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 중심 인성 발현 메커니즘` 구현을 위한 NABI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오늘날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과학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NABI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이론적으로 개발된 `실천 중심의 인성발현 메커니즘`이 실제 과학교육에서 구현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 산출물과 수업 녹화 자료 등 다수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의 단계인 `가치, 판단, 실행`의 과정으로 유목화한 뒤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NABI 프로그램에서 대상을 선정하고 개별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가치`를 형성해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이 형성한 가치는 `관계맺음`의 대상에 따라 `개인적, 대인적, 사회적, 생태적, 영적 가치`가 나타났지만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NABI 프로그램의 특성 상 생태적 가치가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실제 상황에서 겪게 된 문제를 `판단`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서로 타협하는 사회적 가치를 형성하고 실행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대상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실천 의지`가 발휘될 때 진정한 `실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론으로서의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은 과학교육에서 NABI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NABI 프로그램은 과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실행에 구체적인 방안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oday, in accordance with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science educators have tried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of `Practice Centered Mechanism of Manifesting Character` developed on the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theor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NABI Program based on Nature-Study. For this, the NABI program was applied to 24 3rd 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for a period of ten months.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like students` reports, journals, and video recording of the classes. This data was classified into `value, judgment, action,` the steps of `Practice Centered Mechanism of Manifesting Character,` and text was written by interpreting the data.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formed `value` by making a connection with the objects. And the various values - individual, interpersonal, social, ecological, and spiritual - are 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s with which the students felt a connection to. Second, students need to judge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at the `judgment` step. Third, at the `action` step, students practice moral behavior in relation to the sympathy or feeling they felt with the objects that they made a connection to. In conclusion, `Practice Centered Mechanism of Manifesting Character` can be reali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NABI Program. The NABI Program can be a definite way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위한 Nature-Study 기반 학습(NABI: NAture-study Based Ideas)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이 연구는 오늘날 과학교육에서 Nature-Study를 새롭게 구현할 수있는 NABI(NAture-study Based Ideas)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과학교육에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NABI 프로그램은 Nature-Study의 교육관점과 교육방법을 골격으로 설정한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의 기본 지침을기반으로 1차 개발되었고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수정·보완되어 2차개발되었다. 2차 개발된 NABI 프로그램은 24명의 D광역시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되었고 연구자는 참여관찰자료, 학습결과물, 일기의 질적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또한 NABI 프로그램은 이를 적용한 학생24명과 현직 교사 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평가되었으며NABI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완성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BI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은NABI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 대상에 호기심을 갖고 교감을 형성하게되었으며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실행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문학, 예술 등과 자연스러운 융합을 실현할 수 있었다.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 결과, 학생들은 NABI 프로그램을 이질적으로 느끼지 않으면서도 흥미와 지속적인 참여 의지를 가지고 있고NABI 프로그램의 교육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NABI 프로그램이 Nature-Study의 교육관점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고 판단했으며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어느 정도 현장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최종적으로NABI 프로그램은 ‘수용하기-선택하기-공통주제 선정하기-친숙해지기-관계맺기-살펴보기-도약하기-표현하기-공유하기’의 9단계로 완성되었다. Nature-Study를 오늘날 과학교육을 위해 새롭게 구현한 NABI 프로그램은 현재 과학교육이 추구하지 못하는 과학교육의 본질인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과학교육의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NABI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in school, to realize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for today`s students. The first NABI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viewpoi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Nature-Study, and it was revised as the second NABI program through experts` workshop. The second NABI program was applied to 24 third-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ogram to school science education was explored through the analysis of students` qualitative data, along with surveys that were completed by 24 students and 79 current teacher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students were curious about and communed with nature. The program could also realiz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integration of subjects, science with literature and art.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and wanted to continually participate in the NABI program.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program deduc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am presenting Nature-Study ideologies could be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in school.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NABI program was well reflected in the scope of the Nature-Study, and it can be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in school. The NABI program proceeds in nine steps: ``Accepting - Choosing - Selecting the common subject - Ice Breaking - Making relationship - Observing - Scaffolding - Expressing - Sharing``. The NABI program is a good way to realize the essence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for today`s students.

      • KCI등재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청소년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다혜(Park, Dahye),장숙랑(Jang, Soong-N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지하는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을 확인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자료는 질병관리본부의 2009년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원시자료 중 건강 설문조사 부분을 응답한 청소년 904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 석,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울과 자살사고의 경우에서 사회경제적 수준 이 낮은 집단에서 더 높은 분포를 보였고, 스트레스의 경우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세대주의 자녀의 경험비율이 그 외의 집단에 비해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우울과 자살생각을 주요결과로 한 분석모형에서는 부모의 직업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으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기초생활수급가족 여부도 포함되었다. 본 논문의 분석방법을 통해 국가표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살을 예방하고 우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별 및 집단 상담, 정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며, 청소년 개인의 건강행태 뿐만 아니라 부모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위험 집단 선별과 가정내 환경요인 중재를 강화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stress and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Nation-wide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were used in this study. 904 adolescents with parent were analyse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especially mother's low educational level and the beneficiaries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ere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ese associations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controlling for all covariates. The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support the global literature on the importance of socioeconomic status in promot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Future prevention intervention efforts to improve adolescent's suicide risk will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parent's and household's socioeconomic conditions. Future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possible proximal risk factors and mediators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 그 실현 방안으로서 Nature-Study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Nature-Study 사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 관련 문헌을 수집·분 석하고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박사과정생 4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또 Nature-Study가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인지 문헌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은 첫째,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을 통해 인성교육에서 과학교육의 역할을 확립하고, 둘째,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확장된 인성의 가치 영역 모델’과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으로 구체화하였다. ‘확장된 인성의 가치 영역 모델’은 지금까지 ‘자신, 주변인, 대중’이 중심이었던 ‘관계맺음’의 대상을 ‘생명과 환경, 영적대상’으로까지 확대한 것이고,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은 ‘가치-판단-실행’의 인성 발현 과정에서 ‘관계맺음, 실제 상황, 실천 의지’의 단계 이행 매개와 ‘공감’을 강조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강조하는 Nature-Study를 제시하였다. Nature-Study는 교육 목적에도 인성교육의 요소가 나타날 정도로 인성이 강조되었던 과학교육 방법이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관계맺음과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서 도출한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과학교육은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을 통해 인성교육에서의 역할을 확립하고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현해야 하며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방법은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실현하는 Nature-Study이 된다. 따라서 Nature-Study는 학교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o analyze Nature-Study theoretically as one of the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fer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hen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expert workshops composed of 2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4 PhD student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ferences for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we supposed to confirm that Nature-Study is an efficient way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following: First, science education should establish it’s own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domains of value and realizing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ly, ‘Expanded model of character education (The domains of the valu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ature & environment, spiritual object’ and ‘The practice-centered character manifested mechanism’ empathized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practice’ was also diagramed. Second, Nature-Study empathized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can be one of the efficient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Nature-Study corresponds with the direc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because Nature-Study aims for character education in it’s educational purpose and emphasizes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ature & environment’ and ‘practice’ in the real world. In conclusion, science education should establish it’s own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domains of value and realizing the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and Nature-Study is efficient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외국의 약품비 지출 관리 정책 현황과 국내 시사점

        박다혜(Dahye Park),이혜영(HyeYeong Lee),김동숙(Dong-Sook Kim) 대한약학회 2021 약학회지 Vol.65 No.2

        The aging population and increasing demand have threatened the sustainability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ystem. Although spending efficiency is crucial, few studies exist on the method of setting pharmaceutical expenditure budgets. As this study reviewed drug spending prediction and control measures, it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rom domestic policy. We conducted a report review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Further,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seven experts in pharmaceutical policy-related academia and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practitioners. The results showed that 13 out of 22 countries regularly set public pharmaceutical spending budgets. Additionally, to control pharmaceutical expenditures, numerous foreign countries have implemented policies on pricing and reimbursement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on the domestic drug spending control policy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a demand-based policy targeting physicians and patients. Based on the review of foreign policies and the interview results, we suggest the necessity of projecting future expenditures and using the soft drug expenditure limit.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첨단과학 실험기기 활용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타당화: 자외선-가시광선 및 적외선 분광기를 중심으로

        전경희,박다혜,장낙한,박종욱,박종석,Jeon, Kyunghee,Park, Dahye,Jang, Nakhan,Park, Jongwook,Park, Jongseok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첨단과학 실험기기를 활용한 수업(이하 ALE 수업)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ALE 수업 전략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ALE 수업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첨단과학 실험기기를 활용한 7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여 D과학고 21명에게 적용하고 이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학생 9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보고서 및 심층 면담을 통해 ALE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ALE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수준 높은 학습개념을 쉽게 이해하게 되었고, 주변의 친숙한 물질이 실험재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함으로써 실용적 탐구에 대한 안목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율탐구의지가 고취되었고 일부 학생은 실생활에서 발견한 일상적 문제를 검증가능한 과학적 문제로 구체화시키는 것과 같은 창의적 수행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ALE 수업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과학에 대한 영역을 폭넓게 이해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valid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Advanced Laboratory Equipment (ALE class) by investigat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ALE in chemistry classrooms and to consider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on ALE class. 7 sessions of ALE including experiments with innovative equipment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1 students in D Science High School. At the end of the sessions,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students. We also collected qualitative data by interviewing 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nd students’ experimental reports. The result showed that ALE class was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cepts because the experimental time was shortened in real time data processing. Some students showed creative performance on solving scientific problems by using everyday materials in experimental process and developed perceptions of practical inquiry.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positive attitudes and interests in science and heuristic inquiry skills were also enhanced. Developing ALE lesson materials will be help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omain of science in broader contexts.

      • KCI등재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의사소통 상황 관련 교육 요구도 조사

        황원정,하정민,박다혜,Hwang, Wonjung,Ha, Jeongmin,Park, Dahye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4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7 No.1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novice nurses'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 This study identified communication challenges in clinical settings to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that enhances communication competencies based on educational requirements. Methods :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he latter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21 novice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the ICU at various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via the online open chatroom from June 24th to July 28th, 2023. The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were identifi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IPA, 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Text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communication experience.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mmunication with nurse on another shift" domains contained the most substantial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s. Conclusion :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ICU nurses. This valuable information could help ICU nurses and educators improve new nurses' communication skills, which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

        최지미 ( Jimi Choi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욱 ( Jongwook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5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제시된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통합탐구 단원 구성과 지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지도와 관련된 기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통합탐구 단원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해서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탐구능력 습득 및 발달, 과학 학습의 전이, 자유탐구 실행` 측면에서 교사들의 통합탐구 단원의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그 이유로 `통합탐구과정 학습을 위한 별도의 시간 확보, 후속 학습에서의 활용, 자유탐구 활동에서 통합탐구과정 적용의 용이함`을 들었다. 반면에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의 분절적 학습, 통합탐구 단원과 다른 단원 간의 연계성 부족, 학생의 호기심 유발이 어려운 교과서 내용 구성`을 이유로 통합탐구 단원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통합탐구 단원의 지도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많은 교사들이 통합탐구과정 지도 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들이 통합탐구 단원 지도 시 어려움을 가장 크게 겪는 과정은 문제인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및 자료해석, 일반화, 결론도출 순이었다.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학생들의 호기심·경험·이해력 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교과서 구성의 한계 및 학습 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탐구 단원의 개선 및 통합탐구과정 지도 관련 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Integrated Inquiry` unit is a new addition in the 5th∼6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was developed fo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unit deals with six integrated inquiry process skills: problem cognition, formulating hypotheses, controlling variables, transforming and interpreting data, drawing results, and gener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the teaching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is unit in their school curriculum and where improvements can be mad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92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d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eaching integrated process skills. Second, with that being true, this unit ended up receiv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views by teacher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ere good and bad responses on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is unit in three particular areas: deal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inquiry process skills, facilitating science learning in other units, and implementing open inquiry. Third, teachers have difficulties particularly in problem cognition, formulating hypotheses, controlling variables, transforming and interpreting data, generalization, and drawing results. There is a lack of student understanding as well as a lack of professionalism for teachers on this unit, and many issues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This study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king improvements in this unit and teaching integrated process skills.

      • KCI등재

        과학이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이승은 ( Seungeun Lee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2

        이 연구는 학생들이 어떤 과학적 경험을 하고 이러한 과학적 경험이 학생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함으로써 과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의도한 바대로 달성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학사의 이해’를 수강하는 문과 계열 학생 81명, 이과계열 학생 125명에게 ‘과학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쓰게 하고, 과학 전문가들의 세미나를 통해 분류 기준을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 관련 영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수업, 도서, 첨단기술/과학기기가 학생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경험을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으로 분류 한 결과, 대부분의 경험이 비형식 과학학습으로 나타났다. 학번에 따라 과학적 경험을 분류한 결과 높은 학번(7차 교육과정만 이수한 학생)에 비해 낮은 학번 학생(2007이나 2009 교육과정도 경험한 학생)들이 영상, 첨단기술/과학 기기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반대로 높은 학번의 학생들은 수업과 도서/글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그러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조사한 결과, 그들의 일상 생활에 영향(삶의 질 개선, 진로, 지식의 확장)을 받거나 과학에 대한 인식(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흥미 발현, 과학의 양면성 인식)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력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삶에 가장 영향을 준 경험으로 꼽은 영상이 일상 생활과 과학에 고르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서의 경험은 진로나 지식 확장이 아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발현(20회)과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17회)에 집중되어 있다. 과학적 경험이 미친 영향을 문·이과 계열별로 분류해서 확인해 본 결과 이과계열 학생들이 문과계열 학생들에 비해 과학적 경험을 통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삶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이는 학교에서의 형식 과학학습보다 비형식 과학학습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은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데까지 이르는 경우는 많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학생들은 과학교육 목표 중 ’호기심과 흥미‘의 측면은 충족하고 있으나 ’문제 해결‘ 같은 상위 목표에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따라서 ’문제 해결, 과학적 소양 발현‘이라는 과학교육의 목표와 연관된 비형식 과학적 경험을 수업에 도입해야 하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비형식 과학학습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tudents' meaningful scientific experiences and to ascerta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led to learning. The subjects of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cience'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on the subject of ‘Effects of science on my life' to 8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and 125 students in the science department. After that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scientific experts' seminars, and the scientific experiences that affected students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The results from analy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udy about Science Education experience that has impacted students’ lives, th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images, most of which were influenced by scientific videos.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science classes and science books. As a result of classifying science experience, most of the experience is composed of Informal Science Learn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scientific experience, they found that they were affected by their daily life or influenced by sci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can be confirmed that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is an important learning form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Therefore, appropriate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clas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preferred by the students should be done.

      • KCI등재

        대장암 환자의 활동수행능력과 극복력

        이은진(Lee, Eun Jin),윤정화(Yoon, Jung Hwa),박다혜(Park, Dahye),박달이(Park, Darlee) 대한종양간호학회 2013 Asian Oncology Nursing Vol.1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resilience scale and identify performance status and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Methods: A sample of 110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was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actor analysis, MAP test and Parallel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analytic structure of the scale were evaluated. The scale demonstrated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and factor analysis yielded two factors. The resilience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performance status. The two variable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which they explained 26.5%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status in explaining the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status among patients could improve the resilience of cance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