호시설이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업무 강도, 서비스 제공 등에 따른 인력 지원기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한 합리적인 인력지원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현행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인력 기준이 장애유형 및 시설 운영별 이용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인력지원 기준은 적정한가?에 질문을 통해 뇌병변 장애인주간보호시설(2명), 최중증 장애인주간보호시설(1명), 중고령 장애인주간보호시설(1명) 운영을 통한 인력 운영 기준에 따른 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 제도의 개선점 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별 맞춤 주간보호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 인력지원의 기준을 마련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의 업무 강도와 서비스, 프로그램 향승을 위해 인률적인 인력기준이 아닌 장애특성과 시설의 형태 등의 세분화되어진 인력배치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시설 면적 및 구비시설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연면적 66㎡ 이상의 기준을 최소로하여 설치되어 운영되도록 되어 있어서 공간이 협소하고, 도전적 행동 등으로 인한 분리 공간 부족, 종사자 휴게 공간 및 뇌병변 이용자의 활동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 노인 주・야간보호시설의 경우는 시설 연면적 90㎡ 이상의 공간과 이용정원이 6명 이상인 경우에 1명당 6.6㎡(약 2평) 이상의 생활실 또는 침실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하는 규정을 참고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 맞는 시설 면적 및 1인당 확보 공간등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유형 및 정도, 최중증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확충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한국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 등에서 실시되어지는 실태조사를 통해 세분화되어진 분야별 욕구 조사를 반영한 연구 및 정책 반영을 통한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별, 시설 유형별 지원되고 있는 서비스, 이용료 단가 등이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국적인 단일화된 표준서비스를 통해 지역별 불균형된 서비스의 질을 높이며, 유형별 차별성 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저기준의 평가기준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운영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한 시설 확충 및 지원 인력 지원,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종사자의 안정된 고용, 장기근속에 따른 전문 인력 양성, 지속적인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될 것이다.

      •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정한별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을 산물분석의 방법인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2019년 장애인학대 현항을 통해 살펴본 바 장애인학대는 신고의무자에 의해 신고가 되는 비율이 높으며, 신고의무자이기도 한 장애인복지시설의 종사자에 의해 장애인복지시설 안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다른 영역의 학대보다 높게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대 현황과 아울러 국내의 장애인학대 지원정책에 대해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을 이용하여 할당, 급여, 전달체계, 재원의 차원에서 정책을 분석하였다. 주요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의 할당은 가장 먼저 피해장애인과 그 가정 그리고 학대행위자이다. 여기서 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등록장애인 뿐만 아니라, 미등록장애인도 포함한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학대 피해를 당한 장애인과 정부의 정책방향과 지침, 조례에 따라 인권침해를 당한 장애인도 정책의 수급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둘째,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의 급여는 현금과 서비스가 있다. 현금급여로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피해장애인쉼터의 운영을 위한 비용이 있다. 이 외에 법률에 의해 장애인학대 피해자에게 현금을 지급할 수 있는 제도는 없다. 학대피해자를 위한 서비스에는 의료지원, 심리지원, 거주지원, 사법지원, 복지지원 및 기타지원이 있으며 피해장애인쉼터에 입소한 경우 임시보호와 사회복귀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셋째,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의 전달체계는 행정기관, 집행기관, 협력기관으로 구별할 수 있다. 행정기관 중 보건복지부는 정책을 수립하고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지침을 마련한다. 광역시도는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위탁하고 지원 및 관리를 하고 있다.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협조하여 학대를 예방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집행기관은 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피해장애인쉼터가 있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장애인학대를 예방하고 피해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지역 간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업무를 실시한다.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학대를 당한 장애인의 발견, 보호, 지원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넷째,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의 재원은 국비와 지방비로 나눌 수 있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국비 50%와 지방비 50%로 운영되고 있다.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할당차원의 제언으로 인권침해 전반에 대한 지원의 법적근거 마련, 장애인학대 예방 및 신고의무 교육의 의무화가 필요하다. 둘째, 급여차원의 제언으로 행위자 지원의 근거 마련, 피해자 주거지 노출을 막기 위한 주민등록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전달체계 차원의 제언으로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및 피해장애인쉼터의 추가설치와 인력증원, 유관기관과의 협력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재원 차원의 제언으로 앞에서 제시한 개선을 위한 재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the abuse support policy for the disabled was identified and an alternative solution was sought by analyzing the support policy for the abuse of the disabled using the policy analysis frame of Gilbert와 Terrell, a method of product analysi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abuse of the disabled in 2019,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e of abuse of the disabled reported by the person obligated to report is high, and the rate of abuse at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reported by the workers who are also obligated to report is higher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o the current status of abuse, the policy was analyzed in the dimensions of allocation, salary, delivery system, and financial resources using Gilbert and Terrell's policy analysis framework for domestic support policies for the abuse of the disabl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llocation of support policies for the abuse of the disabled is the victim and their family, and then the abuser. Here, the disabled includes not only registered disabled persons according to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but also non-registered person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a very large limit to the possibility of arbitrary judgments of the specialized abuse agency as it is stipulated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re only required to cooperate with the specialized abuse agencies of each area. Th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includes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abused in accoradance with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and those who have suffered human rights vio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s, guidelines, and ordinances. Second, the benefits of the disability abuse support policy include cash and services. Cash benefits include expenses for the operation of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helters for the disabled victims. There is no other system of which cash can be paid to victims of abuse of the disabled by law. Services for victims of abuse include medical support, psychological support, residential support, judicial support, welfare support and other support, and temporary protec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upport services are provided when they enter a shelter for the disabled victims. Third, the delivery system of policies for supporting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be distinguished into administrative agencies, enforcement agencies, and cooperative agencies. Among administrative agenci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es policies and prepares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A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 entrusts, supports, and manages the Local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ic local governments play a role in preventing abuse and supporting in cooperation with Local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enforcement agencies includ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helter for disabled victims. In accordance with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th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established to prevent abuse of the disabled and support the disabled victims. The National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stablishes a linkage system between regions and conducts tasks to prevent abuse. Local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in charge of finding, protecting, and suppor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abused. Fourth,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support policy for the abuse of the disabled can be divided into national and local expenses. Th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operated with 50% national expenses and 50% local expen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Gilbert and Terrell's policy analysis framework. First, with the suggestion of allo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egal grounds for support for overall human rights violations and make mandatory education on prevention and obligation of reporting of disability abuse. Second, with suggestions for salar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sidents Registration Law to prepare a basis for supporting wrongdoer and prevent exposure of victims‘ residences. Third, with suggestions at the level of the delivery system, there must be additional facilities and increased manpower at th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helters for disabled victim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secure funds for the improvement proposed earlier by the financial resources-level proposal. Th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includes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abused in accoradance with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and those who have suffered human rights vio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s, guidelines, and ordinances. Second, the benefits of the disability abuse support policy include cash and services. Cash benefits include expenses for the operation of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helters for the disabled victims. There is no other system of which cash can be paid to victims of abuse of the disabled by law. Services for victims of abuse include medical support, psychological support, residential support, judicial support, welfare support and other support, and temporary protec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upport services are provided when they enter a shelter for the disabled victims. Third, the delivery system of policies for supporting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be distinguished into administrative agencies, enforcement agencies, and cooperative agencies. Among administrative agenci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es policies and prepares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A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metropolitan city and

      • 취업성공패키지 지원 서비스 만족도가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년층을 중심으로

        이현주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Representative litigation conspicuous lawsuit policy in Korea The study related to the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of one person has been completed during the meantime, and those who continue the research show the situation that our research is not supported at the moment It is. The research method provides services to support job hunting activities from November 05, 2017 to November 22 to 18. Employment success package To analyze that the tolerance of support services affects the efficiency of employment, we examin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nd the efficiency of employment, whether the result of corruption inspection is imminent. Also tolerance of measurement tool in feeding success clothing support service will criticize a strange analysis. 'The grace of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of the food service means knowing the level of salary, and eating food analyzes the priority of work and supports employment. 'Work Successful Packaging Support Service Tolerance is Hope Orthogonality Match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and apology are known. A straight match was obtained. 'Employment Success Package The grace of support service can withhold employment work period by less than 3 months in the period of employment. Probability of less than 3 months. 'The responsibility for employment support servic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the most important of modern economic activities. Probability of less than 6 months. 'Tolerance of Employment Successfully Packaged Support Services limits occupational tolerance to 34 deductions of 4 digits. There is a possibility of service and employment. 'The service capacity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requires a probability of 300 pounds or more to protect professionally acceptable effects. Probability less than 300 people. 'Foodservice childcare support service tolerance allows you to dispose of 4th grade cannabis who know that you know the seed event. I am swollen with satisfacti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of the food industry confirmed that it displays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employment outcome of the restaurant industry.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support service ¬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scale of influence of employee service, willingness to work, employment intention. Ever since then, there is a similar person.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better understand and complement the educational process and educational content. Collection. Provide informatio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mployment assistant. Please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ruth of the joint associate party of true setting and inspection. 우리나라의 근로 연계 복지는 서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적극적 복지 국가로의 재편 작업과 무관하지 않다. 적극적 복지국가란 수급 대상자 와 급여수준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의 상당수를 노동시장에 편입시켜 수급자 개인의 노력과 책임에 따라 사회적인 위험에 미리 대처하고 자신들의 복지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 점에서 한국의 근로 연계 복지는 수급대상을 확대함과 동시에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를 노동시장으로 편입시키기 위한 조건부 근로형태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김명희.2016) 대표적인 근로복지 연계 복지 정책 중 하나인 취업성공패키지에 관련한 연구는 그간 꾸준히 있어 왔다. 직업훈련 단계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와, 근로복지 연계 정책의 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한 연구, 프로그램의 단계별 평가를 통한 효과성의 검증한 연구등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이어져 왔으나, 취업성공 패키지의 세부 지원 서비스의 각 항목에 따른 효과성이 얼마나 있으며,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취업성공패키지는 각 단계별로 지원 서비스 내용이 상이하게 다르고 실제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보면 참여자들의 단계별 각기 다른 반응을 확인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의 만족도에 따라 취업성과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 지를 설문지를 통해 확인하여 실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상담사들과 관련 기관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진행을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발전적인 방향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7년 11월 05일~11월 22일까지 18일간에 걸쳐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를 받은 취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총 301부를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가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취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취업성과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취업자 개인적 특성에 따라 취업성과의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검정하기 위하여 카이스퀘어검정(-test)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분석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급여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가설은 직업선호도 검사해석 서비스와 취업알선 지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을수록 급여수준이 200만원 미만일 확률이 낮아졌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급여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최종학력이 고졸이거나 전문대졸일 경우 급여수준이 200만원 미만일 확률이 높아졌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희망직무 일치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은 교육훈련 서비스와 직업선호도 검사해석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희망직무가 일치할 확률이 높아지고, 취업알선 지원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희망직무가 일치할 확률이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희망직무 일치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서울경기 지역의 거주자이고 고졸인 경우 희망직무가 일치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취업소요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은 교육훈련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소요기간이 3개월 미만일 확률이 높아졌으며 진로설정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소요기간이 3개월 미만일 확률은 낮아졌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취업소요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연령이 34세 미만이거나 자격증 수가 2개 이하인 경우 취업소요기간이 3개월 미만일 확률이 높아졌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근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교육훈련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근속기간이 6개월 미만일 확률이 높아졌으며, 취업알선 지원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근속기간이 6개월 미만일 확률이 낮아졌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근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연령이 34세 미만인 경우 근속기간이 6개월 미만일 확률이 높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직장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가설은 34세 미만이거나 4년제 대졸자에 비해 고졸, 전문대졸이거나 자격증수가 2개 이하인 경우 내국인 사업체에 근무할 확률이 높고, 진로설정 서비스와 취업알선 지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유형이 내국인 사업체일 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직장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연령이 34세 미만이고 최종학력이 고졸, 전문대졸인 경우, 자격증수가 2개 이하인 경우에 내국인 사업체에 근무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직장규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4년제 대졸자에 비해 전문대졸인 경우 직장규모가 300인 미만일 확률이 높고, 교육훈련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규모가 300인 미만일 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확일할 수 있었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직장규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최종학력이 전문대졸인 경우 직장규모가 300인 미만일 확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종사상 지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4년제 대졸자에 비해 전문대졸인 경우 종사상 지위가 상용근로자일 확률이 낮고, 교육훈련 서비스와 취업알선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으면 종사상 지위가 상용근로자일 확률이 높아졌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종사상 지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최종학력이 전문대졸인 경우 종사상 지위가 상용직일 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4대보험 가입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서비스 만족도가 취업성과인 4대보험 가입여부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 하였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4대 보험 가입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최종학력이 고졸인 경우 4대 보험 가입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취업성공패키지의 지원서비스 중에서 교육훈련과 취업알선 서비스의 영향력이 컸고, 진로설정, 직업선호도검사해석도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취업성공패키지의 지원서비스의 만족도와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취업성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토대로 취업성공패키지의 프로그램의 진행과 시행에 있어 보다 발전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사회적 지지가 소방공무원의 PTSD 완화에 미치는 영향

        서순원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최근 몇 년간 소방공무원의 자살이 이슈화 되면서 외상후 스트레스(PTS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각 시도마다 외상후 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그에 대한 대책들이 점차 마련되고 있으며,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를 연구하는 논문들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을 보면, 외상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또는 그 스트레스가 어떠한 증상으로 나타나는지, 그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어떤 프로그램들이 필요한지에 관한 연구들이다. 본 연구도 그에 준하여 경기도 소속 4개 관서인 안양, 군포, 안산, 의왕의 소방공무원 198명을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가 시작된 것는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다. 2008년부터 경기도 소방학교에서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교육이 시작되면서 경기도 재난안전본부는 소방공무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및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매년 2회의 정신건강 검사를 실시하고 이상이 있는 소방공무원에 대해서는 동료상담 및 힐링 프로그램 입소, 전문상담· 병원진료 등을 지원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많이 논의되는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완화 요인 중에 사회적 지지요인인 가족, 친구, 동료, 종교 등은 사회활동에서의 정서적, 물질적, 평가적 지원으로 외상후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를 바탕으로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에서는 동료상담지도사를 양성하여, 소방공무원이라는 특수한 직업환경과 현장활동에 대한 어려움을 잘 이해해 줄 수 있는 동료를 통해 심리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대상들을 관리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 지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에서도 나타나듯이 이번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가 아닌, 사회적 지지원 중 어느 지지원이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였고,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는 MMPI-Ⅱ PTSD척도를 이용하여, 응답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점수의 고저에 따라 상위 1/3(33%)에 속하는 집단과 하위 1/3에 속하는 집단별로 구분하였다. 전체 198명의 응답자 중 중간 1/3에 속하는 응답을 제외하고 상위 70명, 하위 65명에 속하는 135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인구사회통계학적 특성인 결혼 여부와 계급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점수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동료의 지지가 가족이나 친구의 지지보다 더 높은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가 낮은군 일수록 외상후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사회적 지지는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사회적 지지원과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동료의 지지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TSD in firefighter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198 firefighters from four fire department in Kyonggi province. MMPI-Ⅱ was used for measuring firefighters’ PTSD. They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 high score group(1/3), medium score group(1/3) and low score group(1/3). And then the medium score group was excluded for examining distinct results. This research was only used 135cases from high score group(70cases) and low score group(65casess). As the result, marital status and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PTSD score. Firefighters who was unmarried showed a high PTSD score also the less social support they had, the higher PTSD score was. The support from colleagues was higher influence to reducing PTSD than from friends and family. This research suggested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symptom of PTSD. Since there is no social support program for firefight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to create supported environment. Keywords: Firefighters, PTSD, Social support.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옥정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K 대학의 재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9일부터 10월 30일까지 약 2주 동안 셀프리더십,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지지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유효한 설문 493부를 대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요인분석, 빈도분석, T-검정,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에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성별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인지적 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전략과 정보수집활동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인지적 전략과 사회적 지지 전체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전략, 사회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모두 1, 2학년이 3, 4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자와 저학년을 중심으로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4년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은 목표달성활동에, 인지적 전략은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행동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더십 관련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4년제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이는 대학생이 진로준비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주변인보다는 본인의 내적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나타낸다. 넷째, 4년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모두 기각되었다. 이는 사용된 사회적 지지 척도가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진로준비행동이라는 특정 주제와는 깊은 연관성을 보이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연관된 사회적 지지 척도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은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되어 있으며 진로준비행동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기적으로 이루어진 요소들이 더 개발되고 수행된다면 현재의 심각한 취업난에 많은 부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주제어: 대학생,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This study examined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lf-leadership,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cial support. For about 2 weeks from October 19 to October 30, 2020, 503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Based on the results, 493 valid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methods use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self-leadership,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ognitive strategy of self-leadership and abil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Men were all higher than women in cognitive strategy and abil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cognitive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the overall soc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for each grad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gnitive strategy, social, evaluative, informative, and emotional support were all higher in juniors and seniors than in freshmen and sophomo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female and junior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al strategy of self-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oal-oriented activity. Also, cognitive strateg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tivity of information collection, tool-preparation activity and goal-oriented activity. In other words, self-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both behavioral and cognitive strategy. Third, the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denied because all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t. This implies that internal motiv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externals for an university student. Last, another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would have an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also denied;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s seemingly because the social support measures were first developed to measure the levels of social support in general and thus had less relevance with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social support measures particularly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re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self-leadership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f these organic factors are further developed and implemented, I think the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current serious employment difficulties. Key words :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김만준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 검토를 통해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이에 포함될 개념들을 구체화하여 측정 변인 간 영향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은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노동을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주의정도, 감정적 부조화, 감정표현의 다양성으로 구분하여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21년 4월 16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 15일간 수원지역 소재 6개소의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5부의 유효한 설문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수준은 리커트 척도 5점을 기준으로 감정노동의 평균은 3.03점(SD=.73)이었고, 하위요인인 감정표현의 빈도는 3.29점(SD=.85),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3.07점(SD=.92), 감정적 부조화는 2.60점(SD=.91), 감정표현의 다양성은 3.15점(SD=1.01)이었으며, 서비스 질의 평균은 3.83점(SD=.40)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수준은 중간값(3점,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질 수준은 중간값(3점, 보통)보다 높게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최종학력(F=4.170. p<.01), 결혼상태(t=2.796. p<.01), 일일평균 근무시간(F=5.355, p<.01)은 감정노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 종교, 근무경력, 직종, 월평균 소득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 차이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F=2.413, p<.05)은 서비스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상태, 종교, 근무경력, 직종, 일일평균 근무시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의 빈도(r=-.402, p<.01), 감정표현의 주의정도(r=-.430, p<.01), 감정적 부조화(r=-.550, p<.01), 감정표현의 다양성(r=-.480, p<.01)은 서비스 질과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낮아지면, 서비스 질은 높아짐을 의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인 서비스 질을 투입한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39.7%(R=.397)이었으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F=12.699, p<.001).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결과, 감정적 부조화(t=-5.092, p<.001)와 감정표현의 다양성(t=-4.176, p<.001)이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표현의 빈도와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감정적 부조화(=-.349), 감정표현의 다양성(=-.238)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정적 부조화와 감정표현의 다양성이 낮을수록 서비스 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증적 연구결과로,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어르신들의 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search what influence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senior centers on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is, a research model have been design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eceding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f the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on the quality of service. In addi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have been researched by specifying the concepts to be included. Regarding the research model,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he service quality of workers at senior centers has been researched by classifying the emotional labor into the frequenc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the extent of the caution about the emotional expressions, the emotional disharmony,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For this, the survey have been conducted from April 16th in 2021 to April 30th in 2021(for 15 days) aimed at the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at 6 senior centers in Suwon. The data of 285 copies of the vaid questionnaire have been utiliz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collected data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service quality, the average of emotional expressions is 3.03 point(SD=.73) according to the five-point Likert scale. In addition, regardi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the average for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s is 3.29point(SD=.85), that of caution for emotional expressions is 3.07 point(SD=.92), that of emotional disharmony is 2.60 point(SD=.91), that of diversity for emotional expressions is 3.15 point(SD=1.01) and that of service quality is 3.83 point(SD=.40). These indicate that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s a little negative considering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for workers at the senior centers is a littl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3 point, average) and that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is relatively positive considering its level i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3 point, average). Secon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the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at the senior centers,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F=4.170. p<.01), the marriage status(t=2.796. p<.01), and the daily average working hours(F=5.355, p<.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emotional labor. However, the gender, the age, the work experience, the type of job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rd, regard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at the senior centers, the average monthly income(F=2.413, p<.05)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gender, the age,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he marital status, the religion, the work experience, the type of the job, and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service quality of workers at senior centers, the frequenc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r=-.402, p<.01), the caution extent of the emotional expressions(r=-.430, p<.01), the emotional disharmony(r=-.550, p<.01),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r=-.480, p<.01)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rvice quality. This means as the emotional labor gets lower the service quality gets higher.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n the service quality of the workers at senior centers. The explanation of the final model that the service qu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has been injected is 39.7%(R=.397), meaning the model is valid(F=12.699, p<.00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 significance, the emotional disharmony(t=-5.092, p<.001)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t=-4.176, p<.001)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Also, the frequenc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the caution extent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p>.05). The emotional disharmony (=-.349)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238) have a major significant influence in sequence among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us, the lower the emotional disharmony and the diversity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get, the higer the quality of service gets. The findings of research above are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indicating that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a senior centers has an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data for reducing the level of the emotional labor for workers at senior centers and as data that can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social welfare for senior citizens. * Keywords: senior center, worker, emotional labor, quality of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