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한국철학관’과 내셔널리즘

        김미영(Kim Miy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현재 한국철학계에서는 다카하시의 철학관을 두 측면에서 평가한다. 한편으로는 식민사관으로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적 의미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척자로 평가한다. 이 양대 평가는 모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과정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에 걸쳐 나타나는 그의 한국철학관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철학관 형성과정과 국가사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910년대에는 한국이 중국사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향모색의 과정에서 조선의 고유문자나 조선의 고유문학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1920년대에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의 일본어로의 대체를 강조하며, 한국철학사에서 조선어에 의한 창작활동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유학사 연구의 시발점을 1910년대에는 신라시대로부터 시작하나, 1920년대에는 철학으로서의 유학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성리학 구명에 중점을 두며 고려말부터 시작하고 있다. 또한 1920년대에는 유학을 철학적 측면으로 다루며 조선성리학에 집중하고, 한국인의 일본에의 동화를 위한 종교정책의 일환으로 불교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반면, 1930년대에 접어들면 조선유학의 특징을 종교성에 두며, 한국인에게 종교적 교화라는 측면에서 불교보다 유학이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그는 더 이상 불교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한국유교의 종교성을 구명하는 데 집중한다. 따라서 그는 중국이 근세 쇠퇴한 원인이나 조선이 멸망한 원인을 유교에서 찾으려는 시도를 부정하면서, 조선이 500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힘을 유교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한국철학관의 변화는 그의 전통철학 연구대상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20세기 철학사와 국가사상간의 관계를 읽어볼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철학사상이 국가사상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가의 문제는 20세기 전개된 철학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가능하게 될 것이다. Takahas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is evaluated from two aspects by Korean philosophers. One is criticized by Colonialism, and the other is evaluated from the standpoint that he was the scholar studying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by modern systems of study. These two aspects are related with the course of colonial regime of Japanese imperialism. So, I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and the nationalism, laying stress on the change of his viewpoint on it in 1910's, 1920's, and 1930's. In 1910's, he did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 or literature as a way out of Korean Chinese Thought in this time. But in 1920's, he as an assimilationist, stressing the substitution of Japanese for Korean, tri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Korean philosophy in Korean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ccordingly, in 1910's, he pu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Shilla, but in 1920's, in the end of Koryo. Also, in 1920's, he focused on Chu Zi's learning of Chosun, emphasizing the confucianism as a philosophical idea, and on Korean Buddhism as a part of a religion policy for the Korean assimilation to Japan. But, in 1930's, he emphasized Chosun confucianism as a religion, not studying the Korean Buddhism any more, but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nfucianism as a religion was more suitable for Korean. This change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led to the transition of object of his study and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and the nationalism. Therefore, in order for philosophy to overcome nationalism, I think we have to have critical review on his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 KCI등재

        ‘K-철학’은 가능한가?

        金是天(Kim, Sicheon)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5

        한국의 20세기에서 고전 철학의 이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된 성격을 보인다. 예컨대 함석헌 등의 기독교 사상가 계열의 ‘노장’(老莊) 전통은 한편으로는 기독교와 유학, 도가의 회통을 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올곧이 담아내고자 하는 철학적, 사상적 실천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러한 실천을 규명하기 위해 세 가지에 주목하고자 했다. 첫째는 철학적 텍스트에 대한 논리적 해석에 멈추지 않고, 특정한 철학적 관념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드러나는 맥락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이는 ‘텍스트 철학’이 아닌 ‘느낌의 합의’ 혹은 보다 쉬운 말로 상식을 대상으로 한다는 말이다. 둘째로 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문 철학자가 아닌 저자들의 텍스트에 주목했다. 김대중과 기세춘 그리고 함석헌의 텍스트를 논의의 중심에 둔 까닭이 이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두 가지 논점을 포용하는 해석학적 기반을 ‘초월의 해석학’ 이라 이름 붙여 보고자 했다. 이는 특히 함석헌이 말하는 ‘씨의 자리에서 고전고쳐 읽기’는 표현을 가리키는 말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20세기 내내 ‘동양철학’은 하나의 기호로서 혹은 식민지 경험의 유산으로 단지 허명(虛名)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같은 텍스트들을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철학 혹은 ‘K-철학’으로 읽고자 할 때 우리는 보다 풍부한 철학적 사유의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s understanding of Classic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i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old age’ of Christian thinkers such as Ham Seok-heon, on the one hand, refers to the conversion of Christianity, Confucianism, and Daoism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t aims to convey the value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freedom and equality.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of doing. In this article, I wanted to focus on three things to clarify this practice. First, I tried to focus on the context in which certain philosophical ideas are revealed in the interaction with reality, not stopping on the 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text. This means that it is aimed at ‘consensus of feeling’, not ‘text philosophy’, or in simpler words, common sense. Secondly, I focused on the texts of authors, not professional philosophers, for this purpose. This is why the texts of Dae-jung Kim and Se-chun Ki, and Seok-Heon Ham were put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nd finally, I tried to name the hermeneutic basis that embraces these two issues as the ‘transcendental hermeneutics’. This is a word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expression Ham Seok-heon refers to as ‘reading revised classics in the place of ‘people’. In a strict sense, ‘Oriental Philosophy’ throughout the 20th century was nothing more than an empty name as a sign or as a legacy of colonial experience. However, when we try to read the same texts as Korean philosophy or ‘K-philosophy’ from a relatively perspective, we can find a richer journey of philosophical thinking.

      • KCI등재

        동양신학 방법론

        임찬순(Chansoon Lim)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신학적인 방법론에 대한 성찰은 매우 중요한데, 신학적인 방법은 방법 자체를 넘어서 신학의 내용까지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정용의 양면긍정의 신학 방법론을 고찰하는데, 이 양면긍정의 사유는 그의 실존적 신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배경이 되었다. 그는 재미신학자로서 동양적 세계관에 근거한 동양적 신학내지는 한국적 신학을 창조하는 구성신학적 작업을 하였다. 그는 서구 신학의 난제들을 발견하면서, 그 난제들을 동양적 사유방식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도전하였는데, 그의 작업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동서의 지평융합을 지향해야 하는 신학자에게는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었다. 포스트모더니티는 도전인 동시에 기회인데, 비서구적인 전통과 문화들이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데, 기독교는 이제 서구의 종교가 아닌 명실공히 세계종교의 자리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비서구 전통들이 기독교 속에 융합내지는 제소리를 내지 않으면 세계기독교는 가능하지 않다. 이것이야말로 타자를 포용하고 담아내는 내적인 외적인 스트러글이 없다면 이루어질 수 없는 난제이다. 서구신학이 문화적 상대성과 대화에 주목하게 된 것을 넘어서서, 다른 문화들 이 제목소리를 내면서도 기독교적 정신이 자리할 수 있어야 한다. 유비적 사고는 서구 신학적 전통에서 신과 인간, 신과 세계의 차이를 보충하고 매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사고였다. 이정용은 관계와 신앙으로 하나님과 인간의 간극을 초극하려고 했던 칼 바르트의 유비에서 출발해서, 동양 적 음양론으로 그의 신학적 사유를 넓혀나갔으며, 동양적 삼위일체적 사유를 말하는 자리까지 전진했다. 이런 과정에서, 동양적 전통의 언어가 철학적 해석을 통해 신학적 언어로 기능을 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차원을 발견하게 되 었다. 그의 신학적 구성은 동양의 종교적 전통의 일종의 서구화로 읽힐 수 있으나, 기독교의 토착화로 볼 수도 있다. 이것은 그런 작업자체가 양자택일의 길이 아닌 양면긍정의 길이다. 동서는 이제는 더 이상 고정된 틀이 아니다. 이 정용의 신학적 테제에 따르면, 기독교의 본질은 배타성에 있지 않고, 포용성에 있다. 이것이야말로 한국의 기독교인들에게 세계 기독교의 형성을 위해서 기여하기 위해서 우리 자신의 신학적 방법론을 발전시키라는 소명일 수 있다. A reflection on theological method is very important, for a theological method even regulates the content of theology. This study is focused on Jung Young Lee's theological method, both/and way of thinking, which is the background to show his existential and theological conundrums. He was a Korean American constructive theologian who had tried to construct an Asian or Korean theology based on East Asian worldview. Acknowledging conundrums in the W estern theology, he attempted to resolve them through East Asian way of thinking, which is very meaningful for contemporary theologians in the postmoderm age. Postmodernity challenges and gives us opportunities that non-Western traditions and cultures raise their own voices and contribute to constructing Christian culture and theology for the sake of forming a World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these kinds of theological works could not be accepted universally without serious struggles of embracing others in their own lives and cultures. Analogical thinking was required in the W estern theological tradition in order to complement and mediate the difference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Jung Young Lee's theological journey was started from Barthian analogy based on relation and faith as a neo-orthodoxian. On the other hand, his analogical thinking was expanded to East Asian way of thinking as Yin/Yang and even East Asian trinitarian way of thinking. In this process, his theological construction had been enriched and deepened through embracing East Asian traditions. His theological construction is not only a kind of Westernization of East Asian religious traditions but also a kind of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which seems to go beyond this kind of category. East and W est is not a fixed category any longer. According to his theological These, the essence of Christianity is not exclusivity but inclusiveness, which is a calling for Korean Christian theologians to develop our own theological method and theological creativity for the sake of forming W orld Christianity.

      • KCI등재

        한국 근현대불교의 태동과 擎雲 元奇

        오경후 한국동양철학회 2018 동양철학 Vol.0 No.50

        The Emergenc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in Korea and KYUNGUN-WONGI(擎雲 元奇) KYUNGUN-WONGI is a person who has lived the tradition and modernity of Korean history. During this period, Korean Buddhism was also in a great turning point. KYUNGUN is a person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Study of Zen and Non-zen Buddhism, Chantingf Buddhism, Vinaya Pitaka of the Korean Buddhism which has been blurred since the 19th century. Because of this, even the Japanese have regarded the Buddhist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m as a person who has maintained the identity. Although the order of Korean Buddhism was confused by the influx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isciples said that they were afraid of their hearts as if they were listening to the commandments themselves. KYUNGUN has also systematized the collapse of Sun-am Temple(仙巖寺). In the future, Choi Nam-seon(崔南善) said that KYUNGUN was a virtuous practice to keep the Vinaya, not to stick to and keep it. He formed Baekryeon-gyeolsa(白蓮結社), even the people who did not know Buddhism had a deep influence on Buddhism. H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Korean Buddhism as well as establishing Buddhism’s Order(Samgha) at the time. At that time, Buddhist denomination's efforts to nurture the post-Buddhist education of the Korean Buddhism and to improve the Propagation were the only reason for the tide to go outside the prose. The disciples of Tongun were outstanding. Han-Young Park( 朴漢永)·Jin Jin Eung(陳震應)·Geumbong byeong-yeon(錦峰 秉演) The disciples followed the tide of Buddhism at that time, an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education of Buddhism and to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Buddhism in Korea. 경운 원기는 한국 역사의 전통과 근대를 살다 간 인물이다. 이 시기 한국불교 역시 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경운은 조선후기 불교계에서 부흥했지만, 19세기부 터 그 명맥이 희미해진 한국불교의 선교학과 염불, 그리고 계율의 전통을 선암사의 스승들로부터 온전히 계승한 인물이다. 때문에 일본인조차도 결연하게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보호 유지해온 인물로 평가하였다. 일제강점기 일본불교의 유입으로 승가 의 질서가 혼란스러웠지만, 제자들은 경운을 보는 자체로 계율을 듣는 것처럼 마음 에 두려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경운은 선암사의 무너진 계율을 체계화시키기도 하 였다. 훗날 최남선은 경운이 계율을 지키는 것은 얽매여서 지키는 것이 아닌 좋아서 하는 고결한 실천이었다고 하였다. 그가 결성한 백련결사 역시 불교를 모르는 사람 들조차도 불교에 입문할 정도로 깊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당시 불교계의 교단 설립 과 함께 한국불교의 방향설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당시 불교교단의 한국불 교의 후학 양성과 포교 향상을 위한 노력은 경운이 유일하게 산문 밖을 나가는 이유 였다. 경운의 제자들은 걸출했다. 영호 정호·진응 혜찬·금봉 병연은 경운에게 선 교학을 수학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불교정신을 따르고자 하였다. 제자들은 당시 불 교계에서 경운의 뒤를 이어 후학양성과 한국불교 안정과 발전에 진력하였다.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사상 흐름에 대한 한국 철학계의 연구 동향 - ‘문화열’과 ‘중국학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이철승(李哲承)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1978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사상계는 ‘실천이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라는 관점 아래, 중국 사회를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실사구시’와 ‘사상해방’을 주장하며, 신‘백화제방’ㆍ‘백가쟁명’의 시대를 열었다. 경직된 사회 구조에서 벗어난 중국의 지식인들은 1980년대에 더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면한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을 펼쳤다. ‘문화열’이란 학계의 이러한 동향을 지칭한 말이다.<BR>  중국의 사상계는 또한 1989년의 이른바 ‘6ㆍ4 천안문 사태’를 경험한 후, 이 사건의 사상적 배경을 ‘문화열’ 때 확산된 서구의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조의 만연으로 여기고, 중국의 정체성 회복과 새롭게 펼쳐지는 국제 질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 ‘신중화사상’을 토대로 하는 ‘중국학열’을 조성시켰다.<BR>  오랫동안 중국의 현대 사상에 대한 연구보다 전통 사상에 대한 연구에 치중했던 한국의 철학계는 1990년대 초부터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유 체계의 확립을 철학의 중요한 역할로 여기는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중국 현대 철학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BR>  그들은 그동안 한국의 철학계가 중국 사상을 연구하면서 비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면에 한계를 노정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현대 중국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합리적인 한중 관계의 정립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BR>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문화열’과 ‘중국학열’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현대 사상의 연구 경향에 대한 한국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여, 균등하면서도 평화로운 한중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사상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행복에 관한 동양철학적 성찰

        이기동 한국동양철학회 2016 한국동양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4

        사람이 산다는 것은 밀려오는 고통을 극복해가는 과정이다. 고통을 극복하면 행복감을 느낀다. 행복감의 양은 고통의 양과 같다. 고통을 극복하면 고통의 양만큼 행복해진다. 밥 한 끼를 먹었을 때의 행복감은 밥 한 끼를 굶었을 때의 고통과 같은 양이다. 고통에는 여러 층이 있다. 작은 고통도 있고 큰 고통도 있다. 작은 고통을 당하고 있을 때는 그것이 가장 큰 고통처럼 느껴지지만, 더 큰 고통을 당하면 작은 고통은 고통 축에 들어가지도 않는다. 밥 한 끼를 굶을 때의 고통은 실연의 고통에 비하면 고통 축에 들어가지 않는다. 밥을 굶으면 난동을 부리던 사람도 실연의 고통을 당하면 밥을 주어도 먹지 않는 것은 그 때문이다. 손가락 하나가 잘려 나가면큰 고통을 느끼지만, 팔이 잘려 나간 고통에 비하면 그것은 고통 축에 들어가지 않는다. 팔이 잘려 나갔을 때의 고통은 큰 고통이지만, 병이 들어 죽게 되었을 때의 고통에 비하면 그것은 고통 축에 들어가지 않는다. 행복도 마찬가지이다. 작은 고통을 해결했을 때의 행복은 큰 고통을 해결했을 때의 행복감에 비하면 행복 축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작은 고통을 해결하느라 평생을 소모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하다. 큰 고통을 해결하여 큰 행복을 얻어야 지혜롭다. 그렇다고 큰 행복만을 추구하다가 당장의 고통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도 지혜롭지 못하다. 바람직한 것은 당장의 고통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만 하면 거기에 머물지 말고 바로 큰 행복을 얻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런 노력이 철학이다. 동양철학의 큰 범주에는 유학과 불교, 노장사상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원초 적인 것을 설명하고 있는 철학체계는 노장철학이다. 노장철학은 혼돈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철학이다. 따라서 노장철학은 혼돈에 머물러 있는 한 있는 그대로 살기만 하면 된다. 노장철학에서 말하는 무위자연이 그것이다. 혼돈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이 한 가지 주의할 것은 감각기관을 작동은 하되, ‘나’라는 허상을 만들어 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라는 허상을 만들어내지 않기만 하면 일체의 고통이 없다. 노장철학에서는 가상세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는 유한한 ‘나’를 부정하는 불교와 유사하다. 또 가상현실에서의 고통에서 철학이 출발한다는 점에서는 유학과 불교가 유사하다. 유학과 불교가 추구하는 종착역 역시 혼돈이라는 점에 서도 유사하다. 오늘날 학자들은 서구 근세철학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동양철 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동양철학의 내용을 머릿속에서 서구의 방식으로 정리만 하기 때문에 자기에게 주어진 근본 고통을 해결한다고 하는 동양 철학 본래의 목적이 많이 희석되었다. 이 때문에 동양철학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 중에는 학문을 통해서 행복해졌다는 사람이 많지 않다. 공자의 인에 대한 논문을 썼어도 어질지 않고, 석가모니의 자비에 대한 논문을 썼어도 자비롭지 않은 학자가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오늘날 동양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깊이 한번 반성해볼 때가 되었다.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자유와 自治 - 함석헌의 『莊子』 읽기와 ‘씨ᄋᆞᆯ의 소리’ -

        김시천 한국동양철학회 2023 동양철학 Vol.- No.60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함석헌’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더 나아가 그를 통해 ‘동양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이 글에서 함석헌과 동양고전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논의들이 주목하지 못한 몇 가지 쟁점들을 제기함으로써, 함석헌의 ‘옛글 고쳐 씹기’의 해석학에서 우리가 보다 무게를 두어야 하는 지점들을 적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씨ᄋᆞᆯ의 옛글풀이』는 ‘동양고전’에 대한 주석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하나의 독자적 텍스트로 읽혀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씨ᄋᆞᆯ의 옛글풀이』는 그것이 다루고 있는 『노자』나 『장자』와의 관계보다 현대 한국에서의 삶과 장소에서 읽혀야 한다는것이다. 셋째, 『씨ᄋᆞᆯ의 옛글풀이』의 의미와 가치는 전통 주석에 대한 독창적 해석에 있지 않고, 20세기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씨ᄋᆞᆯ의 자각과 실천의 지침이 된 하나의 ‘공통의 상식’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 측면을 부각시키기 위해 같은 시기 중국의 『장자』 해석과 대비시켜 보았다. 20세기 중국의 지식인들이 『장자』에 대한 해석과 논의를 통해 스스로의 운명을 예기했다면, 함석헌의 『장자』 읽기는 해석의 주체를 변화시키면서 동시에 근대의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요청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민주주의와 자치의 이념을 설파하는 씨ᄋᆞᆯ의 소리로 표현되었음을 논하고 싶었다. 이와 같이 함석헌을 읽을 때 나는 『씨ᄋᆞᆯ의 옛글풀이』가 갖는 역사적, 철학적 의미와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What does it mean to read Ham Seok-heon in the 21st century? Furthermore, what does it mean to read the ‘East-Asian Classics’ through him?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aise a few issues that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m Seok-heon and the East-Asian Classics have not paid attention to, in order to point out the points that we should give more weight to in the hermeneutics of Ham Seok-heon’s ‘Chewing on Old Classics’. First, Ham’s should be read as an independent text in its own right, not as a commentary on the ‘Oriental Classics’. Second, his SSi-al’ Readings of Old Classics should be read in the context of life and place in contemporary Korea, rather than the Laozi and the Zhuangzi relationships it addresses. Third, the meanings and values in SSi-al’ Readings of Old Classics do not lie in its original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ommentaries, but rather in the “common sense” that guided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Ssi-al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twentieth-century Korea. To emphasize this aspect, I contrast it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Zhuangzi in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 want to argue that if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twentieth century anticipated their own destiny through the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f the Zhuangzi, Ham Seok-heon’s reading of the Zhuangzi was expressed as the voice of Ssi-al, which changed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and at the same time called for the values of modern freedom and equality and preached the ideology of democracy and self-government to realize them. In reading Ham Seok-heon in this way, I believe that we can properly evaluate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and value of SSi-al’ Readings of Old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