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주의) 지식의 식민성 비판 - 탈서구와 탈유교의 전략 : 한국 여성(주의) 지식의 식민성 비판

        이숙인(Lee Sook-in)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이 글은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말하고 찾아내는 자생적 지식 생산에의 욕망을 담고 있다. 이에 한국 여성을 구성하는 지식의 식민지적 성격을 문제 삼고 그 극복을 모색했다. 전통(성)과 현대(성)를 대표하는 유교와 페미니즘을 통해 한국 여성을 타자화하는 지식의 정치ㆍ문화적인 맥락을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비서구 여성의 식민화는 서구 페미니스트의 담론과 페미니즘 이론을 통해 나타난다. 중요한 것은 우리 여성을 무능함과 나약함으로 이미지화한 본질주의적 전략이나 수동적 존재로 만드는 서구적 기준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한편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전통이 부활되면서 그 내부에는 가부장제라는 또 하나의 식민지가 강화되었다. 여기서 여성은 민족과 전통의 ‘어머니’로 이상화되면서도 물질적 역사로부터는 배제된다. 또한 여성의 타자화는 담론적 차원만 아니라 전통의 핵심을 이루는 유교 이론에서도 나타난다. 지식이란 이론의 정합성 보다 우리가 설정한 목표나 실천적 효과에 얼마나 유용한가에 그 의미가 있다. 유교와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해체는 전유와 재개념화의 작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건과 맥락 속에서 이론적 범주를 만드는, 이것이 곧 자생적 지식 생산의 기본 원칙이다. This paper tried to find a way of de-colonization of Korean women(feministic) knowledge through de-westernization and de-confucianism. I regard the representative knowledge mechanism of signifying Korean women as confucianism and feminism and criticized its colonial elements. Confucianism with Sino-centrism and feminism with cultural imperialism have been the most influential knowledge systems to women"s life in the pre-modern and modern period. The former is the knowledge which places women as a subsidiary existence for keeping the patriarchy, the latter is the one which makes women a subject for deconstructing the patriarchy. This paper illustrated the procedure of introducing the new knowledges under the international order those days and argued about the concept, theory, and cases of the colonization of women in each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한국 모던 걸(Modern Girl)의 화장문화(化粧文化)에 관한 연구

        이숙연 ( Sook Yeon L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Korean makeup to be spread out into the world in modern society, the makeup of the 1930s culture to study the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tried to feed this study. Era was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and World War II in the 1930s due to the atrophy of Beauty Culture, despite a peak in trained men and women from fashion to beauty culture had achieved. The 1930s, the modern Girl make of makeup culture analysis and Korea Beauty Culture lai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research that you want to aim.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rends and fashion makeup, makeup cultural and social order is influenced by the social influenc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ccelerate changes in the makeup popularized and influenced the makeup to bring cultural diversity. It may be the emergence of new ideas and elements to build the most stylish women in the rigid shape of the modern girl of the 1930s, and they pursue more than one concept, in the form of makeup. Modern girl was a symbol of modernity. New sensual style and knowledge of the owner, showed through the style of these (costumes, hair, decoration, language, rituals, etc.) will go to find their identity as a modern subject. Professor of beauty ten intensive analysis in the modern girl that corresponds to the 120 photos from the Western and South Korea``s modern walk to work compared to the feasibility of the selected photos and pictures are commonly rated target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irl, especially Western women, was an enthusiastic response to the Star. Mimesis bromide thinking of the female star like fashion, makeup, hair style and according to the star``s appearance or behavior such as gestures or speech, gait. Second traditional Damjang important elements of culture to cultivate the appearance of things soon to express the inner beauty of these virtues, culture became gentle and elegant makeup. Third modernism, I experience it follows the fashion phenomenon as representing the modern sense of modernism that customs and ideas quickly accept the forerunner of modern western actress beauty of your eyes to the nose of the modern woman``s beauty is the measure of the deep greatly to show the three-dimensional makeup began.

      • KCI등재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 팥배나무 군락 보전방안

        이숙미 ( Sook Mee Lee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bas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Bongsa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rate of vegetation cover were composed of 72.3%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10.7% of Sorbus alnifoila Forest, and Sorbus alnifoila was founded as a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Core Zone of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welve 100 ㎡ sized plots were set up in Bongsa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o analyze annual diameter growth rate for major tree species, nine sample trees from research plots were measured. Expected ages of Sorbus alnifoila trees were 27~37years, Robinia pseudo-acacia trees were 17~26 years,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Prunus sargentii, and Quercus mongolica trees were 27~38 years. As a result, annual diameter growth r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tended to remarkably decreased, Sorbus alnifoila had the wood on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woody plant species. Importance values of Sorbus alnifoila in the three layers of Sorbus alnifoila communities were evenly hig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안보목표 실현을 위한 아세안의 제도적 전략 : ADMM-Plus를 중심으로

        이숙연(Lee, Sook Youn)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4

        2000년대 이후 심화되는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아세안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제도적 아키텍처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아세안이 국제정치 및 지역주의에서 어떻게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대해 지역 안보의 구조적 조건과 결부하여 설명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아세안이 의식적이며 전략적인 제도화를 통해 ‘아세안 중심성’이라는 안보목표를 추구해왔다고 보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하에 아세안 확대국방장관회의(ADMM-Plus) 사례를 통해 아세안이 다자 안보협력을 제도적으로 구상·설계·변화·발전시킨 과정 그 자체가 아세안의 안보목표인 중심성을 구축하기 위한 제도적 대응 전략임을 밝히고, 아세안-중심의 안보협력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한국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It is a well-known fact that ASEAN plays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institutional architecture in the Asia-Pacific region amid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US-China hegemony since the 2000s. Some explain how ASEAN plays a central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regionalism in connection with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regional security, but it is more appropriate to regard ASEAN as pursuing the security goal of “ASEAN Centrality” through conscious and strategic institutionaliz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rgues that ASEAN has responded strategically to the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through the launching, institutional design, and evolution of ADMM-Plus to realize ASEAN"s security goal, "ASEAN Centrality“, rather than simply responding to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the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It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based on the prospects for ASEAN-centered security cooperation.

      • KCI등재

        1920년대 大倧敎세력과 北滿洲지역 독립운동

        이숙화(Lee, Sook Hw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2

        ‘庚申慘變(일명 간도참변)’ 이후 만주의 항일운동 세력은 일본군에 의한 물적 · 인적 피해를 극복하고 새로운 항전기지 구축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남만주에는 正義府와 參議府가 설립되었고, 북만주에는 新民府가 설립되어 1920년대 중반 남 · 북만주를 대표하는 3부의 성립을 이루었다.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하여 신민부는 대종교 무장세력과 북만주 民團 대표들이 함께 결성한 독립운동단체라는 점에서 1920년대 중 · 후반 대종교 세력의 독립운동을 파악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 세력의 활동을 크게 두 계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나는 대종교총본사를 중심으로 종교활동 및 항일운동을 전개했던 金敎獻 · 尹世復 등 핵심인물들이다. 경신참변 이후 제2대 도사교김교헌은 寧古塔에서 대종교부흥운동을 전개하여 대한군정서 재건을 뒷받침했다. 한편 윤세복이 주도하던 1926년의 대종교총본사는 奉天省長 張作林이내린 ‘대종교금지령’에 따라 모든 활동을 금지당했다. 그 원인으로 대종교 세력의 국내 특파작전이 추진되고 있었던 사실을 본 논문에서 새로 밝혔다. 또 다른 계열은 대한군정서 및 신민부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무장세력이다. 대한군정서는 1921년 9월 총재 徐一의 사거로 해체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부총재 玄天默이 계승하여 金赫 · 金佐鎭 · 曺成煥 · 鄭信 등과 함께 재건에 성공하였다. 이후 대종교 세력은 독립군 통합운동을 추진하면서 ‘夫餘族統一會’를 거쳐 신민부 성립을 이끌어냈다. 대종교와 대한군정서 · 신민부의 연관성은 주요 인물들의 역할, 종교적 배경, 이념의 정합성, 활동 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1920년대 후반 대종교 세력은 ‘대종교금지령’ 이외에도 주요 간부들이 고령으로 사거하거나 일제에 피체되고, 신민부 해체까지 겪으면서 점차 약해졌다. 더욱이 1920년대 중 · 후반 북만주에 확산된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도 대종교 세력의 약화에 주요한 원인이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20년대 후반이 되면 김좌진, 정신 등은 대종교 이념에 무정부주의를 수용하여 한족총연합회를 결성했는데, 그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의 독립운동은 연구 공백으로 남아있었다. 그 배경에는 먼저, 1926년 ‘대종교금지령’으로 대종교에서조차 1920년대 중 · 후반의 시기를 ‘단절의 시기’로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료의 미발굴로 청산리전투 이후 대한군정서와 대종교 무장세력의 명멸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1920년대 대종교 세력의 항일운동은 결코 단절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친일배 척결, 자치기구 결성, 무정부주의 수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항일운동을 지속했던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After ‘Kyeongsin Massacre(1920)’, Korean independence groups in Manchuria had overcome the damages committed by Japanese troops, and tried to build a new resistance base. The result of the trial wa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ce groups in Manchuria in 1920s by building Jeongui-bu and Chamui-bu in South Manchura and then Sinmin-bu in North Manchuria. Sinmin-bu is considered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later half of Daejonggyo’s anti-Japanese activities in that it was an established by Daehan-Gunjeongseo originated Daejonggyo. This paper studies two activities of Daejonggyo forces in the later half of 1920s. The one is a lead group of Daejonggyo, Kim Kyo-heon and Yun Se-bok who supported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anti-Japanese activities. They promoted forces with revival movement of Daejonggyo centered on Kim Kyo-heon. After the death of Kim Kyo-heon, they centered around Yun Se-bok, deployed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supporting the Sinmin-bu. With these, this paper proves the fact that the operation of dispatch into Korea was promoted by Daejonggy and Sinmin-bu, and it caused ‘the bans on Daejonggyo’ in 1926. The other Daejonggyo forces promoted centered around Daehan-Gunjeongseo and Sinmin-bu. Daehan-Gunjeongseo succeeded by Hyeon Cheon-mook vice president. Sinmin-bu was constructed with the helps of Kim Hyeok · Kim Jwa-jin · Cho Seong-hwan · Jung Sin who were the leaders of Daehan-Gunjeongseo after the crisis of dissolution by the death of Seo Il. They built ‘Buyeo People’s Unification Association’ and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Sinmin-bu. The relation of Daejonggyo and Daehan-gunjeongseo · Sinmin-bu is understood around the rolls of leading figures, religious backgrounds, consistency of ideologies and directivity of organizations. In the later half of 1920s, Daejonggyo forces became weak by ‘the bans on Daejonggyo’ by Chinese local government and arrest by Japanese and death of old leaders. Moreover, it had to manage against the proliferration of communism in North Manchuia in the later half of 1920s. As the management against the communism, ‘All-Korean Association’ is established by Kim Jwa-jin and Jeong Sin accepted Anarchism. Daejonggyo’s activities in the later half of 1920s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has not been studied exactly until now.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religious activities of Daejonggyo were banned by ’the bans on Daejonggyo’ in 1926. The later half of 1920s is defined as ‘period of severance’ even by Daejonggyo people.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interest in the perishment of Daehan-Gunjeongseo and Daejonggyo Armed forces has not been sufficient because of a lack of historical sources. This paper proves that anti-Japanese activities of Daejonggyo in 1920s had never been stopped but severely developed with cooperation with Armed forces.

      • 공공성(公共性)의 타자들

        이숙인(Lee, Sook-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공공(公共)의 이름으로 그들은 어떻게 구성되며, 공공성의 확보에 그들이 어떻게 동원되는가. 이 글은 조선사회가 구성한 공공성에서 타자화된 존재들에 주목하였다. 즉 공(公)의 개념이 함축하는 공도(公道) · 공의(公義) · 공론(公論) 등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되고 실천되었는가를 두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하나는 사족 여성 김씨의 행실을 빌미로 그 자손들을 관직에서 배제시키는 사대부 관료들의 ‘공론’과 그 성격을 보는 것이다. 여기서 ‘음란 여성’ 김씨는 ‘구성되는’ 타자로서 주요 관직을 놓고 ‘경쟁자’를 배제하기 위한 논리로 활용된다. 다른 하나는 과부가 된 한 사족 여성 이씨의 규방을 감시 · 감독하는 사림들의 의리정신과 그 사회적 실천이 갖는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이 작업은 공(公)의 개념에 내포된 다양한 갈등과 타자성을 드러냄으로써 공공성의 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성찰적 자료가 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d on the problem of the otherness, focusing on how the others were constructed and mobilized by the publi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author attempted to explore the way which the publicity expressed in the name of the public way, the public justice, the public discourse was produced in the Chosun society, centering on the two cases. The first wa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opinion made by male officials who excluded a aristocratic woman(Kim)"s descendants from government office, by arguing that she made a corrupt conducts. Kim was otherized, in other words, "constructed as a obscene woman" by male officials"s competitive desire for government offices. The second was to reveal the essence of loyal spirits and social practices of male officials who tried to observe and supervise a aristocratic widow(Lee)"s living room. In conclusion, this paper attempted to disclose the various conflicts and otherness implied in conception of the publicity.

      • KCI등재

        1930년대 만주지역 大倧敎 재건과 민족운동

        이숙화(Lee, Sook-hwa)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7 No.-

        이 논문은 1930년대 만주에서 대종교 재건과 민족운동에 대한 글이다. 1930년대 만주 대종교총본사의 재건은 국내 남도본사의 폐쇄에 따른 단군신앙의 부흥과 1930년대 초반까지 만주에서 활동했던 민족운동세력의 재결집이라는 시대적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만주국 아래 대종교 활동은 일본총영사관의 포교승인을 받고 시작되었다. 때문에 이 시기 대종교 민족운동은 항일정신이 약화되었거나 종교활동 중심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민족운동은 1926년 ‘대종교 해산령’ 이후 오랜 활동 공백으로 약화된 교단을 정상화시킨 다음 그 토대위에 본격적으로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양상을 보인 특수성을 살펴보아야 했다. 재만 대종교는 일제의 황민화정책이 한창이던 1937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북만주 전 지역에 52개의 시교당이 설립되었고 교인 수 16,764명에 달했다. 이러한 발전은 1920년대 북만주 항일투쟁에 참가했었던 민족운동세력의 적극적인 활동과 재만동포들의 민족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가능했다. 황민화정책에 대응했던 대종교의 1930년대 민족운동은 다음과 같다. 안희제가 東京城에 건설한 발해농장을 독립운동기지건설로 삼고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발해학교 및 대성학원을 건립하여 한글 및 역사교육으로 민족정신을 함양하였다. 단군 천진전 건립을 준비하여 일본신도에 저항했고 1940년에는 1만 5천권이 넘는 교적을 간행하여 한글과 역사서를 보급하였다. 개천절・어천절・중광절 등과 같은 정기적인 의례는 황민화정책에 대응하여 민족문화를 보전하고 저항하는 운동이었다. 대종교 민족운동은 일제의 전시동원통제가 심화되던 시기에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어 일제의 탄압을 받는 요인이 되었다. 1930년대 민족운동은 1942년 임오교변 사건으로 대탄압을 받으면 종식되었다. 이는 만주국에서 대종교인들이 일제의 황민화정책에 포섭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Daejonggyo in the 1930s and the Imo-gyobyeon Incident which was forcibly re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by the Japanese, the activities of Daejonggyo began under the approval of the Consulate General. The national movement of Daejonggyo in Manchukuo has been criticized to be weaker in comparing with its armed activities of the 1920s. However, unlike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Daejonggyo during the 1920’s, its national movement in the 1930s looked to keep its internal solidarity and national culture. In Manchuria of the 1930s,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Korean nationalist camps was ended by Manchuria Incident, and Koreans in Manchuria were directly controlled and ruled by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Manchukuo. Therefore, Daejonggyo’s anti-Japanese movement also had to change its deployment. The key concepts of religious policy in Manchukuo could be expressed with the words, “utilization” and “control”. The government allowed religious freedom only to whom conformed to the religious policy and weaved them in its ruling orders. In response to the policy, Daejonggyo worked out a dual strategy. Daejonggyo superficially followed the policy but maneuvered the national movement. North Manchuria in the mid and late 1930s, Daejonggyo came to have 52 churches and 16,764 members and deployed the national movements such as building a Dangun Hall ;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history at the Balhae and Daejong Schools ; and publishing religious and history books written in Korean. These accomplishments were achieve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Daejonggyo and An heeje, the founder of Balhae Farm. In addition, they held Gaecheonjeol,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on the 3rd of every October. Teaching Daejonggyo doctrine and Korean history was, in and of itself, against the Colonial policy. The national movement of Daejonggyo was a stumbling block to the wartime policies of the Japanese in Manchukuo. Daejonggyo tried to preserv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ven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Japanization polic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ese efforts, however, caused Japan to oppress Daejongg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