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환류소득세제에 대한 외국인투자기업의 반응에 대한 연구

        이승주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4년에 법인세법 제56조 【기업의 미환류소득에 대한 법인세】가 신설되어 공표되었다. 기업의 유보소득을 가계소득으로 전환하여 내수경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2015년부터 3년간 적용되는 세제이며 기업의 유보소득을 배당, 투자, 임금증가의 형태로 가계소득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이를 통하여 환류 되지 않은 유보소득에 대해서는 과세하겠다는 것이 기본 취지이다. 신설된 미환류소득세제에 대하여 국내의 외국인투자기업은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국내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과의 비교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재무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환류세부담액을 산출하였으며, 연도별 비교 및 집단간 비교를 통하여 외국인투자기업의 환류소득세에 대한 반응 특성을 분석 하였다. 그리고 환류소득세가 적용되는 첫해인 2015년도에 환류소득세 부담 및 소득환류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 행태를 보였는지를 기간간 비교 및 집단간 비교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업종별 과세대상 비율 측면에서 외국인투자기업과 상호출자제한기업 모두 제조업 및 도소매업의 비중이 컸으며, 외국인투자기업의 제조업 및 도소매업 비중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보다 더 컸다. 또한 투자국가별 측면에서 일본계 외국인투자기업의 비중이 다른 투자국 대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계 기업의 환류세부담율은 다른 투자국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환류소득세제가 최초 적용되는 2015년에 외국인투자기업의 배당률과 임금증가율은 과거 대비 낮았으며 이로 인해 과세부담율이 과거 대비 높았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과 비교했을 때도 외국인투자기업의 과세부담율이 평균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외국인투자기업의 연도별 배당률, 임금증가율 및 투자율은 소득증가율과 같은 방향성으로 변동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배당률, 임금증가율 및 투자율은 외국인투자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투자기업의 소득환류성향은 소득증가율에 영향을 받아 변동하는 반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경우 배당, 임금, 투자와 관련한 일관성 있는 기업 정책에 의해 소득환류가 결정 되는 것으로 추정 되며 외국인투자기업 및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모두 기업환류소득세제가 소득환류에 미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투자기업의 환류세 부담률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아 알 수 있듯이 환류소득세제는 해외자본을 국내 시장으로 유치하는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투자기업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비교를 통해 기업환류소득세제의 과세 부담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도별 환류소득세부담을 추정 및 소득환류 특성을 분석하여 외국인투자기업의 환류소득세제에 대한 반응 성향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그러나 기업의 정확한 세무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고 추정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 점과 해당 환류소득세에 대한 반응의 유의적인 원인과 결과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밝혀내지 못하였다는 것은 한계점이라고 할 것이다. Article 56 [Corporate Income Circulating Tax] of the Corporate Tax Act was newly enacted and announced in 2014. It is a tax applied for a period of 3 years from 2015 for the purpose of activation of domestic economy by converting the retained income of the corporations into household income. The fundamental intent of this Article is to induce the conversion of retained income of corporations into household income in the form of increase in dividend, investment and wages, and to impose a tax on the retained income that has not been refluxed through the said conver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specific responses of the foreign investment companies in Korea on the newly enacted non-refluxed income tax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 of Korea. For this purpose, the anticipated reflux tax allotment was computed by using the financial information from 2012 to 2015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on the reflux income tax was analyzed through comparison for each year and between the groups. Moreover, an analysis was made through comparison of the response behaviors displayed on the burden of reflux income tax and income reflux between the terms and between the groups in 2015, the first year in which reflux income tax was appli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were great for both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 and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atio of the subjects of taxation for each of the business categories, and the proportion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of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the Japanes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 was greater than other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of the countries making an investment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reflux tax allotment of Japanese corporations was confirm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corporations of other countries making an investment in Korea. The dividend rate and wage increase rate of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 in 2015, which is the first year of the application of the reflux income tax, was lower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years, thereby resulting in a higher tax allotment rate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years. Even when compared with the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 the tax allotment rate of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 was analyzed to be higher on the average. While the dividend rate, wage increase rate and investment rate of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in each of the fiscal years were confirmed to fluctu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rate of increase in income, the dividend rate, wage increase rate and investment rate of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table in comparison to those of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That is, while the income refluxing tendency of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fluctuates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 of the rate of increase in income, it is presumed that the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s decide income reflux in accordance with the consistent corporate policies related to the dividend, wage and investment. Moreover, it appears that the corporate reflux income tax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refluxing of income for both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and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s. As i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reflux tax allotment rate of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s, reflux income tax has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the overseas capitals into the domestic marke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ceding researches in that the burden of corporate reflux income tax is analyzed from a diverse range of perspectiv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and the mutual investment limited corporation groups, and that tendency of responses of the foreign investment corporations on the reflux income tax was confirmed by estimating the reflux income tax allotment for each of the fiscal year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come refluxing.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so include analysis made by using presumed values rather than using accurate taxation information of corporations and failure to disclose the significant causes and results of the responses to the corresponding reflux income tax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 지수함수 및 시그모이드 함수를 이용한 신경회로망 학습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이승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및 자율 학습 (Un-Supervised Learning) 신경회로망의 학습 능률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개선된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지수함수를 이용한 지도학습 신경 회로망의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X-OR 문제, 3-패리티 문제, 그리고 필기체 한글 및 숫자의 기본 획 분류에 적용하였다. 자율학습 신경 회로망의 경우 시그모이드 함수를 이용한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선형 및 2차원 자기 지도 형성 신경 회로망을 구성한 후 향상된 학습 결과를 고찰하였다. 기존의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은 학습 패턴이 입력으로 부가되었을 경우, 과도한 학습 및 국소 해(Local Minimum)로 빠지거나 발산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 방법들로서 지도 학습 신경 회로망의 경우 EBP(Error Back-Propagation)로부터 Jacobs의 DBD(Delta-Bar-Delta)[8], Minai와 Williams의 EDBD(Extended DBD)[9], Zhang의 ABP(Adaptive Back-Propagation)[10]등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들은 신경 회로망에서 뉴런 사이의 연결 강도 갱신에 사용되는 학습 및 관성 계수를 EBP의 경우 상수인 것을 학습이 반복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함수화 함으로서 적응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많은 학습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서 학습의 계산 복잡도를 증대시키며, 경우에 따라 초기 학습 파라미터의 설정이 적절치 않은 경우 학습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국소 해 발산 등 시스템의 안정도를 해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학습 파라미터를 단순화하였고, 학습 및 관성 계수를 오차에 대하여 지수 함수(exponent)화 하였다. 그 결과 학습 파라미터의 설정에 따른 시스템 안정도를 해치지 않으면서 학습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학습 효율의 향상을 위한 부가적인 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의 초기 연결 강도 설정을 위한 초기 연결강도 발생(Initial Weight Generation)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지도학습 신경회로망의 경우 초기 연결강도 설정에 임의의 난수로 발생한데 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초기 연결강도 발생 방법은 학습 패턴과 목표 치와의 차이를 평균 값으로 초기 연결강도 난수 발생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된 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X-OR, 3-Parity 문제에 대하여 적용하였고, 한글 및 숫자 필기체의 기본 획 분류에 지도 및 자율 신경 회로망 학습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역전파 신경회로망의 초기 연결강도를 입력벡터와 목표치를 참고로 하여 발생시키도록 한 WBP(Weighted Back-Prppagation)의 경우, 고전적인 역전파(BP, Back-Prppagation) 알고리즘에 비하여 약 8.3%, 학습계수와 관성계수를 발생한 오차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갱신토록 한 EABP(Enhanced Adaptive BP)는 BP에 비하여 29.1%정도 반복횟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EABP에 초기연결강도 발생에 입력벡터와 교사신호의 차이를 적용(WEABP)한 결과, BP에 비하여 약 32.6% 정도 반복횟수가 감소하였으며, 개선된 역전파 알고리즘(EABP)에 비하여 4.9%정도 학습효율이 향상되었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필기체 한글 및 숫자 기본 획 분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논문에서 제안한 WBP는 95.4%의 분류 율을 보였고, 개선된 역전파 알고리즘(EABP)의 경우, 97.7%의 분류 율을 나타내었으며, WEABP는 98.5%의 높은 분류 율을 얻었다. 인간의 신경 처리와 유사한 동작을 하는 자율 신경회로망의 일종인 코호넨(Kohonen) 신경회로망 이론으로부터 구성된 자기조직화 형상지도(SOM, Self-Organizing-Map) 알고리즘은 승자득점(Winner-Take-All)의 원리에 따라 학습된다. 자율 학습 신경회로망의 연결 가중치 갱신에 사용된 학습계수를 Kraaijveld 와 Mao 는 가우시안 연결 가중치 함수[18]를 이용하였으나 시간 함수의 학습 파라미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초기값이 적절치 않은 경우, 과도한 반복 학습 뿐만 아니라 올바른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 학습 신경 회로망의 학습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연결강도 갱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계수를 입력벡터와 연결강도의 차이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학습계수의 갱신에 시그모이드(Sigmoid) 함수를 사용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하여 선형 및 2차원 자기 조직화 신경회로망을 구성한 후 난수 입력에 의한 자기 조직화 지도의 형성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코호넨 학습알고리즘과 Mao 에 의해 제안된 학습알고리즘에 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학습 계수의 변화가 완만하게 나타나, 학습 과정에서 시

      • 공연예술분야 재직근로자의 근로가치관에 관한연구 : 공공문화예술기관을 중심으로

        이승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guring out the differences in work value of the cultural, artistic administrators of public artistic institutions and the artists attached to the institutions before and after their attaching to the institutions, and the differences in work value by job classifi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ir work valu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o prepare qualified culture and art by improving their work environment for the audience to enjoy fine service and, by extension, in using it as a proper job counseling for the students and their actual use of it. Following are the questions to work out the study First, would there be any difference in work value of the workers in public cultural, artistic institutions before and after their belonging to the institutions? Second, would the work value of the workers in public cultural, artistic institutions affect their organization commitment positively? Third, would the work value of the workers in public cultural, artistic institutions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positively? Fourth, would there be any difference in work value depending on job classification? The integrated debates on work value detected from home, abroad previous studies are the mixed use of the terms of viewpoint to the career, work ethic, and work value without clear semantic difference being comprehensively classified as the definition of general meaning such as the image, opinion and thought about jon, and the definition of viewpoint to the career that what the individuals think important or valuable about working and the definition of perception, attitude, awareness and value about job. The viewpoint to the career is most commonly used term among the three terms, and the term of job ethic has been accepted in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pedagogic dictionary, and the term of work value could be taken as the term focusing the value of work activity. Accordingly, the term of 'work value' will be used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deals with the values of the people with jobs. Besides, the 'work value' will be defined as the working individuals' values as the generalized concept rather than being involved in specific job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of ' work value' between the scholars. People of administrative position at the National Theater, Seoul Art Center and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nd the artists of performing arts companies attaching to those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made out for one-on-one talks at National Theater, Seoul Art Center and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from 2010 September 20 -26. Administrators and artists were classified and then their jobs also were classified for the questionnaire.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administrators and artists in half-and-half and then 114 copies form the administrators, 117 from the artists were collected with insincere questionnaires being excluded Maryland Work Value Inventory(MWVI)designed by Mietus(1977) targeting junior college students and adopted into korean version by An Gang Hyeon and then recomposed by this researcher was used for this study as a measuring too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hosen as the factorial analysis, and common Varimax among orthogonal rotation methods was applied to simplify factor structure T-test was conducted for sex, age, career, job type and before and after the job holding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extracted job value patterns. One-way ANOVA was conducted, followed by Scheffe post hoc test for the case when differences were dete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al administrators and the artist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s 0.05 for results interpretation, Below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ultural administrators' job stability, capability degree, pride for the work were less satisfactory than those when they weren't involved in the post. Besides, their expectation for the wage, special position, contribution to society were also less satisfactory than those when they weren't involved in the p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cultural artists with their job stability, ability display and pride for the work was lower than before they weren't involved in the job. Their expectation for the pay, special position, contribution to society also was lower than before they weren't involved in the job. Second, cultural, artistic administrators' organization commitment appeared to heighten in response to the security of their special position, higher pride for the work and higher wage. Cultural artists' organization commitment appeared to heighten in response to higher ability display, special position being secured. Third, cultural, artistic administrators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their work in response to better wage and job stability. Cultural artists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their duty in accordance with their higher wage, special position being secured, more capable and higher pride for the work. Fourth, cultural, artistic administrators were higher in their wage & special position and their whole external work value compared with the artists. Considering the lack of systematic studies on the workers involving in creative activity such as performing arts & expressional arts in the midst of most studies having been alloted to general work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quite a great. Accordingly, the workers involved in artistic institutions need to firstly consider the their organic trait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workers and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work value between organizations prior to preparing the strategies for the betterment to shorten the differences in work value before and after their involvement in the job. Then, adjust the variables of work value going with the organization to raise organization commitment degree, job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work condition tailoring to each characteristic. Below are the follow-up study direction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workers at public cultural, artistic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know fully the gaps between the general work artistic work to narrow the gaps in work value before and after their involvement in the job prior to choosing their occupation through 'internship' system for them to actually experience and feel it. Second, instructors are needed to secure diverse teaching methods for the students who are planning their career into public cultural, artistic institutions to select their occupation correctly. Third, public cultural, artistic institutions should seek for the ways of fulfilling the laking work value of cultural, artistic administrators and cultural artists to increase thei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f the study which could disclose a possible positive effect at the time of thei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hall have increased to be carried on, the cultural, artistic world would develop greatly in future. Fourth, this study which limited its subjects for the questionnaire to the cultural, artistic administrators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sampling collection and study design considering sampling rate to represent evenly the variables of artistic administration post such as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local cultural administrators etc in follow-up study. Fifth, the follow-up study which able to develop even a tool to measure work value of cultural artists adjusting to their distinctiveness instead of measuring the work value of general workers will probably obtain more expert results. 본 연구는 공공예술기관의 문화예술행정가와 상주단체의 예술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근무 전과 후의 근로가치관의 차이와 직종별 근로가치관의 차이, 근로가치관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들의 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양질의 문화예술을 만들어 내어 관객들에게 서비스 하고 나아가 학생들의 올바른 취업상담 및 실제에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문화예술기관 재직근로자는 직업을 가지기 전과 후에 근로가치관의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공공문화예술기관 재직근로자의 근로가치관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공공문화예술기관 재직근로자의 근로가치관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직무분야에 따라 근로가치관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 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근로가치관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볼 때, 직업관, 직업의식, 직업가치관의 세 가지 용어는 뚜렷한 의미상의 차이 없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직업에 대한 이미지, 견해, 생각 등의 일반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정의, 직업 활동에 대하여 개인이 무엇을 중요하게 또는 가치 있게 여기는가 하는 직업관으로 정의, 직업에 대한 지각, 태도, 의식, 가치 등의 포괄적인 정의로 구분된다. 세 용어 중에서 ‘직업관’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직업의식’은 국어사전 및 교육학 사전에서 채택하고 있고, 직업가치관은 직업 활동의 가치를 강조하는 용어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을 가지는 근로자에 대한 가치관에 관한 연구로 ‘근로가치관’ 이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근로가치관’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 간에 어느 정도 상이점은 있으나 근로가치관이 특정 직업에 관련된 것이 아닌 일반화된 개념으로서 직업 활동에 대한 개인들의 가치관으로 정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국립극장, 예술의 전당, 세종문화회관에 근무하고 있는 문화예술행정직과 그곳에서 상주하는 예술단체의 문화예술인으로 하였다. 설문기간은 설문지 작성 후 2010년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국립극장,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을 직접 찾아가 일대일 면접 방식, 자기 기입법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을 시행할 때는 행정직과 예술인의 구분을 확인 한 후 직종별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직종별 각각 150부씩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행정직 114부, 예술인 117부를 거두어 들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Mietus(1977)가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계한 Maryland Work Value Inventory(MWVI)를 안강현(1998)이 한국판으로 번안한 것을 본 연구에서 이용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선택하였으며, 회전방법은 요인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직교회정방법 중 일반적인 베리맥스(Varimax)법을 적용하였다. 추출된 직업가치관 유형들에 대하여 독립 변인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 경력, 직종, 직업을 가지기 전과 후에 대하여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문화행정직과 예술가 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한 후 유의차가 발견될 경우 Scheffe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결과 해석을 위하여 유의수준을 0.05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행정가는 근무 전보다 현재 문화예술행정직에 종사하면서 직업안정성, 능력정도, 일에 대한 자부심이 충분히 충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무 전보다 현재 문화예술행정직에 종사하면서 보수, 특별한 지위, 사회적 기여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예술가는 근무전 보다 직업안정성, 능력발휘정도, 일에 대한 자부심면에서 충분히 충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무 전 보다 예술업에 종사하면서 보수, 특별한 지위, 사회적 기여에 대한 근로가치관 역시 충분히 충족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행정가는 특별한 지위가 보장되고, 일에 대한 자부심이 높으며, 보수가 좋을수록 조직 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가는 능력발휘정도가 높고, 특별한 지위가 보장될수록 조직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셋째, 문화예술행정가는 보수와 직업안정성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가는 보수가 좋고, 특별한 지위가 보장되며, 능력정도가 수월하고, 일에 대한 자부심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행정가는 예술가보다 보수 및 특별한 지위가 높았으며, 전체적인 외적근로가치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반직 근로자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라 공연예술 및 표현예술 등 창작활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조직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부분은 예술기관 종사자들이 일반근로자들과의 다른 조직적 특성을 숙지하고, 각 조직들이 가지는 근로가치관의 차이점들을 파악하여 개선방향을 위한 전략들을 마련하여 근무 전화 후의 근로가치관에 대한 차이점을 줄여야 한다. 그 후 조직에 따라 근로가치관의 변인들을 조절하여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높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근로환경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재직근로자들의 근무 전과 근무 시 느끼는 근로가치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직업 선택 전 일반 근로직과 예술직의 차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그것을 직접 체험하고 느껴 볼 수 있는 ‘인턴쉽’ 제도를 활성화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공공문화예술기관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교수자들은 올바른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공문화예술기관에서는 문화예술행정가와 문화예술가들의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부족한 근로가치관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 한 문화예술행정가와 문화예술가들의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높였을 때 기대 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밝힐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앞으로 문화예술계에 큰 발전이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가 설문대상을 기관문화예술행정가를 제한하였기에 후속연구에서는 중앙정부의 관리, 지역문화행정가, 등 예술행정직 각 변인을 동등하게 대표할 수 있도록 표집 비율을 고려한 표본 표집과 연구 설계를 통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고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더 나아가 일반근로자의 근로가치관 측정도구가 아닌, 문화예술근로자의 특수성에 맞게 근로가치관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보다 전문성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 데이터베이스 통합 view 생성 및 질의 처리기

        이승주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데이터를 보다 쉽게 저장, 관리 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각 기업들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현재 많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이 구축되어 있으며, 기업들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을 각기 기업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한 시스템에 집중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닌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많은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원하며 사용자의 욕구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의 종류가 다양화 되었다. 시스템의 다양화는 데이터에 접근하기 쉽게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원래 목적에서 벗어나 시스템별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에 일일이 접근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산되어있는 시스템의 데이터에 쉽게 접근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통합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제안 시스템의 기능 및 구현 원리를 설명하고, 다른 통합 시스템 도구와 비교하여 본 시스템의 장점을 설명한다. Information technology has caused the amount of data to increase dramatically and enterprises have constructed database systems to store, manage, and use the data efficiently. There are various types of database systems and enterprises are using different database system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Users want to have access to many data of distributed systems rather than a single system. Diversification of database system has missed its original purpose to easily access to data and caused a cumbersome problem that users should access to every single distributed system to access to the data of distributed systems easily. We present the functions and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the proposed system and compare our system with other integration systems.

      • Polymer-BaTiO_(3) Dielectric Composites의 제조 및 특성

        이승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TiO₃(BT) 세라믹 유전 물질을 포함한 유무기 복합 유전체를 제조하였다. 입자 사이즈가 BT-01(100nm), BT-03(300nm), BT-05(500nm)인 BaTiO₃를 각각 수계와 비수계 용매에 분산제 첨가량에 따라 분산시켜 유동학적 특성 변화와 유전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최적 조건으로 분산된 수계 BT 분산액을 상용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분산액과 vol%로 혼합하여, 또한 비수계 BT 분산액을 LCP(liquid crystal polymer)와 vol%로 혼합하여 유무기 유전 복합체를 제조하고, 전기적, 열적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PTFE-BT 유전 복합체에서 BT 분산액과 상용 PTFE 분산액과의 정전기적 안정성을 위하여 BT 분산시 용매인 물의 pH는 PTFE와 같은 pH 10 에 맞췄다. BT 분산액내 BT함량은 15 vol%로 고정시키고, BT-05에서는 PAA첨가량이 2vol%일때, BT-03와 BT-01의 경우에는 각각 PAA의 첨가량이 3vol% 4vol%일 때, 가장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또 입도의 경우에서도 PAA 첨가량이 BT-05일 때 2vol%, BT-03일때 3vol%, 그리고 BT-01일때 4vol%에서 가장 낮은 입도를 나타내었다. 최적조건의 PAA첨가량에서, 분산 안정성을 이루었다. LCP-BT 유전복합체에서는 BT 분산액내 BT함량을 10vol%로 고정시켰고, 분산제(GLYMO)의 첨가에 따라 BT-01일때 5vol%, BT-03일때 4vol% 그리고 BT-05일때 3vol%의 GLYMO 첨가시 최적 분산 조건을 알아내었다. 최종 유무기 복합체의 유전율은 BT 입자 크기별로 전체 부피에 대한 BT의 함량이 10∼70vol%일 때 측정하였으며, 같은 BT vol%일때, BT 입자 크기에 따라tetragonality의 증가로 BT-01∼BT-05로 입자크기가 커질 수 록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유전손실 또한 유전율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polymer-BaTiO₃dielectric composites were prepared using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and LCP (Liquid Crystal Polymer) as polymers. The dielectric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mer-BaTiO₃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y varing the amount of dispersant and particle sizes of BaTiO3 (BT) with 100 nm (BT-01), 300 nm (BT-03), and 500 nm (BT-05) aqueous and non aqueous media, respectively. For the preparation condition of PTFE-BT dielectrics composites, the pH of water as a solvent and the amount of BT in BT suspension was fixed at pH 10 and 15 vol.% in order to get electrostatic stabilization. BT suspension containing BT-05, BT-03, and BT-01 with the corresponding amount of PAA (polyacrylic acid) 2, 3 and 4 vol.% as a dispersant showed the minimum viscosity and particle size. Also,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losses of PTFE-BT dielectric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article size of BT. For the preparation condition of LCP-BT dielectrics composites, the amount of BT in BT suspension was fixed at 10 vol.%. The optimum condition of BT suspension was BT-05, BT03, and BT-01 with the corresponding amount of GLYMO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3, 4 and 5 vol.% as a dispersant. Also,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losses of LCP-BT dielectric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article size of BT.

      •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영어 동화 지도가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승주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동화의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초등 영어 듣기-말하기 연계지도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듣기-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봄으로써 영어동화를 실제 초등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남 함안군 소재의 C 초등학교 3학년 28명을 실험집단으로, 28명을 통제집단으로 각각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주 2회 영어 수업을 재구성하여 13주에 걸쳐 영어 동화의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연계지도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교과서에 충실한 주 2회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관찰일지, 사전․사후 설문지, 사전․사후 듣기 평가지, 사전․사후 말하기 평가지 및 녹음 자료,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양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이미지란 우리가 무엇을 듣거나 말할 때 머릿속에서 자동적으로 그려지는 그림을 말한다. 그리고 이미지 연상 암기란 영어 문장을 이미지로 1대 1 대응시켜 계속 자극을 줌으로써 영어 문장을 들을 때 이미지가 자동적으로 떠오르면서 쉽게 영어 듣기가 되고, 이미지를 보면 자동적으로 영어 문장을 말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암기 활동이다. 자료의 분석 결과,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영어 동화의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연계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반은 점수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조반은 뚜렷한 점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결과, 상위권, 하위권 아동 모두 영어 동화의 이미지 자료를 통해 반복해서 듣고, 연습하면서 저절로 영어가 잘 들리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둘째, 영어 동화의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연계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동화 활용수업 후 실험반은 점수가 대조반 점수보다 더 많이 상승되었고 점수도 높았다. 면담 결과, 게임을 활용한 이미지 연상 암기 학습에 큰 흥미를 보였고, 학습자 스스로도 말하기의 자신감과 말하기 능력 향상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영어 동화의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연계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성향 및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사전에 실험반 학생들은 성실하게 영어 수업을 듣지만,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많이 부족하고, 실수할까 두려움이 있는 학생이 많은 편이였다. 그러나 사후 검사 결과실험반과 대조반의 학습 성향 및 태도가 비슷해졌다. 즉, 실험반의 학습 성향 및 태도가 큰 폭으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자는 실험반의 담임교사로서 현재 실험 수업이 끝난 후 자신감이 눈에 띄게 상승한 학생들과 발표를 하려고 손을 드는 학생을 보면서 큰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영어 학습에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가 필요한 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단원별 성취 수준 도달을 위해 현재 학습자가 사용하고 있는 영어 교과서의 Story Time에 나오는 영어 동화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현재 출시되는 많은 영어 동화 중에서 영어 동화를 선정한다면 학습자들이 더 신선하게 느끼고 효과가 클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듣기-말하기 연계지도로 음성언어에만 중점을 두었으나, 이미지 연상 암기 활동은 읽기나 쓰기 연계자료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그 효용가치가 높다. 따라서 음성언어 연계지도 뿐만 아니라 문자언어를 통합지도 할 때에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연구기간 동안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즉,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된 모둠에서 모둠원들의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학습자는 동료에게 지식 제공자가 되기도 하였고, 가르치면서 또 배우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협동학습을 통한 듣기-말하기 연계활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넷째, 학년별 특성에 맞는 영어 동화의 이미지 연상 암기를 활용한 듣기-말하기 지도 방법을 구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초등 학습자는 대부분 게임을 통한 학습에 관심이 많은 만큼, 학습자의 흥미도 끌 수 있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방법 구안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다른 학년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난이도가 낮거나 부적절한 활동이 있을 수 있다. 각 단원별 성취수준을 달성하기에 무리가 없는 활동이지만, 배우지 않은 문장을 응용해서 만들어 내거나 프리토킹을 할 수 있는 유창성을 기르는데는 부족함이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년별 특성에 맞는 지도방법을 구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등미술 수업방안 연구

        이승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모든 문화와 매체가 급속하게 변화되고 있으며 국적과 나이를 불문한 다양한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습득이 일상화되었다. 이제 학생들은 단순히 흥미를 일으키며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요소에 일차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에서의 표현에 익숙해져 현실에서는 소통의 부재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흐름은 학교교육 현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갈수록 학생들은 미술수업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험을 얻고자 하고, 기존 미술수업의 회화적?조형적인 작품 활동의 표현에 있어 갈증을 느끼고 있다. 앞으로의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다양한 경험과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추어 창의력을 이끌어내야 하며, 모둠별 학습과 다양한 분야의 통합 학습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창의적인 사고는 우리가 일상에서 끊임없이 접하고 경험한 ‘이야기’를 통해서 이끌어낼 수 있고, 이는 교육에 쉽게 녹아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앞에서 언급한 미술 교육의 실효성을 나타내기 위한 수업의 기법으로써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하고자 한다. 스토리텔링은 어떤 이야기 자체를 말로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야기가 존재하기까지의 전후과정과 현재에 미치는 관계요소들의 맥락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의 경험에 미적성질을 부여하여 통합과 소통을 중요시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미술 수업은 주어진 주제와 연관된 내용을 상상하여 작품을 창작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제는 다양한 분야와 미술교과의 특성을 융합한 미술수업으로 나아감으로써 학생들 스스로가 ‘나의 이야기’를 함께 표현하며 더욱 가치지향적인 작품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등미술 수업방안을 연구하였다. In current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ll cultures and media are rapidly changing. Also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people is indifferent regardless of nationality or age. Students has concern for something that could response immediately and interest them quickly. So now they go through lack of communication in real life because they are used to giving expressions at virtual reality. Art education is influenced on this changing of social cultures. As time goes on students wants to get more experiences through education of art, and they also feel present education for paintings or modeling are not enough. Future arts education have to lead student’s original ideas focused on their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So we need to development for various kind of education methods. Because original ideas can find out into ‘Story’ that means our formal life and it is easy to included arts education. For that reason, I’m trying to use Storytelling as a method of art education for practical effects. Storytelling is including not only explain current circumstances but also all situations from past to present. In this process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s are very important. Until now most of arts educations are in regard to imagination related with subject. But from now on valuable art activities are possible by putting together special features between different field and all of arts education to make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own story. Based on this background, I’m studied method of arts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y using “Storytelling”.

      • 복합용도개발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롯데월드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이승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 이후 복합용도개발이라는 개념과 함께 실질적 차원의 건축물들이 도시에 그 모습을 들어내고 있다. 복합용도개발은 건축적 특성상 그 의미가 광범위하며, 다양한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협의의 의미로서 복합용도 건축으로 그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적 의미를 가지는 복합용도개발의 경우 도시 내에서 그 기능과 역할이 요구되는 동시에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의견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복합용도개발은 그 특성상 공간의 복합화와 이에 따른 형태의 대형화로 인하여 반 도시적 성격을 가지며 도시공간이 가지는 연속성을 저하시킨다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 있어 이에 대한 실질적 견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복합용도개발의 기존 국내 연구의 경우 개념적 고찰 및 건축적 분류에 연구의 관점이 머물러 있으며, 복합용도개발에 관하여 도시적 차원에서 접근한 몇몇 연구들의 경우에서도 일반적 문제 제시와 기초적 측면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만을 강조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도시적 차원에서 복합용도건축의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실질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도시공간과 건축공간을 물리적 체계로 가정하고 각각의 공간을 공간구조(spatial configuration)화 하여 상호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ace Syntax를 활용한 기존의 도시공간과 건축공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다. 분석에 따르면 사례지 가로공간의 경우, 도시공간에서 접근성이 좋은 공간에 위치해 있으나 보행체계에 있어 공간구조상 이분화 되어 있다. 이러한 이분화 된 가로공간과 연계되는 내부공간의 경우 내부의 각 용도를 연계해주는 쇼핑몰의 공간의 위계가 동질하지 않아 그 사용 패턴이 편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내부 공간에 있어 용도별 특성과 부합되지 않는 공간 구조이며, 동시에 외부공간을 연계시키는 역할로서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복합용도개발 공간구조의 이러한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복합용도건축물의 개발계획 시 도시의 연속성을 지속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구조(spatial configuration)의 균등성을 구성하는 동시에 내부 용도별 특성에 대하여 각각의 공간구조(spatial configuration) 특성을 대응 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Since modern age, practical level's buildings have been revealed with the conception of Mixed-use Development. Mixed-use Development ranges to so wide meaning in architectural traits that it has various types and traits that happen from the result. Now, in domestic's occasions, it is used as the word Mixed-use Development which indicates to narrowed meaning. In the case of Mixed-use Development having these architectural meaning, it was begun suggesting some societic matters at the same time that Mixed-use Development demands the functions and roles in the city. Due to the itself's trait which is spatial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of form resulting from the trait, Mixed-use Development has anti-city traits and in spite of steadily suggested researches that it lowered the succession urban space has, it didn't offer the practical alternative for these matters. In the occasions of previous domestic researches for Mixed-use Development, the research's view points have been stayed in conceptual considerations and architectural classifications, even in some researches approaching from city levels for Mixed-use Development, it has stressed to suggest general matters and necessities for those researches. In this paper, I approached to the Mixed-use Development in the way of city and practical levels through the analyzing of exampl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s I had assumed urban spatial configuration and architecture spatial configuration as a physical system, I analyze mutually, special quality letting its each spatial be spatial configuration. These research ways are based on previous urban spatial configuration's and architecture spatial configuration's researches which are used Space Syntax. In a following of a analyzing the urban street's case of "LOTTE WORLD", though "LOTTE WORLD" is located in the place to approach easy in urban space, it is divided in two for the pedestrian space system. For these internal spatial succeeded to the divided urban space, shopping mall's spatial patterns which link each use in the building are different so that the use patterns are operated deflectly. Thus are spatial configuration not integrated with using-traits in inner space and with these it shows some matters as a role succeeding to exterior space. In this paper, therefore, I will conclude based on analyzing these traits for Mixed-use Development's spatial configuration. It following; "We must deal with the traits of spatial configuration that constitute not only internal equality but also internal using-traits to keep successions of the city where the developing schemes are. "These articles will have to be used as practical projects and be studied in deeper research parts in future, ei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