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을 통해 살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손승영(Seong Young Sohn),김은정(Eunj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4

        이 연구에서는 저출산의 문제를 가족 가치관의 변화와 접목시켜 살펴 봄으로써,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저출산의 문제를 우리 사회의 다양한 집단들 간에 변화하는 가족에 대한 가치관에 합의점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간주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에 따른 가족가치관의 차이 분석하였다. 집단 간 차이는 젊은 여성들인 여대생 집단을 기준으로 하여 성별에 따른 비교대상인 남자 대학생 집단, 그리고 세대에 따른 비교대상인 어머니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집단에 따른 비교 분석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들의 가족가치관, 즉 결혼가치관, 출산가치관, 자녀관을 남자대학생들과 비교해 본 결과, 여대생들의 출산관은 남자대학생들보다 비전통적이면서, 동시에 자녀양육부담을 남자대학생들보다 훨씬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여대생들의 가치관을 세대 차이에 따라 그들의 어머니 집단과 비교해 본 결과, 이들이 어머니 집단에 비해 결혼가치관, 출산가치관, 자녀관에서 모두 비전통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어머니 집단보다 자녀양육부담의 심각성을 보다 민감한 수준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이상에서 살펴 볼 수 있듯이, 젊은 여성들의 생각은 동세대 남성들과도 차이가 나고, 또한 나이든 세대의 여성들과도 구별된다. 그들의 가족가치관은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것처럼, 비전통적으로 변화해가면서 개인주의적/남녀 평등적으로 변화해가고 있으나, 기타 다른 집단은 이러한 변화의 속도에서 지체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양육의 주 책임자로 인식되고 있는 여성들은 자녀출산으로 인해 예상되는 부담을 가장 민감하게 느끼고 있는데, 이들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자녀출산을 지연 또는 포기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저출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ason of the low birth rate in Korea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family values. It investigates what are major differences of family values and the perception of burdens of delivering/nurturing children among female,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ample population includes 249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greater Seoul areas. It finds out female college students has much less traditional family values and much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burdens than their mothers and male college students. It implies that there is the meaningful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 in terms of family values and childbirth/rearing issues. Young women lead changes in family valu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decide not to have children attributing to the gender discriminating traditional family values and social atmosphe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ow fertility phenomenon in Korea was the result of the relatively preserved traditional family values lagging behind the rapidly changing young women’s family values.

      • KCI등재

        한국사회 저출산의 단계별 분석과 젠더논의

        손승영 ( Seong Young Soh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1

        한국사회에서 저출산이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위기의식이나 담론은 넘쳐나지만, 여성들의 출산기피현상에 대해 성인지적 관점에서 심도 있게 그리고 포괄적으로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논의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저출산 현상에 대해 단계별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종단적인 측면에서 변화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여성의 경험과 가치관 변화에 주목하였다. 특히 출산권, 양육권, 노동권에 있어서 여성의 출산관련 권리가 어떠한 변화를 겪어 왔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출산이 여성의 지위획득 전반에 끼친 영향에 있어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젠더 분석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의 출산정책이 여성의 경험과 요구를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마련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It is quite recent that low fertility rate in Korea was defined as a social problem. Korean government enacted a law and established a committee in 2005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fertility rate. Since then, there have been discourses on risks by low fertility and warnings on the lack of labor forces, and losing competitive power of nation. However, not many scholars have tried to figure out the causes of low fertility based on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distinguish changes in fertility rate by four phases and tries to do a longitudinal analysis in understanding changes of women`s experiences and values in Korean society. I especially focused on the changes in women`s rights related to child-birth: the rights to decide for giving a birth, the rights to nurture and care children, and rights to participate in the labor as a mother. I questioned what kinds of changes women have experienced in these rights by phases and how the changes influenced on women to acquire their status both within society and family. Finally, I suggested gender-sensitive policies to increase fertility rate on the basis of women`s wants and experiences.

      • KCI등재

        고학력 전문직 여성의 노동 경험과 딜레마

        손승영(Sohn Seong Young)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3

        한국사회에서 여성 고학력 전문직 종사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완화 속도는 느려서 여성들이 경험하는 애로사항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직 여성들을 심층면접 함으로써 전문직 여성들의 노동경험에 있어서의 특수성과 복합성을 상세하게 연구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경험조사 결과 전문직 여성들은 강한 직업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일에 대한 정체성이나 자아성취 욕구가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신이 하는 일의 단순반복성이나 자율성 결핍 부분은 일에 대한 자긍심을 저하시키는 원인이기도 했다. 전문직 여성들은 끊임없이 일을 통해서 자아를 발전시키기를 원하며, 업무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를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직 여성의 수가 적은 조직사회에서 소수 여성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이 경험하는 딜레마는 전통적인 ‘일과 가정의 양립 요인’보다는 ‘업무관련 주관적 평가와 조직에서의 평가 간 괴리 요인’에 더 강하게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ven though the proportion of the highly-educated women with professional jobs has been increased rapidly in Korea, gender discrimination at the labor market has not decreased at the same speed.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pecificity and complexity of the labor experiences of Korean professional wome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professional women had strong Job-consciousness, job identity, and desire for self-achievement. Despite the fact that some professional jobs lack autonomy and require simplicity or repeated routine process, most professional women want to continue their work until the time of retirement.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at the works they are doing are very significant because the work career is now a part of them. It is the place they want to keep, which can be named as ‘here to stay’. Women want to be evaluated based on their efforts, capacity, and capability. Howev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rofessional women is small resulted in many facets as ‘token professionalism’. By doing in-depth interviews, I could find that the source of dilemma for Korean professional women is moving from ‘combining work and family’ to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evaluation of own work by herself and evaluation of her work by patriarchal organizations and society in general’.

      • KCI등재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손승영(Seong Young Sohn)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2

        최근 들어 급속한 저출산 현상이 우리사회의 위기로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저출산의 원인을 규명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출산관련 가치관이나 행위연구는 대부분 설문지에 기초하여 계량적으로 시행된 조사들이어서 개인의 동기나 출산관련 고민에 대해 심도있는 조사를 진행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제한점을 인식하고 이 연구에서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족가치관과 관련된 전통적 요인은 약화되고 있으나, 자녀양육의 경제적, 정서적 부담, 가족에서의 성불평등, 자녀의 교육환경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한국사회에 작용하는 경쟁심리와 과잉과시의 사회적 압력 등이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젠더관점을 적용한 가족친화적 정책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Rapid reduction in fertility rate has been indicated as a risk of Korean society.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gure out causes of low fertility rate in Korea and to suggest alternative policies. Most studies in this field have been done in quantitative ways and thus had difficulties to find out detailed explanations about why young Korean women resist giving births recently. Recognizing the limits of quantitative methods, this study selected 80 adults residing in Seoul and suburb areas and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indicate that young generations tend to recognize the economic and emotional burdens of raising children, gender inequality within family,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 uncertainty of future, competitive nature of Korean society, and so forth. In the final section, this paper is devoted to the suggestions of family-friendly policies by applying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자녀교육태도 비교연구 : 교차거주자의 '자문화'와 '타문화' 평가

        손승영(Sohn, Seong Yo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여성연구 Vol.79 No.-

        한국과 일본은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고 자녀교육을 위한 모성을 중시한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하지만 오늘날 한일 양국은 가족의 구성이나 가족관계에 있어서 많은 유사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상가족이데올로기의 유포, 부계혈통주의의 유지, 자녀에 대한 가족의 기대, 어머니의 역할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교차거주를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가족주의와 모성이 자녀교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주목적이다. 조사대상자로는 최소한 1년 이상 외국인 일본이나 한국에 거주하고 있고 유치원 이상 연령층 자녀들이 있는 어머니들로 국한해서 이 어머니들이 ‘자문화’와 ‘타문화’를 어떻게 평가하며 비교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심층면접결과, 첫째, 조사에 참여한 한일 어머니들은 모두 일본에 비해 한국에서 교육경쟁이 치열하며 대학입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한국에서는 대학입시 중심으로 목표를 정하므로 결과로서의 공부 성적이 중요한 반면, 일본에서는 열심히 공부하는 과정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점을 자녀에게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한국과 일본에서 어머니들은 자녀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인식하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였으나, 한국 엄마들은 ‘교육매니저’로서의 정보수집과 자녀의 학습적 측면을 강조하고 일본 엄마들은 자녀가 행복하게 자라도록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인성교육과 생활교육에도 치중하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mothers who lived in both Korea and Japan evaluate their own culture and foreign culture regarding educational fever and attitudes in educating children. I selected 10 Korean mothers who reside in Tokyo and 10 Japanese mothers who reside in Seoul for more than a year and then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s to investigate about their ways of socializing their children who attend school. Most of the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greed that Korea where entering college is very important than in Japan is more competitive in educating children. Specifically, first, while only those in upper class who sent their children to private schools show high fever in educating their children in Japan, majority of Koreans accept the competitive nature of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stratification. Second, compared to Korea where academic achievements and goals of entering top university are important, Japanese mothers tend to teach that the process of studying hard itself is more important than achieving goals. Third,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do studying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at the same time in Korea where 'specialists' who excel in one area are acknowledged as the best. However, in Japan, 'generalists' who perform several different activities well at the same time are more respected than the 'specialists'. Fourth, even though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spent a lot of time for their children and felt strong responsibilities for their children,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e way to perceive the nature of motherhood or educate their children. Korean mot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ademic records and tried to gather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But Japanese mothers thought that education for personality and living was more important and mothers needed to provide good environments so that their children could live healthy.

      • KCI등재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손승영(Sohn Seong-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1

        이 논문에서는 청소년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오늘날의 소비사회에서 가족의 자녀 사회화는 어떠한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기대와 평가, 부모-자녀관계, 부모의 개입에 대해 질문해보았다. 특히 심층면접법을 활용해서 가족에서 행해지는 사회화에 대해 생생하게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심층면접은 총 36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2007년 7월부터 11월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변화하고 있는 청소년의 취향이나 소비패턴은 가족사회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부모는 자녀의 바람이나 요구에 상관없이 학업성취에 대한 기대가 크며 공부나 성적을 기준으로 자녀를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자녀가 학업 외에 다른 것에 관심이 많을 경우에는 부모가 개입해서 제재를 가하고 학업에 몰두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한편,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정보 얻기 노력이나 연결망 활용은 초등학생 때에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 부모들의 자녀 사회화 내용은 다원주의적 가치에 기초하기보다는 공부 중심의 경쟁적 사회분위기를 수용하므로 대체로 유사한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자녀의 부모에 대한 의존적 태도를 당연시 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parental expectations and evaluations in regard to their childr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levels of parental involvement in terms of both study and socialization within Korean families in today’s consumption-oriented society. I In-depth interviews were utilized to understand the detailed processes involv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6 parents between July and November, 2007.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shifting tastes or consumption patterns of adolescents have not influenced the family socialization process to any great extent. Parents have high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in term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end to evaluate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tudy habits and school records. Since children are interested in a great many other things than studying, the differences in both desires and interests cause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le parents’ expectations regarding academic performance increases in line with a child’s progression through higher levels of schooling, parents’ utilization of informal networks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next stage of education are greater among parents of children in primary schools than those i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concludes that parents’ high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and excessive involvement along with a competitive social environment aggravate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Korean parents tend to exhibit homogeneous tendencies by taking on elements of the competitive nature of society than exhibiting more pluralistic values when it comes to educating their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가족주의와 사회적 과시 - 지속과 변화 -

        손승영 ( Seong Young Soh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2

        한국의 가족주의는 가족중심의 집단정체성을 강화시켜왔다. 다른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배타적인 성격이 강해서 상호 경쟁적인 분위기를 형성해왔으며, 그 결과 사회적 과시를 증폭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해왔다.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증폭되고 있는 사회적 과시 현상에 대해 가족주의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따라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변화 내용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작동하는 가족가치관과 가족관련 행위에 있어서의 변화까지도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특히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가부장제적 성역할, 사회의 관습 등이 한데 어울려서 과시적 소비를 만들어내는 사회 압력으로 작동해 온 과정에 대해 따져보고자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회적 압력이나 가족주의의 성격이 개인에게는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새로운 가족가치관과의 마찰로 인해 가족 내 갈등이 증폭되는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리함으로써 한국의 가족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대안적인 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고자 한다. Familism in Korea has strengthened family-centered group identity. Korean familism has characteristics to be called as ``exclusive familism`` by strongly distinguishing other families from his or her own family. The exclusive nature of Korean family has also increased competitions with other families in reproducing family status and achieving social success. As the result, familism has served to expand social conspicuousness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familism has influenced on expanding the nature of social conspicuousness. Therefore, I dealt with not only changes in familism as ideology, but changes in family values and family-related behaviors. I especially focused on the process how ideology of familism, patriarchal sex roles, and social norms all together merged to produce social pressure for conspicuous consumptions. This paper also highlight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sure or familism had negative impacts on individuals and had increased conflicts within individual family along with changing family values by class, gender, and age. By doing so, I tried to suggest alternative ways which could solve problems that many Korean families had been facing.

      • KCI등재

        비정규직법 시행 이후 기업의 대응방식과성 차별적 관행

        박옥주 ( Ok Joo Park ),손승영 ( Seong Young Soh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3

        IMF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노동유연화 전략으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 숫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의 고용안정과 차별 시정을 목적으로 2007년 7월부터 비정규직법이 시행되고 있다. 비정규직법의 주요내용은 비정규직의 사용기간 2년제한과 아울러, 동일 또는 유사노동에 대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 사이의 차별금지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업이 차별시정의 책임이 있는 주요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대응방식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비정규직법 시행이후 기업들은 ``사용기간 제한`` 조항에 대해서는 직종과 업무특성에 따라 외주용역화, 2년 주기 신규 채용, 무기계약직화, 하위직급 정규직화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차별 금지`` 조항에 대해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업무를 철저히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대응해왔다. 이와 같은 기업들의 다양한 대응방식 과정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은 기업의 대응방식과 관련된 젠더 차이와 젠더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비정규직 업무 중 주로 남성적 업무를 정규직화 하는 반면 여성적 업무는 외주용역화 또는 무기계약화하거나, 남성적 업무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 때 여성적 업무는 2년 주기로 신규 채용하는 등의 차등적 방식을 취해 왔다. 또한 무기계약직 전환과정에서도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 훨씬 높은 비율을 적용하거나, 여성적직무를 특정 직군으로 분류하여 기존 정규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묶어 두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모두 직무 중심의 대응이라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작용하였으므로 간접차별에 해당된다. The number of Workers having irregular job has increased very rapidly as Korean society experience a financial crisis under the ruling of IMF and corporations start to take strategies of labor flexibility. As the result,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enact a ``Law related to Irregular Work`` and enforced the law in July of 2007. The major contents of the law are to limit the use of the irregular labor up to two years and to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the irregular workers when they preform similar type of work with the regular workers.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law, Corporations have taken various actions such as subcontract, new contract for less than two years, limitless contract with less payment, sharp division between regular work and irregular work, and so forth. This paper focuses on the ways how corporations confront the law based on the gender differences. It is still quite common to find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practices of Korean corporations. Corporations tend to regularize jobs for men, while they subcontract with other organizations or have limitless contract for women`s work. When corporations change the irregular work to limitless contract for men, they choose differential methods of recruiting new women workers for every two years. Even when they change irregular labor to limitless contract, they share more portions to men than women. Even when corporations claim that they made the decision based on the tasks, not by gender, the changes result in worse working conditions for women than men. Therefore, we conclude that decisions belong to the category of indirect discriminations by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