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에드가 와이드맨의 『소떼 죽이기』: 아프리카 전통가치의 회복과 대항서사

        이승은 ( Seungeun Lee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21 현대영미소설 Vol.28 No.2

        This paper attempts to reread The Cattle Killing, focusing on how Wideman constructs the counter-narrative through reclaiming the African traditional values. Unlike most of critical essays on The Cattle Killing which have considered it as ‘historiographic metafiction’, in this paper much attention is given to the African traditional values. By employing ‘the Great Time’ in which past, present and future are floating, with being inextricably linked to one another, Wideman shows how three narratives of different times and places are interconnected, which suggests that the crisis of the contemporary African American community should be grasped in the transatlantic Africans’ history of racial oppression.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African Ibo’s belief that ‘All stories are true’ Wideman reconstructs the forcibly forgotten and excluded narratives of a black male indentured servant and a black female slave as well as a black itinerant preacher, whose diverse stories vividly reveal the harsh realities caused by the racial oppression. In particular, the emphasis is given on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the ‘storytelling’ tradition through th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of a nameless itinerant preacher with Liam and Kathryn. The storytelling is stressed not only as the affirmative power to help them overcome their traumas by sharing their stories, but as the crucial means of convey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w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has survived a dreadful racial oppression. Thus, Wideman constructs the counter-narrative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to resist the master narrative and to gain ‘the whole survival’ by reclaiming the African traditional values.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 논의에 주는 시사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Tyler와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를 탐색하였다. 이론 구조 분석을 통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수행 없는 이해'와 '이해 없는 수행'이라는 두 방향의 문제 사태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 핵심 개념인 이해에 대한 의미의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이해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전이, 영속적 이해, 핵심 질문에 대한 탐색이 요청된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되는 Tyler와 Bruner 이론을 재조명함으로써, 백워드 설계의 출발점인 이해에 대한 합리적 설명 가능성, 백워드 설계 속에 지식의 구조 개념을 수용하는 방식,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Bruner의 대담한 가설과의 관련 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성격과 관련하여 이해의 개념, 교육과정 분절화, 이해의 증거가 갖는 성격, 지식의 구조론과의 관련, 교육목적의 제약 등과 관련된 논의를 살핀 후, 이로부터 함의되는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당사자적 측면보다 설계의 관리자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Understanding by Design(UbD) on the basis of Tyler and Bruner's curriculum theor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UbD and the role of teacher implied by UbD. With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Ub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without performance and performance without understanding at the same time; that UbD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meaing of understanding itself; and that UbD requires exploration of the terms such as transfer of learning, enduring understanding, and essential questions to consruct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With the re-examination of the two resource theories of UbD, that are Tyler and Bruner repectively, this study found that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key concept of understanding in backward design; that there is a way of accepting the concept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o the backward design; and that the UbD is involved in the embodiment of the Bruner's bold hypothesis. Finally, this study explored several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UbD itself. Discussions include such topics as a concept of understanding, a problem of fragmentation, doubts on the nature of evidence, relationship with the theory of structure of knowledge,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purpose.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study also explored roles of teacher implied in the Ubd which emphasize the teacher's role of manager in the design rather than that of active participant.

      • KCI등재

        2차원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한 수직/수평 다각평면 기반의 위치인식 및 3차원 지도제작

        이승은(Seungeun Lee),김병국(Byung-Kook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0 No.11

        An efficient 3D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 Building) method is developed for urban building environments using a tilted 2D LRF (Laser Range Finder), in which a 3D map is composed of perpendicular/horizontal planar polygons. While the mobile robot is moving, from the LRF scan distance data in each scan period, line segments on the scan plane are successively extracted. We propose an “expected line segment” concept for matching: to add each of these scan line segments to the most suitable line segment group for each perpendicular/horizontal planar polygon in the 3D map. After performing 2D localization to determine the pose of the mobile robot, we construct updated perpendicular/horizontal infinite planes and then determine their boundaries to obtain the perpendicular/horizontal planar polygons which constitute our 3D map. Finally, the proposed SLAM algorithm is validated via extensiv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 KCI등재

        과학이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이승은 ( Seungeun Lee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2

        이 연구는 학생들이 어떤 과학적 경험을 하고 이러한 과학적 경험이 학생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함으로써 과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의도한 바대로 달성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학사의 이해’를 수강하는 문과 계열 학생 81명, 이과계열 학생 125명에게 ‘과학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쓰게 하고, 과학 전문가들의 세미나를 통해 분류 기준을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 관련 영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수업, 도서, 첨단기술/과학기기가 학생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경험을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으로 분류 한 결과, 대부분의 경험이 비형식 과학학습으로 나타났다. 학번에 따라 과학적 경험을 분류한 결과 높은 학번(7차 교육과정만 이수한 학생)에 비해 낮은 학번 학생(2007이나 2009 교육과정도 경험한 학생)들이 영상, 첨단기술/과학 기기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반대로 높은 학번의 학생들은 수업과 도서/글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그러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조사한 결과, 그들의 일상 생활에 영향(삶의 질 개선, 진로, 지식의 확장)을 받거나 과학에 대한 인식(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흥미 발현, 과학의 양면성 인식)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력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삶에 가장 영향을 준 경험으로 꼽은 영상이 일상 생활과 과학에 고르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서의 경험은 진로나 지식 확장이 아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발현(20회)과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17회)에 집중되어 있다. 과학적 경험이 미친 영향을 문·이과 계열별로 분류해서 확인해 본 결과 이과계열 학생들이 문과계열 학생들에 비해 과학적 경험을 통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삶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이는 학교에서의 형식 과학학습보다 비형식 과학학습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은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데까지 이르는 경우는 많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학생들은 과학교육 목표 중 ’호기심과 흥미‘의 측면은 충족하고 있으나 ’문제 해결‘ 같은 상위 목표에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따라서 ’문제 해결, 과학적 소양 발현‘이라는 과학교육의 목표와 연관된 비형식 과학적 경험을 수업에 도입해야 하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비형식 과학학습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tudents' meaningful scientific experiences and to ascerta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led to learning. The subjects of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cience'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on the subject of ‘Effects of science on my life' to 8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and 125 students in the science department. After that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scientific experts' seminars, and the scientific experiences that affected students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The results from analy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udy about Science Education experience that has impacted students’ lives, th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images, most of which were influenced by scientific videos.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science classes and science books. As a result of classifying science experience, most of the experience is composed of Informal Science Learn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scientific experience, they found that they were affected by their daily life or influenced by sci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can be confirmed that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is an important learning form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Therefore, appropriate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clas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preferred by the students should be done.

      • KCI등재

        초국가적 읽기

        이승은(Seungeun Lee)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0 영미문학교육 Vol.14 No.1

        This paper aims at a transnational reading of Chitra Banerjee Divakaruni’s The Mistress of Spices, one of the highly acclaimed South Asian American novels. Divakaruni examines the transnationality of America by analyzing how America as a nation-state exerts its transnational force by propagating American culture and ideology, ‘American Dream,’ all over the world and by causing Asian people to aspire to immigrate to the U.S. The author's attention is paid to search for the way immigrants are able to survive against the transnational force of America. She suggests an ancient Indian belief on the healing power of spices as a survival strategy which relieves the distressed lives of South Asian immigrants dominated by male-centered immigrant community as well as the racialization of the whole American society. That is, Divakaruni maintains a significant bonding with the cultural or spiritual heritage of her home country through transnational imagination. The author also creates a transnational women’s place by revising a traditional Indian epic narrative from women-centered point of view and putting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ransnational female solidarity as a resistance against the atriarchal ideology of Indian-American immigrant community. Thus, transnational discourse can be regarded as the useful approach which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of Asian-American immigrant novels in that it provides not only a critical paradigm for approaching American society but examines immigrants’ resistant practices against the racialization of American society.

      • KCI등재

        듀이 경험 이론과 교과 심리화의 세 수준

        이승은 ( Lee Seunge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듀이 경험 이론에 비추어 교과 심리화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과 심리화는 학 교 교육의 실패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온 아동과 교과 간의 분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듀이에 의해 제시되었다. 교과 심리화는 추상적인 교육 내 용으로 이루어진 교과를 구체적인 경험 속에 살아가는 아동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교과 심리화는 단일한 활동이라기보다 는 세 가지 수준의 복합적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수준은 각각 심리적 수준, 실제적 수준, 상황적 수준으로 이름 붙일 수 있으며, 각각의 수준은 상이한 문 제 의식과 진단과 처방을 포함하고 있다. 듀이의 교과 심리화를 세 수준으로 나누어 파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아동과 교과의 분리 문제가 무엇을 뜻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둘째, 아동과 교과의 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서 교과 심리화가 갖는 다층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근본적인 교과 심리화는 듀이 경험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상황`의 복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the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in Dewey`s educational theory.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was proposed by John Dewey to cope with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which was pointed out as a cause of school failure. The problem of separation consists of a double layered problem: firstly, the problem includes a question of defining the nature of separation; secondly, the problem requires a solution to solve the previously defined problem of separation. Dewey`s definition and solution of the matter changes as his theory of experience develops.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contains plans for delivering abstract and abstruse school subject matter to the child with concrete experience. With the analysis of this study,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of complex activities rather than a simple single-dimension activity. These three dimensions are named as psychological, practical and situational dimensions respectively and each dimension has its own questions, diagnoses and prescriptions. The significance of classifying the dimensions of the psychologiz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problem called separation between the child and curriculum. Second, it helps us to understand the multi-layered meaning of the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the child and curriculum. Finally, it shows the fact that the recovery of the `situation`, which is one of core concept of Dewey`s experience theory, helps us to achieve the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proper.

      • KCI등재

        서울시 ‘한국계 중국인’의 주요 거주 지형도와 경제활동

        이승은(Lee, Claire Seungeun)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6 중국과 중국학 Vol.- No.27

        한국사회 내 외국인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국적을 지닌 외국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학계와 언론에서 한(韓)민족이자 중국국적을 지닌 집단을 흔히 ‘조선족’이라고 부르나, 이에 대한 명명법은 ‘중국동포’, ‘재한조선족’, ‘한국계 중국인’ 등 다양한 어휘가 혼재되어 사용된다. 본고는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통계본부에서 사용하는 ‘중국인’은 ‘중국(인)’과 ‘한국계 중국(인)’의 구분법에 의거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한국계 중국인’의 주요 거주지역과 경제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분석방법론은 거주지역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통계, 서울GIS통계 등을 활용하고, 서울시 거주 ‘한국계 중국인’의 경제활동 분석을 위해서는 설문조사와 서울 통계, 서울GIS통계 등을 혼합하여 활용한다. 서울시 내 ‘한국계 중국인’의 주요 거주지 분포는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광진구의 순으로 많게 나타나며, 설문조사 분석 결과 남성의 주요 직업은 건설업 노동자, 여성의 주요 직업은 가사노동자와 간병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계 중국인이 이주 목적국 주민인 한국인과 언어의 유사성과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서울시 거주 한국계 중국인의 경제활동은 계절노동과 연계되는 건설업과 가사 노동자⋅간병인의 돌봄노동이나 음식점 종사에 집중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인과 한국계 중국인의 경제활동 영역이 분리되어 있고 계층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In an increasing influx of foreign population, foreigners with Chinese citizenship account for a great part of whole foreign population in South Korea. By using the term of the Korean Immigration Service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is paper examines the landscape of residential patterns and economic activities of Korean-Chinese living in Seoul. For each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firstly uses Seoul Statistics and Seoul Geographical System Statistics for looking at Korean-Chinese’ concentration of living patterns. Second, for exploring their economic activities, this research also uses a survey data, Seoul Statistics, and Seoul Geographical System Statistics. Korean-Chinese in Seoul are concentrated on Yongdeungpo-gu, Guro-gu, Geumcheon-gu, Gwanak-gu, and Gwangjingu. The survey data analysis indicates that Korean-Chinese men mainly work for construction sites and Korean-Chinese women work as home laborers/maids and caregivers. While they have similarities of culture, ethnicity, and the same/ethnic language with the receiving country’s citizens, Korean-Chinese are associated with seasonal labor, care or service labor. This reflects that economic activities of Korean-Chinese exist separately and stratified from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흑인여자노예의 대항서사: 셜리 윌리암즈의 『데싸 로즈 』

        이승은 ( Seungeun Lee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16 미국소설 Vol.23 No.1

        Dessa Rose by Shirley Anne Williams is one of the neo-slave narratives which revisit slavery and revise the traditional slave narratives as well as the master narratives of slavery. This paper attempts to read Dessa Rose in terms of a powerful counter narrative of a black slave girl. In the first “The Darky” section Dessa disrupts the master narrative dominated by the racist white male writer Adam Nehemiah who wants to “read” her, that is, to find out the cause of slave uprising through interviews with her. Instead of giving what Nehemiah wants, Dessa tells who she is by repetitiously mentioning memories of her beloved husband Kaine. In examining the driving forces which enable Dessa to endure in horrible whipping and brutal circumstances of confinement and finally to escape for freedom, the author puts emphasis more on Dessa’s assertion of herself as a “mother” against the master narrative, which deprives female slaves of motherhood, than on the romantic love of Dessa and her husband Kaine. In particular, Dessa``s search for freedom and female subjectivity is completed by her bonding with a white woman, Rufel, and the nurturing of black community. In this respect the liberating relationship dismantles the racial and sexual boundaries; it is a way of fulfilling a black female slave subjectivity. Unlike the master narrative voices of Nehemiah and Rufel, who are eventually consumed by the omniscient narrator, Dessa completes the counter narrative of a black female slave subject by having her grandchildren dictate her narrative as well as acquiring her own narrative vo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