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막 축전식 탈염법으로 리튬이온의 회수를 위한 ZIF-8/폴리우레탄 나노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고찰

        이예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emands for lithium have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last decade and are expected to increase more rapidly in the near future mainly because of its utilities in the manufacture of lithium batteries for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ic automobiles. Lithium resources of ores and brines on lands are limited to several countries and are not sufficient for future demand. However, the lithium reserve is immense in the ocean even though its concentration is very low (0.1-0.2 ppm).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is a relatively new technology to remove salt from blackish water and seawater.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MCDI cells are operated below 1.5 V and do not require any chemicals.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particles with various pores have been used to separate metal ions as well as gases. It seems to be worth challenging the preparation of MOF/polymer membranes for application in MCDI cel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recovery of lithium ion from seawater. In this research, ZIF-8 was chosen as a model MOF because it can be prepared easily as nano-sized particles and was reported to be more permeable to Li+ than Na+ (selectivity: Li+/Na+ = 1.4). Polyurethane (PU) emulsions were selected to prepare ZIF-8/PU nanocomposite membranes. First of all, in order to prepare free standing PU membranes with optimized properties, two different emulsions (a soft PU and a hard PU) were mixed at various ratios. The mixed emulsions were cast and dried to prepare PU membran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tensile properties of the prepared membranes and how easily the membrane can be separated from the cast substrate, the best combination ratio of the soft PU and hard PU was determined to be 70:30 among the ratios tried in the experiment. Secondly, ZIF-8 was prepared, and attempted to be dispersed into the PU membranes, but the particles were failed to be dispersed due to their high aggregation property. Thus polystyrene sulfonate (PSS) was threaded into the ZIF-8 particles by preparing them in the presence of PSS in the reaction mixture. The resulting particles (ZIF-8-PSS) were then successfully dispersed into the PU matrix up to 70 wt% with respect to the PU solid content with aid of sodium dodecylsulfonate as a dispersing agent. Thirdly, the prepared nanocomposite (ZIF-8-PSS/PU)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with respect to uniformity and water-uptake. The FE-SEM elemental mapping images clearly showed that spots corresponding to Zn2+ ions and sulfur were clos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U matrix, indicating that the ZIF-8-PSS particles are well-distributed into the polymer matrix. The water-uptake of the nanocomposite membranes decreased steadily as the ZIF-8-PSS content increased from 0 to 70 wt% because ZIF-8 is hydrophobic. MCDI cells were assembled using a commercial cation-exchange membrane (CMX) and a commercial anion-exchange membrane (AMX): graphite sheet/cathode/CMX/ZIF-8-PSS/PU//spacer//AMX/anode/graphit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th 150 ppm Li+ and 150 ppm Na+ was fed to the MCDI cell with a flow rate of 20 mL/min.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for 5 min each step were conducted at 1.2 V and -1.2 V, respectively. The Li+ and Na+ concentrations in the effluent collected right after desorption for 2 min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The Li+/Na+ ratio in the effluent of the cell with only CMX (without ZIF-8-PSS/PU) was 0.85, but that of the cell with ZIF-8-PSS/PU along with CMX was 0.96, indicating that the ZIF-8-PSS/PU nanocompsite membrane is somewhat selective toward Li+ over Na+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Li+/Na+: about 1.2). The lack of overall selectivity of the MCDI cell may be due to the CMX membran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MX membrane should be replaced by a new cation-exchange membrane which allows both Li+ and Na+ ions to be at least equally permeated. Even though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MCDI cell was not satisfactory in terms of selectivity, the composite membrane with 70% ZIF-8-PSS showed some selectivity of Li+ over Na+. Furthermore, the ZIF-8-PSS/PU membranes with ZIF-8-PSS contents up to 42 wt% were successfully prepared in this study without any chemical modification of the ligand of ZIF-8.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employed in the preparation of MOF/polymer nanocomposite membranes or films for various applications.

      • 북한에서 춘원의 위상은 왜 변화하였나? - 1956년부터 2013년까지 조선문학사를 중심으로 -

        이예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irst thing done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was clearing up the past affairs. Clearing up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carried out in an extensive scope,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no exception. There are many figures criticized or removed altogether from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for this reason, but among them, Chunwon Lee Gwang-su (or Yi Gwang-su) is the typical figure whose status has changed in each period. However, there are no clear reasons known for Chunwon’s change in status. The biggest cause may be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and another reason may be the unfriendly natu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Changes within North Korea are difficult to capture unless they are displayed as an outcome, and even when there is an actual outcome, the cause of such changes is rarely revealed.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examine the historical facts of the time as well as the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This study selected 8 types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published from 1956 to 2013 as the key literature. The year 1956 was select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because it was when the first history of literature written in North Korea was published after liberation. The study period is set until 2013 because this was when the latest history of literature that can be verified today was compiled. The evaluation of Chunwon first begins with completely negative review in 1956, and he is ostrac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upon entering the 1970s. However, Chunwon is mentioned again since the late 1980s, making a comeback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evaluation of him changes completely since the 1990s. The reason why Chunwon received negative feedback and was ostracized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With the past affairs being cleared up after liberation, it was only natural that Chunwon received negative feedback due to the cooperation with Japan. This negation and criticism of Chunwon led to ostracism, causing his status to fall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However, since 1960s, North Korea was making efforts to bridge the gap in history during the 1910s and 1920s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Kim Il-sung. This was the s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ere controversies about this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part from the political circumstances. Moreover, the emergence of ‘North Korea minjok jeiljuui’ (the Korean nation is the greatest) also seems to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unwon’s change in statu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In other words, Chunwon, who had been the target of negation and criticism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made reappearance in history at a certain point due to the efforts to bridge the gap. At the same time, as the concept and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have been newly formed, exploration of contemporary literature traditions may have also served as a momentum. 1945년 해방을 맞은 후 북한에서는 제일 먼저 이루어진 것은 과거사 청산이었다. 일제 식민지 통치 시기 친일파에 대한 청산 작업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으며, 문학사 역시 피해갈 수 없는 영역이었다. 이러한 과거사 청산을 이유로 조선문학사에서 비판을 받거나 지워진 인물은 상당히 많지만, 그중에서 춘원 이광수는 드물게 시기마다 위상이 변화해 온 대표적 인물이다. 그러나 춘원의 위상 변화에 대한 이유는 명확하게 드러난 바가 없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북한의 폐쇄성을 꼽을 수 있으며, 또 다른 이유로는 북한 문헌의 불친절함을 들 수 있다. 북한 내부에서 벌어지는 변화는 결과로 도출되지 않는 이상 포착하기 어려우며,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더라도 변화의 원인을 밝히는 경우가 극히 드문 까닭이다. 때문에 해당 시기의 역사적 사실과 당대의 정치・사회・문화를 두루 살필 필요가 있다. 연구를 위해 1956년부터 2013년까지 간행된 8종의 조선문학사를 중심 문헌으로 선택하였다. 1956년을 본 연구의 시작 시기로 삼은 이유는 해방 이후 북한에서 기술된 최초의 문학사가 이때 간행되었기 때문이며, 2013년까지로 시기를 제한한 것은 현재 확인 가능한 최신의 문학사가 이때 편찬된 까닭이다. 춘원에 대한 평가는 1956년 완전히 부정적인 평가로 시작하여, 1970년대 접어들면서 문학사 기술에서 외면당하게 된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춘원에 대한 호명이 다시 이뤄지면서 조선문학사에서 춘원이 재등장하게 되며, 1990년대 이후로 춘원에 대한 평가는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조선문학사에서 춘원에 대한 평가가 부정과 외면 등의 형태로 기술된 이유는 당대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해방 후 과거사 청산이 이뤄지는 상황에서는 대일 협력을 이유로 춘원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부정과 비판은 결국 외면이라는 방식으로 번지면서 조선문학사에서 춘원의 위상은 점차 낮아졌다. 하지만 1960년대부터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교시에 따라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대한 역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문학사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였으며, 정치적 상황과 별개로 북한 문단에서 이와 관련한 논쟁이 있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또한 민족제일주의의 등장 역시 조선문학사에서 나타나는 춘원의 위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즉 조선문학사에서 부정과 외면의 대상이었던 춘원이 특정 시기를 기점으로 문학사에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문학사의 공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때문이었으며, 동시에 민족 문학이라는 개념과 담론이 새롭게 형성되면서 현대문학의 전통에 대한 탐구 역시 하나의 계기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공동생활가정 부적응 아동에 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이예찬 건국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생활가정에 거주하는 아동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공동생활가정에 거주하는 만 13세 남자 아동이다. 미술치료는 주 1회 90분간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공동생활가정 부적응 아동에 관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아동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에 의미를 주기 위함이다. 이 목표에 따라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고, 자료수집은 미술치료 전체 회기 과정과 녹음파일, 심층 면담, 이를 전사한 텍스트, 회기별 미술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또한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회기 내에서 연구대상자의 언어표현과 행동 관찰을 분석하여 문서로 전사한 축어록 등을 참고하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연구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공동생활가정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수집된 자료와 전사한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자세히 검토하여, 연구대상자의 긍정적, 부정적 언어표현과 행동 관찰, 유의미한 미술표현을 정리한 뒤 그 의미를 범주화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막막한 바다 위 선장>, <착한 선원 나쁜 선원을 모집>, <항해 준비>, <거센 파도와 흔들리는 배>, <잔잔한 바다>, <희망 가득한 항해>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생활가정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회기에서 미술치료의 장점을 충분히 느끼고 체험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제시된 활동을 수행하면서 만족감을 느끼고 연구대상자 스스로 대화를 유도하며 다양한 대화를 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면서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동생활가정에서의 부정적인 감정을 먼저 생각하고 반응하던 연구대상자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문제를 인지하고 변화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공동생활가정에서 느꼈던 부정적 인식과 관계에 대한 불편감을 파악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심리적인 문제를 자연스럽게 직면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생활가정 내에서의 대인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며 관계성을 찾고 긍정적인 관계로 재정비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한 긍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공동생활가정에서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파악하고 단점을 장점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함으로써 공동생활가정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정서를 축적하여 점차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하고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공동생활가정을 편안한 안식처로 인식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불안하고 무망감 넘치는 생활이 아닌 희망찬 미래를 상상하며 행복한 공동생활가정에서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공동생활가정 부적응 아동은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였고, 자기 생각과 감정을 표출하며 긍정적인 자기수용과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공동생활가정에서의 부적응적인 모습을 변화시키고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을 형성하여 연구대상자의 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공동생활가정 부적응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가 다양한 대상과 주제로 지속되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n-depth what a child living in the communal living family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To this end,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of what the study subject experiences by appl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14-year-old boy living in a communal living family. Art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12 times for 90 minutes. The goal of art therapy for the child who is maladjusted to the communal living family is getting a child to experience art therapy activities and giving meanings to the experiences. Art therapy session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goal, and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the entire art therapy session, its recording files, in-depth interviews, transcribed texts, images of the subject’s works and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s. Furthermore, it was made by referring to verbatim records documented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language expressions and behaviors of the subject during art therapy sessions. The data analysis attempted to explore the art therapy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child in the communal living family by using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o this end, the data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study subject and the transcribed text were repeatedly reviewed in detail, observed the study subject's positive and negative language expressions and behaviors, organized meaningful art expressions, and categorized their meanings.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 total of 6 upper topics and 14 lower topics were deriv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is <Captain on the Empty Sea>, <Recruitment of Good Sailors or Bad Sailors>, <Preparation for Voyage>, <Strong Wave and Shaking Ship>, <Calm Sea>, and <Voyage Full of Hop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n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and its meaning of the child in communal living famil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study had the experience of fully feeling and experiencing the advantages of art therapy throughout the sessions, and experienced satisfaction performing the presented activities and various conversations induced by himself. In addition, as the subject understood and accepted himself, he formed a positive self-esteem. In this process, the study subject, who only had thought and responded to negative emotions in the communal living family, had the opportunity to naturally express his emotion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conversations, and showed signs of recognizing and changing problems. Second, the subject of the study naturally faced psychological problems by noticing the negative perception and discomfort in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al living family. The subject had the experience of finding his relationships in the communal living family and reorganized them into positive ones by rethink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is positive emotion, the subject tried to identify advantages and transform disadvantages into advantages, and looked at the communal living family with a new positive perspective. Third, the subject built a positive image of himself and accumulated positive emotions, so gradually made positive self-esteem with a heart of caring and loving himself. Also, the subject recognized a communal living family as a comfortable haven and regained confidence to live a happy communal living family life, not a hopeless one by imagining positive future. To sum up, a child who is maladjusted to the communal living family was able to experience a variety of activities through art therapy and express his own thoughts and emotions, positively accepting himself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 family members. Also, the subject changed their maladjustment in the communal living family and formed a positive self-esteem, making positive changes in the subject's life in the communal living famil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rt therapy research for children who are maladjusted to a communal living family will continue with various subjects and topics.

      • PISA 2018을 활용한 시장지향적 교육정책과 교육불평등 관계 분석

        이예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1990년대 이래로 확산하고 있는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시장이 충분히 발달한 국가에서 교육불평등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의 확산은 교육에 시장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비효율성을 고치고 교육의 질을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에 근거한다. 그러나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결과적으로는 교육불평등을 악화시킬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비판자들은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으로 소외계층 학생이 배제되는 일이 발생하거나 교육정책 자체가 중산계층보다 소외계층에 덜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교육불평등과 관련이 있다면 이를 분석할 때 타당한 국가 맥락 변수를 통제한 뒤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교육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국가 맥락이 교육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990년 이후의 시장지향적 교육정책 중에서도 본 연구는 시험 기반 책무성(test based accountability), 학교 선택(school choice), 민영화(privatization)의 세 가지 정책에 주목한다. 이 세 가지 교육정책은 1990년대 교육정책을 이끄는 이데올로기가 교육복음 이데올로기에서 시장 이데올로기로 전환된 이후 교육이 개선해야 할 시급한 문제로 떠오르자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등장한 정책이다. 이들 정책은 선진국의 모범 사례로서 세계화에 힘입어 후발 국가에 확산되었으며, 그 파급력이 작지 않다. 또한 다양한 논의에서 이들은 시장의 성격을 가진 정책으로 일컬어지는 정책이다. 본 연구는 PISA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교육불평등을 확산하는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PISA 2018에 참여한 국가 78개국을 대상으로 시장의 이데올로기가 우세하고 시장 경제가 발달했다고 생각되는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를 구분하여 교육불평등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분석하였다. 이는 OECD와 비OECD, 본 논문에서 선정한 42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의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시장 경제가 충분히 발달한 42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표본의 사례 수가 적다는 점을 감안하여, 모형을 구성할 때 최대 4개의 변수만 투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교육불평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통제변수를 모형에 투입하여 결과를 분석한 뒤, 유의미한 변수만을 선정하여 이후 교육정책 변수를 활용한 모형의 통제변수로 활용하였다. 통제변수 모형에는 경제 수준, 사회 불평등, 교육비 공공지출, 성인 인구의 교육 수준을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성인의 교육 수준은 시장지향적 교육 정책 변수가 교육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통제변수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시험 기반 책무성, 학교 선택(학교 선택권, 계열 선택권), 민영화(중등 운영 민영화, 중등 재원 민영화, 유아교육 및 보육) 정책이라는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교육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정책별로 개별 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경제의 발달과 교육불평등 수준이 높아지는 것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OECD 국가는 비OECD 국가에 비해 교육불평등 수준이 2.51만큼 높으며 이 차이는 유의확률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후자의 경우, 선정된 42개의 시장 경제가 발달한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교육불평등 수준이 3.41만큼 높았으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성인 인구의 교육 수준이 한 단위 증가할 때 교육불평등 수준은 .52만큼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경제 수준, 사회 불평등, 교육비 공공지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육 정책 모형의 분석 결과 학교 선택 정책 변수 중에서 계열 선택권 변수가 교육불평등 수준을 2.94만큼 높인다고 분석되었으며, 이는 5%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또한 계열 선택권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통제변수의 유의성이 사라졌으며, 이는 교육불평등 수준을 줄이는 통제변수의 효과가 교육 정책에 의해 상쇄될 수 있음을 의미하다. 넷째, 이외의 시장지향적 정책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각 정책이 시장의 이상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통해 소외계층에게 이익이 된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음을 뜻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였다. 첫째, 성인 인구의 교육 수준이 교육불평등 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고려하여 성인 인구에 대한 교육과 평생교육에 정부가 주목해야 한다. 둘째, 국가의 발달한 시장 체제가 교육 불평등과 관련이 있음이 드러난 만큼, 경제성장과 개방된 시장에서의 이익을 추구하는 국가의 노력이 의도치 않게 교육불평등을 심화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셋째, 계열 선택권 정책이 교육불평등을 악화하는 문제에 대한 보완책이나 대안적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확산하던 1990년 이전에는 어떤 이데올로기가 존재하였는지 조망함으로써 만능 치료약이자 때로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시장지향적 교육정책이 사실은 당연하지 않다는 점을 밝힌다. 이는 시장지향적 교육정책 외에 다른 정책적 대안을 새롭게 상상할 여지를 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시장주의적 교육정책이 교육불평등 수준을 확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경험적 증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사례 수가 42개로 표본크기가 작으며 시장이 충분히 발달한 국가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모든 국가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둘째, 통제변수로서 활용되지 못한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y, which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1990s, has a relationship with education inequality in countries where a market is sufficiently developed. The spread of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is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applying market principles to education will fix inefficiency and improve education quality. However, there are views with concern that worry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will consequently worsen education inequality. Critics insist that the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y will exclude underprivileged students, or that the education policy itself can work in a way that is less beneficial to the underprivileged than the middle class. On the other hand, education inequality is also related to the national context, so it is necessary to control national context variables to properly evaluate the effect of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on education inequality.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is the effect of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y on education inequality?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national context on education inequality? Among the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since 1990, this study focuses on three policies: test-based accountability, school choice, and privatization. These three educational policies emerged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s education was pointed out as an urgent problem to fix after the ideology leading education policy shifted from an educational gospel ideology to a market ideology in the 1990s. Thanks to globalization, these policies have spread to less-developed and emerging countries as exemplary cases of advanced countries, and thus their impact is not small. In addition, in various discussions, they are policies that are referred to as policies with mark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spread educational inequality using PISA 2018 data in the following ways. First, 78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PISA 2018 were analyzed to see i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al inequali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dividing the countries into two groups where the market ideology is dominant or the market economy was developed and not. The analyses were conducted as following: OECD vs. non-OECD, and 42 countries selected in this study vs. those that did not. Next, the analysis conducted on 42 countries with sufficiently developed market economies was conducted as follows.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cases in the sample was small, up to 4 independent variables was allowed to be put into a model when constructing the model. Accordingly, first, a control variable thought to be related to education inequality was put into the model to analyze the results, and then on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selected and used as control variables for the model using education policy variables. For the control variable model, economic level, social inequality, education expenditure, public expenditure, and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of the adult population were input. According to the result, adult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was used as a control variable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y variables on education inequality. Finally, the impact of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such as test-based accountability, school choice variable(school choice, course choice), privatization(secondary-school-operation privatization, secondary -school-financial privatiz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on educational inequality was analyzed by forming individual models for each poli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economy and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Compared to non-OECD countries, OECD countries show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as high as 2.51,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probability. In the latter case,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in the selected 42 market economies was as high as 3.41 compared to those that did not,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decreases by .52 when the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of the adult population increases by one unit,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Economic level, social inequality, and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expens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 policy model, it is analyzed that course choice of school choice policy variable increases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by 2.94, which is significant at the 5% level. In addition, when the course choice variable was input, the significance of the control variable disappeared, which means that the effect of the control variable that reduces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can be offset by education policy. Fourth, other market-oriented policy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no evidence has been found that each policy benefits the underprivileged through more effective education according to market ideal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considering that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adult population can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education for the adult popul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econd, a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country's developed market system is related to education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ountry's efforts to pursue economic growth and profits in open markets are unintentionally intensifying education inequ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mplementary measures or alternative policies for the problem of worsening education inequality in the series of option polic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looking at what ideologies existed before 1990 when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were spreading, it is revealed that a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y that is regarded as magic bullet and is sometimes taken for granted is not natural. This gives room for a new imagination of policy alternatives other than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Nex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possibility and empirical evidence that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can increase the level of education inequalit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o all countries by studying only countries with a small sample size with 42 national cases and a sufficiently developed market.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wide range of social contexts that have not been used as control variables.

      • 명예훼손 보도에 대한 제삼자 효과 연구 : 피해자의 법적대응 의향 및 규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예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on the legal action intention and regulatory attitudes of the victim of defamation reporting based on the theory of the third-person effects dealing with the biased perception problem of media influence. Apart from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e effects of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subjects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attitudes mentioned above was also analyzed. A total of 441 adult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is study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each reading a virtual defamation report treated with truth and fraud, and then assuming themselves as victims, and estimated influence of the report on themselves and others, and measured legal action intentions and regulatory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expressed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at the defamation report had greater influence on “familiar acquaintances,” “familiar acquaintances” and “general other” than their influence on themselves. However, the social distance variable with the perceived object did not have a consistent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the truth of the report set as the social desirable variable also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e third-person percep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apply for mediation. It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 support the existence of defama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system for defamation report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ruth of the report between the third-person perception, legal action intent and regulatory attitude was found only in the intention to medi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perception targets on legal action intention and regulatory attitude, 'influence on oneself', 'influence on vague acquaintance' and 'influence on general others' a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intention to apply for mediation among legal action intention. All the influences were not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litigation, and only 'influence on close acquaintanc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riminal charge intent. Among the attitudes of regulation, 'influence on oneself' ha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attitudes that support factual defamation, and 'influence on vague acquaintances' on attitudes supporting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system.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actual victims that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third-person effects of defamation reports have identified participants as a third party far removed from the news contents. As such,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third-person perception in the high involvement environment and its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regulatory attitudes. In addition, this study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focused on perceptual elements of the third-person effects on defamation reports, and extends the subject of discussions to the effects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on the various legal action and the regulatory attitudes.

      • MOOC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이예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has ushered an age of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 which has been instrumental in making higher education mor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across the world. In contrast to its prevalence, the comparatively low completion rate for MOOC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persistence. However, few studies have applied the perspective of expectation-value theory to MOOC, which is known to predict learner’s task selection, continuity, and achievement. Furthermore,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ask value and cost, the sub-variables of expectation-value theory,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learner’s motivation for enrollment and continuing MOOC course or reasons for dropping MOOC courses. Thus, this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learner’s expectations-value variables, MOOC environmental variables, and course variables expressed by learner’s motivations affect learning persistence with respect to expectation-value theory.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 of the following: I, Does teaching presence in MOOC affect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ost?; II, Do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ost in MOOC affect student engagement?; III, Do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cost, student engagement in MOOC affect learning persistence?; IV, Do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cost, student engagement in MOOC mediate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the learning persistence? To verify the aforementioned hypotheses, the survey results of 277 learners who have enrolled in K-MOOC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o assess the developed model. The study discovered the following findings: I, Teaching pres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 value while negatively affecting cost; II, Task value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 engagement, but academic self-efficacy and cost do not affect student engagement; III,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student engagement have positively affect learning persistence while cost negatively affects learning persistence; IV, Teaching presence indirectly influences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ost and student engag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 Based on expectation-value theory, it is meaningful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task value and cost of MOOC learner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prior studies. Accordingly, to promote learner’s learning persistence in a MOOC environment, a prescriptive instructional design is required to increase learner’s academic self-efficiency, task value, and to reduce the learner’s perception of cost; II, On the basis of expectation-value theory, it is meaningful that the influence of teaching presence as an environmental variable influencing learner’s motivations in MOOC learning environments has been verified.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teaching presence of MOOC instructors and tutors’s appropriate design for Learning, encouragement, and a system for promoting interaction are required; III, It is meaningful that the role of student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s verifi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how the expectations and values of learners affect learning outcom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so that learners can engage in the MOOC learning process; IV, Based on expectation-value theory, this work selects environmental variables, motivational variables, process variables, and performance variables in MOOC environments and validates the expression mechanism of learning motivation. Overall, this study examined the range to which expectation-value theory is applicable and holist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expectation-value theory in a MOOC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expression process. Therefore, to improve a MOOC learner’s learning persistence, it is imperative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eaching presence,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cost and student engagement.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대규모 개방형 온라인 학습환경,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고등교육의 대중화 및 교육 기회의 확장을 실현하며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왔다. 이러한 MOOC의 급속한 확산과는 대조적으로 낮은 이수율이 MOOC의 고질적인 문제로 보고됨에 따라 MOOC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학습자의 과제 선택 및 지속, 성취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대-가치이론의 관점을 MOOC에 적용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며, 특히 기대-가치이론의 변인 중 MOOC의 수강 및 지속 동기와 중도포기의 이유와 연관이 깊은 과제가치, 과제비용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MOOC 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과 학습 동기가 행위로 발현되는 과정변인을 고려한 연구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기대가치 변인, MOOC 환경변인, 학습자의 동기가 행위로 발현된 과정변인들이 각각 어떻게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MOOC에서 학습자의 교수실재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MOOC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MOOC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과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MOOC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과 학습몰입은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사이를 매개하는가?. 도출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서울 소재 C 대학에서 2020년 K-MOOC에 탑재한 2개 강좌를 수강한 277명의 표본을 수집하고,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실재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에 정적으로, 과제비용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가치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몰입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비용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으로, 과제비용은 학습지속의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실재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았던 MOOC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과제비용의 영향력을 실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MOOC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를 높이고, 학습자가 느끼는 과제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교수설계적 처방이 요구된다. 둘째, 기대-가치이론에 근거하여, MOOC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으로서 교수실재감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MOOC 학습자의 교수실재감을 촉진하기 위하여 교수자 및 학습튜터의 적절학 학습설계, 격려,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이 요구된다. 셋째,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여 학습자의 기대와 가치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학습자가 MOOC 학습과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기대-가치이론에 근거하여 MOOC 환경에서 환경변인, 동기변인, 과정변인, 성과변인을 선정하고 학습동기의 발현 매커니즘을 검증함으로써 기대-가치이론이 적용되는 학습맥락의 범주를 확장하고, MOOC 환경에서 기대-가치이론의 변인 간 관계를 발현 과정에 맞추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MOOC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을 위해 교수실재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 학습몰입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교수설계 및 학습환경 조성,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 대학 온라인수업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 개발 및 활용 연구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이예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identify and support learners who are struggling in online course, the importance of engagement, which indicates the learner's adaptation and performance status, is being emphasized. In particular, recently, research on engagement measurement using log data containing objective information on learner behavior in online course is attracting attention.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multidimensional engagement property and did not reflect the various activities that appear in the online course. Therefore, this study, first, developed an online course engagement log data indicators based on the concept of engagement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og data types that appear in online classes. After developing online course engagement log data indicators, it is required to explore the use of indicators in the field.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engagement, but this has limitations in reflecting interactions among sub-factors of multidimensional engagement. Furthermore, in order to see the dynamics of the context in which log data indicators are developed and utiliz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eceding variables on the type of engagemen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learners' motivation as a leading variable of engagement in online course, and in particula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usefulness, success, interest, caring.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the type of online course learners' engagement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influence of antecedent variables on the type of online course engagement was explored from the motivational point of view. The research ques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engagement log data indicators constructed in university online course? Second, how are the latent engagement profiles of learners classified in university online course and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Third, do motivation influencing variables (empowerment, usefulness, success, interest, caring)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engagement profiles in college online cours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derived,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original literature related to online class duration and log data, and developed a log data indicators for the duration of online course by conducting a Delphi survey targeting a panel of 13 experts. Next, this study collected a sample of 57 people who took liberal arts hom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at C University in Seoul, and analyzed potential profiles using SPSS and Mplu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rived skills engagement, attitude engagement, interaction engagement, and performance engagement as sub-factors of online course engag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derived time investment in learning contents, confirmation of learning guidance and notification, and inspec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s the behavioral patterns of skills engagement. This study derived continuous learning participation, regular learning participation, immediate learning participation, and completion of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deadline as the behavioral patterns of attitude engagement. This study derived discussion activity participation, cooperative learning (team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estion and answer participation as the behavioral patterns of interaction engagement. This study derived familiarity with the evaluation task,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task, and reflection on the evaluation task as the behavioral patterns of performance engagement, and developed an online course engagement log data indicators consisting of a total of 45 log data by extracting log data indicators according to each behavior pattern.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online course engagement log data indicators, four latent profi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is, four potential profiles were derived: 'balanced excellent engagement type', 'performance-oriented engagement type', 'active procrastination attitude type', and 'biased learning attitude non-engagement type' A latent profile was derived. Third, recognized by learners in online course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preceding variables, and it was found that autonomy success expectation and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file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selecting empowerment, usefulness, success, interest and caring in online course as anteceden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empowerment, success and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file classific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온라인수업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를 파악하고 지원하기 위한 차원에서, 학습자의 적응 및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몰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행동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데이터를 활용한 몰입 측정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다차원적인 몰입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활동들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몰입의 개념과 온라인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활동 및 로그데이터 유형을 기반으로 온라인수업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를 개발하였다. 온라인수업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 개발 후에는, 현장에서의 지표 활용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선행연구는 주로 몰입과 관련된 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는데, 이는 다차원적인 몰입의 하위 요인 간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데에 제한점이 있다. 나아가 로그데이터 지표를 개발 및 활용하는 맥락의 역동성을 보기 위해서는 몰입 유형에 대한 선행변인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는 온라인수업에서 몰입의 선행변인으로 학습자의 동기를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성, 유용성, 성공 기대감, 흥미, 배려 및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온라인수업 학습자의 몰입 유형을 도출하고, 동기적 관점에서 선행변인이 온라인수업 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온라인수업에서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대학 온라인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 잠재프로파일은 어떻게 분류되고 그 특징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온라인수업에서 동기 영향변인(자율성, 유용성, 성공 기대감, 흥미, 배려 및 지지)은 몰입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가? 도출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먼저, 온라인수업 몰입 및 로그데이터 관련 선행문헌을 고찰하고, 13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하여 온라인수업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서울 소재 C 대학의 2023년 1학기 교양재택강좌를 수강한 57명의 표본을 수집하고, SPSS와 Mplus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수업 몰입의 하위요인으로 숙련몰입, 태도몰입, 상호작용몰입, 수행몰입을 도출하였으며, 숙련몰입의 행동 패턴으로는 학습콘텐츠에 대한 시간 투자, 학습 안내 및 알림 확인, 학습 과정 점검이 도출되었다. 태도몰입의 행동 패턴으로는 지속적 학습 참여, 규칙적인 학습 참여, 즉시적 학습 참여, 기한 내 학습 활동 완료가 도출되었다. 상호작용몰입의 행동 패턴으로는 토론 활동 참여, 협력 학습(팀 활동) 참여, 질의응답 참여가 도출되었다. 수행몰입의 행동 패턴으로는 평가과제 숙지, 평가과제 참여, 평가과제 성찰이 도출되었으며, 각 행동 패턴에 따른 로그데이터 지표를 개발하여 총 45개의 로그데이터로 구성된 온라인수업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온라인수업 몰입 로그데이터 지표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개의 잠재프로파일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수업의 학습자 몰입 유형을 분석한 결과 '균형 잡힌 우수 몰입형', '수행 지향 몰입형', '능동적 지연태도의 몰입형', '편향된 학습태도의 비몰입형'의 4개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셋째, 온라인수업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자율성, 유용성, 성공 기대감, 흥미, 배려 및 지지를 선행변인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자율성 성공 기대감, 흥미가 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결과가 갖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교회력에 기초한 교회학교 예배에 관한 연구 : 오곡감리교회를 중심으로

        이예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학교 위기 속에 ‘교회력을 따르는 예배’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교회학교의 위기 가운데 왜 예배와 교회력이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실제 오곡감리교회에서 1년 동안 교회력을 따라 예배한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강림절, 주현절, 사순절, 부활절, 성령강림절, 그 후 평주일까지 어떤 내용을 가지고 예배했으며, 또한 성찬 예배 등의 예문을 담아 성찬이 있는 예배의 모습을 보여주고, 공간 속에 어떠한 상징을 가지고 1년 동안 예배했는지 소개한다. 1년의 프로젝트를 하면서 함께 예배한 전도사님과 목사님, 그리고 중고등부와 아동부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평가를 보고 연구자가 생각한 아쉬운 점과 연구자의 제언을 제시한다.

      • 아가서 1장에 나타난 본문-언어학적 계층구조와 은유적 해석에 관한 연구

        이예찬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가서를 읽는 많은 이들은 ‘가장 아름다운 노래’ 라는 그 제목처럼 아가서를 통해 아름다운 사랑을 경험한다. 그러나 아가서 본문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는 별개의 이야기이다. 많은 학자들은 아가서를 성경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들 중 하나인 동시에 성경 전체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책들 중 하나임을 인정한다. 여기서 우리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느꼈다. 그렇다면 무엇이 아가서의 해석을 이토록 어렵고 난해하게 만들었을까? 다양한 연유가 있겠지만 크게 세 가지로 추려볼 수 있겠다. 먼저 아가서는 그 장르를 결정하는 것부터 어려움에 봉착한다. 두 번째로는 아가서의 구조를 분석하고 구분함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기에 아가서를 해석함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가서는 다른 성경과는 달리 본문 내에서의 직접적인 신학적 메시지가 뚜렷하지가 않다. 필자가 아가서의 본문을 보다 더 명확하고 자세하게 연구하기 위하여 선택한 방법론은 탈스트라의 본문-언어학적 분석법이다. 우리는 아가서 1장의 본문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아가서만의 독특한 언어적 장치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아가서가 통일된 문학성을 가진 구조 및 장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아가서 1장을 비롯한 본문 전체에서 저자가 의도적으로 언어적 표시들을 사용하여 분명한 단락의 시작과 끝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문-언어학적 접근만으로는 그 장르의 특성상 아가서의 신학적 함의에 도출할 수 없음을 인식하였고, 정경적 맥락에서 은유적 해석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아가서 1장의 본문-언어학적 접근을 통해 도출한 문자적 해석을 기반으로 하여, 정경적 맥락에서의 은유적 해석을 통해 신학적 해석에 접근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아가서에서 은유적으로 ‘하나님’을 남자로, ‘성도’를 여자로 표현하여 하나님과 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중요한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성도가 적극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고 갈망하며, 최종적으로 연합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 Low level laser therapy with marine derived material for fibrosis treatment

        이예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섬유증은 상처의 회복 과정이나 재형성 과정에서 세포 외 기질의 과도한 축적으로 형성된다. 섬유증은 신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 할 수 있으며, 기관 및 조직의 기능을 저하하고 선진국 사망률의 절반에 병리학적 영향을 주는 흔한 질병이다. 현재까지 섬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치료법이 부족하고 완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저출력 레이저 치료 (low level laser therapy)가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적용되어 연구되고 있다. 저출력 레이저 치료란 가시광선 영역의 레이저를 낮은 출력으로 조사하여, 물리적인 손상 없이 생체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작용 기전이 명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감소 및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 유래 물질인 플로로글루시놀 (phloroglucinol)을 융합한 저출력 레이저의 섬유증 치료 효과와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생체 외 실험을 통해 플로로글루시놀 융합 저출력 레이저의 섬유화 인자 및 유도 인자의 발현 조절과 단독 치료보다 효과적인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물 모델을 이용한 생체 내 실험을 통해 융합 치료 기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 섬유화 조직의 효과적인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해양 물질을 융합한 저출력 레이저 치료의 접근은 섬유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현 치료법의 대안이 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섬유화 조절 효과의 더욱 명확한 기전과 후속 재발 방지를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