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육수요자의 유입과 지역별 분포에 따른 결정요인 분석

        김광호 중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1

        When we analyze with accessibility by the time distance and the cost distance on the influx of the education customers, Joongbu University is located in the south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of accessibility, the city have the good regional conditions which can represent evenly all over the coun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n the influx of the education customers from the regions that is located in the residence of family as the base of living, and high school by testing. The methods of the testing are to analyze by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spatial data targeting the enrolled students for seven years from 2005 to 2011 who entered into the Joongbu university form about 2,200 high school distributing one Seoul Metropolitan City, six Metropolitan Cities and 9 Provinces nationally. The regions of the survey are regions of nationwide civic unit. For seven years from 2005 to 2011,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n the education customers who entered into the Joongbu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Geumsan-Gun, Chungnam targeting 2,200 high school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stribution of capital region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some parts of the Gyeonggy-do reached 50.9%. These percentages were turned out to have been caused by the absolute numbers and accessibility. Secondly, compared with the nearby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do, the reasons that the capital region has the higher distribution is that the increase of time distance and cost distance is accepted, but regions having a good accessibility is chosen as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ly, the changes of regional distribution for seven years is 1.2% ∼7.1% in the field of difference of region. These percentages are very low as 5.05% point on average, and mea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ducation customers is not equal and is concentrated in the region limited. Fourthly, The accessibility on the basis of time distance(2 hours, one way) and cost distance(14,000 Won, one way) as the answer to the survey is that the Joongbu university is the limit point for the move of the education customers from the capital region having a lot of number of education absolutely. Therefore, development direction of Joongbu University will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customers of education from capital area reach more than 50%, and the change of that number is very small each year. This effect may be higher than expected if the number of the customers of education is reduced. Therefore, creating the second campus in the area with better accessibility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Second, the number of the customers of education reaches 35%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area of Chungcheong Province. These areas have better accessibility and more number than other areas. If the second campus is created, the main campus would be necessary to characterize a few departments for getting a job and the university is required to concentrate on the extensive support in several parts. Third, the university needs to reinforce the welfare of student closely such as securing a common living space of the students, supporting a recreational activities, providing the information and textbooks, and intensive courses etc. to enable the customers of education to execute educational activities smoothly. 교육수요자의 유입을 시간거리와 비용거리에 따른 접근성으로 분석하면, 중부대학교는 대전광역시의 남쪽 경계에 위치하여 접근성의 관점에서 그 영향이 전국에 걸쳐 고르게 나타날 수 있는 양호한 지역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여 생활의 근거지인 가족거주지와 출신 고등학교가 위치하는 지역으로부터 교육수요자의 유입에 관한 공간적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년간 전국 1개 특별시, 6개 광역시와 9개 도에 분포하는 2,200 여개의 고등학교에서 중부대학교에 입학한 해당년도 재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적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전국의 모든 행정 단위지역이다.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년간 전국 2200여개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하는 중부대학교에 입학한 교육수요자의 지역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수도권역의 분포율이 50.9%에 이르는 것은 교육수요자의 절대적인 수와 2차적으로는 접근성이 관계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인접한 대전, 충청지역에 비해 수도권의 분포율이 높은 것은 교육수요자 간 경쟁이 심할 경우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하는 시간거리와 비용거리의 증가를 수용하나,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으로 교육환경을 선택하는 경향으로 판단된다. 셋째, 7년간 지역별 분포율의 변화는 권역별 차이에서 1.2% ∼ 7.1% point, 평균이 5.05% point 로 매우 작은 편이다. 이것은 교육수요자의 분포가 균등하지 아니하고, 제한된 지역에 집중됨을 의미한다. 넷째, 설문에 응답한 시간거리(편도 2시간)와 비용거리(편도 1만 4천원)를 중심으로 분석한 접근성은 중부대학교가 절대적으로 수가 많은 수도권 교육수요자의 이동 한계지점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역대학의 하나인 본교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수도권으로부터 이동해 온 교육수요자의 수가 전체의 50%를 상회하고 매년 그 수의 변화는 매우 작다. 이것은 전국 또는 수도권의 교육수요자의 수가 감소할 경우 그 영향은 예상보다 클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접근성이 좋은 지역으로의 제2 캠퍼스 조성은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이 된다. 둘째, 대전, 충청권의 교육수요자는 전체의 35% 에 달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접근성이 양호하며, 그 수 또한 적지 않다. 제2캠퍼스가 조성될 경우 본 캠퍼스에는 취업을 위한 소수 학과를 특성화할 필요가 있고, 여러 부분에서 폭 넓은 지원이 가능하도록 대학 차원의 집중력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수요자가 교육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학생 공동 거주공간의 확보, 여가활동의 지원, 그리고 정보와 교재 제공, 집중강의 등을 통한 취업준비 지원과 본교 캠퍼스 통학지원 등 밀착형 학생 복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중국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발전 방향 연구 :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란첨명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As China's social and artistic culture continues to be updated and developed, practical music has already become an important trend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music culture, and the role of practical music in the Chinese music education business is also becoming more prominent. For example, practical music vocal classes do not promote the demand for students and practical music development, such as a lack of perfect education system, lack of expertise of college students, and lack of professional goals.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improving education through demonstr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prior research and student perception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vocal education in practical music in China.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um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and Vocal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 would like to present thepossibl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analysis of the Korea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history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Korea has been more than 30 years from 1988 to the present. Practical music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departments at present, especially vocal majors reaching 602:1. Second, Korea is the fastest and most developed country in the world that has swept the world in more than a decade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POP culture led by the state since 2000. Korean idols occupy the global pop market and promote their music to the world, and the operation of solid educational programs necessary to foster idols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this background. After 2004, with the rapid entry of K-POP into the Chinese market, many changes and developments have taken place in China's music industry, which is also a big topic to which China has to fac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is a prerequisite for quality education. Currently, the Korean singer training program is more systematic in the university's curriculum, suggesting that the university's education and music industry are inextricably related. Thir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and music educational experts, I found that both teachers and lecturers believe that practical subjects are more conducive to improving students' expertise. The problems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China verified by the above three analyses are as follows. If you want to change the status quo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China, it is necessary to clarify educational goals and strengthen the vocal education's importance. It is necessary to open additional practical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improve the education system, and hire more talents specializing in practical music.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domestic practical music courses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majors, and each school should offer a wide varieties of unique courses. The current situation and educational goals of practical music-related disciplines in various universities should b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olleges, subjects, and practical courses all of which also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and augmented.This is also the brand new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required by this era.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oc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serve as th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중국 사회의 예술문화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발전하면서 대중음악의 발전은 이미 중국 예술문화 발전의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중에서 실용음악은 대중음악의 범주 안에 속하며, 예술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는 현대적인 음악을 지칭한다. 이는 대중음악 발전에 실용음악 교육이 차지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중요성은 실용음악 교육체계의 발전과 전문 인재 양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 내 실용음악 교육은 교과과정의 부족, 교사의 전공 적합성 불일치, 교과목의 목적성 불분명 등으로 인해 학습자의 전문지식 함양과 실기능력의 향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재 중국의 실용음악 보컬 교육체계는 학생을 포함한 실용음악 교육 발전의 전반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실용음악 보컬 교육 상황을 조사하고, 교육체계의 불완전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선진 교육체계를 갖춘 한국의 교육 과정과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효과적인 발전방안을 도출하고, 제시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현황과 유의한 요인의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논문 및 문헌의 고찰에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였으며, 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국 5개 지역에서 대중음악 보컬을 전공하는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10일부터 같은 해 6월 10일까지 웹 메일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체계 보완의 필요성’, ‘중요 교과과목’, ‘실기과목의 결여’ 등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한・중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양국의 실용음악 대표 10개 학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의 교수진과 커리큘럼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대학의 ‘교수자의 전공 일치성’, ‘실기과목 편성 비중’, ‘교과목의 목적성 결여’ 등 제한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보다 심도 있고 전문적인 해결방안의 모색을 위해 양국 10개 대학의 교・강사를 직접 혹은 간접(전화, 웹 메일)적으로 인터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보컬 교육의 중요요인’, ‘보컬 교육의 한계점’, ‘교수자의 인식(실기 비중, 발전 방안)’등 심도 있는 의견을 수집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언급된 빈도가 높은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대학의 보컬 교육 발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리큘럼의 비교는 한국의 실기 교과목 비중이 중국의 실기과목 비중 보다 33.32% 높았으며, 과목의 수와 종류도 많았다. 둘째, 중국의 실용음악 교수진은 대부분 성악 전공으로 졸업한 반면, 한국의 교수진은 상당수 실용음악 보컬 전공으로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설문조사와 교・강사 인터뷰를 통해 양측 모두 실기과목이 학생들의 전공 향상에 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3가지 분석을 통해서 검증된 중국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교육의 교육목표를 명확히 하고, 교육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실기 과정을 추가 개설하여 교육 시스템을 재정비하며, 전공 특성에 맞는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 측면에서 국내 실용음악학과의 전공에 따른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학교마다 특성 있는 다양한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해 각 대학의 실용음악 관련학과의 교과목 편성 현황과 교육 목표 그리고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교과과정을 부단히 제시하고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대학의 보컬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추후 관련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대학의 골프 학과 교육과정 연구

        가멀러브 파루후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한국 대학의 골프교육도 새롭고 선진적인 방 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교육은 학생들의 인성과 재능을 키우고, 각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며, 나아가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육 성하여 국가를 선도할 수 있는 교육이다.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골프교육도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다음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원칙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이다. 최신 기술 및 트랜드 반영에서 골프는 기술과 트랜드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분야이 다.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최신 기술 및 트랜드를 반영하여 학생들이 현업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한 전공 및 융합 교육에는 골 프 산업은 클럽 운영, 경영, 기술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이뤄져 있다. 교육은 이러한 다양성을 반영하고, 학생들이 전문화된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융합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실무 경험 강화 교육에는 이론 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이 부여되어야 한다. 산업체와의 협력,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실제 업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 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벌시장에 대한 역할에서의 골프는 국제적인 산업이기 때문 에 학생들이 글로벌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국제적인 시각을 갖춘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인성 및 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서의 골프 교육은 인성과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에도 주력해야 한다. 골프는 개인 기술뿐만 아니라 스 트레스 관리, 팀워크, 리더십 등 다양한 미래의 리더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자막으로 연구 및 혁신을 통한 발전 방향에서의 대학은 연구와 혁신을 통해 골프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기 술을 개발해야 한다. 학생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문제에 대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별 골프 학과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골프 교육을 발전시키고, 이들 대학의 골프교육을 개선할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는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용인대학교, 호서대학교, 중앙 대학교, 중부대학교가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교과목을 개선하기 위해 각 대학의 교육 목표와 프로그램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 의 골프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각 대학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상세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골프교육은 더욱 전문적이고 구체적이 될 수 있 다. 둘째, 골프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은 각 학과와 대학 간의 연계가 있어야 한다. 연 계성을 갖춘 골프교육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이어진다. 셋째, 학교와 국내외 골프 산업을 연결하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골프교육 분야를 확대해야 한다. 이는 졸업 후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조치는 미래에 고급 골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차별화된 전 문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분야의 인재 양성이 가능해지며, 이는 골프교육이 한층 더 발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춤을 활용한 연기전공자의 신체훈련 인식조사 및 필요성

        황혜수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Physical movement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tool for expression. The art form of dance developed from concentration of movement. Forms that have developed through language are categorized as play, musical, and opera. As such, genres have become diverse and segmented, but they all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based on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actors. Actors thus directly face the audience and exhibit their vivid movements. The audience, in turn, experiences catharsis from the trained actor’s perfectly performed expressions. Actors must internalize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they are playing when expressing them, and if they do not know what the emotion is like, they cannot express it correctly. Physical movement is direct related to both dance and acting, and can be said to aim towards perfection through constant training in order to shift from spontaneous expression to the completion of a known work. After the 1900s, many training theories have appeared, bu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physical movement, which is a necessary element for an actor who specializes in plays. Currently, most universities that teach acting have physical training programs that are largely comprised of modern dance, jazz, ballet, yoga, and Pilates. In contrast, there is no systematic curriculum of performance-oriented education programs and physical training that reflect our own country’s cultural aspects. Even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acting majors offer only basics or elective training, or teach choreography only when it is needed for performances, rather than offering Korean dance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need for improvement in expressiveness for acting majors, and this research involved with junior students in SEJONG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survey method. I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dance, via studies into the percep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acting and physical training education programs for acting majors, in order to develop physical training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esque emotional performances in works that are authentically Korean.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s from the survey on acting majors’ perception of and the need for physical training that utilizes Korean dance. First, it is clear that a major curriculum of most universities for actors does not have a physical training program or the importance is very low. However, there are various physical training programs including Korean dance in the acting company. Second, Korean dance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physical expressiveness of acting majors. Third, although acting majors were constantly engaged in physical training, they used physical training with the course material from the curriculum, or basic physical training. Forth, a lack of recognition was identified for Korean dance in physical training, which led to a subsequent lack in education programs that uses Korean dance as well as educators who can teach such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while acting majors did recognize that physical training was an important factor in acting, they continued to engage in a lower level of training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systematically programmed education. As the era changes, the qualifications for actors become more diverse in the performing arts. Thus, many students felt the need for physical training,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aside from acting. If a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with language expression of Korean cultural emotion were produced and applied to actors, it would positively influence not only the physical training leader, but also the actors. A previous paper about a physical expression of Korean dance and actors, “How Movement Education Through Korean Dance Affects The Play Actor’s Physical Expressiveness”, which is conducted by Han Myung-ok in 1998, is the only work that systematically develops Korean cultural aspects. This draws attention to the reality that Korea’s dance physical training system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environments are stagnant rather than developing. Describing from another perspective, such problems mean that from now on,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genres have infinite potential for research, which will deal with diverse attempts and application methods. Additionally, to spur Korea’s performance art industry, which is growing, and to nurture actors who can be successful entertainers, a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education systems and reformation of curriculum by adapting Korean dance is expected to produce immeasurable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신체의 움직임은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자, 표현의 도구이다. 움직임의 집중을 통해 발전 되어 온 것이 바로 무용예술이며. 언어와 함께 발전 되어 온 것은 언어의 사용 방법에 따라서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으로 분류된다. 이렇듯 장르는 다양해지고 분리되었지만, 공통적 특징을 살펴보면 배우들에 의해 주도되는 신체적 움직임이 그 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즉, 관객과 직접 만나서 배우들에 의해 주도되어 지는 생생한 움직임을 관객에게 보여 주며 관객은 훈련된 배우의 완벽한 연기적 표현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배우는 작품 속에서 캐릭터를 표현 할 때 감정들에 먼저 동화되어야 하며, 어떠한 감정을 표현하려고 해도 그 감정 상태를 알지 못하면 절대 표현할 수 없다. 신체움직임은 무용과 연기 모두 직접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즉흥적인 표현이 아는 작품의 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꾸준한 훈련을 통해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1900년대 이후 많은 훈련이론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연극을 전공하면서 배우가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신체 움직임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재 연기를 교육하는 대학의 신체훈련프로그램은 대부분 현대무용, 재즈, 발레, 요가, 필라테스 등의 수업 위주로 개설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 고유의 정서를 담은 연기적 교육프로그램과 신체훈련은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기전공자를 양성하는 각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 조차 한국 춤 훈련보다는 기초체력 및 선택적 교육 또는 공연에서 필요할 때에만 안무를 받는 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기전공자들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방편으로 보다 한국적인 작품에서 한국적 감성연기에 필요한 신체훈련프로그램을 위해 연기전공자들의 연기 및 신체훈련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및 실태조사를 세종대학교 영화에술학과 3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하여 진행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춤 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 중 한국춤을 활용한 연기전전공자의 신체훈련 인식조사 및 필요성의 결론을 몇 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기를 교육하는 대학에서는 신체운련비중이 적거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극단에서의 신체훈련은 한국춤을 포함한 다양한 훈련을 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춤이 연기전공자들의 신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기전공자들은 꾸준히 신체훈련을 하고 있지만 교과과정 속 수업내용이나, 기초체력훈련을 통해 신체훈련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훈련 중 한국춤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타나 한국춤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과 그것을 지도해줄 지도자의 부재의 문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 연기전공자들은 신체훈련이 연기를 하면서 중요한 요소인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부족과 체계적이지 않은 프로그램 교육으로 겉핥기식의 훈련을 지속해온 것으로 사료된다. 시대가 변해가며 점차 다양해져 가는 공연예술 속에서 배우가 갖춰야 할 조건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은 연기이외에도 다양한 신체훈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또한 춤을 통한 교육 이외에 한국적 정서를 가진 언어표현법도 함께 교육되어 배우에게 적용한다면 이는 무용지도자 뿐만 아니라 배우들에게도 배우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춤과 연기자의 신체표현력에 관한 선행논문은 1998년 발표된 한명옥의 ‘한국춤을 통한 움직임 교육이 연극 연기자의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외에 한국적 정서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자료는 전무했다. 이는 교육기관과 전문현장에서 이루어진 한국춤 신체훈련시스템이 발전했다기보다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다는 현실에 대한 반성의 근거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다른 관점에서 해석 하였을 때 앞으로 다양한 예술장르에서 한국춤 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시도와 적용 방법 등을 연구할 수 있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의 공연예술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이때 엔터테이너적인 배우를 만들기 위해 한국춤을 통한 다양한 교육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은 한국예술 발전에 보다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구성선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 구 성 선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수학습 전공 (지도교수 권 성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가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 도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역량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 준 인식에 대한 다면적 분석을 통해 교육실습의 질 제고와 음악교과의 교수역량 신 장을 위한 현직 단계에서의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은 개인특성(성 별, 학위별, 교직경력별, 실습지도경력별) 및 재직학교의 특성(학교설립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의 절차는 크게 다음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과 음악교과 교수자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 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역량을 잠정 도출하였다. 둘째, 잠정 도출된 역량

      • 한국어교재 분석을 통한 학습자 단계별 어휘 교육 방안 : - 감정표현 어휘를 중심으로-

        정다희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여 실제 의사소통 시 자연스럽게 발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감정어휘를 범주 별로 나눠보았다. 다음으로 범주 별로 나눈 감정어휘를 중심으로 제시 양상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또 문제점 분석을 통해 기존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상황에 맞고 정확하게 감정을 표현 할 수 있는 교육 방안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감정표현 어휘란 인간의 내면에서 느껴지는 정신적 상태임과 동시에 주관적인 것으로 비의도적이고 자극에 의한 반응을 나타내는 어휘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 사례의 분석을 통해 감정표현 어휘를 감정의 하위 6개념으로 보아 ‘기쁨, 분함, 싫음, 두려움, 슬픔, 부끄러움’으로 나눠보았다. 또한 감정표현 어휘를 ‘동사, 명사, 부사, 형용사’형태의 단일형식과 ‘명사+동사’, ‘명사+형용사’형태의 복합형식 또 관용적 감정표현 어휘 세 가지 형태를 모두 감정표현 어휘로 보고 각 교재별로 나오는 감정표현 어휘를 분류하고 분석해 보았다. 우선 6개의 한국어 교육 교재를 선별하여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가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재는 각각 초급, 중급, 고급 세 단계로 나눠 감정표현 어휘를 표로 정리하였고 교재마다 제시하고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한 예시를 넣어 설명해보았다. 그리고 각 교재의 분석 결과를 단계별로 나눠 기존 교육방법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교재별로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이 나타났다. 초급에서는 한국어 어휘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감정표현 어휘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지 않았다. 중급에서는 유의 관계에 있는 감정표현 어휘가 많이 출현하였는데 중급도 초급과 마찬가지로 감정표현 어휘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지 않아 학습자가 유의어가 아닌 동의어로 착각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마지막으로 고급에서는 비문학적 텍스트의 증가로 감정표현 어휘의 양이 급격히 줄어 학습자가 감정표현 어휘와 접할 기회조차도 적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 세 과정으로 나눠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세과정은 모두 PPP((Presentation - Practice-Production)모형과 TTT(Task 1 - Teach - Task2)모형을 통해 교수-학습방법을 구성하였다. 초급에서는 주로 이미지와 예시 그리고 일상 속의 대화문을 통해 학습방법을 제시했으며 중급에서는 수필을 통해 유의어와 관련한 감정표현 어휘를 학습하도록 제시하였고 그리고 고급에서는 문학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상황을 통해 관용적 감정표현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학습자가 보다 쉽게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를 익히며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사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learners to get exact understanding about korean vocabulary with expressing emotions so that they naturally speak them in real communication.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round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n around the categorized vocabulary with expressing emotions, we analyzed its presentation aspects and examined problems in it. And through analyzing those problems, we proposed educational directions and plans which complement shortcomings of existing teaching method and which have learners express their emotions correctly and appropriately in context.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s mental state experienced in inner side of humans. At the same time it is subjective and unintentional, stimulus-response vocabulary. In this article, we analyzed precedent study case and categorized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ccording to six subordinate concept of emotions, ‘joy, anger, dislike, fear, sorrow, shame’. Also, for single forms like verb, noun, adverb, adjective and composite forms like noun plus verb, noun plus adjective, and idiomatic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we regard all of these three forms as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Then w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se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n each textbooks. First, we examined how korean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re educated in six select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e classified those textbooks according to elementary, intermediate, advanced level and arranged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n table. And we explained each text’s teaching method with example. Then we examined problems in existing teaching method by dividing results of analyzing each textbook by level. In consequence, common problems are appeared in each level of every textbooks. In elementary text,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lthough elementary learners lack background knowledge in korean vocabulary. In intermediate level,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n synonymous relation appeared a lot but as in elementary level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those vocabulary so learners can misunderstand synonyms with equivalence. Finally, in advanced level,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rapidly decrease because of increasing nonliterary text so there is little chance for learners to be exposed to those vocabulary.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suggested teaching plans according to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 All of these three courses composed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PPP((Presentation – Practice-Production) and TTT(Task 1 - Teach – Task2) model. In elementary course we suggested learning method by image, example and everyday dialogue and presented plans to learn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relating to synonyms by essays in intermediate level, and in advanced course, plans for learning idiomatic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by situation of character in literary work was proposed. We see that this helps foreign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to acquire korean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more easily and use them to communicate correctly and smoothly.

      • AHP를 활용한 사립대학교 운영리스크 분석 및 관리 방안 연구 : 중국 안휘성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장수경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my country’s private universities hav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Especially in recent years, under the guidance of the policy of "active encouragement, strong support, correct guidance, and strengthened management", my country’s private higher education has shown a good momentum of development. . However, we must be soberly aware that behind the rapid development of private universities in our country, there are also risks that cannot be ignored. Among these risks, there are currently five major risks that have a greater impact and are worthy of attention. They are policy and legal risks, management decision-making risks, financial risks, teaching quality risks, and market risks (including student source risks and employment risks). These five types of risks do not exist in isolation. They are intertwined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risk portfolio. One risk may affect another risk or occur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time, various risks are in constant movement and change. Once a small probability event occurs, it may cause huge losses to private universities, and even cause the school to close down or shut down. Compared with the operational risks of enterprises, the operational risks of private universitie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general risks, such as the objectivity, variability, uncertainty, duality, and potential of risks. However, as a non-profit higher education organization, private universities have mor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corporate risks, such as more serious harm, urgency, complexity, social sensitivity, and group nature. Unlike public universities, a private university is a self-financing, self-financing, self-sponsored customer (student source) supportiv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t presents the self-financing of school funding, the investment of running the school, and the quasi-marketization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autonomy in running a school and flexible school running mechanism. This completely different development path and special survival mode from public universities determines that private universities are more susceptible to greater operational risks in the process of running schools at this stage. Once the operation is poor, there may be insolvency and even forced to stop running schools. This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rrent upward trend in the number of closures of private universities in my country. This article combine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other research methods, from the two levels of theory and practice, to the current reality of the oper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in China, development models and strategies, and various types of Preliminary theoretical analysis and empirical description of risks. On this basis, using the AHP fuzzy evaluation method, the policy and legal risk, financial risk, management decision risk, teaching quality risk, and market risk are used as the main indicator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isk probability of 10 private universities in Anhui and propose solutions based on this. plan.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operational risks of Chinese private universities. Among them, the unscientific concept of running a school, irregular internal management, and unsmooth financing channels are the main internal causes: imperfect policies and laws, imperfect management system,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re the main external causes. Judging from the current practice of running private universities, whether operational risks can be effectively avoided and prevented, the key lies in the coordination of internal conditions and system elements of private universities. These internal condition systems include various aspects such as the choice of private universities' own value, the optimization of school resources, and the configuration of internal management systems. The degree of coordination and balance between these element systems is the foundation for private universities in our country to prevent and evade operational risks. As an urgent matter, private universities should do a good job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In terms of laws and regulations, private universities should not only play the macro-control function of government planning, play the function of policy and legal system, but also play the function of government supervision and service. In terms of financial risks, private universities must establish an effective financial risk prevention mechanism. In terms of management decision-making, private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scientific decision-making procedures and construct a "third-party"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teaching quality, private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scientific and reasonable evaluation index system, establish a complete salary and welfare system and a reasonable incentive mechanism. In terms of market, private universities should carry out word-of-mouth marketing, promote school-enterprise cooperation, and establish and improve social information feedback mechanisms.

      • 한국어 중급 단계 문법적 연어 특성 연구 : 한국어교재 고빈도 출현 문법적 연어 중심으로

        이상우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termediate-level Grammar collocation - Focusing on grammatical collocations with high frequency of Korean textbooks - Lee, Sang-Woo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Joongbu University Professor Bak Jong-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fluency and accuracy in communication, which is the educational purpose of languag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grammatical perspective of languages through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extbook studies on collocation expressions that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can find difficult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by presenting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odel along with educational methods for grammatical collocations. Currently,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and foreign students in Korean society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re also improving overall. In this respect, collo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learners' communication as its frequency of use is increasing in actual discourse, and it also takes up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However, when foreign learners learn collocations, they are often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collocations, composition, restriction and expansion of sentences, and grammatical errors in the use of collocatio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particular, collocations in a narrow sense are divided into lexical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bu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s compared to the study of lexical colloca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suggested a teaching model by applying the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grammatical collocations. Specifically, Chapter 1 deals with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the status of collocation use by level of foreign learners, and the research trend of grammatical collocation we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accurate communication skills of foreigners was described. In Chapter 2, the direction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how research on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has been conducted in Kore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how the research on collocations has progressed over time. In Chapter 3,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s, the categories of colloca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lexical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ere examined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teaching method were summarized to find 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grammatical collocatio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techniques of form-focused instruction methods were examined. Chapter 4 summarized the analysis of various errors in collocations by previous researchers targeting foreigners who are learning Korean. In particular, it analyzed the rate of errors in grammatical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amined which grammar form of grammatical collocations actually caused such errors, and also examined why such errors occurred. Chapters 5 and 6 categorized grammatical collocations in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ine type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ith high frequency of use by function, component, and type of grammatical collocations in terms of morphological aspects, compositional aspects, restrictive aspects, and similar meanings.In the last chapter 7,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instruction method of grammatical collocation. Although grammatical collocations have become the center of Korean grammar in Korean textbooks and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actual use of Korean language, their attention is lower in terms of communication than lexical collocations.In addition, Korean textbooks do not directly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ammatical collocations, so it is true that they are relatively less specific than lexical collocations. For this reason, the study of grammatical collocations is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lexical collocations. In addition, foreigners who learn Korean through Korean culture and contents represented by 'K-culture' are also exposed to meaning-oriented Korean language that excludes grammar.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fluent and accurate communic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this is aimed at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centered on learners by avoiding repetitive and passiv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ed on teacher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analysis of grammatical collocation errors has not been actually carried out at the present time, the scalability of the case analysi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has been slightly lowered, and the fact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of grammatical collocations has not been analyzed according to actual application.I hope that more research will be done in the future.

      • 한국어 피동·사동 문법 항목 교육 연구 : 학습자 인식 설문 분석 중심으로

        유현기 중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한국어 피동·사동 문법 항목 교육 연구 -학습자 인식 설문 분석 중심으로- 유현기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한국어학과 지도교수 박종호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맞춰 한국어 교육 현장의 학습 환경과 여건이 개선됨과 동시에 외국인 학습자의 수준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어떠한 교수-학습 지도법을 이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수업을 진행하는가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습 성장세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교사 스스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쉽게 이해를 시키는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한국어 교사의 과제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법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문법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후, 가장 높은 대답을 얻은 ‘한국어의 피동과 사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계에는 정말 많은 언어가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언어에 피동·사동 표현이 존재한다.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모국어로 피동·사동 표현을 사용하는 것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피동·사동 표현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은 모국어의 간섭 등의 많은 오류와 모국어와의 차이점 등으로 인해 혼동하기 쉬울 것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실제 진행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피동·사동 표현에 큰 어려움이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동과 사동의 구분이 어렵다. 둘째, 피동과 사동의 문장을 구성하는 규칙이 어렵다. 셋째, 규칙을 외우는 것이 어렵다. 넷째, 이해할 수 없다. 설문 조사를 통해 실제 외국인 학습자들의 어려움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에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한국어의 피동·사동 표현의 이해할 수 있는 단계별 교육 방안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면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 사전 혹은 피동·사동에 대한 연구에서 정의한 정의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는 없겠지만, 한국어 교사가 정확하게 피동·사동의 정의를 알고 있어야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쉽게 풀어 이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2장에서는 한국어 피동·사동의 정의와 형태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5개 대학의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어 피동·사동을 어떻게 제시하였는지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진행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왜 한국어 피동·사동을 어려워하는 요인의 제시와 설문 조사에 대한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밝힌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사동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요인에 대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보다 쉬운 한국어 피동·사동의 이해를 위해 실제 학습자들의 어려움을 표현한 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단계별 교육 방안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