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마태복음 25장 비유에 나타난 종말사상 연구

        문종선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63

        This dissertation has purposed to examine Eschatology thoughts of Jesus by approaching the three parables at the end of the eschatological sermon in chapter 25 of the Gospel of Matthew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 particular intention for dealing with the Gospel of Matthew 25 was to consider the parables, which had been specially edited in as the consummating part of the five intensification, and examine how the parables have been accepted as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by the Matthew assembly and strongly suggested a watchful living and that prepares the end. Therefore, the three parables that had been edited in by Matthew were studied as a whole in terms of their positional significance and commonality, and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were examined in regards to Matthew's intention that was conveyed in these parables. As the foundation of the analysis of the text, the teachings of the eschatological sermon of Jesus were deduced (chapter II) by examining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schatology appearing of the contemporary Jewish people and that of Jesus in the Gospels; the dynamics of the Scriptural messages w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Scripture and its recording by examining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thew assembly (Chapter III); moreover, Matthew 25:1-46 was approached as the conclusion of the intensification with its focus on the five intensifications. The study deduced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theological subject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from this study, the subject has been deduced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reality based on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and continuity of God's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and the coming kingdom in regards to chapter 25 of the Gospel of Matthew. Moreover, through a detailed analysis, the study deduced the messages regarding a watchful living preparing for the end; carrying out of the commission as a member of an assembly that prepares the end; and the ethics and living that prepares the end. The eschatological reality based on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which is related to the eschatology about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declared, includes both the things of the future and of the present. Such a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is the reality of the eschatology; it already exists with His people in the present, and its consummation will be in the future. In terms of the continuity of God's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and the coming kingdom,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s sees that the kingdom is related to the growth, and the consummated kingdom will be at the end of this age(24:29-31; 25:31-46 ). What is particularly emphasized here is that the continuity of the present kingdom and the coming kingdom is related to the living under God's administration as clearly indicated in the parables in chapter 25(25:10, 21, 23, 34, 36, 41, 46).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related to this issue must be at its peak in the three parables of Matthew 25. Further, in order to understand Matthew's intention in editing in the three parables as a process of analyzing the eschatological parables in Matthew 25, considering the commonality in the nature, subject, and structure of the parables,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d what common emphasis Matthew had put in his editing by relating the parables to the adjacent context. As a result of the consideration, all these parables were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schatological parables related to the second coming of the Son of Man, and contain identical subject and structure in terms of their dealing with an absence and return of the main characters. It was evident that in order to answer the contemporary issues regarding the delay of the second coming, the edition of the parables structured with such commonalities purpos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reality based on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namely the eschatology about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declared; further, the edition was intended to solidify the eschatological lesson regarding the living under the present kingdom according to the commission and commitment of the assembly. From such a point of view, the study related the focus of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conveyed in the parables through Matthew's peculiar edition and its positional significance to the reality of the kingdom of the heavens in this age that prepares the second coming of the Lord. Also, the parables in chapter 25 were considered as an intensifying message containing concrete parables following the admonition of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in chapter 24, dealing with the aspects of being watchful,' 'faithful and prudent slave, and ethics of disciple in a balanced way. Throughout the paper, the study proposed a more definite understanding based on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Also, considering Matthew 25 as the conclusion and completion of the five intensifications, an eschatological message was deduced regarding how the three particularly-edited parables were accepted by the Matthew assembly as an eschatological teaching and strongly suggested a watchful living and thorough ethics that prepares the end. Moreover, is it desired that the very eschatological teaching given to the Matthew assembly would establish for the contemporary people a proper faith for living in the reality of the kingdom in this age according to the eschatology appearing of Jesus, and become a lamp to the feet of those who anticipate the end with a watchful living, longing for the second coming of the Lord 본 연구자는 종말론적 가르침의 후반부에 위치한 마태복음 25장의 세 비유 분석을 위해 다 방면으로 접근하여 예수의 종말사상의 교훈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특히 마태복음 25장을 다룬 본 연구의 초점은 마태복음서의 다섯 강화의 완결 부분으로서 특별히 편집된 세 비유들이 마태공동체에게 어떠한 종말적 교훈으로 수용되고, 종말을 준비하는 깨어 예비하는 삶을 강하게 제시받게 되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따라서 25장의 세 비유를 부분적으로 보지 않고 마태에 의해 독특하게 편집된 이 비유들의 위치의 중요성과 공통점을 관심하며, 이 비유를 통해 전달하고자하는 마태의 의도에 따른 예수의 종말사상의 교훈을 얻는데 본 연구의 중요성을 두었다. 본 연구를 진행한 논문의 개략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 연구목적과 중요성, 연구방법과 범위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어서 예수의 종말론적인 가르침에 대한 연구사와 아울러 본문 해석을 위한 최근의 신약해석의 흐름을 살피기 위한 기존연구사의 개관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마태에 의해 편집된 특수 자료로서의 마태복음 24-25장의 종말설교 후반부에 위치한 세 비유를 통하여 종말론적 교훈을 얻는데 연구목적과 중요성을 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문연구에 있어서 종교사적, 배경사적 접근에 국한 되거나 전체구조와 상관없이 본문에만 매여 있지 않고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정황 또는 그 공동체가 속한 주변세계의 정황과 관련하여 공동체의 삶의 자리를 중시하여 본 연구의 접근을 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본문에 나타나는 사상들이나 행위들의 배후를 이해함으로 본문 해석의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에 따라 종말론 연구에 관한 기존 연구동향과 방향성을 살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본문에 나타난 종말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가르침에 따른 종말론 관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초기 그리스도교 배경이 된 예수 이전의 유대 종교운동으로 유대묵시문학사상을 살핌으로 주변세계를 고찰하고, 예수님 당대 유대인들의 종말사상과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사상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예수의 선포에 나타난 종말사상에는 미래적 대망사상뿐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임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마태복음서에 있어서 가장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천국(kingdom of the heaven)에 대한 개념, 즉 종말론적인 실재로서의 ‘하나님의 통치’를 이해하였다. 그것은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치신 종말론적 교훈을 임박한 파루시아에 대한 집착이 아닌 현재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통치 아래에서의 삶과 활동으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이해로 마태복음의 다섯 강화의 마지막 부분으로 제시된 마태복음 25장의 비유들을 분석함에 있어서 용이한 접근을 시도하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본 논문의 본문분석을 위한 기초로 초기 그리스도교의 형성 배경과 사회적 정황 및 마태 공동체의 특징과 성격을 탐구하였다. 우선 초기 그리스도교는 당시에 만연했던 헬라세계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리스도교의 메시지가 선포되는 환경도 헬라 세계의 영향권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교는 헬라 세계에 다양하게 반응함으로써, 그들의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해 나아가며, 당시의 문학적인 기법, 사회적, 종교적 관습, 철학적 개념 등을 수용하거나 변형하여 그들의 메시지가 선포될 수 있는 틀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교의 생성초기의 배경은 헬레니즘이었으며, 예수가 출현하였던 당시 유대의 세계는 정치적 상황으로 일종의 종교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었고,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형성에 있어서의 사회적 배경은 유대적 배경이다. 이러한 유대교적 영향 가운데 초기 그리스도교가 지녔던 독특한 새롭게 강조한 점들을 살펴보며, 본 연구를 위한 본문 분석의 직접적 토대가 되게 할 마태공동체의 성격에 관하여, 마태공동체의 유대적 배경과 갈등, 마태공동체의 내부대립과 공존, 예수의 재림지연에 따른 마태 공동체의 정황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마태는 그가 속한 공동체의 목양과 강화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토대로 새로운 율법과 의를 지향하는 새로운 이스라엘 공동체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종말론적 강화의 성격으로 마태복음을 기록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정황들과 기록들이 예수의 재림 지연과 관련하여 공동체가 감당하며 극복해야 할 문제들로서 공동체의 강화는 물론 예수의 재림을 통하여 완성에 이르는 하나님의 나라에 참예하기 위하여 현시대에 깨어 예비하며 신실하게 그들의 위임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강화시키는 메시지가 필요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성서는 그것이 기록된 사회적 정황과 분리될 수 없다는 점과 그 시대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 즉 그리스도교가 형성되고 성서가 기록된 배경에 대한 이해는 성서의 메시지가 갖고 있는 역동성을 살려내고, 성서의 내용을 단순한 문자의 배열이 아니라 현 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로 되살려낸다고 보았다. Ⅳ장에서는 다섯 편의 강론(강화)을 중점으로 구성된 마태복음의 종말론적 구조와 강화의 결론이며 마지막 단원의 교훈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마태복음 24장과 25장을 하나의 큰 주제로 두고 마태복음 25장의 위치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저자는 자신의 공동체 구성원들에 대한 자신의 의도와 교육의 문제를 염두에 두고, 예수의 가르침을 현재와 같은 형태의 다섯 편의 강론으로 재구성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복음서의 저자의 의도를 따라 다섯 편의 강화를 중점으로 구성된 문장 구성의 중요성을 따라 이 강화의 마지막 부분의 결론으로서 25장의 위치의 중요성을 두며, 세 비유 안에 나타난 종말강화 메시지에 초점을 두었다. Ⅴ장에서 마태복음 25장에 제시된 세 비유인, 지혜로운 처녀들과 어리석은 처녀들의 비유(25:1-13), 책임완수의 달란트 비유(25:14-30), 최후의 심판 비유(25;31-46)를 주석하여 마태의 의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25장의 세 비유의 분석을 위한 직접적인 접근으로 먼저 선행 문맥으로서의 24장의 관련된 인접 문맥을 살펴보는 것을 우선 하였다. 이는 24장의 종말설교의 내용이 마태복음을 기록할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직접적인 관련이 되며, 특히 제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된 종말론 강화는 마지막 종말론적 심판이 임하기까지의 모든 세대에 종말을 지시하는 징조들의 실제, 종말 이전 시대의 천국 복음의 전파, 재림 준비 등의 내들은 이 강화 결론으로 세 비유를 안배한 선행 구절(24:42, 24:44)들로 보기 때문이다 이어서 인접문맥을 통한 예수의 종말론적 교훈들의 이해를 토대로 마태복음 25:1-46에 위치하고 있는 세 비유, 즉 “열 처녀비유”(25:1-13), “달란트 비유”(25:14-30), “양과 염소의 비유”(25:31-46)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이 비유들이 강조점과 공통점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예수의 종말사상의 교훈을 따라 종말을 대비하는 깨어있는 삶과 주님의 재림을 준비하는 신실한 공동체 윤리와 사명을 다하는 종말강화의 메시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본문을 세밀하게 분석 하였다. Ⅵ장에서는 24장의 종말론적 가르침과 연관 되어진 25장의 이 비유들이 어떠한 점을 강조하며, 이 비유들을 통해 마태복음 기자가 표현하려고 한 종말사상의 신학적 의도와 기능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 관찰된, 예수의 종말적 교훈에 따른 신학적 주제는 첫째로, 마태의 천국 개념에 따른 종말론적인 실재를 인식함과, 둘째로 현재왕국과 미래왕국 사이의 연속성 안에서 현재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통치 아래에서 살아가는 것으로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마태복음 25장의 세 비유 분석에 따라 도출된 신학적 메시지로서의 종말론적 교훈을 각각의 비유의 내용에 따른 메시지의 초점과 그 비유의 강조점 및 유의할 점을 제시 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종말론적 교훈으로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바른 신앙을 정립하고, 주 예수의 재림을 준비하며 구원을 고대하는 공동체에게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 초대교회 사막 영성가 이해 : 안토니오스, 에바그리오스, 닛사의 그레고리오스를 중심으로

        천선미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of desert spiritualists in the Early Church for restoring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which today’s Christians have lost. With the end of religious persecution and the richness of external environment in terms of law, material, and human resource resulting from Emperor Constantine’s pro‐Christian policies and Emperor Theodosius’ decrees making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the Roman Empire, the church was captured by secularization, deprived of the spirit of the cross and fallen into internal poverty. Resisting the waves of secularization, some Christians gave their possessions to the poor and went out to the desert in order to preserve the purity of their cross faith. This is how desert spirituality was born. Desert spirituality was established by fathers who were “philosophers practicing an evangelical life” based on the Bib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were, first, the spirituality of ‘abandoning’ possessions. The spirituality abandoned possessions based on the word “Jesus answered, ‘If you want to be perfect, go, sell your possessions and give to the poor, and you will have treasure in heaven. Then come, follow me’” (Matthew 19:21). Second, the spirituality denied desires. They practiced the word “Those who belong to Christ Jesus have crucified the flesh with its passions and desires” (Galatians 5:24). Third, the spirituality implemented through life the love of Jesus’ cross, which was taking care of social minorities as if taking care of the Christ himself. Those who contributed to influencing the society by spreading such spirituality were not the desert hermits but monks who were trained in the desert and then became the overseers of the church. Becoming church leaders and endowed with great wealth from the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Roman Empire, properties inherited from euergetes, and offerings, they waged charity activities of a huge scale that even the Roman Empire did not dare to try, and as a result, social welfare projects laid the spiritual foundation of Christian civilization in the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ose whom the researcher took interest in among the monk spiritualists were St. Anthony who was the founder of desert monk spirituality, Evagrius of Pontus who systematized desert spirituality, and St. Gregory of Nyssa who initiated apophatic theology. The keys of their spiritual thoughts were, first, the establishment and protection of the orthodox Christian doctrines against heretics. Second, their lives are summed up into contemplation of apophatic theology presuming ‘the abandoning of the private world.’ Contemplative prayer is not being like God or being absorbed into God but being united with God spiritually and being endowed with power to participate in God’s goodness and enjoying the power. In the process, as it is impossible to express God, who is infinite and transcendent, in finite human languages and concepts, one confesses the apophatic theology of ‘abandoning the private world’ by removing the concept of God from the mind. In this process, hesychia is a state in which one is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his soul takes a rest in the presence of God. The content of such a contemplative life of apophatic theology is only the passion to see God through the purity of mind, to love the Christ, and to follow the Christ. Therefore, for the restoration of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this study suggested an individual’s benevolent decision and abandoning after St. Anthony, and emphasized removing evil desires and passions for loving only the Christ after Evagrius of Pontus. After St. Gregory of Nyssa, moreover, this study admonished, as the way for Christians to follow and be united with God, that Christians in the course of sanctification should continue progress until reaching God’s infiniteness. Such spirituality is suggested as a solution for today’s Christians to restore ‘the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from seculariz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이 상실한‘복음적 삶의 실천 영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초대 기독교 사막 영성가들의‘복음적 삶의 실천영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초대교회는 신앙의 박해가 종식되고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친 기독교 정책과 테오도시오스 황제의 기독교 로마제국 화라는 외적 환경의 법적, 물질적, 인적 자원의 풍요로움은 십자가 정신이 상실된 내적 빈곤을 초래하는 세속화의 포로가 되게 하였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세속화의 물결에 대항하여 자신의 소유를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개인적 십자가 신앙을 순수하게 지키기 위해서 사막으로 나아갔다. 여기에서 사막영성이 태동하게 된다. 사막 영성의 특징은 성경말씀에 근거하여 “복음적 삶을 실천하는 철학자들”인 교부들에 의해 세워지게 되는데 그 영성의 특징은 첫째, 소유를 ‘포기’하는 영성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가 온전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마19:21)는 말씀대로 ‘소유를 포기’하는 영성이다. 둘째, 정욕을 부정하는 영성이다. 그들은‘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욕과 탐심을 십자가에 못 박는다는’(갈5:24) 말씀을 실천하는 실천가들이었다. 셋째,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것이 그리스도 자신을 돌보는 것’이라는 예수 십자가 사랑을 삶으로 해석해 내는 영성이다. 이러한 영성을 사회의 영향력으로 전파한 공헌자들은 사막에서 은둔생활을 한 자들이 아니라 사막에서 훈련되어진 수도자들이 교회의 감독이 된 자들이었다. 이들은 교회지도자가 되어 로마국가의 정치적, 국가재정후원, 그리고 사후(死後) 선행가(euergetes)의 유산상속, 증여라는 부(富)를 통하여 로마국가가 시도하지 못했던 엄청난 규모의 자선활동으로 사회 복지사업이 서구, 럽 국가들에게 기독교문명이 정신적 기반이 되게 하는 영향력이 되었다. 이러한 수도주의 적 영성가 중에서 본 논자가 관심을 갖고 연구하려는 영성가는 사막 수도영성의 시작인 성 안토니오스(St.Anthony), 사막영성을 체계화 시킨 에바그리오스(Evagrius of Pontus), 부정신학(否定神學, Apophatic theology)의 시작인 닛사의 그레고리오스(St. Gregory of Nyssa)이다. 이들의 핵심적인 영성 사상은 첫째, 이단자들에 대항하여 기독교 정통교리를 확립시키고 수호하는 일에 앞장 선 정통신학자들 이었다. 둘째, ‘자기세계의 포기’가 전제되는 부정신학적 관상의 삶으로 요약 된다. 관상기도는 하나님처럼 되거나 하나님께 흡수되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 영적으로 연합 되어 하나님의 선한 성품에 참여하는 능력을 받아 누리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무한하시고 초월해 계시는 하나님을 유한한 인간의 언어와 개념으로는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개념을 마음에서 제거하는 ‘자기세계의 포기’라는 부정신학이 고백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헤시키아는 성령 충만하여 하나님의 임재 안에 머물러 영혼의 쉼을 누리는 상태이다. 이러한 부정신학 적 관상의 삶의 내용은 오직 마음의 청결을 통하여 하나님을 보려는 열망, 오직 그리스도만 사랑하고, 그리스도를 따르려는 것이 전부이다. 그러므로 본논문은 복음적 삶의 실천 영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성 안토니오스로부터는 한 개인의 선한 결단력과 포기의 영향력을 제시하고, 에바그리오스로부터는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만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악한 정념들을 제거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닛사의 그레고리오스로부터는 성화 과정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을 따르고 연합하고 닮아가는 길은 하나님의 무한하심에 다다를 때까지 끝없는 전진이라는 것을 교훈하였다. 이러한 영성은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이 세속화로부터‘ 복음적 삶의 실천 영성’을 회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 하고자 한다.

      • 오순절신학에 나타난 성화론 연구

        강춘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as a whole, and a further attention is given to the Wesleyan Pentecostal theology. Furthermore, as the modern Church has grown out of the dynamic work of the Holy Spirit, which has been the main strength of Pentecostalism,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trigger the Church reform that will bring about the revival of the Pentecostal movement of the early Church in the 2nd millennium. The reason the present study has chosen the theme of the Pentecostal pneumatology and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that the early Church was established by the advent of the Holy Spirit and that the holistic salvation and the work of sanc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provided a strong momentum to change ‘Judah, Samaria and the whole world’at that time. Evangelism along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lead to heartfelt repentance; the manifestation of divine healing, signs, and miracles made the whole Church experience the wonderful grace of the Lord, share the Table of Love (agape) and intimate fellowship with one another, have all things in common, and devote themselves to the relief of the poor, that is, a practical love; the Church exercised a great influence upon the society. Nowadays, however, Pentecostalism is losing its influence. The main reason seems to be that Pentecostalism has been devoted to charismatism and thus lost its aim of ethical lif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recover the influence of the degenerating Pentecostalism and to prevent its distortion and find its rightful identity by emphasizing the life of holiness that Pentecostalism has focused on.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8 chapters. The chapter 1, i.e. introduction deals with the motive, the purpose, the significance in the research history, and the proceeding of the present study. The chapter 2deals with the history of the Pentecostal theolog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ntecostal theology can be considered mainly in three parts: Calvinism, the holiness movement, and the Pentecostal movement. First of all, perfectionism, that is, a new type of the Reformed theology emerged from Calvinism with Charles G. Finney, Asa Mahan, and others. Their aim was to promote the union with Christ and emphasize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union. They accentuated the necessity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s the power that the regenerate would receive from above, that is, the second convers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leyan ‘entire sanctification,’ the Holiness movement pointed out that sanctification rather tha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as the power from above should be considered as power and emphasized the ‘instant sanctification.’ According to the two traditions above, the Pentecostal theology can be also divided into two perspectives: the ‘finished work theology’ of William H. Durham of the Assemblies of God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the ‘theology of entire sanctification,’which emphasizes holiness, of D. S. Warmer of the Church of Go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us, the present study explain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ntecostal theology in general and gives more attention to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 Church of God which centers on the theology of entire sanctification.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 Pentecostal theology did not break out without any historical background, but the Pentecostalism is the rightful heir of the Reformed theology (influenced by the Reformation)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e chapter 3 deals with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Pentecostal theology. The Pentecostal theology follows the synergism of Arminius, which emphasized both the divine grace and the human participation, but defines the present human condition as sinful in accordance with the conservative evangelicalism. Through the Wesleyan perfectionism, it has developed the harmony between the dynamism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al theology and the holiness theology. In the Pentecostal theology,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worked in a different way from that of the Wesleyan theology. The Fourfold Gospel emphasizes the charismatic aspect of the Holy Spirit whereas the Fivefold Gospel insists on the holy lif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based on sanctification. The chapter 4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ntecostal theology and sanctification. The Pentecostal theology influenced by the Reformed theology emphasizes the sanctified life. Thus, it insists on the gradual sanctification because, through the sovereign work of the Holy Spirit, the believers constantly fight with sins and experience their renewal in their present life since they did not reach the final glory of God yet. However, the Pentecostal theology influenced by the Wesleyan theology insists on the relative perfection, that is, the state that the believers become sinless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e. the 2nd blessing, and the constant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relative perfection is the perfection of motive, and the motive is love. Although the contemporary Pentecostal theolog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e influ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cannot be ignored. The chapter 5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of the Pentecostal theology and sanctification.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enormous. By observing regeneratio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present study expounds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Holy Spir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vefold Gospel influenced by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as reviewed in chaps. 3 and 4) Regeneration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re explained as the reception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following the salvific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Concerning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sanctification, the scholars advocating the Fourfold Gospel insist on the gradual sanctification whereas those advocating the Fivefold Gospel argue that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s the 2nd blessing, that is, the experience of sanctification and it is synonymous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sanctification can be attested by the 9 fruits of the Holy Spirit among the believers full of the Holy Spirit. Although the Pentecostal theology emphasizing sanctification and power tends to be more inclined to individual faith by accentuating the charismatic aspect, it appears to be balanced by the recognition that power is sanctification for service and devotion. The chapter 6 deals with the dogmatic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n this chapter, the concept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reviewed, and the Pentecostal theology is explained a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based on conservative evangelicalism. Sanctification is defined as holiness, offering, purity, devotion and service. The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understood as double sanctification, that is, both instant and gradual sanctification. Instant sanctification indicates the change in status while the gradual sanctification points out the severe spiritual warfare within oneself. These courses of sanctification are completed under the grace of God. From the doctrinal perspective, it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human is totally depraved and argues that the human response to the salvation by the unconditional grace of God should be both realistic and ethical. From the viewpoint of eschatology and missiology, the believers waiting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should accomplish the work of missions, that is, the greatest commission of God in the Church. Although the strong point of the Pentecostal theology is its emphasis on the gift of the Holy Spirit, it should more concentrate on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the sanctifying work of the Holy Spirit in its missionary effort. The Pentecostal theology considers the glory of God as its final end by focusing on the Trinity viewpoint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ltogether plan, achieve and work. The chapter 7 deals with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The gift and the sanc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are closely related. The various gifts of the Holy Spirit aim for resembling Jesus Christ, which is the virtue of sanctification, by building up the Church, i.e. the body of Jesus Christ and its members. Resembling Jesus Christ can be understood as the complete sanctification of personality. Here, personality means becoming truly human as the image of God. That is to say, personality is completed when the human responds to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and bears spiritual fruits. Out of his profound experience, Wesley considered the ethical fruits of the Holy Spirit as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of the true believers. Pseudo-Macarius described these fruits of the Holy Spirit as love, humility, and courage.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is the fruit of love aiming only for the glory of the God, and it is the life of good works. By emphasizing the ethical aspect of sanctification,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the life of bearing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The chapter 8 deals with the merit and the limit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has been quite influential over many believers, but it still needs to be improved. Since the Pentecostal theology promotes the revival of the Church with the powerful work of the Holy Spirit as its essence, it has neglected the individual life of holiness and growth in faith. Therefore, the Pentecostal theology should point out both aspects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or the Church growth, that is, the powerful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life of holiness which has been discussed so far in the present study, and the constant church growth should be based on such theological basis.

      • 한국 장로교회의 예배 갱신 방안 연구 : 칼빈의 예배관을 중심으로

        이광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기독교의 예배는 항상 하나님과 관련되어서 이해되고 또 집행되어야만 한다. 예배가 곧 하나님께 대한 합당한 존경과 찬송을 드리는 것이므로 하나님에 대한 바른 이해와 그 방법을 알지 못하고서는 바른 예배를 드릴 수가 없다. 그런 의미에서 예배의 신학적 원리를 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하나님 앞에서’라는 의미의 ‘코람 데오(Coram Deo)’가 종교개혁의 한 구호가 된 것은 바로 이 예배 신학적 원리를 적시한 말이라고 하겠다. 1645년에 제정된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은 초기 미국 장로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었다. 그 이유는 신앙의 자유를 위해 영국을 떠나 온 청교도들과 스코틀랜드인들이 아메리칸 신대륙으로 이주하면서 미국 장로교회의 핵심을 형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미국 장로교회에서는 한국에 선교사들을 파송하여 복음 전파와 선교사들의 사랑과 헌신으로 미국 장로교는 한국에서 꽃을 피우게 되었다. 그러나 신학의 부재로 인해 웨스트민스터 예배 모범들은 잊혀져가고 교회성장과 양적 부흥에만 전력을 다하였다. 그러므로 수많은 교단들이 등장함으로써 양적인 경쟁으로 내실보다는 외형적인 규모와 수적인 성장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회에 상황은 무분별한 신학교를 난립하여 문제 있는 목사들이 양산시키고, 신학적인 전문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 목사 안수를 받고 교회를 개척해나가는 것이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들이다. 그러다보니 많은 교회들은 예배를 지나치게 설교중심의 예배와, 성례전을 잃은 예배를 드리며. 또한 경축성이 결여된 예배를 드린다. 그리고 예배와 삶과의 분리로 예배자로서의 삶을 살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칼빈의 전통적인 예배 모범을 살펴보고 한국 장로교회를 위한 예배예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한국의 장로교회가 자신의 정체성을 재인식하고 회복하여 칼빈의 전통적인 예배 모범에 따라 한국장로교회가 예배예전을 회복하며 만들어 가는데 있다. 그리고 우리는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찬양과 감사와 더불어 성령의 능력 안에서 말씀과 능력을 통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드리는 예배예전과 성례예전의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The worship of Christianity always needs to understand and execute by relating God. Worship is showing respect and glorification towards God. Thus, we can’t worship without knowing the right way and understanding about God. In that meaning, it is very important to set the worship’s principal of divinity. The reason why ‘Coram Deo’ which means ‘In front of God’ became the slogan for religious reformation is that to show this worship theological. ‘The Westminster directory’ that established in 1645 brought huge sensation on early America’s presbyterian dominant church. It's because of the people from Scotland and Puritan, people from England for liberty of religion move themselves to the new land, the America, they formed America’s presbyterian dominant church. Therefore, America's presbyterian dominant church sent missionaries to Korea and preached of Gospel. Thus, America’s presbyterian dominant church could be settled down in Korea. However, because of the absent of theology, Westminster’s models of worship had been forgotten and they only focused themselves on the growth of church and quantitative reconstruction. Therefore, a lot of religious bodies appears, they compete rather than quantitative compete, they intend to support external scale and the growth of number. Moreover, the circumstances of Korea church is releasing numerous number of theological schools and release pastor with problem. Furthermore, people who ar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ology get pastor ordination and pathfinding new church. Therefore, a lot of churches focus too much on sermon, and lost sacrament. Furthermore, there are a lot of problems that people can’t live as a worshipper because of separation of worship and their life. Therefore, we have to look through Calvin’s traditional model of worship and to suggest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Korea presbyterian dominant church so that today’s Korea presbyterian dominant church recovers it’s identity and liturgy according to Calvin’s tradition model of worship. Furthermore with praises to God that we’re his sons and daughters, we have to give our best for the rejuvenation of the liturgy and sacrament towards the God with the power of holy spirit’s.

      • 개혁주의의 이중예정론에 대한 연구 : 하나님의 작정

        김대인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개혁주의의 이중예정론에 대한 연구로서, 작정 신학이라고 불리는 개혁주의 신학의 이중예정론의 위치와 그 입장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동기 및 목적에는 데이비드 웰스(David F. Wells)의 지적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교회 내에 신학이 사라지고, 이는 기독교윤리까지 무너트려버린 현상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다. 결국 오늘날 교회 내에서 사라져버린 하나님에 대해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그 돌파구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그에 대한 논자의 제시는 개혁주의의 이중예정론에 대한 이해였다. 후기 개혁주의 정통 신학(또는 스콜라 신학)이 그러하듯 예정론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체계를 따르며 문헌연구와 연역적 방법론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먼저 개혁주의 신학의 특징 및 목적을 다시금 정리하였다. 개혁주의 신학의 그 근본 원리는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큰 틀에 연역적 방법론에 의한 모든 신학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이 칼빈주의 5대강령, 또는 벨직 회의, 도르트 회의, 웨스트민스터 회의, 하이델베르그 회의 등과 같은 개혁주의 내의 신조에서 잘 나타난다. 하나님의 주권을 최고로 강조하는 개혁주의 신학은 타락 전 후 선택설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이에 대해 신론과, 구원론, 기독론과 인간론적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개혁주의 특징과 어울리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타락 후 선택설적 입장이 개혁주의 교회회의의 전체 입장과도 부합되며, 후기 개혁주의 입장을 반영함을 말했다. 그렇다고 전적으로 타락 전 선택설의 입장을 반대하진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예정론에 대한 목적과 스콜라 신학적 방법론의 차이일 뿐, 개혁주의 신학의 근본적 차이는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님의 주권을 최고로 강조하는 개혁주의 신학은 신정론의 문제 및 선교 신학적 문제, 또 인간의 주권, 즉 자유의지와의 충돌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제기된다. 이러한 입장의 대표로 항론파를 들 수 있다. 개혁파의 예정론에 대한 항론파의 비판의 초점은 단지 작정의 대상이 죄인이어야 한다는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작정이 인간의 반응에 의해 조건화 된다거나, 하나님의 작정이 인간의 반응보다 후행적이라는 이해에서 비롯되는 신론 상의 문제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는 항론파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주권의 이해 부족 및 예정론에 대한 위치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는 오류임을 밝혔다. 나아가 실천적 삼단논법에 대한 언급을 통해 결코 예정론이 단순히 신학적 사변으로만 남지 않고, 신앙생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끝으로 개혁주의 예정론에 대한 평가 및 앞으로의 개혁주의 예정론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 마쳤다.

      • 포스트모던시대의 한국교회와 신학

        조성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는 앞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본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 '후기 현대주의'라는 용어에 친밀감을 갖고 있다. 그리고, 다원화된 사회속에서 모든 문화영역 수행되고 있다. 책임적 주체의 부정과 같은 사회적 역리현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신학분야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쟁은 한국교단의 분열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그리고, 그것은 루터와 칼빈으로 이어지는 정통 개신교 신학사상에 위협을 주기도 하였었다. 나는 여기서 이 포스트모던 시대에 있어서 한국교회의 과제, 한국 신학이 갖는 문제를 제기 함으로서, 이 포스트모던 신학이 시대적 패러다임(Paradigm)의 한 부분임을 말하고자 하며, 이 포스트모던 신학은 하나의 새로운 학문으로서 생각해 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이 논문를 마치고자 한다. 한국교회는 그리스도만이 유일하며, 기독교만이 절대적 종교라고 주장하여, 다른 종교에 대한 갈등과 양극화 현상을 더욱 초래 한다고 자유주의 노선의 신학자들은 이야기 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종교다원주의 즉, 타종교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문화 인식의 시각을 갖고 종교 신학을 수용하여야 된다고 주장한다. 한국교회는 세속적인 현대 상황 속에서 종교적 본질을 약화 시키는 것이나 종교적 본질을 끝까지 고수하기 위하여 사회와 스스로 단절하는 것으로 부터 벗어나 타종교에 대한 무조건적 배타성과 우월주의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포스트모던 신학자들은 그래서 기독교 신학은 각 시대의 특정한 시대적 요구와 관련하여 끊임없이 변화 발전되어 왔다. 특정의 사회적 맥락 안에 있는 종교와 신학은 시대 규명의 문제와 떨어질 수 없으며, 시대 규명의 차이에 따라 신앙의 입장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여기에 종교다원주의, 포스트모던 신학과 같은 장르의 새로운 학문이 속하게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신학에 있어서 한국 신학의 과제는 바로, 신학의 정체성과 신학의 사명을 정립하려는 우리시대의 신학운동이 신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정립해야 한다는 사실이며, 한국신학운동은 교회현실 에 대한 총체적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사실은 포스트모던 신학이 주는 병폐이다. 즉, 하나님의 제1계명과의 충돌(출20:3, 막12:20, 신12:20, 18:10-12) 그렇게 된다면 기독교의 유일정신이 무너지게 된다는 사실과 이와 연관되어 선교의 개념(마25:18-20) 이 사라지게 된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생명적 관계(마6:25-33, 요일5:10-12)와 자녀의 권세는 하나님을 믿는 믿음에서 기인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의견이 분분함을 일으키며, 심각한 문제로 남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포스트모던 신학자들은 새로운 이해점을 강조한다. 즉, 그것은 타종교, 타문화에 대한 수용이라는 점이다. 앞에서 언금되었듯이 이것을 한국교회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토착화 신학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있다. 즉, 그 나라의 좋은 문화를 가지고 그것을 기초로 시작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하나의 종교가 어느 민족에의 수용점을 이루는 것은 얼마나 그 문화와 동질성을 가지고 있느냐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문화의 동질성에서 시작된다고 할지라도 과거 한국의 전통관습이 오늘날 기독교안에 뿌리깊게 만연되어 있는 것처럼, 문화와 기독교 신앙의 수용은 더욱 더 신중을 요하는 사항이다. 21C를 살고 있는 한국교회는 각 교단과의 화합, 서로 다른 교리의 이해점을 찾고, 기독교 자체 내에서의 갱신의 모습을 찾아야 할 것이며, 시대사적 흐름에 대한 수용으로서, 포스트모던 신학이 갖는 많은 작용들과 수용부분들이 무분별, 무조건적, 편협된 시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닌 올바른 판단과 상호 협력 의부분들을 찾아 참다운 기독교 신학을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종교의 다원화 세계 속에서의 개신교의 역할은 분명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적이고, 현실성을 분명히 받아들여야 하며, 기독교의 부활신앙에 대한 타종교의 의구심을 해소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신앙이 전제되어지지 않고는 진정한 기독교의 자리매김이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며, 타종교와의 합일점도 찾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 그리스도의 부활신앙에서 출발함을 잊어서는 안된다. 모든 문제의 시작과 해결이 바로 이것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 영성신학의 정립에 관한 연구

        김영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개혁신학은 오늘날 팽창된 영성운동에 대하여 응답하여야 한다. 이것은 개혁주의적 영성신학으로 전개되며, 영성신학의 중요한 과제는 성화론의 전개이다. 구원에 따르는 성화의 강조이기도 하다. 이미 믿는 신자들의 삶이 의로운 삶이 되고 성화의 삶을 살도록 강조를 해야 한다. 이제 복음주의는 신자가 사회에서 빛과 소금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하는 성화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신앙의 성숙과 생활에의 적용이 필요하며, 복음의 말씀과 구원의 원리를 우리 삶 속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성령의 충만한 임재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복음의 능력이 단순히 영혼의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우리 삶의 전 영역에 까지 파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영성신학의 관한 일반적인 고찰과 정의를 살펴보고, 둘째로 영성신학의 성경적 의미를 고찰하며 셋째로 개신교의 영성신학에 대해 알아보고, 넷째로 성령론적 관점에서 본 구원에 따른 성화의 과정과 영성의 관계를 고찰한 후, 영성신학의 정립에 관하여 결론을 맺으려고 한다. Reformed theology should reply to expansive spirituality movement today. This lead to reformed spirituality theology and the principal subject of spirituality theology is the unfoldment of sanctification. That is also the emphasis of sanctification resulted from salvation. The lives of believers should be righteousness and we shoud put emphasis on living the sanctified life. Now evangelism should study, in the concrete, sanctification how believers live as light and salt in the society. Maturity of true faith and application to life is needed and we should apply the word of the gospel and the principle of salvation to our lives in the concrete. The fully existence of Holy Spirit is needed for this. Threrefore, the ability of Good News stay only not in spiritual level but in the whole life. So, this theme get at the general consideration and the definition about spirituality theology in advance, secondly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about spirituality theology, thirdly investigate the spirituality theology about Protestantism, fourthly look over the special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reformed theology, fifthly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anctification process resulted from salvation and spirituality from the viewpoint of pneumatology, draw conclusions about the erection of sprituality theology.

      • 사도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설교에 나타난 신학사상연구

        이정자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re are two kinds of Christians who have accepted Jesus Christ as their Lord. The one was entirely changed after he or she met Jesus Christ like Paul. The other maintained his or her existing life style though they accepted Jesus Christ, like Peter. Unlike Paul who was totally changed and dedicated himself to the church, Peter did not abandon worldly pleasures even after he met Jesus Christ as the first Apostle. I want to focus on why many christians cannot abandon worldly pleasures in their life. To analyze this, I will focus on Peter the Apostle because he is the best example to show a Christian's secular desire. Especially, Peter pursued secular pleasures as illustrated in many cases in the four Gospels. He followed Jesus's lesson entirely only after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How and why then was Peter changed in the Acts of Apostles? Peter was selected as the first Apostle and trained in the four Gospels, but he did not follow Jesus entirely. He followed Jesus totally in the Acts of Apostles. There were three steps in Peter's life. Peter was a fisherman in his first step. At that time, he was called as Simon and fished for a living with Andrew, his younger brother. In his second step, after he met Jesus, he began to be called as Peter. He made the profession of his faith in Matthew 16:16 and John 6:68. As Jesus said in Matthew 16:17, Peter professed his faith in a revelation of God in Matthew. His profession in John would be completed with his own experiences as an Apostle. In reality, Peter was condemned as a result of his worldly desires in many situations. Jesus understood Peter's weakness and awaited his change in love and patienc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Jesus also awaits all christians who are similar to Peter in their secular desire. The third step was a life as an Apostle. He repented of his sin after he met the resurrected Jesus and he was absolutely changed with the Holy Spirit. Then he pursued Jesus Christ only. Though he pursued worldly passion in his second step, he proclaimed that Jesus was the Messiah. In this regard, we can check Peter's theology. His theology is totally Jesus-centric. It emphasizes that Jesus is the only way to salvation. Though many christians are disappointed as of their own disobedience and secular desire, Jesus waits their advancement and change. In this reason, there are no reasons to be disappointed. They will be changed with the Holy Spirit like Peter, and used as a tool of God. They will also proclaim the kingdom of God at the time. 예수를 자신이 ‘주’로 영접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하나는 사도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를 경험 한 후 그의 모습은 완전히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예수를 ‘주’로 영접한 순간부터 그 삶이 변화되어 교회에 덕을 세우는 성도가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사도 베드로가 예수의 첫 번째 제자로 부름을 받았고 3년 동안 제자훈련을 받는 동안 그의 모습은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예수를 ‘주’로 영접하고도 그 삶이 변화되지 않고 보이는 환경에 따라 그 삶에 양면성을 나타내면서 교회에 덕이 되지 못하는 성도가 있다. 본 논문은 연구하게 됨음 많은 성도들이 환경에 따라 양면성을 보이는 원인이 무엇일까? 성경 인물 중 양면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사도베드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베드로의 모습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복음서와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도 베드로는 예수가 선택한 열두 제자중에 첫 번째로 부름을 받았다. 복음서에 기록된 베드로의 모습은 양면성을 지닌 인물이었다면 사도행전에 기록된 베드로의 모습은 예수의 가르침대로 변화 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다. 베드로라는 한 인물이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다른 모습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 복음서는 베드로가 예수의 첫 번째 제자로 선택받고 훈련받는 과정이 기록되었다면 사도행전의 베드로의 모습은 예수의 사역을 그대로 닮아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베드로 모습이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무엇일까? 이런 베드로의 모습이 현대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는가? 베드로 모습은 세 단계로 볼 수 있다. 첫째 시몬으로 불리 던 어부의 삶이다. 그는 대가족의 일원으로 가족을 위해 동생 안드레와 함께 고기 잡는 일을 하였다. 아마도 시몬은 가정을 책임지는 가장의 역할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게바로 불리던 예수의 제자로서의 삶이다. 예수의 첫 번째 제자로 부름을 받았고, 예수의 수제자로 불릴만큼 예수의 신뢰를 받았다. 또한 열두 제자들의 대표자 역활을 감당하였다. 예수의 제자로서 베드로는 첫 번째 부름을 받은 제자답게 제일 먼저 예수를 ‘주’로 신앙고백을 하였다. 베드로가 고백한 신앙고백은 마태복음 16:16과 요한복음 6:68에 나타나고 있다. 마태복음에서 베드로 신앙고백이 예수가 말한 것처럼(마 16:17ff) 하나님의 계시 안에 이루어진 것이라면 요한복음에서는 하나님의 계시와 베드로 자신이 예수의 제자로서 삶을 통해 얻어진 믿음의 고백이라 할 수 있다. 예수의 제자로서 베드로는 상황에 따라 양면성이 드러나고 있고, 그 때마다 예수의 칭찬 혹은 책망을 듣는다. 예수는 베드로의 양면성을 다 알고 계셨으며 그가 변화되기까지 사랑과 인내로 기다렸음을 알 수 있다. 베드로의 모습을 닮은 성도들이 실망하고 낙심하지 않을 것은 그 믿음이 장성한 분량에 이르기까지 성령을 통해 우리를 인도하시는 주님의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 셋째 베드로 사도로서의 삶이다. 자신의 스승인 예수를 세 번 모른다고 부인했던 베드로는 부활하신 예수를 만남으로 그가 예수를 부인했던 잘못을 회개하게 되었고 예수의 제자로서 훈련된 말씀에 대한 믿음위에 성령이 임하자 그의 모습은 완전히 변화되었다. 성령 체험 후 그의 모습은 예수의 사역을 닮아가고 있다. 오순절 성령강림 후 행한 그의 설교에는 그가 경험한 예수의 삶을 통해 그가 구약에 예언 된 ‘메시아’임을 선포하고 있다. 베드로는 예수의 제자로서 훈련되는 과정에서 양면성을 드러내고 있지만 사도로서 베드로는 예수를 닮은 삶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고 있다. 예수를 ‘주’로 고백한 성도들의 삶이 상황에 따라 변화가 심하고 그 믿음이 성숙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이에 낙심하지 않을 것은 예수가 성령을 통해 그 심령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베드로가 예수의 가르침대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한 것처럼 때가 이르면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는 도구로 쓰임을 받게 될 것이다.

      • 한국 장로교회 주일예배순서의 갱신에 관한 연구

        송요섭 한영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God original to create us purpose is to worship and forever pleasant God. So we to believe therefore God are to be all the worshipper. The worship is healthy and is important right part which stands the church. The worship and church are the relation not to separate. The church stands immediately if the worship comes to give rightly. But the church is deteriorated if the worship is deteriorated. A true church gets continuous power through meaningful worship. Such power is the power look back the past and to see the present time right and the power is the power to create the future. The worship is just like the bellows, therefore the worship must give regularly. The worship must have suitable power and must be to concentrate one's mind upon all. Great such worship expresses a salvation deed of God so that it is clear. The worship makes so that it replies in special time and space about the revelation of concrete God. Presbyterian Church have grown according to Westminster Directory. They found the freedom of the faith and have grown more and more in New Continent to be America. American Presbyterian Church developed more and more and it have grown. The church of a result Korea made bloom the flower with the self-sacrifice of American Presbyterian Church missionaries with the effort. But traditional worship Directories came to escape one mind due to the absence of the theology. The church's thing which have been decided with the atmosphere and sequence of worship according to the faith and pastoral philosophy of the pastor and philosophy is true. The churches were the competition to be appear the quantitative due to many religious associations the low and they are intending the scale and growth which sees a dot product result which is the external form which is the quantitative to. Universities scramble with on the other side indiscreet theological school. The other side, a theological school and indiscreet theology universities scramble. They are mass-producing so the pastors who there is the problem. The people who the technical journal to be the theology lacks also are taking a pastor laying on of hands. They are keeping developing the church and we are the situations which it is arising currently. Churches to be as a result many there offer the worship excessively. They are huging various problems. They offer the worship to lose Christian ceremonies excessively. They offer the worship of a clergyman center excessively. They offer the worship of a hidden affair center excessively. They look away from the ceremony of the worship excessively. They an achievement worship consciousness was lacked. They the public worship ceremony to be the achievement was lacked. They offer the worship which the congratulation is lacked. They can not live the life as the worshipper on the isolation of the life with the worshi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move or overcoming various problems like this. Therefore we wish eagerly God becomes the worship to want the representation. Which is the worship which Holy Spirit leads and? We try to try to think about it with apply to the situation of today. We look into therefore traditional worship with we do a theology analysis and evaluate. We try to find various error with looking into the worship sequence of Lord’s day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 currently. And we try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 new understanding therefore the church does own accumulation today and recovers with presenting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Korean Presbyterian Church of the worship. Therefore there is the place to do showing suitable to the situation of today sequence. We try to make therefore the worship sequence of Lord’s day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We try to make suitable to the situation of today worship sequenc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must do our best with the praise and thank about the son of God in an ability Holy Spirit and through the ability of the words for the recovery of the worship service to offer to God our father.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신 본래의 목적은 하나님을 예배하며 하나님을 영원히 즐거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믿는 우리들은 모두 예배자인 것이다. 예배는 건강하고 바른 교회를 세우는 중요한 부분이다. 예배와 교회는 불가분리의 관계이다. 예배가 바르게 드려지면 교회가 바로 서는 것이며, 예배가 변질되면 교회가 변질된다. 진정한 교회는 의미 있는 예배를 통하여 끊임없는 동력을 얻는다. 이러한 동력은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바로 보며, 미래를 창조하는 동력이다. 예배는 마치 풀무와 같아서 규칙적으로 드려져야 하고, 적합한 동력을 지녀야 하며, 마음을 다 쏟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훌륭한 예배는 하나님의 구원 행동을 밝히 나타내고, 특수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구체적인 하나님의 계시에 대해 응답할 수 있게 한다. 장로교는 웨스트민스터의 예배 모범에 따라 교회가 성장해 왔다. 또한 신앙의 자유를 찾아 미국이라는 신대륙에서 미국 장로교는 더욱 더 발전하고 성장해왔다. 그 결과 한국의 장로교는 미국 장로교회들의 선교사들의 헌신과 노력으로 장로교는 한국에서 꽃을 피우게 되었다. 그러나 신학의 부재로 인해 전통적인 예배 모범들은 잊혀져가고 교회는 담임목사의 신앙관과 목회관에 따라 예배의 분위기나 예배의 순서가 결정되어온 것도 사실이며, 수많은 교단들이 등장함으로써 양적인 경쟁으로 내실보다는 외형적인 규모와 수적인 성장을 지향하고 있다. 한편 무분별한 신학교와 대학들은 난립하여 문제 있는 목사들이 양산시키고, 신학적인 전문지식이 모자란 사람들이 목사 안수를 받고 교회를 개척해나가는 것이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들이다. 그러다보니 많은 교회들은 예배를 지나치게 설교중심의 예배를 드린다든지, 성례전을 잃은 예배를 드린다든지, 성직자 중심의 예배를 드린다든지, 지나치게 은사 중심의 예배를 드린다든지, 예배 예전을 외면한다든지, 공적 예배의식이 결여됐든지, 경축성이 결여된 예배를 드린다든지, 예배와 삶과의 분리로 예배자로서의 삶을 살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거나 극복시킴으로써 하나님께서 진정 원하시는 예배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성령님께서 이끄시는 예배는 어떤 것인가를 오늘의 상황에 적용시켜 성령님께서 이끄시는 예배순서를 가늠해 보고자 하는데 있으며, 그래서 전통적인 예배 모범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평가와 함께 현대 한국 장로교회의 주일예배순서를 살펴봄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과 오류를 드러내어 현대 한국 장로교회를 위한 예배순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한국의 장로교회가 자신의 정체성을 재인식하고 회복하여 오늘의 상황에 적합한 예배순서를 만들어 가도록 하는데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찬양과 감사와 더불어 성령의 능력 안에서 그리고 말씀의 능력을 통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드리는 예배사역의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