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다큐멘터리에 재현된 한국 전통 식문화 담론 -< SBS스페셜 - 이영애의 만찬 >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정사강 ( Sa-gahng Jung ),김훈순 ( Hoon-so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6 No.-

        이 연구는 글로벌 유통을 위한 문화상품으로서 전통문화의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는 미디어의 재현방식과 담론생산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식문화를 다룬 다큐멘터리 < SBS스페셜-이영애의 만찬 >을 사례로 서사 분석하였다. 본다큐멘터리는 한국 전통 식문화에 대한 선택과 배제를 통해 다층적 담론을 생산한다. 이야기 차원에서 첫째, 한식문화의 여성화가 드러난다. 한식은 전통적인 여성상의 주부에 의해 가정을 통해 전승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둘째, 지배계층의 특정 식문화를 보편적인 한식으로 명명하며 그 가치를 나눔과 소통으로 의미화 함으로써 한식의 고급화와 탈정치화가 나타난다. 셋째, 과거 이천년의 역사를 통해 한식은 이미 세계화되었으며 현재는 고급문화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도 인정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계층과 인종을 초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우수한 식문화로 규정된다. 이는 기존의 가부장적전통을 고수하는 한편 한류 문화상품으로서 전통한식에 고급스러움, 탈정치적인 가치들을 부여하고 세계 속에서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확인 강조하는 것이다. 신한류에 부합하는 배우 이영애의 이미지 활용을 통해 전통한식은 현모양처인 어머니를 통해 전승되고 한류스타를 통해 세계화되는 것으로 의미화 된다. 담화 차원에서 첫째, 이영애는 화면 안과 밖의 서술을 모두 담당하는 강력한 메시지 전달자로서 수용자의 선호해독을 유도한다. 둘째, 영상서술을 통해 한식을 친환경적, 서민적, 일상적인 것으로 의미화하여 가장 한국적인 것으로 포장하는 동시에 비일상적인 유럽의 화려한 만찬을 통해 인정받는 세계적인 것으로 묘사하는 양가적 시선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민족적특수성은 세계적 보편성으로 치환되어 전통의 시공간 영역이 확장된다. 결론적으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지배계층의 한식문화를 한국의 일반적 전통식문화로 왜곡되게 호명하며 한류의 우수성과 경제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있다.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for its transmissional function and as cultural product,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appella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 on mass media. The study analyzed television documentary < SBS-Special : Lee Young-Ae’s dinner >(2014) using narrative theory and semiotic methodology. The documentary explores history and the meaning of Korean food with famous Korean actress Lee Young-Ae, As a result,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on television was gendered, aiming high-class culture and its globalization. The tradition was carried out by woman, especially by mother, and the biased culture of ruling-class was presented as the Korean tradition to appeal in the world. Also,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food was designated as depoliticized ‘sharing’. This shows that the media is creating cultural discourse about tradition in the context of New Korean Wave, focusing on the high-class culture and expects it to appeal in First World.

      • KCI등재

        한국영화의 여성재현

        정사강(Sa-Gahng Jung),김훈순(Hoon-Soo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3 No.-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여성담론을 읽어 낼 수 있는 문화텍스트로서 영화에 주목하여 성매매여성의 재현방식과 그 정치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제작, 상영된 영화 중 시대별로 흥행에 성공한 「영자의 전성시대(1975)」, 「노는 계집 창(1997)」, 「너는 내 운명(2005)」세 편의 영화를 분석하였다. 서사분석을 토대로 영화의 플롯, 인물의 특성, 카메라 시선을 분석하고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성과 관련된 여성담론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 영화는 공통적으로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논리에 근거한 서사장치와 전략을 배치하고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주인공들의 성매매 유입의 주요 동기인 순결의 상실과 가부장제에 통합될 수 없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진 여성을 구원하는 조력자는 남성만이 가능하다는 서사적 장치는 가부장제의 여성 통제 수단인 순결이데올로기를 반영한다. 또한 위계적 성 계급을 발생시키는 순결의 강조는 일반 여성과 성매매 여성을 좋은 여성과 나쁜 여성으로 이분법적으로 재현하는 방식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성 판매 여성을 드러내고 성 구매 남성은 감추는 서사 전략과 여성의 몸을 성적 대상으로 타자화하는 카메라 시선은 성매매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여성에게만 전가시키는 가부장제의 이중적 시선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선은 남성의 성 구매 행위나 성폭력은 사회적 불이익을 받지 않는 반면에 순결을 상실한 여성은 일탈적인 여성으로 낙인찍혀 처벌받는다는 대비 속에서도 나타난다. 생계를 위한 여성들의 성매매가 일반 상품을 구매하듯 정상적인 상거래로 묘사되는 것은 무엇이든 돈으로 살 수 있다는 극단적인 자본주의 논리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에서 비롯된 성매매의 모순에 대한 문제제기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으며 자본과 권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대중적 상업영화의 한계를 드러낸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 of representing prostitute women in popular films. Three Korean movies from the 1970’s to the 2000’s with the heroine being a prostitute woman were selected. “Yeong-Ja’s Heydays(1975)”, “Chang (1997)”, “You Are My Sunshine(2005)” are the highly popular movies of the time with the main character playing a prostitute woman.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inquiry into the movies’ plot,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and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with the main focus placed on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Furthermore, the ideological discourses on women related to sexuality in Korean society were conducted in a socio-cultural level. According to analysis, loss of virginity and poverty/debt commonly appeared as inflow mechanisms. In case of the characters, female heroines were depicted as passive and the male helper stood by the prostitute woman. Furthermore, the elements of binary oppositions were found between prostitute women and general women. Concerning the image expression way of the woman’s body at the discourse level, the movies were othering woman’s body from a patriarchal viewpoint.

      • KCI등재

        한국멜로영화의 낭만적 사랑에 대한 서사적 실험과 장르관습

        정사강 ( Sa Gahng Jung ),김훈순 ( Hoon So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이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 흥행 10위권 안에 든 대표적 멜로영화 5편 <아내가 결혼했다>(2008), <시라노: 연애조작단>(2010), <건축학개론>(2012), <내 아내의 모든것>(2012), <늑대소년>(2012)을 서사분석하여 서사적 실험을 통해 진화하고 있는 장르관습을 고찰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사랑담론을 토대로 변화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낭만적 사랑에 대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멜로영화에서 낭만적 사랑의 절대성이 강조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최근의 영화들에서 낭만적 사랑은 영원하지도 절대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기존의 멜로영화가 남녀 주인공들의 사랑이 장애를 겪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최근의 영화들은 낭만적 사랑의 완성으로 여겨지던 결혼 이후의 사랑의 위기와 현실을 그리고 있다. 탈 근대적 욕망을 표출하는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상의 부상과 근대적 사랑에 대한 기대를 대변하는 남성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 시점의 서사전개에 의해서 여성은 여전히 타자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멜로영화가 지니는 가부장적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들이 생산하는 낭만적 사랑담론의 변화와 그 주체들에 대한 묘사는 결혼에 대한 거부와 가족의 해체와 파편화 경향을 보이는 한국사회에서 낭만적 사랑을 둘러싼담론의 경합을 드러내며 근대적 사랑을 넘어 사랑, 결혼, 성의 필연적 관계를 부정하는 탈 근대적 사랑으로 이동을 암시한다. 또한 최근의 멜로영화의 장르혼합현상은 이러한 서사적 실험에 기여한바 크다고 볼 수 있다. Interested in evolution of film genre, this study analyzed five romantic melodramas <My Wife Got Married>(2008), <Cyrano Agency>(2010), <Architecture 101>(2012), <All About My Wife>(2012) and <A Werewolf Boy>(2012) which were box office success lately. The study found that the melodramas were trying to elaborate new narrative strategies in two ways. First, the absoluteness of romance was weakened and the eternity of love was denied compared to past melodramas. Second, recent melodramas focused not on the process of falling in love and getting married but the relationship and critical situation after the marriage. The marriage in romantic melodrama was usually treated as the completion of love, however the fantasy was breaking. The paradigmatic analysis showed that female characters became more independent, signifying changes of gender performance, and male characters was emerging as the principal agent in romance. Yet, still existing male-dominated gaze in narrative showed that the recent melodrama could not be free from patriarchical ideology. In conclusion, recent melodramas showed the competition between discourses for love in Korean society and the appearance of postmodern romance. The multiplicity of genr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change.

      • KCI등재

        텍스트와 제작 차원에서 본 브랜디드 웹드라마의 특성

        김은영(Eun-Young Kim),정사강(Sa-Gahng Jung) SBS 2018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6 No.1

        본 연구는 웹 콘텐츠가 주도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후원사의 지원을 받아 제작하는 브랜디드 웹드라마의 개념을 제시하고 그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수용자들의 호응이 높았던 브랜디드 웹드라마 네 편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브랜디드 웹드라마의 제작 주체인 제작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디드 웹드라마의 콘텐츠적 특성과 제작 측면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사 분석결과 이야기 차원에서는 결핍ᐨ충족의 속도감 있는 이야기 구성, 빈약한 갈등과 극적 반전 없는 해결, 사적 세계에 갇힌 유쾌한 주인공, 이항 대립적인 세대 구분과 청년 세대에 책임 지우기가 나타났다. 또한 담화 차원에서는 내레이션을 이용한 압축적 서사 전개, 직접적인 감정 전달과 적극적인 브랜드 노출을 의도하는 화면 구성의 특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제작 환경을 살펴본 결과로는 젊은 세대 취향에 민감한 제작 행태, 텍스트 안과 밖의 속도감을 중시하는 제작 현장, ‘드라마+광고’를 지향하는 제작자, 사업적 마인드를 지닌 연출자 선호라는 제작 측면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제작비 지원 주체가 플랫폼인 웹드라마에 비해, 브랜디드 웹드라마는 적은 거부감을 통해 젊은층에게 높은 마케팅 효과를 기대하는 드라마이자 광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브랜디드 웹드라마는 청년 세대를 타깃층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이들의 삶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심도 있게 담아 내지 않는다. 이는 광고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가벼운 이야기와 브랜드 노출에 집중한 브랜디드 웹드라마의 특성이자 한계를 동시에 보여 주는 것이다. As web contents are taking lead in today’s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webdrama which is produced with the direct support of sponsor such as a company or a public institution. The study analysed four branded-webdramas which succeeded online as Top Hi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webdrama as contents and also in dimension of production environment. As a resul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 speedy constitution of the story, a meager conflict and plain resolution, a happy character confined in private world and the imposition of responsibility on the younger generation were appeared in story level, while compact evolvement of story using narration, direct transfer of emotion and active exposure of brand were displayed in discourse level.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revealed an emphasis on the speed on the field, an ad-drama oriented producer and the preference for a business-minded director and consideration of the taste of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characteristic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branded-webdrama. Consequently, compared to webdramas made by the independent platform, branded-webdrama is not only an webdrama but also an advertisement which expects high marketing impact on the younger generation. However, although branded-webdrdama is targeting the younger generation, it does not examine their lives in-depth,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 of branded-webdrama which stresses on advertising and exposes its limit as a storytelling content.

      • KCI등재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김해원(Hae Won Kim),박동숙(Dongsook Park),이재원(Jae Won Lie),정사강(Sa Gahng Jung),혜원(Hye Won Kang),백지연(Gi Yeon Bae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4

        ‘홍대모델 몰카사건’으로 명명되었던 불법촬영 범죄 사건에 대한 수사가 이례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이에 불편함을 느낀 여성들이 온라인에서 규합하였고 5월 19일에 거리 시위를 조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혜화역시위’ 사례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통해 포스트미디어 시대의 사회운동이 갖는 특성을 고찰했다. 온라인 참여관찰을 통해 약 2주라는 짧은 시간 동안 온라인 공간에서 주류 언론의 해석을 뒤집고, 사건을 ‘불법촬영 편파수사’로 새롭게 의제화하고, ‘동일범죄 동일처벌’을 구호로 내세우게 된 과정에 주목했다. 이어서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를 오프라인 거리 집회로 조직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조직화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홍대사건’ 피의자에 대한 주류 언론의 보도가 온라인 공간에서 재해석되고, ‘불법촬영’이슈에 관련된 산발적이고 파편화된 사적발화가 공적 담론으로 정리되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지난 3∼4년간 트위터, 메신저, 커뮤니티 등에서 느슨한 여성 연대의 네트워크가 공감대를 형성하며 ‘연결행동(connective action)’을 창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포털 사이트의 ‘카페’를 임시 아지트로 삼아 빠른 시일 내에 오프라인 시위를 조직화하는 과정은 기존의 사회 조직과 의식적으로 차별화되는 행동 규율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과 병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혜화역시위 사례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네트워크된 사회운동(networked social movement)’의 특성을 보여 주었지만, 동시에 한국 사회 페미니즘 운동이 갖는 특수한 맥락이 주요한 차이를 빚어내는 모습 또한 드러냈다. 앞으로 선행연구들이 간과한 젠더 관점의 논의가 더욱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Disturbed with the discriminating investigation of the ‘Hongdae Molka (spycam video)’ incident where a woman had taken a photo of a naked male model and uploaded it online, women all over South Korea organized and rallied over the Internet. This led to tens of thousands of women gathering around Haewha Station on May 19th to protest the injustice-the investigation would never have concluded so swiftly had it been a man.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mpact of the post-media era’s social movement through the process of shaping the agenda and organizing the ‘Haewha Station Protest’. Specifically, using the method of online participant observation, we attempt to answer two important questions. First, we focus on how over a short period of only two (2) weeks, these women were able to overturn the position of mainstream media via the Internet. Specifically, the incident was newly proclaimed as a ‘Biased Investigation of Spycam Videos,’ and set forth ‘Equal punishment for Equal crime’ slogans. We believe that the primary reason for the social media discourse switching its focus on the Hongdae incident from a typical gossip story to a serious gender issue is due to the last 3-4 years of Twitter, messenger apps, online communities, etc. provided a foundation for women to establish consensus and create connective action by sharing their cynicisms and emotions of anger toward how the society as a whole unfairly handled misogyny-related crimes in the past. Also, we intend to identify the new organizational patterns resulting from transitioning online protests to street rallies. We can observe protesters establishing a temporary headquarter, by means of an ‘Online Café,’ allowing them to easily and quickly organize a street rally. Establishing connectivity through multidimensional social networks functioned as an effective organizing mechanism among the protesters. During this process, female participants adopted various protocols to mitigate exposure and protect themselves from further injustice by excluding male participants and wearing masks in the protest, thus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other traditional social move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although the ‘Haewha Station Protest’ display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previous researches on ‘networked social movement,’ it simultaneously revealed that this protest needed to be addressed and examined within a particular context of South Korea’s feminist movement. As such, future studies must dive deeper into discussions on previously overlooked gender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 KCI등재

        끝나지 않는 기억전쟁(mnemonic battle)

        박동숙(Dong-Sook Park),이재원(Jae-Won Lie),정사강(Sa-Gahng Jung),혜원(Hye-Won Kang),김해원(Hae-Wo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9 No.4

        제주 4?3 사건은 약 7년 동안 남북한 정권, 민간인, 미국 등 서구 열강의 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숱한 사람들이 사망한 사건이다. 4?3 사건을 둘러싼 논의와 갈등들은 한국 근현대사의 문제들과 닿아 있으며 4?3 사건과 그 진상규명과정에서 파생한 갈등들, 한국사회에서 4?3 사건이 기억되는 맥락은 매우 복합적인 결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4?3 사건을 두고 일어나는 기억의 의미투쟁 현장을 신문은 어떻게, 얼마나 보도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3년까지 14년 동안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가나다순) 기사 중 4?3 위주로 보도된 654건의 연도별 보도량과 주제, 기사의 의미와 기사 속 행위자 등을 분석하여 미디어 기억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살펴봤다. 4?3을 둘러싼 최근 14년간의 뉴스미디어의 기억 지형을 살펴본 바, 사회적으로 드러난 4?3사건을 둘러싼 중요한 이슈 지점들과 4?3사건을 기억하는 미디어의 기억 지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순간들은 일치하지 않았으며 언론은 지엽적이고 파편적이며 정치 ‘싸움’에 집중된 갈등적인 요소들을 두드러지게 부각시키고 있었다. 무엇보다 4?3사건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갈등양상과 뉴스미디어에서 그려내고 있는 갈등의 내용과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뉴스미디어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기억전쟁은 왜곡된 형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Jeju April 3(4?3) Incident occurred during seven years, from 1947 to 1954 in the island of Jeju. Two separated Korean governments, Korean civilians,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other actors were complexly related to the incident and 25,000 casualties were estimated. The ongoing discussion and conflict regarding the 4?3 incident is still controversial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incident is remembered in Korean society is complicated. Considering the complex nature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this Study examined the mnemonic battle in Korean newsmedia, how Korean newsmedia covered this incident last fourteen years. For this study, four Korean daily newspapers- Kyunhyang, Dong-A, Chosun and Hanguerae were selected and 654 articles directly related to the incident were collected and analysed. Consequently the main issues and important moments of the 4?3 incident exposed in society and in newsmedia were in discord and inconsistent. The newsmedia covering the incident focused on peripheral issues, fragmented memories and minor conflicts instead of the essence of the incident, and therefore distorted the nature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