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정성 담론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스터트롯〉을 중심으로 -

        이재원(Jae-Won Lie),김원겸(Won-Gyum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TV조선 오디션 프로그램 〈내일은 미스터트롯〉 방송 이후 트로트가 방송콘텐츠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갖게 된 기제를 탐색했다.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이 기존의 오디션 프로그램과 어떤 차별화 및 대중화 전략을 취했는지 프로그램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음악 전문가 심층 인터뷰, 제작진의 인터뷰 기사 등을 분석했다. 〈미스터트롯〉은 기존의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공 전략을 뒤집는 방식의 전략으로 시청자들에게 어필했다. 먼저, 실력자/비실력자 참가자들이 서로 경쟁하는 게 아니라, 실력자/실력자가 대결을 펼치는 방식을 취했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주요 전략인‘진정성 담론’을 그동안 개인사를 통해 이뤄냈던 것과 달리, 이번 트로트 오디션에서는 가창 실력을 새로운‘진정성 담론’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면 필수적이라고 여겨졌던‘악마의 편집’을 탈피하고, 악역을 배제하는 전략을 취하고 쇼 연출에 주력했다. 셋째, 아이돌음악, 힙합, 밴드 등 특정 장르의 전문성을 보여야 한다고 여겨졌던 오디션 프로그램의 관행을 깨고 트로트를 다양한 장르와 접합시켰다. 넷째, 10대, 20대 혹은 남성, 여성 등 특정 세대나 성별을 주로 공략했던 이전 오디션 프로그램과 달리, 다양한 연령대를 공략해 시청층을 확대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다섯째, 시청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감정이입을 돕는 자막을 잘 활용한‘자막 전략’으로 중장년 팬덤을 형성해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chanism by which Trot gained a superior position in the broadcasting contents market after the TV Chosun audition program 〈Mr. Trot Tomorrow〉 was broadcast. We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program to determine what differentiation and popularization strategy the trot audition program took from the existing audition program, and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music experts and interviews with the production team. <Mr. Trot> appealed to viewers with a strategy that reversed the success strategy of existing audition programs. First, the strong/non-competent participants did not compete with each other, but rather the strong/skilled players competed against each other. This trot audition set the singing ability as a new ‘discourse on sincerity’. Second, we broke away from the ‘demon editing’, which was considered essential for audition programs, took a strategy of excluding villains. Third, we broke the practice of audition programs that were supposed to show expertise in specific genres, such as idol music, hip-hop, and bands, and combined trot with various genres. Fourth, unlike previous audition programs that mainly targeted specific generations or genders, the strategy was to expand the audience by targeting various age groups. Fifth, it has formed a middle-aged fandom with a ‘subtitle strategy’ that uses subtitles well to arouse viewers" interest and help empathize.

      • KCI등재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이재원(Jaewon, Lie),박동숙(Dongsook, Park)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뉴스에 댓글을 달고 공유하며 뉴스에 참여하는 시대에 걸맞게 뉴스 리터러시를 재개념화하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의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으로 이뤄져왔고, 뉴스 리터러시와 시민의식 함양의 관련성이 충분히 강조되지 않았다.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에는 이용자의 뉴스의 참여가 늘어나며 뉴스 소비가 사회적 행위로 변모했기에 뉴스의 이용이 민주주의의 수단이 아니라, 민주주의 자체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용자가 뉴스를 내면화(생산과정, 텍스트 이해)하며 소비하고, 뉴스를 외재화(선별, 공유)하며 생산까지 겸하는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새로운 뉴스 리터러시 개념으로 제안했다. 이는 그동안 신문활용교육 중심으로 이뤄져 온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한계를 벗어나고, 미디어 단위로 이뤄져 온 리터러시 논의를 확장된 형태의 뉴스 개념을 중심으로 재편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무엇보다 뉴스의 역할이 도구적인 이상에 머물지 않고 민주주의의 기본 토대로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news literacy in the age of social network journalism. People are no longer the passive readers of news articles but they actual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news consumption by connecting on and sharing the news through the SNS. Media literacy mainly based on how to become an active and critical users of various media. As a result, it has not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ews literacy education in enhancing the citizenship. New concept of news literacy is news curation ability, that is to internalize the news (understanding process of production and text) as consumers and externalize the news(selecting and sharing) while serving as manufacturers.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news literacy education, and because it reorganizes the shape of the concept of news in the broadened literacy discourse. Moreover, the role of the news does not simply remain as contributory but can be realized as the basic foundation of democracy.

      • KCI등재

        연예 뉴스 생산자의 유튜브 저널리즘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연예 매체 채널의 콘텐츠 전략을 중심으로

        이재원(Lie, Jae Won),양정은(Yang, Jung Eun) 한국정보사회학회 202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2 No.3

        본 연구는 컨버전스 문화(convergence culture)가 첨예하게 드러나는 유튜브 공간에서의 저널리즘에 대해 탐색했다. 개인 크리에이터나 PR 활동, 예능 프로그램과 다른 저널리즘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연예기자와 연예기획사, 제작사, 홍보사 관계자 등 연예뉴스 생산자 14명을 심층 인터뷰하고, 연예 매체가 유튜브 채널에서 생산하는 연예뉴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기자들은 텍스트 중심으로 취재, 보도하던 관행에서, 섭외, 영상편집 등 PD로 직무가 확대되어 제작 시스템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예뉴스 생산자들이 ‘유튜브 저널리즘’에 대해 인식하는 바는 기자가 저널리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랐다. 래거시 미디어의 뉴스를 표준으로 인식하는 기자들은 현실적으로 유튜브에서 저널리즘을 실현하기는 어려워 저널리즘과 별개의 예능형 콘텐츠를 생산해 추가적인 수익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지만, 유튜브를 대안적인 미디어로 바라보는 시선은 포털 사이트에 예속된 언론사의 위치를 다변화할 기회라고 보고 포털 사이트 댓글 폐쇄로 닫혀버린 공론장을 유튜브에서 새로 발굴할 수 있다는 시각을 갖고 있었다. TOP4 채널의 902개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프레스 행사나 공출목(공항패션, 출근 길, 목격담) 등 단신성 뉴스가 생산량과 조회 수가 높았지만, 인터뷰나 비평은 부족했다. 연예 종사자들은 유연한 저널리즘 개념을 바탕으로 유튜브 형의 새로운 저널리즘, 즉 네오 저널리즘을 향해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우선 여타 콘텐츠와 다른 차별화된 발굴 취재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유튜브 플랫폼이 요구하는 재미를 가미한 영상 문법에 따라 가사를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봤다. This study explored journalism in YouTube space, where convergence culture is sharply revealed. In order to find the role of journalism, 14 entertainment news producers, including entertainment reporters, entertainment agencies, production companies, and promotional officials, were interviewed, and entertainment news produced by entertainment media on YouTube channels was analyzed. Reporters were having difficulty learning the production system due to the expansion of their jobs to PDs such as casting and video editing in the practice of covering and reporting text-oriented. What entertainment news producers perceived about “YouTube journalism” differed depending on bow reporters define journalism Reporters who recognize legacy media news as a standard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journalism on YouTube in reality and use it as an additional source of revenue, but they saw YouTube as an opportunity to diversify the position of media subordinated to portal sites. As a result of analyzing 902 videos on the TOP4 channel short-term news such as press events and public offerings (airport fashion, way to work, witness stories) were produced and viewed, but interviews and criticisms were insufficient. Based on the concept of flexible journalism, entertainment workers suggested that YouTube-type new journalism or Neo Journalism, should be pursued To this end, first, differentiated discovery and coverage from other content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and a storytelling method that delivers articles according to video grammar that adds the fun required by the YouTube platform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사회연결성의 팬덤 공동체 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방탄소년단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원(Jae-Won Li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와 중국 미국 한국인 팬들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스타와 팬이 소셜미디어의 사회연결성을 토대로 글로벌 팬덤 공동체를 형성해내는 양상을 탐색했다. 스타와 팬은 소셜 미디어의 연결성을 활용해 공과 사를 넘나드는 유사-사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방탄소년단은 자신이 수상했음에도 팬클럽인 아미에게 “축하한다”라며 각 팬 개개인이 주체가 되도록 담화 방식을 구성해낸다. 팬으로서는 자신에게 사적으로 건네는 트윗처럼 여겨지게 되는데, 이는 비단 텍스트 구성 방식에만 적용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공식적인 활동이나 기념일과 같은 공적인 행사가 없는 날에는 사적인 트윗 혹은 이전의 기억을 끌어올리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소통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처럼 끊이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이 팬들이 서로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chanism by which stars and fans build a global fandom community based on social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based on BTS official Twitter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hinese, American, and Korean fans. Stars and fans use the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to build a pseudo-private relationship that crosses public and private affairs. Even though they won the award, BTS “congratulates” the fan club, ARMY, and organizes a dialogue method so that each fan becomes the subject. From a fans point of view, it comes to be seen as a personal message to them, which is not just applied to the text composition method. On days when there is no public message such as official activities or anniversaries, a device to communicate without missing a day has been prepared by raising private messages or previous memories.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constant connection strengthens fans sense of community toward each other.

      • KCI등재

        끝나지 않는 기억전쟁(mnemonic battle)

        박동숙(Dong-Sook Park),이재원(Jae-Won Lie),정사강(Sa-Gahng Jung),강혜원(Hye-Won Kang),김해원(Hae-Wo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9 No.4

        제주 4?3 사건은 약 7년 동안 남북한 정권, 민간인, 미국 등 서구 열강의 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숱한 사람들이 사망한 사건이다. 4?3 사건을 둘러싼 논의와 갈등들은 한국 근현대사의 문제들과 닿아 있으며 4?3 사건과 그 진상규명과정에서 파생한 갈등들, 한국사회에서 4?3 사건이 기억되는 맥락은 매우 복합적인 결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4?3 사건을 두고 일어나는 기억의 의미투쟁 현장을 신문은 어떻게, 얼마나 보도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3년까지 14년 동안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가나다순) 기사 중 4?3 위주로 보도된 654건의 연도별 보도량과 주제, 기사의 의미와 기사 속 행위자 등을 분석하여 미디어 기억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살펴봤다. 4?3을 둘러싼 최근 14년간의 뉴스미디어의 기억 지형을 살펴본 바, 사회적으로 드러난 4?3사건을 둘러싼 중요한 이슈 지점들과 4?3사건을 기억하는 미디어의 기억 지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순간들은 일치하지 않았으며 언론은 지엽적이고 파편적이며 정치 ‘싸움’에 집중된 갈등적인 요소들을 두드러지게 부각시키고 있었다. 무엇보다 4?3사건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갈등양상과 뉴스미디어에서 그려내고 있는 갈등의 내용과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뉴스미디어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기억전쟁은 왜곡된 형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Jeju April 3(4?3) Incident occurred during seven years, from 1947 to 1954 in the island of Jeju. Two separated Korean governments, Korean civilians,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other actors were complexly related to the incident and 25,000 casualties were estimated. The ongoing discussion and conflict regarding the 4?3 incident is still controversial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incident is remembered in Korean society is complicated. Considering the complex nature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this Study examined the mnemonic battle in Korean newsmedia, how Korean newsmedia covered this incident last fourteen years. For this study, four Korean daily newspapers- Kyunhyang, Dong-A, Chosun and Hanguerae were selected and 654 articles directly related to the incident were collected and analysed. Consequently the main issues and important moments of the 4?3 incident exposed in society and in newsmedia were in discord and inconsistent. The newsmedia covering the incident focused on peripheral issues, fragmented memories and minor conflicts instead of the essence of the incident, and therefore distorted the nature of it.

      • KCI등재

        Has the Collectivism of Koreans been changed? An exploratory study

        Jungeun Yang(양정은),Jae-Won Lie(이재원)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집단주의가 어떤 면에서 변화하였는지, 혹은 변화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기성세대와 신세대들과의 심층인터뷰 및 FGI를 통하여 오늘날 한국인의 집단주의를 표현하는 키워드를 발견하였다. 첫째, 오늘날 한국인들의 집단주의는 ‘선택적 집단주의’로써, 이전처럼 주어진 집단이 아닌 스스로 선택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보다 축소된 형태의 집단을 기반으로 한다. 둘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오프라인 집단주의와 대조되는 온라인 집단주의가 출현하였는데, 온라인 집단주의는 온라인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하며, 익명성을 통한 평등주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연결성 등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셋째, 한국인의 집단주의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정’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주의의 변화하지 않은 측면으로 인식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들에게 집단은 자아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인들은 예나 지금이나 집단에 대한 소속감 및 구성원들과의 관계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연구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collectivism of Koreans has changed or has not chang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GI with the older and new generations, keywords that express Korean collectivism today were discovered. First, the collectivism of Koreans is defined as selective collectivism, which is based on a more compact group consisting of self-selected members rather than a given group as before. Secon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nline collectivism, in contrast to offline collectivism, emerged. Online collectivism is based on communication using online technology, and is characterized by horizontal relationship based on anonymity and 24-hour connectivit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mposes Korean collectivism was found to be Cheong, which was recognized as an unchanged aspect of collectivism. Lastly, for Koreans, the group is closely related to self-identity, and for this reason, Koreans are obsessed with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group member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김해원(Hae Won Kim),박동숙(Dongsook Park),이재원(Jae Won Lie),정사강(Sa Gahng Jung),강혜원(Hye Won Kang),백지연(Gi Yeon Bae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4

        ‘홍대모델 몰카사건’으로 명명되었던 불법촬영 범죄 사건에 대한 수사가 이례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이에 불편함을 느낀 여성들이 온라인에서 규합하였고 5월 19일에 거리 시위를 조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혜화역시위’ 사례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통해 포스트미디어 시대의 사회운동이 갖는 특성을 고찰했다. 온라인 참여관찰을 통해 약 2주라는 짧은 시간 동안 온라인 공간에서 주류 언론의 해석을 뒤집고, 사건을 ‘불법촬영 편파수사’로 새롭게 의제화하고, ‘동일범죄 동일처벌’을 구호로 내세우게 된 과정에 주목했다. 이어서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를 오프라인 거리 집회로 조직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조직화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홍대사건’ 피의자에 대한 주류 언론의 보도가 온라인 공간에서 재해석되고, ‘불법촬영’이슈에 관련된 산발적이고 파편화된 사적발화가 공적 담론으로 정리되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지난 3∼4년간 트위터, 메신저, 커뮤니티 등에서 느슨한 여성 연대의 네트워크가 공감대를 형성하며 ‘연결행동(connective action)’을 창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포털 사이트의 ‘카페’를 임시 아지트로 삼아 빠른 시일 내에 오프라인 시위를 조직화하는 과정은 기존의 사회 조직과 의식적으로 차별화되는 행동 규율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과 병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혜화역시위 사례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네트워크된 사회운동(networked social movement)’의 특성을 보여 주었지만, 동시에 한국 사회 페미니즘 운동이 갖는 특수한 맥락이 주요한 차이를 빚어내는 모습 또한 드러냈다. 앞으로 선행연구들이 간과한 젠더 관점의 논의가 더욱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Disturbed with the discriminating investigation of the ‘Hongdae Molka (spycam video)’ incident where a woman had taken a photo of a naked male model and uploaded it online, women all over South Korea organized and rallied over the Internet. This led to tens of thousands of women gathering around Haewha Station on May 19th to protest the injustice-the investigation would never have concluded so swiftly had it been a man.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mpact of the post-media era’s social movement through the process of shaping the agenda and organizing the ‘Haewha Station Protest’. Specifically, using the method of online participant observation, we attempt to answer two important questions. First, we focus on how over a short period of only two (2) weeks, these women were able to overturn the position of mainstream media via the Internet. Specifically, the incident was newly proclaimed as a ‘Biased Investigation of Spycam Videos,’ and set forth ‘Equal punishment for Equal crime’ slogans. We believe that the primary reason for the social media discourse switching its focus on the Hongdae incident from a typical gossip story to a serious gender issue is due to the last 3-4 years of Twitter, messenger apps, online communities, etc. provided a foundation for women to establish consensus and create connective action by sharing their cynicisms and emotions of anger toward how the society as a whole unfairly handled misogyny-related crimes in the past. Also, we intend to identify the new organizational patterns resulting from transitioning online protests to street rallies. We can observe protesters establishing a temporary headquarter, by means of an ‘Online Café,’ allowing them to easily and quickly organize a street rally. Establishing connectivity through multidimensional social networks functioned as an effective organizing mechanism among the protesters. During this process, female participants adopted various protocols to mitigate exposure and protect themselves from further injustice by excluding male participants and wearing masks in the protest, thus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other traditional social move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although the ‘Haewha Station Protest’ display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previous researches on ‘networked social movement,’ it simultaneously revealed that this protest needed to be addressed and examined within a particular context of South Korea’s feminist movement. As such, future studies must dive deeper into discussions on previously overlooked gender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