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소의의 “현악사중주를 위한 데쟈뷰(2010)” 분석 연구

        이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이소 의의 “현악 4중주를 위한 데쟈뷰(déjàvu)(2010)” 분석 연구를 통해 이 작품에서 보여 지는 작곡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곡에서는 꿈의 현상, 한국 전통 악기의 주법, 그리고 미술의 기법 등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꿈의 현상은 이 작품 안에서 음정 관계의 진행과 변화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악기의 주법 중 농현, 퉁김, 추 성, 퇴 성 등의 현악기에서 사용되는 특징을 서양악기의 음악적 제스처로 표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술의 기법인 마블링, 데칼코마니, 꼴라주는 음악적 텍스처의 변화를 통하여 보여 주고 있다. 첫 번째인 꿈의 현상에서는 단2도와 증4도 음정 관계를 주요 음정으로 하고 있으며, 수평적, 수직적으로 서로 상호 보완하고 있다. 이 음정 구조는 대칭적 진행 구조와 톤 클러스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 작품에서는 이러한 음정관계를 통하여 꿈의 긴장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인 음악적 제스처에서는 짧은 음가의 피치카토를 사용하여 한국 전통 악기의 주법 중 퉁김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긴 음가에서는 상행과 하행하는 글리산도를 사용하여 한국 전통음악 악기의 주법 중 음을 밀어 올리는 추 성과 음을 끌어내리는 퇴 성 주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곡에서는 진동 폭이 큰 비브라토를 사용하여 농 현 주법을 서양음악으로 표현 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 미술 기법의 음악적 활용 중 마블링 기법에서는 대조적인 리듬과 음색을 사용하여 꿈의 장면들이 생성되었다가 사라졌다 하는 것을 표현 하였고, 데칼코마니 기법에서는 음정, 음색, 리듬, 강약과 음역대비들이 대칭 되는 것을 그리고 꼴라쥬 기법에서는 이질적인 음정과 구조로 경험한 적이 있는 환상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이소 의의 “현악 4중주를 위한 데쟈뷰”는 작곡가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했던 꿈, 미술, 한국 전통 악기의 주법 연구를 현대 작곡 기법에 반영한 작품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about the composition techniques in "Dejavu (2010)" with support of an analytical research. The playing techniq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ould manifests the musical gestures of Nong-hyun, Toong-chym, Choo-sung, and Twae-sung. Intervallic progression expresses the phenomenon of dreaming is expressed through, the techniques of marbling, collage, and decalcomanic transference are shown through textur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shown through gestural expression. The minor second and the augmented fourth intervals form the basic harmonic language for the piece. This intervallic structure is shown through complementary harmonic and vertical relationships through symmetric and aggregate combinations. The second gesture employs pizzicato of very short phonetic values and is describing the Toong-chym. Gesture, expressed in contrasting smaller and larger durations, is emphasized through short pizzicato and down-bow strokes and longer glissandos and harmonic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echnique of Nong-hyeon, is shown through using expanding wide vibrato. The textural layers of the work portrays appearing and absorbing dream-like scenes inspired by diverse and modern marbling techniques. This texture also references decalcomanic through its symmetric range of interval, timbre, rhythm and weak-strong emphasis; this all forms a structural fantasy alluding to collage. The String Quartet of Lee So eui reflects the lifetime of experiences of the composer including her studies of dreaming, the visual art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nfused within modern compositional techniques.

      • 이소의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대화"의 작곡 및 작품 분석

        이소 한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95

        논문 개요 본 논문은 이소의의 “오케스트라를 위한《대화(Dialogue)》"의 작곡 및 작품을 분석한 내용으로 되어있다. 이곡은 작곡가 이소의의 자작시 <하얀 아침의 내 마음의 편지>에서 보이는 시의 내용을 기초로 하였고, 1연에서는 시적화자의 외로움, 그리움, 아련함, 2연에서는 시적화자의 희망, 행복, 이상, 환희, 3연에서는 시적화자의 외로움, 그리움, 아련함을 소리로 표현하였다. 시 전체를 통해 나타나는 시적화자의 이러한 감정들은 이 작품의 음악적 소재와 작품 전체 구성의 음악적 배경이 되며, 시어를 통한 시상전개내용은 다양한 음정구조와 관현악 기법을 통하여 전체 3악장으로 된 2관 편성의 관현악곡으로 작곡하였다. 1악장 <크리스탈볼의 일출 (‘Il Chul’ in Crystal ball)>은 도입부, A-B-C의 형식으로 구성되며, 장2도와 완전 4도를 포함한 4음군의 동기a, 반음계적 단편의 6음군 동기b, 완전 5도로 구성된 2음군 동기c인 3개의 동기가 음정구조를 통하여 수평적 혹은 수직적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곡이 전개 된다. 관현악기법적인 측면에서는 시 1연의 내용인 외로움, 그리움 그리고 아련함 등의 고독한 내용들이 일출에 비유되어 다양한 음색과 음향으로 표현되었고, 각 악기군에서 제시되는 수평구조와 수직구조가 조합되면서 변화 있는 음악 내용을 보여 준다. 2악장 <하얀 나비의 춤 (Dance of a ‘Hayan Nabi’)>는 A-B-C의 형식으로 구성되며, 단2도와 완전 4도를 포함한 4음군 동기d, 반음계적 단편의 3음군 동기e, 완전 4도로 구성된 3음군 동기f, 옥타브를 넘는 장2도 도약 2음군 동기g인 4개의 동기가 수직 수평적으로 서로 상호 작용 되면서 곡이 전개 된다. 관현악기법적 측면에서는 시 2연의 내용인 희망, 행복, 이상, 환희 등이 밝고 긍정적인 내용으로 나비의 춤에 비유되어 표현되었다. 2악장은 1악장과 비슷하게 각 악기를 통한 다양한 주법이 사용되었고, 선율의 조합과 분리를 통해 다채로운 음색이 구현되었다. 제2악장에서는 또한 속도의 변화가 포함된 글리산도, 목관악기에서의 호흡의 단절 등의 특수주법이 포함되며, 하얀 나비의 춤을 묘사하는 다양한 음색의 타악기들과 트럼본과 튜바의 악기를 통하여 저음부를 강화하는 관현악법이 특징적이다. 3악장 <새벽 달빛 (Moon light in a ‘Saebueck’)>은 A-B-C의 형식으로 구성되며, 완전 5도의 2음군 동기c, 반음계적 단편의 3음군 동기e, 그리고 장2도와 완전4도를 포함하는 3음군 동기h인 3개의 동기가 수직 수평적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곡이 전개 된다. 제1악장이 변형 반복된 내용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형식, 동기적 소재와 전개들이 1악장과 유사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3악장에서는 1악장의 수평적 구조는 수직적으로 1악장의 수직적 구조는 수평적으로 바뀌며, 관현악법적으로 다양한 타악기와 저음 금관악기가 포함된 제2악장의 관현악 편성이 이 3악장에서 그대로 사용됨으로써 제1악장의 하얀 아침을 묘사하는 밝은 음색들이 제3악장에서는 어두운 밤의 안개가 포함된 하얀 아침의 어두운 음색들로 변화된 내용을 보여준다. “이소의의 작곡《오케스트라를 위한 대화(Dialogue)》”는 전체 3악장을 통하여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와 이와 대조를 이루는 이미지 그리고 새로 형성되는 이미지가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현악기군들의 음색대비, 독주(solo), 합주(tutti)의 대비, 피치카토, 스타카토, 레가토등의 변화가 포함된 다양한 악기 주법의 대비, 모방 캐논이 포함된 대위적 진행, 악기군의 조합, 대칭적 구조 등을 통하여 <하얀 아침의 내 마음의 편지>의 각 연과 행에서의 내용들이 음악적으로 잘 표현되도록 작곡했음을 보여 준다.

      • 이소기 졸업공연 “꽃피는 봄이 오면”

        이소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연의 내용을 상세히 전하고 전체 공연의 계획 공연장, 출연자, 스태프 등의 내용을 통해 공연 기획의 상세한 내용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논문을 통해 기획 및 음악 등을 더욱 개선하고 보완하여 추후 더 좋은 공연과 더 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朝鮮 後半期 牡丹圖와 蝴蝶圖의 史的 考察 및 現代的 表現

        이소의 (李昭宜)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7647

        東洋畵의 作品性은 작가가 어떠한 精神으로 對象을 표현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연구자는 傳統속에서 그 진수를 파악하고 자신만의 獨創性을 확립할 때 現代性이 확립된다고 믿는다. 따라서 연구자는 지속적으로 제작하여온 모란꽃과 나비의 素材를 중심으로 전통회화의 영향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연구자만의 작품세계를 확립하여 현대적인 표현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目的이 있다. 모란꽃은 전통적으로 富貴?繁榮?美女를 象徵하며, ‘百花王’으로서 모든 꽃의 왕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모란꽃이 花甁에 꽂혀진 작품은 모란꽃의 ‘富貴’의 뜻과 화병이 지니고 있는 ‘平安’의 의미가 결합되어, 집안의 부귀와 榮華 및 평안하기를 소망하는 뜻이 되었다. 나비는 다채로운 모양과 화려한 빛깔로 인해 부귀와 여유의 상징으로 애호되기도 하였으나, 人生의 無常함과 ‘物我’의 구분을 잊는 절대자유의 경지를 상징하는 매개체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모란꽃과 나비를 함께 그리면 부귀와 ?壽(질수)를 뜻하여, 전통적으로 長壽?夫婦琴瑟?多産 등의 吉祥을 상징하였다. 陰陽五行思想에 의한 五方色의 赤色은 삿된 것을 물리치는 &#36767;邪祈福의 의미인 동시에, 가장 강렬한 陽의 색으로 모란꽃과 상통하는 데가 있다. 黃色은 五色의 중심색으로서 우주의 중심에 해당되는 땅의 상징이며, 황제 및 권위를 나타내는 고귀한 색이다. 이외에 黑色은 玄으로써 하늘을 뜻하며 존엄을 상징하고, 白色은 빛을 상징하면서 순결과 청렴을 의미한다. 그리고 靑色은 봄과 생명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대로부터 음양오행사상에 의한 상징적 표현수단으로써 색채문화가 전하여 오는데, 오방색은 화려한 장식적 목적 이외에 사랑 · 다산 · 다복 · 장수 · 우애 · 부귀 · 君子를 뜻하며 소망을 상징하였다. 전통적인 회화영역에서 모란꽃과 나비는 工筆畵風과 寫意畵風 그리고 民畵風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필화풍은 조선시대 李巖(1499~ ?)과 申師任堂(1504~1551) 그리고 金弘道(1745~1816) 등에 의한 섬세한 描寫와 다채로운 設彩가 연구자에게 대상의 세심한 관찰과 강렬한 彩色을 하는데 영향을 주었으며, 사의화풍은 沈師正(1707~1769)과 姜世晃(1713~1791) 등이 기교적인 운필에 의하기보다 사유를 통하여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를 표현한 방법에서, 연구자는 사물이 화면에 移入될 때 정신표현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작가미상의 민화풍인 牡丹圖와 蝴蝶圖에는 완벽한 표현보다 ‘坐忘’의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표현된 無念의 ‘拙’의 세계가 내재되어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 연구자의 최초의 모란꽃 작품은 치밀한 寫生을 통하여 제작한 鉤勒塡彩法의 <모란(1984년작)>이었다(圖 59). 이후 1999년부터 연구자의 작품에 세 가지의 독특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첫째, <꽃과 나비의 찬가>에서 볼 수 있는 화면중앙에 나비가 포치된 ‘중앙집중형’ 구도와 ‘화면분할형’ 구도이다(圖 68, 81). 둘째, 모란꽃 한 송이만을 화면중앙에 크게 배치하거나, 이와 더불어 화면 좌우상하에 작은 꽃을 배치하여 안정감을 추구하는 <모란도> 作品群이다(圖 60, 61, 62). 연구자는 이 작품들의 주제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배경에 綠色과 赤色 등의 補色을 이용하여 강렬함을 표현하였으며, 文人畵風의 튀는 듯한 필선을 구사하였다. 그리고 셋째, <三多頌(2005년작)>에서와 같이 적색바탕에 백모란을 포치하고, 화면 상부좌우에는 壽福의 문자를, 하단부 좌우에는 꽃과 나비를 배치하여, 장수의 상징성을 직설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했다(圖 63). <삼다송>은 연구자가 현대적인 속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전통의 조각보를 매개로 하여 오방색과 間色을 사용하고, 사의적인 활달한 필치를 水墨이 아닌 채색을 사용하여 튀는 듯한 강렬한 표현을 하였다. 특히 모란꽃과 나비는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形象이 되어, 나비이면서 꽃이며, 꽃이면서 나비가 되게 하였다. 또한 莊子가 말하는 ‘蝴蝶夢’의 나비가 나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 만물 중에서 하나의 例를 들은 것으로 간주하고, 소재와 작가가 하나로 同和되어 ‘坐忘’과 ‘物化’의 세계가 되고 心象의 표현이 되게 하였다. 이외에, <꽃과 나비의 찬가>에서와 같이 오방색의 短線들을 화면 좌우나 네 모서리에 넓게 묘사하여, 寫意的인 표현 외에 액자 자체를 의미하는 실용성도 추구했다(圖 68, 69, 70). 연구자는 모란꽃과 나비를 상징하는 의미와 오방색의 의미가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對象과 色과의 관계를 동일한 의미로 간주하였다. 이것을 ‘沒我’의 경지라 판단하여 대상표현이나 전통채색의 활용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 따라서 전통의 활용과 이를 탈피하는 것 자체가 자신의 독창성과 현대성의 성립이라고 생각되어, 전통 동양화 채색에서 벗어나 크레용(crayon) · 파스텔(pastel) · 과슈(gouache) · 아크릴(acryl) 물감 등을 사용하여 재료에 따라 다양한 변화에 의한 미묘한 색조의 느낌을 표현했다. 이러한 느낌을 순간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꼴라주(Collage) 기법을 활용하되, 문인화의 즉발적인 표현을 첨가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어린아이와 같이 놀이를 하듯 ‘沒我’의 경지에 접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拙’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작품을 제작할 때 사물의 본질에 침잠해보고 상징적 의미를 마음에 두었다. 그리고자 하는 소재의 妙處가 어디에 있는가를 추구하기 위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영역을 분류하여, 보이는 물질을 단순화하고 보이지 않는 대상의 정신에 同和되어 ‘물화’의 경지에 이르려고 하였다. 이때 작품에는 형식적인 형상은 없으나 그 안에 정신이 내재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자유로운 진행과정은 무의식 속에서 ‘心齋’와 ‘좌망’에 달하게 되어 전통과 현대라는 개념도 사라졌다. 작품의 현대성은 전통의 뿌리에서 탄생하여 작가의 個性과 대상을 觀照하는 태도에 따라 독창성을 구축하였을 때 나타난다고 믿는다. 따라서 연구자는 전통적인 대상의 상징과 표현기법을 통하여 터득한 것을 單純化하고, 즉발적인 표현으로 대상의 심상을 自己化하여 무념의 상태에서 표현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작품 내용에 기복 · 벽사 · 부귀영화가 담기는 의미보다는, 무념의 상태에서 꼴라주 기법으로 찢어 붙이거나 오방색을 전통기법에 의존하지 않고 마음에 따라 무수히 붙이고 칠하는 자체에서 기쁨을 누린 결과, 그 안에 공필화적 · 문인화적 · 민화적 요소가 혼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영향 이외에 老莊思想과 禪의 세계에서 得道되어 가는 과정의 요소인 ‘심제’와 ‘좌망’ 그리고 ‘물화’를 통하여 대상을 자기화하여 沒入되는 과정을 지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작품은 보이지 않는 벽사 · 부귀 · 기복 등의 의미가 담겨질 것이라 믿으며, 전통에서 변화된 현대성이 그 안에 자리한다고 생각한다. The quality of oriental painting lies in the artist's state of mind. Hence it is only when the artist grabs the essence of art within the frame of tradition and cultivates his or her own style that their works can be guaranteed for contemporane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my own artistic notion and present a contemporary style of expression by analyzing what I have been affected by tradition and the different elements produced by different styles of my works. The tree peony flower and butterfly are the major motifs I have been working on and these are the basic sources to research upon. Traditionally, the tree peony flower has been regarded as a symbol for richness, abundance, and the beautiful women. It used be called as the ""King of All Flowers," being a metaphor for a King. A painting of the tree peony flower in a vase means a wish for richness, abundance and peace of a family since the vase is for peacefulness. Butterfly has normally been regarded as a symbol for being rich or blessed while at the same time it has meant a mediate vehicle to reach an absolute freedom where epiphany of life and self-oblivion fuse together. In this context, the picture of the tree peony flower with butterfly can be said as a metaphor for richness and to live until the age of eighty, as well as general fortunes like long life and conjugal affection. The traditional five colors (Obangseak) indicate five directions (center, east, west, south, and north), which follows the principle of Yin (陰) and Yang (陽). The color of red, one of those five colors has the strongest Yang energy meaning warding off an evil spirit, which is akin to what the tree peony flower symbolizes. Meanwhile the color of yellow indicates center or the center of universe. Yellow is regarded being noble as it represents a king or an authority. I have posited a butterfly at the center of my picture and used yellow for the butterfly. Among rest of colors, black is for heaven and dignity; white for the light, purity and honesty. And the blue is a symbol for spring and life. Traditionally Korea has been handed down a symbolic color system that has a basis in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Traditionally Koreans have favored the five colors (Obangseak) for resplendent decoration on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ey were to express a wish for love, ecundity, fortune, long life, fraternity and a wise man. In the traditional painting genre, picture of the tree peony flower and butterfly are divided into three styles - meticulous, (gongbi, literally "fine brushwork") and freehand, (xieyi, literally to "write ideas"), and folk style. All those three influenced me. First, meticulous style of the tree peony flower and butterfly are found in paintings by Lee Am (1449~?), Shin Sa Im Dang (1504~1551), and Kim Hong Do (1745~1816) of Joseon period, in which they meticulously depicted the object and added various colors onto that. Through their works, I have learnt to carefully observe the objects and the technique of vibrant coloring. It was through freehand style paintings represented by Shim Sa Jung (1707~1769) and Kang Se Hwang (1713~1791) that I realized that the spiritual expression is being made during the course of presenting object in the picture. Those old maters had approached the essence of object through meditation. Folk style of the tree peony flower & butterfly painting suggests a possibility of free expression of contemplate state of spirit, and na&iuml;vet&eacute; drawn in it. When I first drew a <The Tree Peony Flower> in 1984 (Plate 59), I was working on with a technique of "goule (contour drawing) with rich colors." Afterwards, three characteristic styles have been shown to my works since 1999. First is called a "centralized" or "divided" composition where a butterfly is placed at the center of a picture. <A Song for Flower and Butterfly> is the work of this type (Plate 68, 81). Second style emphasizes more on the center of picture, being flanked by a sub little flowers increasing more balance. A series of <The Tree Peony Flower> (Plate 60, 61, 62) ar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To make a subject look stand out, I chose complementary colors like green or red for background, and commanded eye-catching brushwork as seen in literary (Southern) style paintings. Last, in the <Three Pine Trees> of 2005, I placed a white the tree peony flower on a red background. I also wrote Chinese characters of long life (壽) and fortune (福) on both side on top of the picture, and flower and butterfly at both side of the bottom, indicating a wish for long life directly and metaphorically (Plate 63). <Three Pine Trees> is a trial to express a modern sensibility. First I used Obangsaek and halftone colors together that had been in pieces of wrapping cloth. And I finally made a powerful impression by using vigorous colors instead of dynamic brushwork as seen in watercolor paintings. Distinctive is the mingled form of the tree peony flower and butterfly, which are not in separate in their forms. I did ssume that the butterfly mentioned in "Zhuang Zhou (Zhuang Zi) dreamed he was a butterfly" (莊周夢蝶) was not simply a butterfly, but an example of objects representing the whole universe. Hence I had myself assimilated to the subject, reaching a state of "self-oblivion" or mingling with into the object, and at last representing a spiritual image/figure. Meanwhile I made in <A Song for Flower and Butterfly> five colors of short brushstrokes on both sides and all four corners of the picture plane that ended up looking like a frame. This can be a practical approach in a sense (Plate 68, 69, 70). I found a similarity i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ree peony flower & butterfly, and that of Obangseak. So I sometimes identify an object with its color. I recognized this as a state of "self-oblivion," from where I set myself free from any traditional ways of expression and the use of colors. I also found my own creativity and contemporaneity in taking advantage of and, at the same time, escaping from the tradition. That is why I simply gave up traditional coloring method. Instead I took crayon, pastel, gouache, acrylic in my works to express material variety and subtle sensibility. Collage is one of the methods to capture a feeling of moment yet I still found a need to add spontaneous expression as seen in the literary (Southern) style paintings. During the course of such work, I felt like I was playing like a child and soon reached a state of the "self-oblivion," and ultimately and naturally to the state of "na&iuml;vet&eacute;, then." While working, I put myself down to the essence of an object holding its symbolic meaning in mind. To seek out where the object came from, I first separated the visible sector from the invisible one and tried to reach the state of assimilating myself to the object by simplifying the visible thing. And I believed the spirit is extant even without form or figure. So free was the process that I finally reached a peak of one's soul and contemplation remaining no division between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I believe that the contemporaneity of artwork,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 comes in when an artist constitutes his or her own style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oward object. I made what I have learnt from traditional symbolic meaning of objects and traditional techniques as simple as possible to assimilate myself to the mental image of an object and to express spontaneity at the state of impassivity. Wish for fortune, warding off evil spirit, richness and happiness are not the subjects I intended to put into my artworks. I did not just rely upon a traditional technique. Rather I chose a method of collage - tearing papers and sticking those together -, enjoyed attaching and painting onto the collage and at last found a mixture of the elements of meticulous style (gongbi), literary style and folk art in it. In the idea of Loa Zi & Zhang Zi (Zhang Zhou) and the world of hermit (zen), peak of one's soul and contemplation are the fundamental courses to reach enlightenment. I realized those two mediate states and also acknowledged the moment I am being assimilated to the object. A work of art done at the state of this kind of self-oblivion is no doubt to have symbolic meaning like warding of evil spirit, richness and wish for fortune. Also no doubt is the contemporaneity laid inside those works.

      • 적외선 열화상기법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볼 베어링의 이상상태에 대한 기초 연구

        이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With the modern machinery towards the direction of high-speed development , the "thermal" issues of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and its components is increasingly important. Ball bearing is one of the main part of rotating machinery system, and is a more easily damaged parts. So bearing thermal fault detection is essential. If inside the bearing friction thermal and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coming the bearing internal heat can not be effectively disseminated, the bearings may be because of the surface of the raceway and rolling body surface damage leading to early scrapped . For example, the bearing system in the case of loss of lubrication and the work of the high-speed operation, lead to bearing parts inside temperature rising sharply , resulting in the failure of the bearing . In the final analysis, many of the bearing form of failure because of "thermal" generated. So find out internal heating mechanism of bearing system parts, heat transfer proces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hich part a higher temperature readily rendered ineffective hazardous parts , you can do early to stop, and may also be submitted to these parts have a targeted design solution, and for these parts have a targeted design solution is proposed, so as to improve the technological process or structural materials , in order to improve bearing life and reliability. In this paper, the Infrared thermal imaging was used to carry out the initial steady state thermal analysis for the poeration state of ball bearing, and the vibration frequency experiment was then carried out to prove the practicability and simplicity of infrared thermal imaging technology. Finally,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technology was used to carry on the analysis of the temperature field for the working condition of bearing, an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ology, a distribution of temperature field was preliminarily determined under the working condition of bearing , which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rmal infrared imaging. By comparison of the results, the accuracy of the infrared thermal imaging technology wa further proved, which provided the valuable reference for the fault detection of bearing in the future.

      • 분무열분해법으로 성장한 CdO:Cu 박막의 구조와 광학적 전기적 특성

        이소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dO:Cu Films Deposited by Spray Pyrolysis Lee So-Ri Advisor : Prof. Dong Ju Seo Ph. D.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University CdO : Cu films were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s by spray pyrolysis.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dO : Cu films have been studied using XRD, SEM, EDS, optical spectra and van der Pauw method. The CdO : Cu films prepared with Cu concentration up to 10.0 at.% were identified as Cu-doped CdO (CdO : Cu) with (111) and (200) preferred orientation and cubic structure. The optical transmission of the CdO : Cu films were about 60 ∼ 90 % in the wavelength range form 500 nm to 2000 nm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Cu concentration. The optical energy band gaps of the CdO : Cu films decreased with increasing Cu concentration. Electric resistivity, carrier concentration, Hall coefficient and mobility of the CdO : Cu films prepared with Cu concentration of 5.0 at.% were , , , , respectively.

      •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이소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Lee So-ri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Advising professor : Park Jae Sung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urrent state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actors facilitating or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and those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healthcare workers. The 314 healthcare workers of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o provide them with effective way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or each sec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SPSS 18.0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scores, reflecting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types of occupations were, 4.21±0.57 (doctors), 4.70±0.42 (nurses), and 4.56±0.45 (medical technicians), showing the differ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types of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the highest scores of 4.49±0.64 (doctors), 4.76±0.47 (nurses), and 4.77±0.44 (medical technicians);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the scores refl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each type of occupations were 3.87±0.59 (doctors), 4.45±0.46 (nurses), and 4.48±0.47 (medical technician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respective highest scores of 4.17±0.64 (doctors), 4.64±0.52 (nurses), and 4.71±0.50 (medical technicians);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medical technician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nurses, thi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17±0.77 (doctors), 1.89±0.82 (nurses), and 1.92±0.9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disturb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Fourth,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facilitat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90±0.71 (doctors), 3.86±0.61 (nurses), and 3.66±0.8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facilitat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Fifth,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examined wherein,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for doctors (p<0.01) and the presence of the experiences of stab wounds (p<0.01) were found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Sixth,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subjects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1) and disturbance of infection control (p<0.05) (doctors);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and facilit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5) (nurses); and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medical technicia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tandard precautions to be observed by healthcare workers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as well as the collaboration between managers, peers, and staff of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in a hospital. Besides, the different level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each type of occupations thus require the education programs of infection control customized for each type of occupations; these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observing standard precautions of healthcare workers, and will eventually lead to prevention of the infection related to healthcare practices.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이소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지도교수 박재성 국문요약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감염관리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알아보고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 314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직종별 감염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 점수는 의사 4.21±0.57점, 간호사4.70±0.42점, 의료기사 4.56±0.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49±0.64점, 간호사 4.76±0.47점, 의료기사4.77±0.44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둘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는 의사 3.87±0.59점, 간호사4.45±0.46점, 의료기사 4.48±0.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17±0.64점, 간호사 4.64±0.52점, 의료기사 4.71±0.50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의료기사의 수행도 점수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셋째, 직종별 감염관리 방해요인 점수는 의사가 2.17±0.77점, 간호사 1.89±0.82점, 의료기사 1.92±0.9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방해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넷째, 직종별 감염관리 촉진요인 점수는 의사가 2.90±0.71점, 간호사 3.86±0.61점, 의료기사3.66±0.8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촉진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다섯째, 직종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차이에서는 의사만 ‘감염관리 교육’ 유무(p<0.01), ‘자상경험’ 유무(p<0.01)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사는 감염관리교육유무(p<0.01), 방해요인(p<0.05)이 간호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 촉진요인(p<0.05)이 의료기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주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은 물론 동료나 관리자, 감염관리부서의 협조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나 수행도의 차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직종별로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 리질리언스 도시에 기초한 근린공원 긴급 대피소의 조경디자인 전략 연구

        이소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극단적인 이상 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도시의 시스템은 크나큰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리질리언스 도시 발전 과정에서 당면한 실제 문제는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하다. 각종 재해에 직면해 미래 도시는 재해에 더욱 적응성이 뛰어나도록 건설되어야 하며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리질리언스와 리질리언스 도시 이론은 각종 재해 문제의 해결에 관한 수요와 내외부로부터 받는 도시의 각종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평가체계를 제공하는 동시에 도시 방재 및 대피 분야에 일련의 이론 연구와 실천적 활용을 제시한다. 새로운 연구 주제어로 자리 잡은 리질리언스 도시는 최근 몇 년 사이 국제학계에서 도시 연구 분야의 주요 논점으로 떠올랐다. 본 연구에서는 리질리언스와 리질리언스 도시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20세기 중후반 이후의 도시 방재 대피 계획의 기본 상황을 상세히 소개하며, 외국의 앞선 이론과 방법을 비교 및 분석하여 근린공원과 긴급 대피소 조경디자인에 관한 패러다임과 실행 전략을 제시한다. 도시의 근린공원은 도시의 종합 방재 및 대피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긴급 대피소는 안전을 보장하는 공공공간이자 리질리언스 도시의 규범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라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긴급 대피소는 재해 전, 재해 중, 재해 후의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긴급 대피소는 수동적인 저항 능력을 넘어서 리질리언스의 효능을 발휘하는 능동적인 재해예방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한의 자체 조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재해로 인한 피해를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도시의 실정에 적합하며 과학적인 방재·대피 평가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으며, 이에 맞는 조경디자인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또 도시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건설 용지가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으며 인프라는 밀집해서 분포하고 있어 전통적인 방재 대피 방식으로는 도시 안전의 수요를 만족하기에 현저히 부족하다. 이 밖에도 중국은 도시 동질화 현상이 심각하고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지 못한 채 세계 다른 도시들의 도시계획과 조경디자인의 오랜 이론을 맹목적으로 답습하고 있으며 정책의 방향을 외면한 채 혁신할 방법조차 마련하지 못해 자원과 기회의 막대한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리질리언스 능력을 갖춘 도시가 되려면 지역의 특색에 맞게 도시의 공공공간을 통합하고 재활용해야 한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도시화 과정이 빨라지고 있으며, 도시 내 각종 자연재해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진 발생은 인류에게 큰 피해를 준 동시에 도시의 생태환경 보호와 공공공간 활용 등 여러 영역에서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리질리언스 도시의 건설과 발전 배경을 분석하여 그 경험과 교훈을 종합해 보면, 도시의 방재 대피의 부재와 부족, 특히 근린공원 긴급 대피소의 용지계획과 조경디자인 두 가지 문제점이 정기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관련 사업의 뚜렷한 실천과 성과가 보이지 않고, 중국 중대형 도시들의 방재 대피계획 과정도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국가와 지방 각급 주무 부처는 지진피해·방재계획·긴급대피 등에 관한 규범·기준·관리 방법·규제 등에 있어서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 및 이행 요구를 명시하고, 도시 방재 대피 용지 설계와 조경디자인을 한층 강화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한편, 근린공원 긴급 대피소 건설을 통해 공공공간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리질리언스 도시에 기초해 방재 대피 계획과 긴급 대피 관리를 위한 리질리언스 도시의 이론적 연구와 실천적 성과를 연구의 주안점으로 삼아 리질리언스 도시의 특징, 정책방향, 건설 아이디어 등을 논술하고 생태환경, 사회적 효과, 경제적 안정, 안전보장, 자원조달, 재해저항, 도시의 자체 회복력과 다학문적, 다차원적, 다체계적인 시각에서 재해 지역에 관해 리질리언스 도시 건설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의 기존 이론과 성공적인 경험 및 자연재해가 빈번한 도시의 현행 규범과 제도 및 원칙을 참고하고 지진을 연구 요소로 삼아 근린공원 긴급 대피소에 관해 분석하고 논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시의 공공 공간 용지 계획과 조경디자인의 실제적인 필요에 중점을 두고 네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했다. 산시성 시안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해 이 지역의 지질재해·인구 분포·긴급 대피소 건설 현황·용지 자원 지표 등을 분석했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AHP 계층분석, 설문조사, 사례분석을 따르며 시안시 롄후근린공원 긴급 대피소를 활용 및 실천 대상으로 삼아 실증적으로 연구했다. 연구는 중국 도시와 지역에 적용되는 이론적 연구 및 실천적 지도에 목표를 두고 ‘국가→도시→공공공간→방재 및 대피 용지’ 단계로 진행했다. 평시와 재해 시의 기능적인 수요와 주민의 인지 및 행동 심리를 조사 및 분석하여 재해방지, 재해 대응, 재해복구에 관한 운영 및 이용조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지표계산, 가중치 판단,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을 통해 최종적으로 근린공원 긴급 대피소 조경디자인의 효과적인 과정과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리질리언스 도시에 기초한 근린공원의 방재 대피 수준과 효능을 한층 높이고, 중국의 도시 근린공원 긴급 대피소 조성을 가속화함으로써 도시 방재 대피 공공공간의 조경디자인을 표준화, 합리화, 타당화할 수 있도록 지도적이며 참고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Due to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extreme climate around the world, the urban organization system has been repeatedly hit hard.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silient city, the actual problems they face are dynamic and changeable. In the face of various disasters, the future urban construction will be more adaptable,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aradigm shift. The emergence of resilience and the emergence of resilient city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and evaluation system construction framework to 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needs of coping with various disaster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of city, and carry out a series of theoretical research and application practice in the field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As a new research topic, resilient city has gradually become a hot spot and focus in the field of urban research 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 in recent years. Based on the theories of resilience and resilient city, this paper will guide the research of community parks and emergency shelters, introduce the basic situation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planning since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compare and analyze the advanced concepts and practices of foreign city, and summarize the conventional paradigm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e community park in the city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system in the city. The emergency refuge is the public space that provides security for people, and also the decisive factor for the standardized constru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silient city, which has the dual role of promoting and strengthening. It can play a vital role in the whole proces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disaster. Different from passive resistance, emergency shelters with resilience and their effectiveness and level can not only actively prevent disasters, but also maximize their own adjustment and effectively recover from the disaster as soon as possible. However, China has not completely formed a scientific and standardized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evalu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ity, and there is a lack of landscape design standards corresponding to it. With the rapid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continuous expansion of construction land and dense distribution of infrastructure, the traditional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methods have been obviously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urban security. In addition, Chinese cities are seriously homogenized, fail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blindly follow the outdated concepts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design in the international field, ignore policy orientation, and do not innovate methods, resulting in a huge waste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In order to achieve a more resilient cit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reuse urban public space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with the continuous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in China, various kinds of natural disasters in cities occur frequently.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has brought huge losses to human beings, but also to the city's ecological environment protection, the use of public space and many other aspects of a very serious impact. From the background of resilient city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were analyzed and summed up its experience and lessons, therefore, is the lack of refuge floor surface and the lack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emergency shelter especially community park two key problems of land use planning and landscape design, no regular optimized improvement, the representative of related project practice result is less, In many large and medium-sized cities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planning process has not been effectively resolved. As a result, the department in charge of national and local levels against earthquake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plan, emergency shelter, etc., have issued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management measures, rules and regulations, such as policy, has been clear about the concrete request to the goal of planning and execution, to further strengthen the land use planning and landscape design of urban refuge, at the same time ensure the safety of people's life and property, the focus is to make full use of such public space for emergency shelter and evacu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shelters in community parks.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refuge and emergency management, this paper takes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achievements of resilient city as the entry point of research. On the basis of clarifying the connotation characteristics, policy orientation, construction ideas and other aspects of resilient city,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building resilient cities in post-disaster areas from the perspectives of ecological environment, social effect, economic stability, security guarantee, resource allocation, disaster resistance, self-recovery and multi-disciplinary, multi-dimensional and multi-system. Drawing on the existing theories and successful experienc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and following the current relevant norms, standards and institutional principles of cities prone to natural disasters, the earthquake is taken as a research element, and the research content of emergency shelters in community parks is analyzed and discussed. This paper starts from the main line of urban public space land use planning and the actual demand of landscape design, and selects Xi 'an city of Shaanxi Province as the object by setting four research assumptions to analyze its geological disaster, population distribution, emergency shelter planning and construction status and land resource indicators.The research method is to use the literature measurement method, AHP,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case analysis method,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xi 'an Lianhu community park emergency shelter for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orientation is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guidance applicable to Chinese cities and regions. The research level is a progressive relationship from the whole to internalization, from "country" to "city" to "public space" to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lan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and disaster at ordinary times whe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residents as well as cognitive and behavioral psychology, before meet disaster defense,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of the operation conditions of us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alculation of index, weight determination, and build a simulation model, finally work out emergency shelters for the community park landscape design and th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strateg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level and efficiency of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in community parks under the background of resilient city, accelerate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refuge in Chinese urban community parks, and provide standardized, reasonable and feasible demonstration guidance and reference basis for the landscape design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 public space.

      •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소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소인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임상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6주 간 뇌졸중 환자 총 14명이 참가하였으며,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 대조군 모두 훈련 전 사전검사를 하였다.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은 6주 동안 주 3회, 1회당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20분, 마무리운동 5분으로 총 30분씩 실시하여 훈련 3주 후 중간검사, 6주 후 사후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BBS) 측정과 기립상태에서 Gait View의 정적 검사(static test)를 측정하여 앞-뒤, 왼쪽-오른쪽 발바닥압력 차이와 환측 한 다리 서기 능력(one leg score test)을 측정하였다. 보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보행 시 운동성과 동적 균형과 관련된 Timed Up & Go(TUG)와 동적 수행능력과 관련된 보행상태에서 Gait View의 동적 검사(dynamic test)를 측정하여 앞-뒤, 왼쪽-오른쪽 발바닥압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시기 및 군 간의 측정 변인들이 미치는 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과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BBS에서의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과 대조군 모두 사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기립자세에서의 정적 앞-뒤 발바닥압력 비율 차이에 대한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기립자세에서의 정적 왼쪽-오른쪽 발바닥압력 비율 차이에 대한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넷째, 환측 한 다리 서기 능력에서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다섯째, TUG 시기에 대한 집단 간 비교에서 사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여섯째, 동적 앞-뒤 발바닥압력 비율 변화에서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일곱째, 동적 왼쪽-오른쪽 발바닥압력 비율 변화에서는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의 시기 간 변화에서 유의하게 감소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을 통한 균형 및 보행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 재활프로그램으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모차르트 오페라에 나타난 신분 계층 간 여성 아리아 비교 분석 : 다 폰테 3부작의 주요 여성 아리아를 중심으로

        이소 전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와 로렌초 다 폰테(Lorenzo Da Ponte, 1749-1838))의 오페라 부파 3부작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K. 492>, <돈 조반니(Don Giovanni), K. 527>, <코지 판 투테(Così fan tutte), K. 588>는 계몽주의 사회 속 하층민의 생각과 삶 그리고 귀족사회를 반영하여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상황을 풍자한 작품이다. 오페라 부파는 오페라 세리아에 대한 개혁으로 코믹한 요소가 분리되어 이탈리아 오페라 양식을 대표하는 장르로 레치타티보, 아리아와 중창을 사용하여 등장인물의 신분, 성격과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다. 특히, 다 폰테는 모차르트가 음악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극의 탄탄한 기초를 만들어 주었고 인물 묘사에 중점을 두어 음악 속에서도 등장인물의 성격이 드러나도록 만들었으며 오페라 부파의 단순한 재미가 아닌 당시 사회의 모습을 작품 속에 담아 풍자하는 깊이 있는 대본을 만들어냈다. 다 폰테와 모차르트는 사회 계층에 따라 오페라의 주요 여성 캐릭터를 귀족과 하층민 두 신분 계층으로 나누고 서로 다른 음악적 특징을 부여했다. 귀족과 하층민 여성의 아리아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상 귀족은 정형화된 오페라 세리아의 스타일을 따르고 하층민은 이와 대조되는 가볍고 단순한 오페라 부파 스타일을 채택하였다. 형식에 있어 대부분 2부 형식 사용했으나 운율과 구조를 통해 줄거리와 극적인 상황에 따라 맞추도록 했다. 귀족은 대부분 오페라 세리아의 다 카포 아리아를 채택하고, 하층민들은 단순한 2부 형식을 취한다. 둘째, 귀족의 레치타티보는 오페라 세리아에서 중요한 장면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레치타티보 아콤파냐토를 통해 극적인 심리변화를 표현하고, 하층민은 레치타티보 세코를 통해 가볍고 단순하게 대사 전달을 위해 표현한다. 아리아 부분은 귀족이 세련되고 시적인 가사를 통해 우아한 멜로디를, 하층민은 일상 언어의 가사를 통해 대화하듯 빠르게 노래하는 아리아는 기악 부분은 멜로디의 단편적 반복을 통해 음악 전반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셋째, 아리아의 선율은 아름다운 악구로 구성되어 자주 반복되고 변형되며 간단한 화음과 음형으로 반주 된다. 대부분 I-V의 화성적 진행이 주를 이루고 악구마다 다양한 종지형으로 연결한다. 극적 대조를 위해 증화음이 간혹 사용된다. 넷째, 하층민은 경쾌한 춤곡 리듬, 지속저음 없는 가벼운 리듬을 통해 인물의 성격과 감정 상태가 나타나고 귀족과 대조를 이루며 계급에 따른 음악적 차이를 두었다. 귀족은 2, 4박 계열로 긴음과 당김음을 사용하였고 하층민은 3박 계열과 짧은 음가인 8분음표, 16분음표 빠른 리듬을 표현한다. 다섯째, 빠르기에 있어 귀족은 Larghetto, Adagio, Andante, Allegro, Allegretto를 사용하여 대부분 느리지만 감정이나 분위기에 따라 빨리지기도 한다. 하층민은 Andante, Andante grazioso, Allegretto로 대부분 빠른 아리아로 표현하였다. 18세기 계몽주의 사회와 여성의 모습을 모차르트의 오페라 부파를 통해 비춰본 본 논문은 오페라 부파 3부작을 통해 당시의 문화와 모차르트와 다 폰테의 생각을 반영하였고 그들이 표현하고자 했던 사회 풍자를 장르의 특징을 잘 활용하여 나타냈다. 또한 주요 여성의 아리아를 통해 인물의 신분 계층과 성격,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여 모차르트가 각 인물에게 부여하고자 했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W. A. Mozart(1756-1791) and Lorenzo Da Ponte(1749-1838), the opera buffa trilogy <Le Nozze di Figaro, K. 492>, <Don Giovanni, K. 527>, <Così fan tutte, K. 588> is a satire of the 18th century enlightenment era, reflecting the thoughts and lives of the lower class and noble class society in the enlightenment society. Opera buffa is a genre that represents the Italian opera style, with comic elements separated by reform of opera seria, and expresses the character's identity, personality and situation well using recitativo, aria, and vocal ensemble. In particular, Da Ponte created a solid foundation for Mozart to express music freely, It focused on expresing characters and made the character's personality manifest in the music and it was not just the fun of opera, but it created an indepth script that satirizes the society of that time in the work. Da Ponte and Mozart divided the main female characters of opera into two classes of status, noble and low class people,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and gave different musical characteristic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nalyzing the aria of noble and low class women in detail are explained in content. First, in terms of structure, noble class followed the standardized style of opera seria, and the lower class adopted a light and simple style opera buffa in contrast. It was used in binary form, but the rhyme and structure were used to match the plot and the dramatic situation. Most of the nobles adopt the Da capo aria of the opera seria, and the low classes take a simple binary form. Second, the nobles recitativo expresses dramatic psychological changes through the recitativo acompagnato, which is used to describe important scenes in the opera seria, the low class delivers their lines through the recitativo secco. In the aria part, the nobles elegant melody through poetic lyrics, the low classes aria (singing quickly as if talking through the lyrics of everyday language) gives unity throughout the music by repeating the melody. Third, the melody of the aria is composed of beautiful phrases, which are frequently repeated and deformed, and accompanied by simple chords and phrases. I-V is mainly composed of the harmonic progression, and each phrase is connected in various cadence. Augmented chords are occasionally used for dramatic contrast. Fourth, the lower class shows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te through a dance rhythm and a light rhythm without basso continuo, in contrast to the nobles, there was a musical difference. The nobles used long tone and syncopation in the 2, 4 beats, and the low class expresses the fast rhythm of the 3 beat and short 8th notes and 16th notes. Fifth, in Tempo, noble uses Larghetto, Adagio, Andante, Allegro, and Allegretto, which are mostly slow, but can also be accelerated depending on emotions or moods. The low class were Andante, Andante grazioso, and Allegretto mostly expressed as fast aria. This thesis, which reflects the enlightenment society and women in the 18th century through Mozart's opera buffa trilogy, reflects the culture of the period and the thoughts of Mozart and Da Ponte, the social satire they wanted to express was well util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In additional, through main women aria analysis, it can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given to each character by Mozart, who has different class, personality, and musical expr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