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어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의 담화 표지와 텍스트 구조 비교 연구

        이숙의(Suk-eui Lee),김진수(Jin-soo Kim)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6 N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zing between the literary expression and the oral expression, but those two texts belongs to same prototype. One of the research material of this study is Oakdanchoonjeon which is a Korean classical novel, the other is a Lee Hyunryong and Kim Jinhoi which is an oral narration of Oakdanchoonjeon. Firstly discourse markers of two texts were compared. Most of cohesive devices in Oakdanchoonjeon are grammatical, logical and semantical binders. However, in Lee Hyunryong and Kim Jinhoi, pragmatical and internal binders are remarkable, like "ah, in-ja, mak". Secondly, each text structure was analyzed and compared. On the case of literal text, it was focused on the success story of Lee Hyunryong. On the contrary, in the oral text, it was focused on the love story between Oakdanchoon and Lee Hyunryong. It shows that a text structure of oral text can be changed by speaker"s focusing, narrative place and time. Also discourse markers are related to the episodes, it functioned as a cohesive device between episodes. Especially, using discourse markers was remarkable in oral text.

      • KCI등재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이숙연(Lee, Sook Ye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1

        고도로 정보화된 현대사회에서 범죄수사의 성패는 디지털증거의 수집 여하에 달려 있을 만큼 디지털 증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적법하게 수집된 디지털 증거의 경우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이 무엇인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견해가 나뉜다. 진정성은 성립의 진정과 동일성‧무결성을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이나, 증거능력 판단의 각 단계에 적확하게 적용되는 요건으로 삼기에는 그 외연이 너무 넓다. 동일성은 우리 판례가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요건으로 보이고, 무결성은 이를 담보하기 위한 요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성은 압수된 증거가 영장주의에 위반한 것인지 증거수집의 적법성을 따지는 단계에서, 적법하게 수집된 증거라면 증거가치를 따지는 단계에서 고려될 요소라고 할 것이다. 원본성은 우리 소송법이 요구하는 증거능력의 요건은 아니며, 다만 원본의 개념을 넓힌 미국 연방증거규칙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313조의 개정에 따라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에는 변화가 있는지 및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가 필요하다. 개정 형사소송법 제313조은 진술서의 작성자가 진정성립을 부정하는 경우에도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으로 작성자를 특정하고 진정성립을 증명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하였다. 수사과정과 무관하게 작성되어 허위개입의 여지가 적을 것으로 보이는 진술서에 대하여 작성자의 진술 외에 진정성립을 인정할 다른 방안이 만들어진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관하여는 수사기관의 원칙을 준수하면서도 창의적인 접근과 함께 판례의 유연하고 합리적인 판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해당 증거가 전문증거인지 여부에 대하여도 보다 섬세한 판단이 있어야 하고 이에 관하여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판례 및 학설의 변화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적법하게 수집된 디지털증거에 있어 증거능력 요건은 동일성으로 족하고 무결성은 동일성을 담보하는 요소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형사소송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동일성은 여전히 증거능력 판단에 있어 의미있는 기준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gital evidence has been growing so that the success of major investigations depends on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There has been various views on what requirements for digital evidence to be admissible. Authenticity would be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essence of identity,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formation, however, it is too broad to apply precisely to each step of judg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dentity can be seen as the only requirement that our case is consistently demanding, and integrity can be a factor for securing it. Relevance will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judging the legitimacy of evidence collection, whether it is a breach of warrant requirement, or in the stage of assessing the value of legitimately collected evidence. The originality is not a required in our Criminal Procedure Act. However, the U. S. federal evidence rules widening the concept of "original" of Electronically Stored Evidence could be a solution. Article 313 of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Act introduces a way to identify the author of a document by "objective methods" such as digital forensics or expert opinion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even when the author of the statement denies that he or she wrote it. This amendment can be a step forward to improve our evidence rules in criminal procedure. However, there should be accumulation of cases to find what ‘objective methods’ will be. It is necessary for the investigation agency to contrive methods objective and scientific enough to satisfy the amended article. Courts are responsible to reasonably assess the methods and judge the admissibility of given evidence. Judgments and theories on hearsay evidence have been elaborated recently and the amendment will be a trigger to a further development of case laws and doctrines. In conclusion, for legitimately collected digital evidence, identification should be only meaningful requirement to be admissible before judging whether it is not hearsay evidence or exception of hearsay rules. Integrity would be a factor guaranteeing identification. Despite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dentification is still a meaningful criterion in judging evidence.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시민행동이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의 조절효과

        이숙이 ( Suk Yi Lee ),이종구 ( Jong Goo L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 수준에 따라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에 역 U자형 곡선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다. 그 이유는 과도한 조직시민행동이 시간 부족과 주의 산만에 이르게 하고 이것이 과업수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직장인 332명(남자 204명, 여자 189명, 무응답 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36.32세(SD = 10.57), 평균 근속기간은 8.85년(SD = 9.01)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에 정적 직선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의 주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관리 기술의 조절효과와 주의통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과 시간관리 기술, 주의통제가 모두 개별적으로 과업수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에 곡선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를 다뤘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task performance,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of OCB and task performance was affected by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OCB and task performance has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and that was explained by lack of time and distraction. The time management skill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time shortage, and attentional control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attention distraction. 332 employees(204 males, 189 females, 5 non-respons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36.32(SD = 10.57) years, and the average tenure of participants was 8.85(SD = 9.01) year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OCB and task performa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The main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moderating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were not significant. Effects of OCB,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on the task performance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OCB and task performance had not curvilinear relationship but linear one. About this results, three possible reas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5세기 조선의 改嫁 논쟁

        이숙인(Lee Sook-I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15세기의 조선에서는 과부의 개가를 둘러싼 두 차례의 대논쟁이 있었다. 성종 8년(1477)의 ‘개가 금지법 제정(制定)’을 둘러싼 1차 논쟁과 연산 3년(1497)의 ‘개가 금지법 개정(改定)’을 둘러싼 2차 논쟁이 그것이다. 과부 개가의 문제가 정치 현안으로 대두된 표면적인 이유는 유교 윤리에 입각한 풍속과 강상(綱常) 질서의 확립이었다. 총 46명의 학자 관료가 참여한 1차 논쟁은 10% 미만의 극소수의 주장으로 개가 금지법 제정으로 결론이 났다. 그것은 ‘재가녀자손금고법’으로 성종 16년(1485)에 공포된 『경국대전』에 등재되었다. 그 시행으로 복잡하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자 법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총 29명이 참여한 2차 논쟁이 구성되었다. 이 글은 두 논쟁을 중심으로 개가를 규제한 예의 논리와 개가를 논죄한 형(刑)의 논리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모색한 것이다. 과부 개가에 대한 두 차례의 논쟁은 크게 금지론과 허용론으로 구성되는데, 전자가 원칙론과 의리론에 근거했다면 후자는 시의론(時宜論)과 인정론(人情論)에 근거했다. 한 쪽은 그 시대의 주요 가치인 절의(節義)의 원칙론에 충실했다면, 다른 한 쪽은 물질적 정신적 어려움에 직면한 과부의 현실에 주목했다. 각 주장은 가부장적 사유 구조와 유교 지식이라는 공통의 기반에 서 있지만 개가에 대한 이해와 그 접근 방식은 일률적이지 않았다. 이것은 가부장제사회의 보편적 여성인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15세기 조선사회가 구성하는 여성 형상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 논쟁은 남성 엘리트 계층이 소외된 여성 계층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말하는가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듣는 효과를 보여준다. 논쟁에서 드러난 사대부 남성들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식은 이 시기의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가 된다. 즉 15세기의 두 논쟁은 과부의 고단한 현실을 진지하게 고민한 것이기보다는 상층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 논쟁의 성격이 짙다. 여기서 조선사회가 유교를 수용하여 전개시키 방법 및 태도의 한 특면을 엿볼 수 있다. In the fifteenth century, there were two great arguments on remarriage of a widow in Joseon society. The First was the argument around the enactment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in the eighth year under the reign of Seongjong(in 1477) and the second was the argument around the enactment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in the third year under the reign of Yeonsan'gun(in 1497). The nominal reason the problem of widow's remarriage was rising as a political issue was the establishment of custom manners and moral order. The first argument in which forty-six scholarly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ed resulted in the institution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by the assertion of less than 10% participants. Henceforth, the enforcement of the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brought about a lot of social problems.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the amendment of the prohibition law was proposed and broke out the second argument in which twenty-nine scholarly government officials took part. This paper analyzes the logic of the principle regulating widow's remarriage and passing judgement of widow's remarriage and re-illuminates its meaning in terms of history of ideas.

      • KCI등재

        20세기 초, 구습(舊習) 혼인 비판과 여성 담론의 형성 - 조혼 문제를 중심으로 -

        이숙인 ( Lee Sookin )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4

        1900년대의 10년은 비교적 짧은 기간이지만 풍속 개량의 기치아래 특징적인 여론을 형성하던 시기다. 일제의 한국침략이 가속화되자 보국(保國)과 보족(保族)의 시대 과제 속에서 과거의 관습이 개혁 또는 폐기의 대상으로 담론화된다. 이에 당시 ‘구습 혼인’이라는 이름 아래 논쟁의 중심에 섰던 조혼(早婚)을 통해 전통 비판의 논리와 지식의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혼인 담론은 여성 인식과 여성 문제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구습 혼인’에 대한 비판이 여성 담론에 어떤 의미를 남겼는가에 주목했다. 먼저 20세기 초의 혼인 이념은 전통 사회의 그것과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가에 주목했다. 근대와 전통은 모두 생물학적 생산에 혼인의 일차적인 의미를 두었는데, ‘생생지리(生生之理)’나 ‘이성지합(二姓之合)’ 등의 개념으로 혼인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가진다. 하지만 그 사회적 역할에서는 가족·가문의 번영에 의미를 둔 전통과 국가·민족의 번영에 의미를 둔 근대가 서로 달랐다. 다음은 조혼의 폐해로 적시된 내용들이 실제를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근대의 담론에 불과한 것인지에 주목했다. 당시 제기된 조혼의 문제는 체육(體育), 지육(智育), 덕육(德育)과 경제(經濟)의 크게 네 가지인데, 그 비판의 논거들은 ‘문명’의 여부에 있었고, 문명의 기준은 서구의 혼인 풍속이었다. 조혼 폐해론은 국가주의에 의한 혼인의 재구성이 요청되던 시대 상황에서 인종의 강약(强弱)과 국가의 흥망(興亡)을 좌우하는 것처럼 묘사되는 등 과도하게 해석된 측면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혼 비판을 통해 여성 문제가 가시화된 것에 주목했다. ‘구습 혼인’에서는 대두되지 않았던 세 가지 점에 주목했는데, 여성 성(性)의 문제가 미약하지만 제기되었고, 혼인을 매개로 한 여성 착취의 문제가 거론 되었으며, 부모 중심이던 가족 담론이 가족 구성원의 관계 담론으로 옮겨간 것이다. 그리고 조혼이 이루어지게 된 역사적 맥락을 문화적 특수성과 성별 조건을 통해 조혼 담론의 시대적 변화를 살폈다. The decade of the 1900s was a relatively short period, but it was a time when the characteristic public opinion was formed under the banner of improving custom. The customs of the past have become the object of reform or abolition amid the task of protecting the nation and the country.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radition, modernity and women's issues through the most actively developed early marriage discourse at that time. Thes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 paid attention to how the marriage ideology of the early 20th century was the same and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society. They were the same in that they put the main meaning of marriage on biological production, but the social role they expected of marriage was different. Namely while traditional marriages meant family prosperity, modern marriages meant national prosperity. Secondly, the theory of the harmful effects of early marriage proved that there was excessiveness, such as being described as controlling the fate of the race and the nation in an era when the reconstruction of marriages by nationalism was requested. Finally, I noted that women's problems have become visible by the achievements left behind by criticism of early marriages, such as the sexual problems of women, exploitation of women, and changes in family discourse. It seemed to signal a new round of women's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