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의생활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1985년~2023년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윤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실과교육연구 Vol.30 No.2
The In order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school clothing and life theses, this study selected 171 papers published from 1986 to 2023 in journals related to clothing & life education or clothing life contents among KCI registered journals or its candidate ones, and analyzed them by period, research area, and research area. Diving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author,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144(84.2%) paper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were published mostly at the Korean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or at the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Research, wherein a total of 24 papers(14.0%) were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content, with domina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are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research(33.9%) was the largest, followed by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life content, educational content, curriculum and textbooks, educational awareness, complex areas and educational evaluation. Third, in research topic, 'overall clothing and lifestyle unit'(35.7%) was more popular than 'clothing selection and self-expression', clothing and environment, complex topic, clothing culture, Clothing design, clothing management. Fourth, in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30.4%) was equal to survey research,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and case study. Fifth, when it comes to the status of autho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many studies were authored by one author or two authors, while the co-authorship rate is as so low as 50.8% that collaborative research may need to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for academic development. Sixth, comparing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clothing & life education research and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content research,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former (on education) was six times higher than the number of papers in the latter (on content), probably due to the recent research growth in the number of papers of the former after the year 2000, whereas an average of 2 articles are consistently published per year in the latter case. Clothing & life education research is found to be different from content research in many respects. The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focused on curriculum due to recent curriculum reform. And a major research metho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was literature research or experimental research, while survey method was popular in the content research.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tatus of autho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many papers in the former were written by one author, while the latter mostly by coauthor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more research need to be done on 'subject awareness' and 'educational evaluation'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and secondly,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subject awareness' and 'educational evaluation'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life education. Secondly, more integrated research shall be conducted to combine clothing & life education and content area rather than silo-based approach. Third, although the number of authors is single or two-person in most cases, three or more authors from both fields may collabora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papers. Fourth, digitalization may be adopted in research for development of practice-rel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digital transformation era.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사회적 지지와 부모 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이윤정,조긍호 西江大學校 生活相談室 2002 인간이해 Vol.23 No.-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자녀의 기질 유형과 양육에 대한 남편과 주변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에 따라 어머니의 부모 역할 만족도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를 살펴보려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신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만 6-7세 아동의 어머니 520명이었다. 연구결과, 자녀의 기질을 순한 유형으로 지각한 어머니들은 까다로운 유형이나 느린 유형으로 지각한 어머니들보다 부모 역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어머니일수록 부모 역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기질 유형에 따른 부모 역할 만족도의 차이는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사회적 지지를 적게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집단에서는 각 기질 유형별 부모 역할 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부모 역할 만족도는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의 함수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어머니의 부모 역할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양육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추론해 보았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윤정 디자인 여성학회 2009 디자인여성학연구 Vol.5 No.2
디자인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미와 역할이 그 시대의 상황과 함께 작용한다. 디자인 영역이 국내에 유입 되었을 시점에서 디자인은 하나의 경제적 발판이었고, 디자인 가치 증대에 대한 인식과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판단을 통해 ‘디자인 서울 올림픽’, ‘세계 디자인 수도 서울’등 디자인 대중화 방안이 실시되면서 이제 디자인 분야가 21세기 사회를 특정 하는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21세기 디자인 시대에 대중 모두가 디자인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중이 디자인 분야가 정신적, 물질적인 욕구를 조화 있게 충족 시켜 삶의 질을 고양시킨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디자인 교육은 전 국민의 문화의식과 미적 안목을 높여 준다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며, 좋은 디자인을 생산하고 고르고 소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춘 대중이 중심이 되는 교육이여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을 통해 대중의 디자인 의식을 함양하고 디자인이 생활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더 나아가 대중은 삶의 특별함을 느끼고 안목을 향상시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어 더 가치 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디자인 분야가 더욱 발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임을 기대한다.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our daily life, so its meaning and role are working along with situations at the time according to change in social environments. When the realm of design was introduced into our country, design was just a economic foothold only and some plans for popularization of design such as ‘Design Seoul Olympic’, ‘World Design Capital Seoul 2010’ started in our life, which had been executed through judgment of that efforts should be made for awareness and popularization of design value increase. Now, the field of design has formed as a new realm to specify the society of the 21st century. Making it possible to good design by all the public in this time of design of the 21st century, it needs to educate the public to have the awareness of that the field of design can satisfy the mental, physical needs harmoniously and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Design education should approach in the aspect to raise the cultural conception and aesthetic discrimination of the whole people and it should be the public-oriented education focused on the direction to produce, select and consume good designs. This study expects to promote the public's sense of design through design education and to perceive that design is a part of life, and furthermore, it intends the public to lead more valuable life by feeling the special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discrimination, and expects, at the national level, that the field of design can be a driving force to develop much more.
이윤정,박종일,전윤선,이태진 서울産業大學校 2005 논문집 Vol.54 No.3
In this study, nitrogen removal in the domestic wastewater was investigated with an modified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plant was composed of anaerobic followed by aerobic treatment chamber with the porous media. the results show that nitrification ratio of ammonia was over 96% but no denitrification take placed without external carbon addition. The internal circulation and step feeding of influent for carbon supply was conducted for the denitrification. When The ratio of the step feeding and internal circulation was 24, nitrification was accomplished almost completely and total nitrogen was removed about 25%. When The ratio of the step feeding and internal circulation was 1:1, nitrification was accomplished almost completely and total nitrogen was removed about 50%. When The ratio of the step feeding and internal circulation was l'-2, nitrification was accomplished almost completely and total nitrogen was removed over 55%. Conclusively, The increment of internal circulation ratio has enhanced total nitrogen removal in the wastewater.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 중 피아노 반주부에 관한 연구
이윤정 신음악학회 2001 新음악논집 Vol.2 No.-
This essay/article points the transition from Schumann's piano music to 'Lieder' composition. Various reasons for this transitions are discussed. The song-like melodies and the features of poetic content which are already present in his early piano works play a very important rote in the development of Schumann's Lieder The content of the text is reflected using countless musical element. The fine coordination between voice and piano part is realized in the "Dichterliebe". The piano plays a significant role, not only as accompaniment, but also as an independent part in the introductions and closing sections. The first phrase of the melody can often be heard in the piano introduction. This is indicative of the later mood ol the 'Lieder'. The piano part in the closing sections is dealt with in particular depth. It is discussed in its function as an announcement of the next song and often indicates the sound material to come. Some closing sections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by employing rhythmic, harmonic and melodic figures in small improvisation-like piece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losing section is that they arouse the strong emotions in the listener. In some 'Lieder' the melody does not finish on the tonic, giving the pieces an unresolved character. Some closing sections succeed in resolving the precious tension of the song melody. The musical elements receive attention in my essay/ article as conveyers of emotion. Above all, the musical elements in the piano part contribute to the mood of the 'Lieder'.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piano part is a continuation of Schumann's early lyrical piano works. It is obvious then, that the piano part of "Dichterliebe" has been influenced by the early piano works and demonstrates many similar characteristics. 로버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은 이미 어린 학생시절에 "시와 음 예술의 내적 동일성"1) 이라는 제목으로 하나의 작은 논문을 쓴다. 이 논문 안에서 그는 시와 음악을 유일하게 부패하지 않은 예술로 묘사한다. 이 두 가지 예술, 즉 시와 음악은 슈만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핵심부분으로 그의 음악에 항상 함께 등장한다; 시는 배경 요소로서, 음악은 표현 재료로서, 피아노는 특히 슈만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이면서 동시에 기본악기로써 그의 음악 창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작곡가들의 경우처럼 슈만의 음악인생은 피아노와 함께 시작되고 그것을 통해서 그는 음악의 세계를 체험하게 된다. 그의 가곡이 완성되기 전, 즉 1840년 전까지 슈만은 단지 피아노 곡만 발표한다. (op. 1-23) 가곡의 창작 활동이 시작되면서 피아노 음악의 작곡이 중단되지는 않지만 무엇보다도 1840년부터는 그가 학생시절부터 중요한 예술로 꼽았던 시와 음악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가곡이 탄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바로 이 때부터이다. 슈만의 가곡 중에서 주요한 점은 시의 선택도 있겠지만 그 시의 선택에 따른 가곡의 멜로디를 뒷받침하는 피아노 반주부분을 들 수가 있겠다. 소년시절 슈만은 한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쓴다. "... 그리고 피아노는 내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보든 느낌들을 내게 이야기해 준다."2) 이 문장을 통해서 우리는 슈만의 가곡 속에서 그가 어떤 방법으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묘사하는지 가곡의 멜로디와 반주의 구성에서 알 수가 있다. 즉 슈만 가곡에서 노래 멜로디는 시의 언어와 함께 느낌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피아노 반주가 시의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을 대신해 준다.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의 반주 부분을 분석하기 전에 우선 1840년 슈만의 가곡의 해 성립과 피아노 음악에서 가곡으로의 방향전환에 대해 설명되어져야 하겠다. 과연 슈만은 어떤 이유에서 갑자기 가곡은 쓸 계기를 갖게 되었고 그것에 대해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지 서술되어져야 하겠다. 두 번째로 "시인의 사랑"의 시 선택과 선택되어진 시의 내용에 따라 쓰여진 피아노 반주 부분에 대해 묘사되어져야 하겠다. 무엇보다도 전주와 후주부분 그리고 어떤 음악적 요소들로 반주부분이 구성되어져 있는지 그리고 피아노가 반주역할이 아닌 독립된 역할도 하는지 설명되어져야 한다.
결혼이주여성 A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이윤정,김영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of an individual marriage migrant woman who runs a migrant support center by apply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nd examine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ies.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enables insight into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 of a person through the private story of an individual’s life. In other words,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shows the private story of an individual’s life as a marriage migrant woman,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environment of our society looking at marriage migrant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dividual’s life was reborn as a mother with strong subjectivity in a life for survival, showing a life leaping beyond the limits. Second, outside the world was a space waiting for growth and recovery together as ‘we’ rather than ‘I’ alone, and it was a social life in which I exercised my potential to expand my actions. Third, coexistence with the community was a spatial rol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local community, form social relationships, and create future life.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individual life history of marriage migrant women who operated migrant support centers for migrants and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ollow-up studies on the community role created by marriage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이주민지원센터를 운영하는 결혼이주여성 개인의 삶에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생애사 연구방법은 개인 삶의 사적인 이야기를 통해 그 사람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환경을 통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구참여자의 생애는 결혼이주여성으로서 개인의 삶에 대한 사적 이야기를 보여주는 동시에 결혼이주여성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환경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의 삶은 생존을 위한 삶에서 주체성이 강한 모성을 가진 엄마로 다시 태어나 한계를 뛰어넘어 도약하는 삶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세상 밖은 ‘나’ 혼자가 아닌 ‘우리’로 같이 성장하고 회복하기를 기다리는 공간이었으며, 그 공간으로 내가 가진 잠재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행위를 확장시키는 사회적 삶이었다. 셋째, 공동체와의 상생은 지역사회로 한걸음 더 다가가 사회관계를 형성하며 미래의 삶을 만들어가는 공간적 역할이었다. 이와같이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이주민을 위한 이주민지원센터를 운영하고 결혼이주여성을 위해 지역사회 참여를 하는 개인 생애사를 밝힌 점에 의의를 둔다. 또한 이 연구가 결혼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활동 참여로 만들어가는 공동체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