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室內植物의 機能, 管理 및 膳物에 대한 認識

        이재숙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내식물의 활용은 현대인의 생활에 필수적이지만 그에 대한 인식은 뚜렷하지 않다. 실내 식물의 영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실내식물의 기능과 배치에 따른 효과, 관리방법 등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가정주부와 직장인 등 150명(여 79, 남 71)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모든 응답자가 실내식물 배치에 긍정적이었으나, 식물의 기능에 대한 인식은 많이 부족하였다. 실내식물이 건강에 주는 효과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자연과 가깝게 느껴서라고 응답되었다. 식물 입수 방법은 직접 구입하는 것보다 선물로 받은 것이 많았지만, 직접구입이 40%인 점은 실내식물의 필요성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본다. 선호하는 식물로는 산세베리아 (Sansevieria trifasciata). 동양란 (Cymbidium), 행운목 (Dracaena fragrans), 로즈마리 (Rosmarinus officinalis), 벤자민 (Ficus beniamina), 관음죽 (Rhapis excels), 자스민 (Jasminum), 서양란 (Cymbidium hybrida Swartz), 아프리카 바이올렛 (Saintpaulia ionantha) 등이 높았는데 이들은 실내에서 가장 오랜 기간 키운 식물이기도 하였다. 가정내 식물 배치 장소로는 베란다와 거실이 높았는데, 베란다는 광과 통기가 가장 좋은 독립주택의 마당과 같은 공간이며, 거실은 가족이 가장 많이 공유하는 공간으로 재배관리와 활용면에서 가장 합당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실내 식물을 키우고 싶은 의향에서는 가정과 직장 모두 대부분 키우고 싶다고 하였으며, 이유로는 실내 분위기가 좋아져서와 공기가 정화된다. 정신건강에 좋다, 자연과 가깝게 느껴 진다, 장식적 효과가 있다 등이 거의 비슷한 비율이었다. 식물 선물은 감사의 마음이 잘 전달되며 선물용으로는 동양난을, 선물용 화분은 흰색 도자기를 가장 선호하지만,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 계층별로 구분 관리해야 한다. 보유식물은 대부분 직원이나 가족들이 직접 관리를 하고 있으며, 분 갈이와 물주기를 어려워하고 있는 데, 분갈이는 실내 여건상 작업이 힘들고 흙 조성이 복잡하며, 물관리는 ‘물주기 3년’ 이라는 말과 같이 식물종에 따라 다른데, 이를 위해서는 인공 배합토와 같은 간편한 표준관리법의 제시도 중요하지만, 계절에 맞는 식물의 교체, 기능에 맞는 실내 배치, 물관리, 분갈이 등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임대나 전문가 관리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일반인들은 실내 식물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알지만 기능과 재배방법이나 배치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지식이 부족하고, 선물에 대한 인식도 일부 종목에 한정된다. 일반인들이 실내 식물에 쉽게 접근해 항상 자연과 눈을 마주치는 느낌으로 실내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식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대중매체나, 문화센터, 평생교육원, 학교에서 실내 식물에 대한 교육을 펼쳐나가고, 초•중•고의 교과서에 식물에 대한 기능과 효능을 소개하고, 교육하여 젊은 인재들을 원예산업에 참여하고 이들을 횔용함으로써 원예산업의 발전과 현대인의 심신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Indoor plants are essential for everyday life in modern building, but their effects are not well recognized by common people. So,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general public on the effects of indoor plants, present their functions and effects according their arrangement and management methods, and help people lead an agreeable life. The number of respondents, housewives, workers, etc., participating in this survey was 150(females: 79, males: 71). All the respondents were affirmative in arranging indoor plants, while their recognition level of the functions of indoor plants was very low. Most of them replied that they thought indoor plants were beneficial to human health in that they reduce human stress and make people feel comfortable. In view of their obtaining indoor plants, receiving as a gift was more common than direct purchase but the percentage of the latter was about 40%,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evidence that peopl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door plants surely. The favorite plants were bowstring hemp(Sansevieria trifasciata), oriental orchid(Cymbidium spp.), dracaena(Dracaena fragrans), rosemary(Rosmarinus officinalis), Ficus beniamina, Rhapis excels, jasmine(Jasminum), western orchid(Cymbidium hybrida Swartz) and African violet(Saintpaulia ionantha), which were raised indoors for the longer period than any other plants. Plant arrangement places in house were chiefly veranda and living roo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veranda is a place like the yard of row houses where permits good lighting and ventilation, and living room is a place, shared by family members, where make it easy to manage and apply indoor plants. Most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ished to raise indoor plants in both house and workplace from now on, and the reason of that was ‘enhancement of indoor atmosphere’, ‘air purification’,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feeling comfortable like being in nature’ and ‘ornamental effects’, and the percentage of those reasons was almost equal to one another. Presenting plants as a gift transfer the gratitude well. Oriental orchid was preferred as a gift plant and white ceramic pottery was preferred as a flower pot, but their selection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sex, age and occupation. Employees and family members managed indoor plants directly and they took difficulties in repotting and watering. Repotting is a troublesome work indoors for various compositions of bed soils and watering is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So, for optimal management of indoor plants, the positive introduction of management system by plant specialists, specialized in indoor arrangement, watering, repotting etc., and easy standard management method like artificial culture soil was recommended. The public know well about the benefits of indoor plants to the human health, but they lack knowledge in their functions and effects according to management and arrangement methods and their recognition of plants as a gift is confined to only a few species. We sh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public to select various indoor plants for indoor life through the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of them to indoor plants. And, we should extend education on indoor plants through mass media, school textbooks, culture centers and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and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young men of ability in the horticultural industry. The application of these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al industry and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for the modern people.

      •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장기요양 예방 효과

        이재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장기요양보험의 재정 부담과 예방책에 대한 분석적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 2008년 7월 도입되어 올해로 7년째로 접어들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노인들이 상당한 혜택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장기요양 인정자수 확대에도 불구하고 장기요양 급여대상에서 제외된 등급외자는 여전히 등급밖에 머물러 제도권내의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장기요양 급여대상에서 제외된 등급외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제공되는 지자체의 노인돌봄서비스와 보건소 맞춤형방문간호서비스가 장기요양에 대해 어느 정도 예방적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장기요양에 대한 예방서비스로서 천안시와 아산시 두 사례 지역의 등급외자 자료와 노인돌봄서비스, 보건소 맞춤형 방문간호서비스 대상자 자료를 통해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사회서비스와 노인보건과 복지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하여 개념을 정리하고, 사회서비스와 장기요양 예방에 대한 선행연구와 우리나라의 장기요양체계와 예방 서비스, 외국의 사례연구 등 문헌분석을 통하여 예방서비스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지역보건복지서비스와 장기요양 간의 효과 분석을 위한 대상자는 2008년 4월 15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천안시와 아산시의 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 인정신청을 하여 등급외 판정을 받은 3,075명이다. 이들 중 2013년 12월 31일까지 재신청하여 등급내로 편입된 대상자는 760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지자체 노인돌봄서비스, 보건소 맞춤형방문간호서비스 제공에 따른 등급내 편입기간의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등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돌봄서비스와 맞춤형 방문간호서비스를 제공받은 대상자가 제공받지 않은 대상자보다 등급내로 편입되는 기간을 늦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기간과 장기요양편입기간 간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결과도 서비스를 길게 받을수록 편입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매우 밀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지역보건복지서비스를 강화하면 대상자의 기능상태 유지 및 중증도로 가는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장기요양보험에 재정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 간 지역적 특성, 재정차이, 서비스 시간 및 비용, 접근성, 서비스 질 차이 등 맥락의 차이를 통해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서비스가 확대되고 강화되어져야 하며, 둘째, 간호와 보건 관련 지역 보건서비스가 더 확대 보급되어야 하며, 특히 노인의 욕구에 맞는 맞춤형태의 보건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서비스 대상자들의 중증도를 기준으로 집중 대상그룹과 비 집중 대상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해야 하며, 넷째,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식, 즉 사례관리방식의 적용이 필요하다. 다섯째, 현재 등급내와 등급외로 이원화되어 있는 서비스를 대상자 중심으로 재정비해야하며 마지막으로 공단과 자치단체, 민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서비스정책에 매우 시사적이며, 지역서비스(자치단체)와 장기요양서비스(국가)간 유기적 관계 정립을 유인하데 의의가 있다. With advancement of agedness of population level of dependence on Long Term Care is heightening accordingly analytical discussion and research on financial burden of Long Term Care Insurance and measures for its prevention are ongoing. System of Long Term Care Insurance was introduced in July 2008 and it is 7th year now. From macroscopic perspective it is true that old people are receiving considerable benefit from it. But in spite of expanded number of old people eligible for receiving Long-term treatment however old people who are not included for receiving pay for Long Term Care are remaining outside of such scope and unable to receive service within the system. In this treatise studied old people care service and health center tailor-made type visit nursing service of local self government provided by local community for old people who are excluded from receiving pay for Long Term Care and analysed effect of such service for preventing the need for Long Term Care . This esearch made empir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care as preventive service prior to Long Term Care through data on people who are off the list of insurance service in Cheonan and Asan Cities by means of data on the subjects of old people care service and data on health center tailor-made visit nursing service subject. Firstly this writer established concepts through study and review on effect and importance of preventive service through theoretical search on concept and principle of social service, health for old people and welfare. Then reviewed effect and importance of preventive service through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on social service and long term med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and analysis of Long Term Care and preventive service in our country and case study in foreign countries. Subjects for analysis of effect on social service and Long Term Care were 3,075 persons who applied for approval for Long Term Care to social service of Cheonan and Asan from Apr. 15, 2008 to Dec. 31, 2010 and received decision as not acceptable into category for eligibility of such service. Among them 760 applied again until Dec. 31, 2013 and were accepted into category of eligibility for such service. On such persons this writer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empirically on difference and effect of the term of inclusion in eligibility category based on provision of old people care service, health center tailor-made visit nursing service of self governing body. Result of such analysis showed that subjects who have been provided with old people care service and tailor-made visit nursing service delayed the time for inclusion into such category rather than those who have not provided with such service.Result on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supply of social service and period under inclusion of long-term care category showed that the longer the period of service was the longer the period of such inclusion became and such relationship was very close too. Through result of analysis as above this writer could propose the conclusion that if local social care is strengthened then by maintaining functional condition of the subjects and delaying speed for their advancing to serious symptom level reducing financial burde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will be possible.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also showed that effect of local health and welfare service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ce in context such as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ncial difference, service time and cost approachability and difference in service quality. Based on result of this result this writer's proposal is as follows: First, Social Service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Second, local health service related to nursing and health should be expanded and supplied. In particular tailor-made type health service suitable to desire of old people should be provided. Third, there is need for management by dividing subject groups into group requiring concentration and those which do not need it based on level of seriousness of the subjects for local Social Service. Fourth there is need for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method, more specifically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method. Fifth, through this research this writer suggested need for rearrangement of current dual system of category for on-list and off-list into a system with focus on the subjects and also proposed for need of organic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health service and self governing body and private sector. Result of this research is very suggestive to social service policy and is a meaningful research which induces establishment of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local service (self governing body) and long term medical treatment service (state).

      •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이재숙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 아동복지법 재개정으로 공부방 형태에서 지역아동센터로 탈바꿈되면서 지역아동센터가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복지기능이 부과된 아동복지시설로서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한다. 또한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에 따라 지역아동센터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과 활성화방안을 제언해보고, 아동복지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아동센터로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의 수행정도는 어떠한지 파악하고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아동센터의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넷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가정의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 및 경인지역의 지역아동센터와 공부방의 실무자 대상으로 총 110부 중 주소불명으로 반송된 6곳을 제외한 104부 중에서 총 96부를 가지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t-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영역별로 평가한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기관에서 간식과 급식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육프로그램은 하루일과를 계획하여 프로그램 진행, 기록하기 문항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었으며, 특히, 아동 별 학습지도와 문화 활동 문항에서는 상당수 많은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과 자연활동이 가능한 장치와 재료문항에서는 조금 낮은 점수로 평가되어 대체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는 가정방문에 비해 아동·부모상담 운영, 사례관리문항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복지서비스는 다른 사회복지 프로그램영역인 급식활동, 교육프로그램, 사례관리, 지역복지서비스에 비해 평균점수가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아동·가정 사례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 및 연계항목과 부모교육 항목이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났다. 둘째, 각 영역별에서 알아본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은 시설설비 및 안전영역에서 가장 낮게 평가를 받은 항목을 살펴보면 아동의 건강관련 기록문서항목으로서 이는 아동의 건강관련 등의 개별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개별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과 아동과 분리된 생활복지사만을 위한 공간이 아동복지법에 의거한 시설기준에 비해 다수 기관에서 협소한 공간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의 시설확충 부분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함을 뒷받침 할 수 있다. 운영관리영역에서는 후원자관리, 직원보수교육, 생활복지사에 대한 평가항목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지역 내 아동들을 보육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요건은 평균 1.88로 추후 지역아동센터가 종합적인 아동센터의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로서 발전될 수 있도록 시설기준이 좀 더 보완되어야겠다. 상호작용영역은 생활복지사-아동, 아동-아동, 생활복지사-생활복지사 간의 평균점수는 생활복지사-부모, 생활복지사-자원봉사자, 생활복지사-외부기관 전문가 영역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가 부모와의 활발한 상호작용, 자원봉사자 및 외부기관 전문가를 연계 및 활용하여 사회복지 기능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함을 나타나고 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요인에 따른 즉, 국가 보조금 지원현황,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 시설장의 최종학력 및 보유자격증에 따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환경 영역에서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영역에서는 급식활동, 교육프로그램, 사례관리, 지역복지서비스 문항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지역아동센터의 급식활동은 국가지원현황,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 보조금 지원받는 지역아동센터와 지역아동센터로 신고한 지역아동센터에서 급식활동이 더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에서는 10% 유의수준에서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5% 유의수준에서 시설장의 보유자격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아동센터로 신고하거나 시설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할 경우에 교육프로그램을 더 잘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례관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지역복지서비스에서는 국가지원현황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국가보조금 지원받는 지역아동센터가 지역복지서비스를 더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은 운영관리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시설설비 및 안전의 차이항목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시설장의 최종학력에 따라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시설장의 보유자격증에 따라 1%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시설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에 시설설비 및 안전영역에서 운영이 더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에서는 생활복지사-아동, 아동-아동, 생활복지사-생활복지사, 생활복지사-자원봉사자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와 시설장의 최종학력에 대해 생활복지사-부모에서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지역아동센터를 신고하지 않거나 시설장의 대학원재학 이상일 경우에 생활복지사-부모간의 상호작용이 더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복지사와 부모간의 상호작용에서 지역아동센터가 미신고일 경우 지역사회운동에서 시작된 공부방형태로써 부모의 지속적인 참여와 관심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생활복지사- 외부기관 전문가의 상호작용영역에서는 10% 유의수준에서 국가보조금 지원받는 지역아동센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보조금을 지원받음에 따라 생활복지사-외부기관 전문가의 상호작용이 더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가정의 요인을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아동 전체 인원수,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출결현황, 아동의 보호자 중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 가족에게 학대 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를 선택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시설설비 및 안전, 운영관리영역에 따라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영역에서 급식활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아동의 보호자 중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와 사례관리에서 가족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가 적을수록 교육프로그램이 더 잘 운영되고 있었으며, 지역복지서비스에서는 가족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가 많을수록 지역복지서비스 활동은 더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 내에서 문제가 보여 지는 아동들은 교육프로그램의 활동에서는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를 위해 지역복지서비스를 통해 좀 더 긴밀한 사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환경에서는 시설설비 및 안전의 차이, 운영관리에 따라 가족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사후 검증한 결과는 1가족 이하이거나 4가족 이상일수록 즉, 문제가정이 없거나 많을수록 시설설비 및 안전과 운영관리는 잘 갖추어진 것으로 알 수 있다. 상호작용에서는 생활복지사-아동, 생활복지사-부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아동-아동, 생활복지사-생활복지사에서는 학대를 받는 아동의 가족 수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복지사-자원봉사자, 생활복지사-외부기관 전문가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사후검증 결과 학대를 받는 아동의 가족 수가 적을수록 아동간의 상호작용은 더 높았고, 생활복지사간의 상호작용은 학대를 받는 아동의 가족 수가 많을수록 상호작용이 더 긴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가 많을수록 생활복지사와 외부기관 전문가, 자원봉사자 간의 상호작용은 더 긴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 내 여러 문제로 인하여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지원 등을 위한 직·간접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생활복지사, 자원봉사자, 외부기관 전문가와 더욱 더 밀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천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고 지역아동센터의 발전방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첫째,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과 지역사회의 적극적으로 상호개입 될 수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하고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는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이용아동들의 가정환경과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례관리 교육과 상담기술, 사회복지실천기법 등의 교육을 통해 전문가 양성을 해야 한다. 지역아동센터에 대핸 정책적 함의는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생활복지사와 시설장은 사회복지사 3급 이상 취득해야 하나 지역아동센터의 아동 및 가정의 사례관리와 지역사회를 조직 및 실천하기엔 역부족이므로 사회복지사 2급 이상의 전문대 졸업이상의 자격기준을 강화되어야 하고, 추후 보수교육을 통해 사회복지사를 취득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둘째, 지역아동센터 대부분의 기관이 시설장의 자격기준과 공간이 시설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인건비와 월세로 대부분 지출되어 프로그램의 운영비 등 아동들의 실질적인 사례관리 등의 프로그램에는 역부족이므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속적인 재정지원과 지역사회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후원자 개발을 통해 부족한 재정부분을 충당하여야 하며 셋째, 정부는 시설기준에 맞춰서 지역아동센터로 신고를 하기보다는 시설확충과 최소 기준공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 provide comprehensive child care service as well as social welfare function. Under revised child welfare law in 2004,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re now more focused on child welfare than education servic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 provide such welfare service. Also, suggestions are made as to the future direction for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how to activate the center depending on its social welfare function performance. In short, it is suggested th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evolve into an institution that can assume pivotal role in child welfare initiatives. This study raised four issues; first, to address the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econd, to find out operating environment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ird, to identify factors relevant to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fourth, to identity factors related with child or their family that can affect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110 copies of survey material were sent out to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Kyoung-in area. Six copies were returned as the addresses were wrong. Out of 104 copies, 96 were used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t-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ost-hoc test utilizing SPSS 12.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social welfare program was evaluated by categories. Most institutions were providing meals and snacks. In most institutions, education program was in place including organizing daily activity, implementing program and data-keeping. In particular, customized academic guidance and cultural activity were being implemented in most centers. However, category of equipment and material related with science and nature study and activity had slightly lower score, suggesting this category i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case management category, consultation with children or parents had higher scores than home visits. Community welfare service category had considerably lower score than meal service, education program or case management.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part with the lowest score in facility·safety category of operation environment was children’s health-related data keeping category, showing individual child’s health management was insufficient. It was also found that space was not enough to meet the legal standards. There was not enough space to store children’s individual items nor there was sufficient space reserved for welfare workers, apart from room for children. This suggests th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need to supplement facilities. In interaction category, average score of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children, child-child, and welfare worker-welfare worker were higher than those between welfare worker-parents,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and welfare worker-independent expert. Third, social welfare program’s operating environment was analyzed as to whether it was receiving government subsidy, whether center reporting system was in place, and what academic background o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the head of the center had. Results differed depending on each category such as meal service, education program, case management or community welfare service. Meal servi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differed significantly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government subsidy or reporting system. This shows that centers with government subsidy and reporting system had better meal service. Education progra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enter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porting system or whether the head of the center had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Cent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in community welfare servic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government subsidy. Operating environ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ng management category. In facility·safety catego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porting system or what academic background the head had. Centers with head having Social Welfare Worker Certificates turned out to be better run in facility·safety category. In inter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children, child-child, welfare worker-welfare worker or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parent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porting system or what academic background the head had. The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 independent expe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government subsidy. It was found out that centers getting government subsidy had more close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s and independent experts. Fourth, variables related with children or their families were analyzed in social welfare program category, facility·safety category and operation management category. Specific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ere total number of children in a center, a child’s attendance at the center,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and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l service in social welfare program categor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in education program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case managem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This shows that children from problematic families had lower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 and that careful case management is required to correct this problem through community welfare service. In operating environ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ility·safety and operating management catego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Post-hoc analysis on this result shows that facility·safety and operating management were better implemented in cases where there was less than one family with abused child or more than four families with abused child. In inter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elfare worker-children or welfare worker-parents. However, interaction between child-child or welfare worker-welfare work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welfare worker -independent expe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independent expert and volunteer worker grew closer as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direct and indirect social welfare service to help children suffering from domestic problems can improve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or independent expert.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as to how to draw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practical and policy perspectives and how to improv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child centers should implement social welfare program that encourage active intervention of families and community. Second,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need to be trained as professionals to solve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through case management training, consultation training and exercise of social welfare practice technique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ds and welfare workers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hould obtain at least Welfare Worker Certificate III. However, this qualification is insufficient to guarantee decent case manage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erefore, the qualification should get tougher, such as requiring at least Welfare Worker Certificate II or college diploma. Aggressive support is required so that the heads and welfare workers could obtain certificates even in the future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Second, most centers are not meeting legal standards in the qualification of the head or space and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at is because most revenues are spent as wages or monthly payments, leaving little money to go to welfare program. Therefor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continued financial support or help centers find sponsors so that centers could deal with the financial situation by themselves. Third, government should help centers to secure minimum legal space and decent facilities, rather than encouraging centers to report a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upon just meeting legal standards.

      • 용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불안, 분노, 우울 및 용서에 미치는 효과

        이재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용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용서, 불안, 분노,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용서 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둘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셋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넷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이다.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위치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중 용서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대상자, 총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 배치는 무선으로 8명이 실험집단, 10명이 통제집단으로 배치되었다. 2022년 06월 13일부터 2022년 07월 4일까지 주 2회씩, 총 7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1회기당 시간은 총 120분이며 중간에 쉬는 시간을 5분을 두었다.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오영희(2008)가 개발한 한국인 용서척도(KFS), 상태 분노검사, 상태-특성 불안검사, 전겸구와 이민규(1992)가 번안한 Radoloff(1977)의 우울검사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용서 정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분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용서 프로그램이 스트레스와 대인관계에 취약한 정신장애인의 용서 정도가 증진되고, 분노와 우울이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이 용서과정을 통해 상처, 갈등을 건설적으로 다룰 수 있게 도와주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상처를 수용하고 극복함으로써, 심리적 재활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forgiveness program affects forgiveness,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of the mentally disabl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degree of forgiveness of mentally ill patients significant? Second,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anger of mentally ill people significant? Third,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anxiety of mentally ill people significant? Fourth,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mentally ill patients significant?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8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forgiveness program among the mentally disabled registered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In the group deployment, 8 people were deployed wirelessly as experimental groups and 10 as control groups. From June 13, 2022, to July 4, 2022, h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wice a week for seven sessions, with a total of 120 minutes per session and five minutes of rest in the middle. During th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Korean forgiveness scale (KFS) developed by Oh Young-hee (2008), the status anger test, the status-characteristic anxiety test, and the depression test of Radoloff (1977), adapted by Jeon Gyeom-gu and Lee Min-kyu (1992), were used as tool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corresponding sample t-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forgiveness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the degree of forgiveness of the mentally disabl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orgiveness program did not reduce anxiety in the mentally disabled. Third, the forgiveness program effectively reduced the anger of the mentally disabled. Fourth, the forgiveness program effectively reduced depression in the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orgivenes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gree of forgive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ducing anger and depress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by helping the mentally disabled deal with wounds and conflicts constructively through the forgiveness process and accepting and overcoming wounds in a desirable direction.

      • 그리스도와의 연합 : 로마서 6:1-14 를중심으로

        이재숙 한영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로마서 전체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의는 그리스도에게 나타났으며, 그 그리스도에게 나타난 의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인에 게 전가된다. 그것은 삼위하나님의 사역을 통한 하나님의 사역이다. 성부 하나님께서 계획하고, 성자 하나님을 통하여 성취하고, 성령 하나님께서 적용하는 하나님의 사역이다. 우리는 성자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고 부활하므로 성취하고 완성한 하나님의 사역을 통해 재창조와 성화의 사역을 성취하고 완성하였다는 것을 성경을 통해 믿는다. 즉, 하나님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의가 신자에게 전가됨을 믿는다. 본문은 하나님의 의가 하나님의 사역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 그리스도인에게 어떻게 그리스도인에게 전가되는지를 다룬다. 접속사를 중심으로 분석한 구조분석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신자에게 주는 유익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우리는 불의한 아담과 그의 후손으로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였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믿 으므로 새 생명이 주어진 존재로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살 수 있게 되었 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예 수 그리스도에게 귀속된 존재가 되어 새로운 양식으로 살아가는 존재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사역으로 인 하여 그리스도인은 성숙함으로 자라간다. 새로운 생명을 가진 존재는 의 롭다함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거룩한 존재로서 산 자로 성화된 존재가 된다. 성화된 존재는 하나님께 드려진 존재이며 그리스도 안에서 영화가 이루어져 온전하고 완전한 존재가 된다. 이 모든 것의 전 제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살아남이 있다. 본문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의 구속사적인 의미와 신자들이 구체적으 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이루는 것의 의미를 더욱 알게 해준다. 따라서 하나님의 사역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살아남을 전제로 그리스도와의 연합 을 통해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은혜의 사건이다. 우리는 그 리스도께서 성취한 것을 믿으며 소망 가운데 그를 바라보며 살아야 한다. In the entire book of Romans, the righteousness of God is manifested in Christ and it also gets transferred to Christians through union with Christ. That is God’s work done through the triune God who plans by God the Father, accomplishes through God the Son and accommodates by God the Holy Spirit. We believe that God has accomplished and completed our recreation and sanctification because of Jesus Christ’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ransferred to believers through God’s work. The book shows how the righteousness of God gets transferred to Christians through union with Christ from God’s work. The structural analysis is divided by conjunctions,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what believers earn as a result of being in union with Christ. Every human being dies because of the unrighteousness of Adam, the first man. However, we receive new life in Christ when God’s grace leads us to believe that Jesus Christ is God. The meaning of living in Christ is that we belong to Him as a new creation through His death and resurrection; and we grow to mature in Him under God’s work. A new creation becomes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also becomes sanctified by the Holy Spirit. Anyone who is sanctified becomes dedicated and consecrated to God, and then he becomes complete and perfect in the glory of Christ. Th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Jesus Christ was crucified, dead and then rose from the dead. In the scripture, it shows the redemptive-historical meaning of God’s work and the concrete meaning of uniting with Christ. Thus, God’s grace is given to Christians through God’s work and being in union with Christ on the premise that Jesus Christ died on the cross and revived. We must believe what Jesus Christ has accomplished in this world and live in hope.

      • 도덕교육의 정의적 영역에서 배려윤리의 적용 : 7차 교육과정에서 정서교육방안

        이재숙 인제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도덕교육의 정의적 영역에서 배려 윤리의 적용 이 재 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 전공) 본 논문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는 인격 교육에 대해서 알아보고, 인격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배려 윤리를 적용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은 리코나의 인격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인격교육은 도덕교육의 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이 통합적으로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격 교육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격 교육론자들이 주장하듯이 지적인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을 차례대로 교육한다면 인격을 양성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그리고 인격 교육은 구체적으로 지적인 영역과 정의적인 영역의 연관성과 정의적인 영역과 행동적인 영역의 연관성이 잘 드러나 있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교육의 연구 동향, 7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특징, 인격 교육의 문제와 한계를 알아보고, 인격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은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의 연결고리로서 중요하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서 배려 윤리는 정서교육의 방법으로서 타인과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타인의 상황에 감정이입, 공감, 배려한다는 점에서 인지적인 영역과 행동적인 영역의 유기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실제 도덕 수업에서 배려 모형을 이용한 수업 지도안의 예를 제시함으로써 정서교육의 한 방법으로 배려 윤리를 적용하였다. 주제어: 인격, 인격 교육, 배려 윤리, 인지적 교육, 정의적 교육, 행동적 교육, 도덕 교육, 관계, Nel Noddings, 7차 교육과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