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金銀花와 黃芩이 配伍된 處方劑의 抗炎症 效果 硏究

        이용숙,정명,임규상,윤용갑,Lee, Yong-Suk,Jung, Myung,Lim, Kyu-Sang,Yun, Yong-Gab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5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8 No.3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ammatory reaction is characterized by over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due to an up-regulation of inflammatory pathways.Methods :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Lonicera japonicaandScutellaria baicalensis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U937 cells. Each extract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NO, IL-1${\beta}$, TNF-${\beta}$, and PGE<sub>2</sub>) an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LPS- stimulated U93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Results : These suggest that the suppression effects were synergistically increased by their combination. Their combination extract also inhibited NF-${\kappa}B$-DNA complex of NF-${\kappa}B$ binding activity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from cytosol to nucleus.Conclusions : Our study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water-extractable components ofL. japonicaandS. baicalensismay be useful for therapeutic drugs against inflammatory immune diseases, probably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 KCI등재후보

        금은화(金銀花)와 황금(黃芩)이 배오(配伍)된 처방제(處方劑)의 항염증(抗炎症) 효과(效果) 연구(硏究)

        이용숙,장선일,Lee, Yong-Suk,Jang, Seon-Il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0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8 No.1

        Inflammatory reaction is characterized by over-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due to an up-regulation of inflammatory pathways, which produce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terleukin-1beta (IL-$1{\beta}$), IL-6, tumou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prostaglantin $E_2$ ($PGE_2$), and nitric oxide (NO) in U937 cells. We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Lonicerae Flos and Scutellariae Radix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U937 cells. Each extract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NO, IL-$1{\beta}$, TNF-$\alpha$, and $PGE_2$) an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LPS- stimulated U93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suppressive effects were synergistically increased by their combination. Their combination extract also inhibited NF-${\kappa}B$-DNA complex of NF-${\kappa}B$ binding activity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from cytosol to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water-extractable components of Lonicerae Flos and Scutellariae Radix may be useful for therapeutic drugs against inflammatory immune diseases, probably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 성공을 위한 조건들 : 서울시 동북4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숙(Lee, Yong-Sook),박승빈(Park, Seungbin),김태일(Kim, Taeil)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4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동등한 권한을 가진 조직인 기초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 사례인동북4구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을 도출한다. 기존의 협력적 거버넌스 연구는 성공 요인으로 참여자의 자율성과 그들 사이의 합의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자치구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현실에서 자율성에 기반한 합의를 구현하는 일과 협력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이 연구는 각 조직의 자율성이 높아서 합의 도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조건들이 무엇인지 탐구한다. 저자들은 협력에 대한 암묵적 규범과 의사결정구조, 반복된 협력과 중간의 작은 성과, 혜택의 균등 배분 조정 기제, 공유된 내부통제, 호혜성과 신뢰에 기반한 사회규범이 그 조건임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동북4구 거버넌스는 자치구 간 협력에 대한 규범을 공유하고 중간성과를 달성하는 것을 통해 동북4구 지역의 종합적 발전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었다. 반면 내부통제 미흡과 일부 자치구에 편중된 혜택, 낮은 수준의 호혜성과 신뢰 등의 한계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법에 따라 문헌분석,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 essential conditions under which collaborative governance across local districts of a city works. The existing literature has emphasized the autonomy of individual actor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sensus among the actors for a successful collaboration, but we argue that autonomy and consensus are likely to be incompatible in practice. We identify five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governance: shared implicit norms for collaboration and a relevant decision-making structure, interim achievements, a system for fair distribution of benefits, a shared mechanism for internal control, and a social norm of reciprocity and trust. We then analyze the structure, the process, and the interim outcome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across the four local districts in northeastern Seoul, South Korea. We find out that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due to the unevenly distributed benefits, the lack of internal control mechanisms, and the low level of reciprocity and trust. Our case study is based on an archival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점심식사 방식과 점심식사에 부여하는 의미

        이용숙(Lee, Yongsook),이수현(Lee, Sue Hyu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30여 개 대학에서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학교에서의 점심식사방식과 점심식사에 부여하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학교에서 보통 점심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31.5%나 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수업 및 다른 이유로 점심 먹을 시간이 없다는 것과 학교에는 먹고 싶은 메뉴가 없다는 것이다. 많은 학생들은 시간과 돈의 절약이 필요해서 ‘때우는’ 점심을 먹고 있었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때우는’ 점심을 먹는 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점심식사에 대해 학생들은 삶의 행복/즐거움/오아시스(29.7%), 힘/에너지/삶의 원동력(28.1%), 쉬는 시간/여유(22.7%),소통시간(15.2%) 등의 긍정적인 의미부여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배를 채우는 것/살기 위해 먹는 것’(12.5%)과 같이 특별한 의미부여를 하지 않거나, ‘스트레스/번거로움’(7.0%) 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결론에서는 대학생의 점심식사 문제가 사회적 문제임을 지적하고, 어떤 개선이 필요한지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question “what luncheon means to university students?” In this research,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observed through various method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dditional surveys were conducted in 30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turned out that only 68.5% of the students normally had proper lunch on campus. The major reasons for not having lunch on campus was that there was not enough time for lunch due to classes and/or other works, and that the menus provided at school did not satisfy the students. Venues most used for lunch were on-campus cafeteria, restaurants near the campus, and convenience stores. Only 70% of male students and 53% of female students answered that their ‘favorite place to eat’ and ‘the place they eat the most’ correspond. This, according to the analysis, was because students choose places to eat based on the distance, price, and whether they can finish their meals quickly rather than their preferences. Most students ascribed positive meanings to such lunch time such as happiness/joy/oasis (29.7%), strength/energy/motivation (22.7%), and recess/break (22.7%). At the same time, however, non-positive or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lunch on campus were also quite pervasive including ‘survival/satisfying hunger" (12.5%), "stress/burden" (7.0%) or "money" (6.3%).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생의 수업 중 비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숙(Lee, Yong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hadow tracking thirteen college students, who are users of smartphones, during sixteen classes at four universities. The purpose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martphones on college students' off-task behavior. The findings were that half of the students used their smartphones for more than 30% of the class hours. Five students used their smartphones for more than 50% of the class hours. They used smartphones mostly for off-task activities such as Kakao Talk, Twitter, Facebook, Mobile Games, Internet searches, and sharing the results of their searches with friends. The results from the observations of college students' behavior administered in a 2007-2010 study showed very different findings. The use of mobile phones (mostly feature phones at that time) consisted of only 20.5% of students' off-task behavior, even though it was on the top of the list of off-task behavior. In a 1996-2001 study, the use of mobile phones was even less significant in the college classroom. It consisted of only 5.4% of off-task behavior. Since smartphones provide so much fun for students, they seem to have replaced other off-task behavior during class time. Smartphone users do not read novels in class anymore. Students chat less and even doze less in class because they can turn to their smartphones at every opportunity including presentations by other students and less important lectures by professors. Now professors have to find ways to compete with smartphones for their students' attention.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대학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비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마케팅조사에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정성조사 기법인 shadowing(shadow tracking) 방법과 후속 면담방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16개의 수업에서 대학생들이 스마트폰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으며, 본인들은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사용 이후 대학생들이 ‘수업 중에 하는 비 학습활동’의 유형과 시간할애가 휴대폰 사용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1996-2001년의 수업상황 및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휴대폰의 사용이 일반적이었던 2007-2010년의 수업상황에 비하여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함에 있어서, ‘스마트폰’이라는 변수를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현장연구 전체 과정에서의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활용방법 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이용숙 ( Yong Sook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1

        이 연구에서는 현장연구 전체의 각 단계에서 연구자가 재개발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교재로 만들고, 이 교재를 활용하여 〈 현장연구실습 〉1, 2,3 수업의 수강생과 〈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과정 〉(사회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에게 연구방법을 가르쳤다. 또한 수강생들의 연구과정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실제로 적용하도록 지도하면서 시행착오를 찾아 교육방법과 교재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실행연구(actionresearch)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연구계획 단계, 자료수집 단계, 잠정적 목차 만들기와 수집된 자료의 코딩 단계, 추가적인 주요 연구주제 찾기 단계, 그리고 보고서 작성 단계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2014년 1년간의 예비연구 단계에서는 교재 초안을 개발하여 현장연구 수업의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만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교재의 1차 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단계인 2015년의 수업에서는 현장연구의 전체 과정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해보도록 하면서 교재를 계속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시행착오도 있었는데, 한 번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재의 설명 제시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수강생들은 교재에서 연구방법을 단계별로 세분해서 구체적으로 소개해 줄수록, 그리고 실제 적용사례를 다양하게 제공할수록 이해도가 높아졌다. 또한 수업 중 실습과 피드백을 통해서 분석과정 전체를 한 번 경험해보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했다. 수업 중 실습 직후에 본인의 연구에 빨리 적용하도록 해야 연구에서의 실제 사용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참여관찰과 면담 자료 분석 결과 학부 학생들이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비교적 쉽게 배워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인류학을 사전에 배운 적이 없는 사회교육과정 참가자들도 이 분석방법을 배워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rough the approach of action ethnography, this study developed educational methods to educate students how to apply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for the entire process of field research. The entire process of field research includes the phases of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construction of an outline of a research report, coding, finding additional important topics and writing a research report. For this purpose, educational material was preliminarily developed and used for a year during the pilot stage of the study in field research method class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 a continuing education course. Using this educational material, the researcher offered lectures and provided practice and feedback sessions during class and through an Internet forum for these classes. Each student conducted a required data collection using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which they learned through the class and practice sessions. Students also conducted two field research projects, first as a whole class team and second as a small research team or as individual researchers. During this stage,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and feedback from students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lthough the classes were rather successful, the researcher found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During the main research phase, the improved educational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a year in the same classes and the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 has been refined continuously based on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As a result, a set which includes nearly 100 pages of PPT lecture slides and training materials for practice was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